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06B1 - 빨대 - Google Patents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06B1
KR101121806B1 KR1020050055149A KR20050055149A KR101121806B1 KR 101121806 B1 KR101121806 B1 KR 101121806B1 KR 1020050055149 A KR1020050055149 A KR 1020050055149A KR 20050055149 A KR20050055149 A KR 20050055149A KR 101121806 B1 KR101121806 B1 KR 10112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locking member
beverage
inner diame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800A (ko
Inventor
이광복
최중구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이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복 filed Critical 이광복
Publication of KR2006008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위생적으로 컵 안의 음료를 보관하고 뚜껑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빨대 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이 상기 제1차단 부재를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음료가 빨대 결합 부재의 플랜지부의 돌출부와 상기 제1차단 부재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또한 제2차단 부재가 상기 뚜껑의 턱 부분과 접촉하여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빨대를 빨게 되면, 상기 제1차단 부재가 빨대를 빠는 힘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을 이기고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차단 부재의 이격된 사이로 음료가 유출되고, 또한 상기 제2차단 부재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차단 부재와 상기 턱 사이로 음료가 유출된다.
빨대, 덮개

Description

빨대{Straw}
도 1은 빨대 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빨대를 빠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빨대의 평면도.
도 7은 빨대 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의 빨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빨대 본체를 빠는 상태의 빨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10 : 컵 본체 12: 빨대 본체
20,520 : 뚜껑 40 : 빨대 결합 부재
50 : 제1차단 부재 60 : 스프링
70 : 제2차단 부재 80 : 스토퍼
90 : 결합 부재 522 : 제1 빨대 본체
524 : 하향 원통 형상부 526 : 결합부
530: 제1환형 부재 540 : 제2빨대 본체
550 : 차단 부재 560 : 지지 부재
570 : 제2환형 부재 580 : 러버 부재
590 : 공기 유입부
본 발명은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으로 컵 안의 음료를 보관하고 뚜껑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컵에 채워진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컵의 개구부에 입을 대고 마시는 경우에는 유량이 일정하지 않아 흘릴 수 있으며 비위생적이며 마시기에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컵에 담겨진 음료가 적게 남은 경우 고개를 뒤로 젖히고 마셔야 하기 때문에 회의 시간 같은 공식석상에서는 품위를 유지하기가 힘들다.
또한, 마시다가 남은 음료를 보관하는 경우 개구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들어갈 수가 있어서 비위생적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컵 안의 음료를 보관하고 뚜껑에 설치되어 용이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빨대 본체;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상기 빨대 본체와 결합하는 본체부, 상방향 내측에는 돌출부를 갖는 플랜지부를 갖는 빨대 결합 부재; 대략적으로 직사각 단면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빨대 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음료가 빨대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빨대 본체를 빨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와 이격되어 음료가 빨리는 것을 허용하는 제1차단 부재; 상부는 상기 뚜껑의 상기 절곡부와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제1차단 부재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빨대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차단 부재를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음료가 상 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와 제1차단 부재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빨대 본체를 빨면 상기 제1차단 부재가 빨대를 빠는 힘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상기 제1차단 부재와 일체식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내경부의 내면과 그 외면 사이로 음료가 이동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제2내경부의 제2내경보다는 외경이 작아 상기 제2내경부의 내면과 그 외면 사이로 음료가 이동할 수 있는 머리부를 가지며, 빨대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머리부의 하부면이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의 상기 턱과 접촉하여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빨대를 빨면 본체부와 머리부가 일체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머리부와 상기 턱 사이로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제2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또한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의 제1빨대 본체; 상기 제1 빨대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환형 부재; 상기 제1환형 부재의 하부면와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빨대 본체;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지 않을 시에는 하부면이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컵 본체 내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 시에는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음료가 유출되도록 하는 차단 부재; 제1환형 부재의 상부면까지 연장하며, 상기 하향 원통 형상부의 내부에 제공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환형 부재;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제2환형 부재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지 않을 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하부면이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컵 본체 내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 시에는 수축되어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음료가 유출되도록 하는 러버 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빨대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컵은 컵 본체(10), 빨대(12), 뚜껑(20), 빨대 결합 부재(40), 제1차단 부재(50), 스프링(60), 그리고 제2차단 부재(70)을 포함한다.
음료가 채워지는 상기 컵 본체(10)는 대략적으로 상방향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의 형상이 중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뚜껑(20)은 대략적으로 원판 형상이며, 중앙에 대략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외주연에는 상기 컵 본체(10)과 결합하는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뚜껑(20)의 상기 중공 원통 형상부는, 하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빨대 결합 부재(40)과 결합하는 하방향 연장부(24),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하는 제1상방향 연장부(26), 제2상방향 연장부(28), 그리고 상기 제1상방 향 연장부(26)과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를 잇는 절곡부(3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는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26)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하며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26)의 내경보다 작은 제1내경을 갖는 제1내경부(28a)와 상기 제1내경부(28a)보다 내경이 약간 큰 제2내경을 갖는 제2내경부(28b)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내경부(28a)의 내면과 상기 제2내경부(28b)의 내면이 만나는 곳에는 턱(28c)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턱은 내측면이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빨대 결합 부재(40)는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본체부(42)와 본체부(42) 상부의 플랜지부(44)를 구비한다.
상기 빨대 결합 부재(40)의 상기 본체부(42)의 외주면은 빨대(12)와 결합한다. 상기 플랜지부(44)의 외주면은 상기 뚜껑(20)의 상기 하방향 연장부(24)와 결합되며, 상방향 내측에는 상기 제1차단 부재(5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반원 단면의 링 형상의 돌출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빨대를 빠는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4를 주로 참고하여, 대략적으로 직사각 단면의 링 형상을 갖는 제1차단 부재(50)는 빨대 본체(12)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빨대 결합 부재(40) 의 상기 플랜지부(44)의 상기 돌출부(44a)와 긴밀히 접촉하여 음료가 빨대(12)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막고, 빨대 본체(12) 빨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44a)와 이격되어 음료가 빨려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뚜껑(20)의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26)의 내부에 제공되는 스프링(60)은 상부는 상기 뚜껑(20)의 상기 절곡부(30)와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제1차단 부재(50)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60)은, 빨대(12)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차단 부재(50)를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음료가 상기 빨대 결합 부재(40)의 상기 플랜지부(44)의 상기 돌출부(44a)와 상기 제1차단 부재(5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막으며, 빨대 본체(12)를 빨게 되면 상기 제1차단 부재(50)가 빨대(12)를 빠는 힘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돌출부(44a)와 상기 제1차단 부재(50)의 이격된 사이로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차단 부재(70)는 상기 제1차단 부재(50)와 일체식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체부(72)와 머리부(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부(72)의 외경은 상기 뚜껑(20)의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의 상기 제1내경부(28a)의 제1내경보다 작아 상기 제1내경부(28a)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72)의 외면사이로 음료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74)는 그 외경이 상기 뚜껑(20)의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의 제1내경부(28a)의 제1내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2내경부(28b)의 제2내경보다는 작아, 상기 머리부(74)의 외면과 상기 제2내경부(28b)의 내면 사이로 음료가 이 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빨대(12)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머리부(74)의 하부면이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의 상기 턱(28c)과 접촉하여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빨대(12)를 빨면, 상기 본체부(72)와 상기 머리부(74)가 일체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머리부(74)와 상기 턱(28c) 사이로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뚜껑의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의 상기 턱(28c)의 일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차단 부재(70)의 상기 머리부(74)의 하부면이 상기 돌출한 부분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컵은, 상기 뚜껑(20)의 상기 제2방향 연장부(28)의 상기 제1내경부(28a) 하측에 제공되는 스토퍼(80)을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80)에 의하여 빨대(12)를 빨 때 상기 제1차단 부재(50)의 상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빨대 컵은, 하측이 상기 제1차단 부재(50)와 결합하고 상측이 상기 제2차단 부재(70)과 결합되어 상기 제1차단 부재(50)과 상기 제2차단 부재(70)가 일체식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결합 부재(9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차단 부재(50)과 상기 제2차단 부재(70)은 상기 결합 부재(9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뚜껑(20)의 소정 부분에는, 보통 때에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빨대(12)를 빨아 컵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틈이 생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빨대를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빨대 본체(12)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60)이 상기 제1차단 부재(50)를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음료가 상기 빨대 결합 부재(40)의 상기 플랜지부(44)의 상기 돌출부(44a)와 상기 제1차단 부재(5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빨대 본체(12)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차단 부재(70)의 상기 머리부(74)의 하부면이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28)의 상기 턱(28c)과 접촉하여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빨대 본체(12)를 빨게 되면, 상기 제1차단 부재(50)가 빨대(12)를 빠는 힘에 의하여 스프링(60)의 힘을 이기고 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돌출부(44a)와 상기 제1차단 부재(50)의 이격된 사이로 음료가 유출된다.
또한, 빨대 본체(12)를 빨면, 상기 제2차단 부재(70)의 상기 본체부(72)와 상기 머리부(74)가 일체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머리부(74)와 상기 턱(28c) 사이로 음료가 유출된다.
이때, 빨대 본체(12)를 빨아 컵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공기 유입부(32)에는 틈이 생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덮개 기능을 갖는 빨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빨대의 평면도.
도 7은 빨대 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의 빨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빨대 본체를 빠는 상태의 빨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빨대는 제1빨대 본체(522), 하향 원통 형상부(524), 및 결합부(526)을 갖는 뚜껑 (520), 제1환형 부재(530), 제2빨대 본체(540), 차단 부재(550), 지지부재(560), 제2환형 부재(570), 그리고 러버 부재(580)을 구비한다.
상기 뚜껑(520)은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의 제1빨대 본체(522)를 가진다. 또한 상기 뚜껑은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빨대 본체(522)보다 직경이 큰 하향 원통 형상부(524)를 가지며, 외주연에 상기 컵 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526)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빨대 본체(522)가 상기 뚜껑(5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를 분리시켜 결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제1환형 부재(530)는 상기 하향 원통 형상부(524)의 하단부에서 상기 하향 원통 형상부(524)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2빨대 본체(540)는 상기 제1환형 부재(530)의 하부면와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차단 부재(550)는 상기 제1빨대 본체(22)를 빨지 않을 시에는 하부면이 상기 제2빨대 본체(540)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컵 본체(510) 내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빨대 본체(522)를 빨 시에는 상기 제2빨대 본체(54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음료가 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560)가 상기 뚜껑(52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환형 부재(30)의 상부면까지 연장하며, 상기 하향 원통 형상부(524)의 내부에 제공된다. 상기 제2환형 부재(570)는 상기 지지 부재(56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러버 부재(580)는, 상기 차단 부재(550)와 상기 제2환형 부재(570)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빨대 본체(522)를 빨지 않을 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차단 부재(50)의 하부면이 상기 제2빨대 본체(540)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컵 본체(510) 내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빨대 본체(522)를 빨 시에는 수축되어 상기 제2빨대 본체(54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음료가 유출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 유입부(590)는 상기 뚜껑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빨대를 빨면 틈이 생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에 빨대가 설치된 음료 용기에 의하여 빨대를 빨지 않을 시에는 음료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빨대를 빨 시에는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료가 빨대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Claims (11)

  1. 빨대 본체;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상기 빨대 본체와 결합하는 본체부, 상방향 내측에는 돌출부를 갖는 플랜지부를 갖는 빨대 결합 부재;
    대략적으로 직사각 단면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빨대 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여 음료가 빨대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빨대 본체를 빨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와 이격되어 음료가 빨리는 것을 허용하는 제1차단 부재;
    상부는 상기 뚜껑의 상기 절곡부와 접촉하고 하부는 상기 제1차단 부재의 상부와 접촉하여, 상기 빨대본체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차단 부재를 하방향으로 압압하여 음료가 상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와 제1차단 부재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빨대 본체를 빨면 상기 제1차단 부재가 빨대를 빠는 힘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상기 제1차단 부재와 일체식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내경부의 내면과 그 외면 사이로 음료가 이동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제2내경부의 제2내경보다는 외경이 작아 상기 제2내경부의 내면과 그 외면 사이로 음료가 이동할 수 있는 머리부를 가지며, 빨대를 빨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머리부의 하부면이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의 상기 턱과 접촉하여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빨대 를 빨면 본체부와 머리부가 일체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머리부와 상기 턱 사이로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제2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의 상기 제1내경부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1차단부재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 부재의 본체부는 상기 뚜껑의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의 상기 제1내경부의 제1내경보다 외경이 작은 빨대.
  4. 제1항에 있어서, 하측은 상기 제1차단 부재과 결합하고 상측은 상기 제2차단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차단 부재와 상기 제 2 차단 부재가 일체식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결합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결합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는 반원 단면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대략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부 를 가지며, 외주연에 컵 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지고, 중앙의 상기 중공 원통 형상부는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방향 연장부,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하는 제1상방향 연장부,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하며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의 내경보다 작은 제1내경을 갖는 제1내경부 및 상기 제1내경부보다 내경이 약간 큰 제2내경을 갖는 제2내경부를 가져 상기 제1내경부와 상기 제2내경부가 만나는 곳에는 턱이 있는 제2상방향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와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를 잇는 절곡부를 갖는 뚜껑를 더 포함하는 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기 제2상방향 연장부의 상기 턱의 일부는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뚜껑의 상기 제1상방향 연장부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빨대를 빨면 틈이 생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9.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의 제1빨대 본체;
    상기 제1 빨대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는 제1환형 부재;
    상기 제1환형 부재의 하부면와 결합되며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빨대 본체;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지 않을 시에는 하부면이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컵 본체 내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 시에는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음료가 유출되도록 하는 차단 부재;
    제1환형 부재의 상부면까지 연장하며, 상기 하향 원통 형상부의 내부에 제공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환형 부재;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제2환형 부재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지 않을 시에는 신장되어 상기 차단 부재의 하부면이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컵 본체 내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빨대 본체를 빨 시에는 수축되어 상기 제2빨대 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음료가 유출되도록 하는 러버 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의 제1빨대 본체를 가지며, 또한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빨대 본체보다 직경이 큰 하향 원통 형상부를 가지며, 외주연에 상기 컵 본체와 결합하는 결합부을 갖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빨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빨대를 빨면 틈이 생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KR1020050055149A 2005-01-26 2005-06-24 빨대 KR101121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7337 2005-01-26
KR1020050007337 2005-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800A KR20060086800A (ko) 2006-08-01
KR101121806B1 true KR101121806B1 (ko) 2012-03-20

Family

ID=3717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149A KR101121806B1 (ko) 2005-01-26 2005-06-24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712B1 (ko) * 2016-04-21 2016-08-19 이완균 물통의 밸브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74A (ja) 1998-11-10 2000-05-23 Sukeetaa Kk 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装置
JP2002337910A (ja) 2001-05-21 2002-11-27 Kitano Seisaku Kk 定量注出容器
KR200301946Y1 (ko) 2002-08-21 2003-01-29 유선목 음료수 용기의 뚜껑
KR20030036419A (ko) * 2003-03-26 2003-05-09 이정민 파우치 용기의 내용물 배출장치에 사용되는 확장식 스트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774A (ja) 1998-11-10 2000-05-23 Sukeetaa Kk ペットボトルの飲み口装置
JP2002337910A (ja) 2001-05-21 2002-11-27 Kitano Seisaku Kk 定量注出容器
KR200301946Y1 (ko) 2002-08-21 2003-01-29 유선목 음료수 용기의 뚜껑
KR20030036419A (ko) * 2003-03-26 2003-05-09 이정민 파우치 용기의 내용물 배출장치에 사용되는 확장식 스트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800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07B (zh) 防溢饮用容器
EP3381333B1 (en) Two-piece spill proof open cup
US9504342B2 (en) Closure assembly for a drinking cup
US20090283535A1 (en) Sipper lid with straw capability
ES2643494T3 (es) Recipiente de beber
CN102482008A (zh) 杯子和用于杯子的盖组件
US10945546B2 (en) Drinking attachment for a drinking vessel and drinking vessel with such attachment
US20090272276A1 (en) Infusion maker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KR101121806B1 (ko) 빨대
JP2013536134A (ja) 飲料容器用ガード
US20180036207A1 (en) Baby bottle nipple and configurations thereof
US20130075554A1 (en) Suction Disc Device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AU2014336211B2 (en) Lid for drinking vessel
KR102119174B1 (ko) 원터치 텀블러
JP3786081B2 (ja) ハイブリッドボトル
JP3200914U (ja) 弁付きストロー
CN103974646B (zh) 用于饮水杯的封闭组件
CN216825166U (zh) 用于盛水容器的过滤装置和盛水容器
US10752410B2 (en) Container lid and valve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JP6903340B2 (ja) 飲料容器およびキャップ組立体
KR102239659B1 (ko)
KR200484272Y1 (ko) 계영배 찻잔
JP3116238U (ja) 筒状飲み口を有するボト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