KR20220034333A -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333A
KR20220034333A KR1020200116566A KR20200116566A KR20220034333A KR 20220034333 A KR20220034333 A KR 20220034333A KR 1020200116566 A KR1020200116566 A KR 1020200116566A KR 20200116566 A KR20200116566 A KR 20200116566A KR 20220034333 A KR20220034333 A KR 2022003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ot pad
measurement
hot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신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4333A/ko
Publication of KR2022003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은, 핫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 및 온도 센서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검사자가 휴대하는 측정 장치; 상기 측정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핫 패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바코드 정보 및 상기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검사자가 휴대하는 통신 단말; 및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보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Hot pad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cargo hold construction}
본 발명은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송용 선박의 화물창에는 열 침입을 차단하고, 가스 누설을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의 보호하기 위해 단열 방벽이 시공된다.
단열 방벽은 선체 내측벽의 하부 단열방벽과 액화천연가스가 인접하는 상부 단열방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 단열방벽은 복수의 단열방벽을 연결하여 시공하는데, 열팽창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부 단열방벽들은 소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시공된다.
하부 단열방벽들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상부에는 트리플렉스(triplex)가 접착제로 부착되어 적층됨으로써, 단열방벽 간의 강력한 연결이 유지되며, 이로 인해 가스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트리플렉스 부착용 접착제로는 에폭시, 우레탄 접착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접착면의 안정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해 접착제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핫 패드(Hot pad)를 이용하여 트리플렉스 상부에서 일정 압력과 열을 가한다.
압력과 열을 가함으로써, 트리플렉스의 부착 과정에서 부착면이 부분적으로 들뜨는 현상을 예방될 수 있고, 접착제가 골고루 퍼져 접착 강도가 높아지고 접착제의 신속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리플렉스의 견고한 부착을 위해 이용되는 핫 패드에 열선의 단선 등과 같은 불량이 존재하면, 화재와 같은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에 대한 검사가 요구되며, 검사자가 현장에서 쉽게 핫 패드의 정상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검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7298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86654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65181호
본 발명은 검사자가 현장에서 핫 패드의 저항값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현장에서 생성된 핫 패드의 식별 정보와 측정된 저항값 정보를 이용하여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가 쉽게 판별될 수 있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에 관한 검사 정보들이 검사 리스트로 자동 생성될 수 있으며, 검사된 핫 패드의 검사 위치가 함께 관리되어 화물창 시공시 이용할 핫 패드의 적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한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핫 패드의 입고/출고 등록, 재고 조회 등 재고 관리 업무를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핫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 및 온도 센서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검사자가 휴대하는 측정 장치; 상기 측정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핫 패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바코드 정보 및 상기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검사자가 휴대하는 통신 단말; 및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보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 서버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대해 측정 저항값을 산출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저항 측정부; 및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측정 장치 및 상기 판정 서버와 각각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바코드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및 상기 바코드 정보 및 상기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저항 발열체의 기준 저항값과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장치가 위치한 현장의 대기 온도값을 기준하여 상기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로서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온도 센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정 서버는 판정 정보가 생성된 핫 패드들에 대해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검사 리스트는 핫 패드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 또는 불량에 대한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핫 패드가 적재된 위치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검사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자가 현장에서 핫 패드의 저항값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현장에서 생성된 핫 패드의 식별 정보와 측정된 저항값 정보를 이용하여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가 쉽게 판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핫 패드의 정상/불량 상태에 관한 검사 정보들이 검사 리스트로 자동 생성될 수 있으며, 검사된 핫 패드의 검사 위치가 함께 관리되어 화물창 시공시 이용할 핫 패드의 적재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한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핫 패드의 입고/출고 등록, 재고 조회 등 재고 관리 업무를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로 시공되는 화물창의 단열방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다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와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로 시공되는 화물창의 단열방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다른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20)에 의해 시공되는 화물창의 단열방벽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화물창의 선체 내측벽(1)에는 하부 단열방벽(2)이 에폭시 매스틱(epoxy mastic)(3)과 스터드 볼트(4)에 의해 부착된다. 스터드 볼트(4)의 일단은 선체의 내측 벽(1)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 단열방벽(2)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강판(5)을 관통하여 너트(4a)에 의해 고정된다.
복수의 하부 단열방벽(2)은 단열방벽 간의 열팽창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소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시공된다. 이격된 공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 재질의 플랫 조인트(6)가 결합됨으로써 하부 단열방벽(2)의 조립이 완성된다.
하부 단열방벽(2)의 상부에는, 플랫 조인트(6)가 삽입된 하부 단열방벽(2)의 계면 상부를 제외하고, 상부 단열방벽(8)이 부착된다.
상부 단열방벽(8)이 부착된 후, 하부 단열방벽(2)의 계면 상부에 트리플렉스(triplex)(7)가 부착된다. 트리플렉스(7)는 하부 단열방벽(2) 들의 계면을 통한 액화천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단열방벽(2)들의 계면 상부에 부착되는 시트이다.
트리플렉스(7)는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열경화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에폭시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수지(polyurethane resin), 페놀수지(phenolic Resin), 폴리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접착제는 70~150℃의 온도로 열에너지가 가해지면 액상으로 융융되었다가 가교반응(crosslinking)에 의하여 경화되어 트리플렉스(7)를 하부 단열방벽(2)에 접합시킨다.
트리플렉스(7)의 부착이 끝나면 에폭시 글루 등을 이용하여 탑 브리지 패널(9)이 트리플렉스(7)의 상면에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단열방벽(8)과 탑 브리지 패널(9)이 형성하는 동일평면 상에 플라이우드(10)와 코러게이트 멤브레인(corrugated membrane)(11)을 차례로 부착함으로써 화물창의 단열방벽이 완성된다.
핫 패드(20)는 전술한 과정들 중, 트리플렉스(7)를 하부 단열방벽(2)에 부착하는 단계에서 일정한 압력과 열을 트리플렉스(7)와 트리플렉스(7)에 부착된 열경화성 접착제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핫 패드(20)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핫 패드(20)는 유체 수용백(21) 등을 구비하는 형상(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17298호 참조), 목재 샌드위치 패널층 등을 구비하는 형상(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86654호 참조) 등으로 다양하다.
다만, 각 형상의 핫 패드들이 저항 발열체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이 공통되므로, 여기서는 도 2에 예시된 유체 수용백(21) 등을 구비하는 핫 패드(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핫 패드(20)는, 화물창의 트리플렉스(7) 상부에 밀착되는 유체 수용백(21)과, 유체 수용백(21)에 수용되어 트리플렉스(7)에 압력과 열을 전달하는 유체(22)와, 유체 수용백(21)에 삽입되어 유체(22)에 열을 공급하는 저항 발열체(23)를 포함한다.
유체 수용백(21)은 하부 단열방벽(2)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트리플렉스(7)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뷰틸고무(IIR) 등)로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22)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유체 수용백(21)에는 유체(22)가 수용되어, 저항 발열체(23)에 의해 공급되는 열과 가압판(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한 가압력을 트리플렉스(7)에 전달한다. 유체(22)는 예를 들어 물에 글리콜을 희석한 것일 수 있다.
유체 수용백(21) 내부에는 유체(22)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저항 발열체(23)가 삽입된다. 저항 발열체(23)는 저항열선(23a)을 절연성 피복재(23b)로 피복한 것으로, 유체 수용백(21) 내부에서 적당한 간격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저항 발열체(23)는 유체 수용백(21)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24)을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선(24)의 노출된 단부에는 커플러(30,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저항 발열체(23)에 의해 가열되는 유체(2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5)가 유체 수용백(21) 내부에 구비된다. 온도 센서(25)의 신호 라인 역시 유체 수용백(21)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24)을 따라 커플러(30)까지 외부로 인출된다.
커플러(30)가 외부의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면, 제어 장치는 온도센서(25)로부터 수신된 온도정보와 미리 설정된 유체(22)의 온도를 비교하여 필요한 전력을 전선(24)을 통해 저항 발열체(23)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와 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은 측정 장치(110), 통신 단말(120) 및 판정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에서 핫 패드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자(즉, 검사자 등)는 측정 장치(110)와 통신 단말(120)를 휴대한다.
측정 장치(110)는 통신 단말(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되어, 핫 패드(20)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23)와 온도 센서(25)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통신 단말(120)로 제공한다.
통신 단말(120)은 측정 장치(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판정 서버(130)와 광역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핫 패드(20)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와 측정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판정 서버(130)로 전송한다.
판정 서버(130)는 통신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보고 정보를 참조하여, 측정 장치(110)에 의해 검사된 핫 패드(20)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핫 패드 검사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측정 장치(110)는 연결부(111), 저항 측정부(112), 입력부(113), 표시부(114) 및 장치 통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1)는 핫 패드(20)의 커플러(30)와 체결되어, 핫 패드(20)의 저항 발열체(23), 온도 센서(25) 등이 측정 장치(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저항 측정부(112)는 핫 패드(20)에 구비된 저항 발열체(23)와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을 산출하여 측정 정보를 생성한다. 측정 정보는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저항 측정부(112)는 예를 들어, 커플러(30)와 연결부(111)의 체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 발열체(23)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흐르는 전류를 각각 측정한 후, 주지의 저항에 관한 공식을 이용하여 측정 저항값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항 측정부(112)는 저항 발열체(23)의 측정 저항값을 생성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도 산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25)는 예를 들어 PT100 온도 센서 등인 열저항 센서일 수 있으며, 산출된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이 산출될 수 있다.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온도값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입력부(113)는 측정 장치(110)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수단이다. 입력부(113)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3)를 이용하여 측정 장치(110)의 온/오프, 저항값 측정, 측정 장치(110)에서 생성된 정보의 전송 등에 관한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114)는 측정 장치(11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4)에는 측정된 저항 발열체(23)와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 측정 장치(110)의 배터리 잔량, 측정 정보의 전송 완료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장치 통신부(115)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 단말(120)과 연결 설정하여, 측정 장치(110)에서 생성된 측정 정보를 통신 단말(120)로 전송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115)는 통신 단말(120)을 통해 판정 서버(130)에서 전송된 판정 정보(즉, 검사된 핫 패드(20)가 정상 또는 불량임을 판정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판정 정보는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표시부(114)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측정 장치(110)에는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현장 위치, 즉 측정 장치(110)가 위치한 지점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대기 온도값은 전술한 측정 정보에 포함되어 장치 통신부(115)에 의해 통신 단말(120)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단말(120)은 단말 통신부(121), 바코드 인식부(122), 보고정보 생성부(123), 재고 관리부(124) 및 GPS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단말(120)은 대상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와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노트북 컴퓨터 등일 수 있다. 후술될 바코드 인식부(122), 보고정보 생성부(123) 및 재고 관리부(124)는 통신 단말(12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 통신부(121)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측정 장치(110)와 연결되고, 광역 통신 방식으로 판정 서버(130)와 연결되어, 측정 장치(110) 및 판정 서버(130)와 무선 통신한다. 단말 통신부(121)는 측정 장치(110)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판정 서버(130)로 보고 정보를 전송한다.
바코드 인식부(122)는 핫 패드(20)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 및 해석하여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바코드는 예를 들어 핫 패드(20)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및 기준 저항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상응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바코드 인식부(122)는 예를 들어 통신 단말(120)에 의해 핫 패드(20)의 표면이 촬영된 영상에서 바코드 영역을 인식 및 해석하는 바코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고정보 생성부(123)는 바코드 인식부(122)에 의해 생성된 바코드 정보와, 측정 장치(110)에서 수신된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생성한다.
보고 정보는 단말 통신부(121)를 통해 판정 서버(130)로 전송된다. 판정 서버(130)는 바코드 정보를 참조하여 검사된 핫 패드(20)를 식별할 수 있고, 측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핫 패드(20)가 정상인지 혹은 불량인지 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재고 관리부(124)는 통신 단말(120)이 통신망을 통해 자재 관리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접속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신규 입고된 자재의 등록, 반출 또는 출고할 자재의 등록, 특정 자재에 대한 수리/보수 요청, 반출할 자재의 적재 위치 조회 등과 같은 재고 관리 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재고 관리부(124)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로 통신 단말(120)에 설치되어 구동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장 내 임의의 위치에서도 재고 관리 업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GPS부(125)는 통신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GPS부(125)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는 보고정보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되는 보고 정보 내에 포함되어 판정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임의의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핫 패드(20)가 검사되는 위치 정보가 생성되어 관리됨으로써, 추후 작업을 위해 정상으로 판정된 핫 패드(20)가 필요시되는 경우, 해당 핫 패드(20)의 적재 위치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이때, 해당 핫 패드(20)의 적재 위치는 재고 관리부(124)를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판정 서버(130)는 서버 통신부(131) 및 판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31)는 광역 통신 방식으로 통신 단말(120)와 통신한다. 즉, 서버 통신부(131)는 현장에서 측정 장치(110)와 통신 단말(120)를 휴대하여 핫 패드(20)의 정상 상태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120)로부터 보고 정보(예를 들어, 바코드 정보, 측정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한다. 수신된 보고 정보는 판정 서버(130)의 서버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판정부(133)는 서버 저장부에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저항 발열체(23)의 기준 저항값과 수신된 측정 정보에 따른 저항 발열체(23)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핫 패드(20) 내의 저항 발열체(23)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저항 발열체(23)에서 국부적인 단선 부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준 저항값에 비해 현저히 큰 측정 저항값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때 판정부(133)는 해당 핫 패드(20)가 불량이라는 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판정 정보에는 예를 들어 정상 또는 불량이라는 상태 정보뿐 아니라 기준 저항값과 측정 저항값에 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판정부(133)는 측정 정보에 포함된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측정 정보에 포함된 대기 온도값을 기준할 때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대응되는지 여부로서 핫 패드(20) 내의 온도 센서(25)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대기 온도값이 섭씨 25도인 경우, 핫패드 온도값이 섭씨 21도 내지 29도의 범위 내에 해당하여야 정상으로 판정되도록 하는 등, 대기 온도값을 기준하여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판정부(133)는 정상 또는 불량인지 여부가 검사된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검사 리스트는 검사된 핫 패드(20)들 각각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불량인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판정부(133)는 핫 패드(20)에 대한 저항값 측정이 실시된 위치로서 해당 핫 패드(20)의 적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검사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검사 리스트에 각각의 핫 패드(20)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추후 시공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핫 패드(20)의 적재 위치를 쉽게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검사 리스트는 자재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재 관리 시스템은 핫 패드(20)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각각의 핫 패드(20)가 정상인지 불량인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핫 패드 검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통신 단말(120)는 구비된 바코드 인식부(122)를 이용하여 핫 패드(20)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510이 후술될 단계 520에 앞서 실시되도록 제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520에서, 통신 단말(120)는 측정 장치(110)로부터 핫 패드(20) 내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23) 및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신한다.
핫 패드(20)의 커플러(30)에 체결되어 측정 장치(110)가 핫 패드(20)의 저항 발열체(23), 온도 센서(25)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측정 장치(110)는 저항 발열체(23)와 온도 센서(25) 각각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주지의 저항 산출 공식에 따른 측정 저항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장치(110)는 온도 측정기를 구비하여, 측정 장치(110)가 위치한 지점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측정된 대기 온도값이 측정 정보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530에서, 통신 단말(110)는 생성한 바코드 정보와 측정 장치(110)에서 수신된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판정 서버(130)로 전송한다.
보고 정보에는 통신 단말(120)에 구비된 GPS부(125)에서 생성한 위치 정보(즉, 핫 패드(20)에 대한 검사가 실시된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540에서, 판정 서버(130)는 통신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서버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저항 발열체(23)의 기준 저항값과, 통신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측정 정보에 따른 저항 발열체(23)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핫 패드(20)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판정 서버(130)는 측정 정보에 포함된 온도 센서(25)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측정 정보에 포함된 대기 온도값을 기준할 때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대응되는지 여부로서 핫 패드(20) 내의 온도 센서(25)가 정상 또는 불량인지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판정 정보는 통신 단말(120) 및/또는 측정 장치(110)로 전송되어, 통신 단말(120) 및/또는 측정 장치(110)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단계 550에서, 판정 서버(130)는 검사된 핫 패드(20)들에 대한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검사 리스트는 검사된 핫 패드(20)들 각각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불량인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보고 정보에 핫 패드(20)에 대한 저항값 측정이 실시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판정 서버(130)는 검사 리스트에 해당 핫 패드(20)에 대한 위치 정보(즉, 해당 핫 패드(20)가 적재된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핫 패드 24 : 전선
30 : 커플러 110 : 측정 장치
111 : 연결부 112 : 저항 측정부
113 : 입력부 114 : 표시부
115 : 장치 통신부 120 : 통신 단말
121 : 단말 통신부 122 : 바코드 인식부
123 : 보고정보 생성부 124 : 재고 관리부
125 : GPS부 130 : 판정 서버
131 : 서버 통신부 133 : 판정부

Claims (6)

  1. 핫 패드의 내부에 수용된 저항 발열체 및 온도 센서에 대한 측정 저항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생성하도록 검사자가 휴대하는 측정 장치;
    상기 측정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핫 패드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한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바코드 정보 및 상기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검사자가 휴대하는 통신 단말; 및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보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코드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저장된 핫 패드 정보와 상기 측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판정 서버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연결부;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미리 지정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인가된 전압과 흐르는 전류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온도 센서 각각에 대해 측정 저항값을 산출하며, 상기 측정 정보를 생성하는 저항 측정부; 및
    상기 측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측정 장치 및 상기 판정 서버와 각각 통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바코드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정보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및
    상기 바코드 정보 및 상기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고 정보를 생성하는 보고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핫 패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저항 발열체의 기준 저항값과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 저항값을 이용하여 핫패드 온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측정 장치가 위치한 현장의 대기 온도값을 기준하여 상기 핫패드 온도값이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여부로서 상기 핫 패드 내의 상기 온도 센서의 정상 또는 불량에 관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서버는 판정 정보가 생성된 핫 패드들에 대해 검사 리스트를 생성하되,
    상기 검사 리스트는 핫 패드의 식별 정보, 타입 식별자, 형상, 크기, 기준 저항값, 측정 저항값 및 정상 또는 불량에 대한 상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정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핫 패드가 적재된 위치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검사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KR1020200116566A 2020-09-11 2020-09-11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4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66A KR20220034333A (ko) 2020-09-11 2020-09-11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66A KR20220034333A (ko) 2020-09-11 2020-09-11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33A true KR20220034333A (ko) 2022-03-18

Family

ID=8093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66A KR20220034333A (ko) 2020-09-11 2020-09-11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433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54B1 (ko) 2008-02-26 2009-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성 히팅 패드
KR20110065181A (ko) 2009-12-09 2011-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KR20120117298A (ko) 2011-04-15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654B1 (ko) 2008-02-26 2009-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성 히팅 패드
KR20110065181A (ko) 2009-12-09 2011-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히팅 패드
KR20120117298A (ko) 2011-04-15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481B2 (en) Strain gauge with moisture barrier
US4179940A (en) Structural failure detection method
JP5450629B2 (ja) 弾性層と脆弱層の積層ハイブリッド構造を用いたヘルスセンサ
US5969260A (en) Remotely interroga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structural members
JP2018537638A (ja) センサを備えた管継手
JP5675665B2 (ja) 光ファイバセンサを備えたハニカムサンドイッチ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55035B1 (ko) 2차 방벽의 결함부 검사방법
US202202361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line monitoring
JP2006250585A (ja) 耐力パネル、建物、建物の簡易診断システム、並びに建物の簡易診断方法
KR20220034333A (ko)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1960A (ko)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29007A1 (en) Sacrificial sensor for determining damage to a part
KR101258945B1 (ko) 화물창 시공용 핫 패드
KR101626616B1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JP2002031563A (ja) 液面検出装置、給液制御装置及び液体配送システム
KR20130045496A (ko) 선박용 화물창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JPH0926060A (ja) 配管施工情報管理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樹脂配管融着用コントローラー
KR20240048840A (ko) 화물창 시공을 위한 핫 패드 제어기의 테스트 장치 및 제어기 테스트 방법
KR101743942B1 (ko) 극저온 밀봉 배리어의 접착 파라미터를 점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610B1 (ko) 조인트관 매설위치 및 상태 검출방법 및 알에프아이디를이용한 전기융착조인트 제어장치
US5143568A (en) Method for leak detection and non-destructive quality control testing for roofing seams
KR20090045680A (ko) 히팅 패드 기능장애 검출기
KR102009968B1 (ko) 성상분리센서
KR20230050088A (ko) 핫 패드 제어기의 검사를 위한 핫 패드 대체 장치
US20180266128A1 (en) Structural repair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