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775B1 -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775B1
KR101121775B1 KR1020070005921A KR20070005921A KR101121775B1 KR 101121775 B1 KR101121775 B1 KR 101121775B1 KR 1020070005921 A KR1020070005921 A KR 1020070005921A KR 20070005921 A KR20070005921 A KR 20070005921A KR 101121775 B1 KR101121775 B1 KR 10112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xiliary
traffic light
ligh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454A (ko
Inventor
박진구
양영석
Original Assignee
양영석
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석, 박진구 filed Critical 양영석
Priority to KR102007000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775B1/ko
Priority to PCT/KR2007/001304 priority patent/WO2007108613A1/en
Priority to EP07715689.1A priority patent/EP1997091A4/en
Priority to JP2009500299A priority patent/JP2009530704A/ja
Priority to US12/063,415 priority patent/US20090135024A1/en
Publication of KR2007009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운전자가 주행 신호인 녹색신호의 잔여시간 및 정지 예비 신호인 황색신호의 예고 시각을 정확히 예측하여 차량 정지 여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관제소에서 제어 가능하고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보조신호등으로서, 상기 보조 신호등 및 상기 주 신호등의 각각의 표시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기 위한 명령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령 값에 따라 상기 보조 신호등 및 주 신호등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신호등은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주신호등이 적색, 화살표, 황색 녹색인 경우 동일하게 전부 점등되며, 주신호등의 주행신호가 변경되기 전 도로상의 교차로 진입을 막기 위해 녹색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도로상의 교차로 진입을 막기 위해 녹색 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교차로나 횡단 보도 운행 시 주행 신호에서 정지 신호로 바뀔 때 변경시간을 전혀 예측하지 못함으로 차량이 즉시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무리하게 진행하거나 급제동하는 것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신호등, 보조 표시등, 황색, 제어, 교차로

Description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도 1은 종래 설치운영 중인 보행자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의 일 예로서 차량용 잔여시간 표시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의 다른 예로서 신호등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또는 우회전을 지시하는 신호등 표시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신호의 표시 상태의 변경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신호의 표시 상태의 계속적인 변경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교차로 진입 정지신호를 확실하게 예시하기 위해 황색등이 점등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신호인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지시하는 신호등 표시장치의 실시 예 2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지시하는 신호등 표시장치의 실시 예 3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신호등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보조 표시등(제1의 표시부) 300 : 주 표시등(제2의 표시부) 201 : 제1의 표시등 202 : 제2의 표시등
203 : 제3의 표시등 204 : 제4의 표시등
205 : 제5의 표시등 301 : 녹색 신호등
302 : 좌회전 신호등 303 : 황색 신호등
304 : 적색 신호등
본 발명은 신호변경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운전자가 주행 신호인 녹색신호의 잔여시간 및 정지 예비 신호인 황색신호의 예고 시각을 정확히 예측하여 차량 정지 여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교차로나 횡단 보도 등에 설치되어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시하는 장치로, 정지신호인 적색등과 대기신호인 황색등 및 직진신호인 녹색등의 삼색등과 아울러 방향전환을 지시하는 화살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호등은 통상적으로 별도로 설치된 지주에 장착되거나 현수되어 설치되며, 소정형상의 본체의 내측에 백색광 램프를 장착하고 그 전면에 적색, 황색 및 녹색의 유리커버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호등의 램프가 교통통제센터나 해당 지역의 신호등을 통제하는 콘트롤 박스의 출력신호에 따라 점등되면 유리커버를 통해 램프의 빛이 발산되어 직진, 정지 및 대기신호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호등은 램프를 점등시켜 직진, 정지 및 대기신호를 표시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램프가 파손되면 해당 신호를 표시하지 못하여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신호의 표시면적이 작을 뿐만 아니라 유리커버에 의해 햇빛이 반사되어 주간에는 직진, 정지 및 대기신호를 판별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신호등은 신호가 전환되기까지의 잔여시간을 운전자에게 알려 주지 못함에 따라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직진신호에 따라 교차로를 통과하기 위해 차량을 가속시키던 운전자는 신호등의 신호가 대기신호로 전환되면 차량을 급정차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추돌사고 등의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고발생 또는 차량의 지체와 정체 등의 교통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소통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직진, 정지 및 대기신호만을 표시하는 신호등과는 별도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전광판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보행자에게 신호의 잔여시간을 함께 제공하는 보행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기가 있었다.
도 1은 종래 설치운영 중인 보행자 신호등 잔여시간 표시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보행자 신호등 잔여표시기는 보행자가 안심하고 횡단 보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로써 교통관련 신호등에 있어 보조등 역할을 한다. 특히, 통행량이 적은 야간의 경우 언제 적색 등으로 바뀔지 모르고 깜박이는 신호등에 습관이 된 보행자들이 신호가 바뀌기 직전 마지막 점멸 시에도 횡단 보도를 통행하여 질주하는 차량에 의해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된다. 더욱이 정상인에 비해서 보행 속도가 느린 노약자나 장애인들은 뒤늦게 횡단 보도에 진입을 했다가 중간에서 무방비 상태로 사고위험에 노출되는 것이 우리의 교통 안전 문제 현실이다. 따라서, 횡단보도의 남은 시간을 보행자가 알 수만 있다면 적어도 이런 사고는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찰청에서는 1998년 12월부터 6개월간의 시험설치 결과를 토대로 여론조사 및 타당성을 검토하여 마침내 2000년 1월 12일 보행인의 불안감 해소와 횡단 보도에서의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행 신호등 잔여시간표시기" 시행령을 확정 발표한 바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래부터 이미 많은 기술적 시도가 있고,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0018157호를 보면 교차로의 교통신호등이나 횡단 보도 신호등에 잔여시간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교차로 등에서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장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04-0054156(2004년 06월 25일 공개)에 운전자에게 차량신호등의 녹색신호 잔여시간을 알려주는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공보에 있어서는 기존 신호등 제어기에서 신호의 발생주기와 구동특성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융통성이 있으면서도 비교적 간단한 하드웨어구조를 가지는 소형이면서도 저가이고 확실한 신뢰성을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신호표시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교통신호등의 차량신호인 녹색신호 및 좌회전 신호와 연동되는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제어기와 표시기에 관한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교통신호들을 마이크로 컴퓨터에 적합한 사양으로 변환시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부에 입력하는 신호입력부(10), 별도의 시간설정을 하기 위한 스위치와 보조회로를 포함하는 조작부(20), 신호입력부와 조작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고 신호를 저장하고 프로그 램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30),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등의 잔여표시 신호로 신호표시부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구동부(40) 및 전송되어온 시간관련 신호를 이용하여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신호표시부(50)로 구성하여, 신호의 대기시간을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성급함이나 지루함에 따른 판단 착오를 줄일 수 있어 교통안전에 크게 기여하고, 교통사고 예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제품의 소형화와 경량화 및 기존 신호등의 구조적 변경 없이도 기능의 수정과 확장이 용이한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신호등의 자동대기시간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0004189호(2002년01월16일)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패널(15)가 전원공급부(18)의 구동전원을 적색과 녹색 및 황색의 발광 다이오드(14)로 스위칭시켜 상기 발광 다이오드 (14)를 점멸시키는 LED 구동부(16)에 접속되고, LED 구동부(16)가 해당 지역의 신호등을 통제하는 콘트롤박스(19)나 교통통제센터에서 인가되는 신호등 제어신호 또는 교통정보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14)를 선택적으로 점멸시키며, 해당 지역의 신호등을 통제하는 콘트롤박스(19)나 교통통제센터로 부터 직진, 정지, 대기신호 등의 신호등제어신호 또는 교통정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17)가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LED 구동부(16)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공급부(18)의 구동 전원이 적색과 녹색 및 황색의 발광 다이오드(14)로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14)를 점멸시키는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문헌 등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주 신호등이 점멸되며 잔여시간도 예측이 불확실하여 실효성이 없고, 또한 교통신호등의 차량신호인 녹색신호 및 좌회전 신호와 연동되는 잔여시간을 표시할 수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차량을 일정 속도로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에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조 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주 교통신호와 동일하게 지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조신호등으로 인해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어떠한 혼란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자인에 있어서 크기와 신호 등의 개수 및 신호등의 모양을 주 신호등과 달리하여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전자가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은 중앙관제소에서 제어 가능하고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보조신호등으로서, 상기 보조 신호등 및 상기 주 신호등의 각각의 표시등을 소정의 시간 간 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기 위한 명령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령 값에 따라 상기 보조 신호등 및 주 신호등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신호등은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주신호등이 적색, 화살표, 황색 녹색인 경우 동일하게 전부 점등되며, 주신호등의 주행신호가 변경되기 전 도로상의 교차로 진입을 막기 위해 녹색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도로상의 교차로 진입을 막기 위해 녹색 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의 표시방법은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으로 이루어지고, 보조 신호등의 각각의 표시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기 위한 명령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령 값에 따라 상기 보조 신호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전방에 설치되는 보조신호등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 신호등의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경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동시에 적색으로 점등되는 제1의 단계, 상기 주 신호등의 황색 신호등이 점등된 경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2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동시에 황색으로 점등되는 제 2의 단계, 상기 주 신호등의 녹색 신호등이 점등된 경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동시에 녹색으로 점등되는 제 3의 단계, 상기 주 신호등의 녹색 신호등이 점멸되기 전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녹색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으로 점등되는 제 4의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단계 내자 제 4의 단계는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실행되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신호등 표시기는 차량 정지 신호인 적색 신호등 정지 예비 신호인 황색 신호등 좌회전 및 직진 신호인 녹색 신호등으로 구성되며, 특별히 신호가 변경되는 예상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장치는 없으므로 교통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교차로 및 횡단 보도의 사고는 운전자가 교차로나 횡단 보도 운행 시 주행 신호에 서 정지 신호로 바뀔 때 변경시간을 전혀 예측하지 못함으로 차량이 즉시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무리하게 진행하거나 급제동함에 그 원인이 있었다.
이는 주행중인 차량이 정지하기 위해서는 정지거리가 필요하다.
통상 정지거리는 공주거리(운전자가 전방 위험을 감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순간까지의 시간에 차량이 진행한 거리)와 제동거리(브레이크 페달을 밟고부터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필요한 거리)를 더한 거리이며, 운전자의 평균 공주시간을 약 0.6초에서 1초 정도로 보면 일반도로에서의 차량 허용 속도인 시속 70㎞에서 80㎞로 주행할 경우 필요한 정지거리는 약 50m에서 60m정도로 추정된다.
또한 시속 70㎞에서 80㎞의 경우에 차량은 1초에 19m 내지 22m 정도의 거리를 달리게 되며, 운전자가 교차로로 접근하는 동안 언제 주행신호에서 정지신호로 바뀔지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없으므로, 교차로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신호를 의식하며 계속 진행해야 할지 또는 정지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함에 따라 사고로 이어지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구간은 교차로 후방 약 100m 지점부터 시작된다고 보는데 이 구간을 “딜레마구간”이라 한다. 결론적으로 교차로 교통사고의 문제점은 현재의 신호체 계로는 운전자가 신호의 변경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데 있으므로, 이를 해 결하고자 신호등 체계 개선 또는 신호 장치의 고안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다.
예를 들어 신호변경 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교통신호등의 시간표시 장치 등이 국 내에서( 2006. 1. 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 - 0543238 ) 뿐 아니라 외국에 서도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교통신호등 사이에 신호 잔여시간을 표시해 주는 타 이머를 장치하여 운용하고 있는 사례(중국 상하이, 울산광역시)가 있지만, 이 장치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잔여시간을 나타내는 숫자를 타이머 가까이 접근하기 전에는 식별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표시장치를 주시함에 따라 사고의 위험이 수반되어 실용성이 없어 보급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정부도 2006. 2. 8 빈발하는 교차로의 보행자 및 차량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교차로 신호등 운영 방식을 신호등이 교차로 건너편에 위치한 미국식에서 신호등이 교차로 진입 직전 위치에 있는 유럽식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는데 건교부는 단순히 신호등의 위치만 조금 앞당기더라도 앞당겨진 거리만큼 더 먼 지 점에서 차량 정지를 결정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공간적 여유가 있어 사고를 대폭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방안의 사례로 전주시에서는 2001년부터 유럽식을 도입한 바 상당한 교통사고건수의 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하며 국내의 많은 지역에서도 유럽식을 응용한, 다시 말해서 직진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신호등을 반대편 차선의 신호 지지대에 설치하는 신호 체계를 운용하고 있으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유럽식으로 신호등 지지대 전체를 이동시키는 방안이 과연 어느 정도 효과를 가져 다 줄 것인가 하는 점은 아직도 많은 연구와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왜냐하면 유럽식은 유럽식대로, 또 미국식은 미국식대로 각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유럽식은 신호등을 교차로 진입 직전에 둠으로써 운전자의 시각을 위해 차량 정지선을 뒤로 후퇴해야 하는 등 도로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유럽식으로 신호등을 이동할 경우 이동거리는 약 15m에서 25m정도 앞당겨 진 것인데 신호등은 평지에 있는 구조물과는 달리 허공에 매달려 있어 공중에는 원근을 대비할 수 있는 상대적인 물체가 없으므로, 주행중일 때 운전자가 느끼는 거리 감각은 전방 30m정도 가까이 접근하지 않고서야 15m 내지 25m 거리 정도로는 거리감을 거의 인지할 수가 없으며, 더욱이 전방 시야가 나빠 교통사고발생의 확률이 높은 야간이나 새벽, 우천 시 운행 중에는 그 효과가 더욱더 반감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유럽식을 채택하고자 함은 차량이 80㎞로 주행 시 정지하기 위해서는 공주거리 20m와 제동거리 40m를 합해 약60m정도의 정지거리가 필요한데, 미국식이든 유럽식이든 신호가 바뀔 때 교차로 후방 50m 내지 60m까지는 차량을 정지하는데 별 무리가 없으나, 이후 지점부터 유럽식은 미국식과는 달리 신호등이 앞당겨진 만큼의 거리 식별이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정지를 위해 반응하는 공주시간을 줄임으로서, 차량 정지거리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방안들은 현재의 신호체계로는 교차로 접근 주행 시 운전자가 신호변경 시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함인데 만약 주행중인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변경 시간을 정확히 예측함에 있어 주 신호체계에 전혀 혼란과 부담을 주지 않으며 아무런 거부감을 주지 않고 편안하게 인지할 수 있는 보조 장치가 있어서 교차로로 접근 운행 중 차량의 정지 여부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면, 어떤 상황의 도로든 다시 말해 고속으로 질주하는 직선 구간뿐 아니라 특히 사고 다발 지역으로 도로의 굴곡 지점을 포함한 회전 구간의 교차로 및 횡단 보 도에서도 유럽식의 신호체계 등 다른 어떤 방식보다 획기적인 교통사고의 감소를 가져 다 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89452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전방의 식별이 어려운 야간이나 새벽 주행 시 주행중인 운전자가 이미 점멸해 버린 부분은 전혀 인지할 수 없고, 단지 켜져 있는 신호 등의 불빛 부분만이 감지되므로 점멸부분과 잔여부분의 전체 비율을 알 수 없으며 잔여부분의 시간도 얼마를 표시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가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서는 각 보조 신호등마다 3색의 신호색을 주어 신호 잔여표시 방법을 정지 신호인 황색신호가 주행신호인 녹색신호를 잠식해 가는 방식을 마련하였다.
즉, 보조 신호의 황색신호가 녹색신호를 차례로 잠식해 나가는 방식을 채택하여 주 신호등의 황색신호의 변경 예상시간 및 녹색신호의 잔여시간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또한 교차로로 접근 중일 때 운전자가 신호 간의 시간 간격과 주행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늠할 수 있음으로 해서, 교차로 후방 거리를 정확히 알 수 없더라도 차량의 정지 여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보조 신호등의 개수를 5개로 구성하므로, 걷고 있는 보행자를 위한 잔여시간 표시기와는 빠른 속력으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보조 신호등은 달리 먼 거리에서도 쉽게 인식이 되어야 하므로, 보조 신호등의 크기는 되도록 클수록 좋으며, 교차로 100m 후방 지점에서 교차로 통과 시까지 필요한 소요시간을 약 5초에서 8초 정도라고 보면(30초 또는 20초의 잔여시간은 차량의 속도가 70에서 80㎞라면 교차로 후방 400m나 600m지점이므로 의미가 없다.), 신호 변경 잔여시간을 보조 신호등으로 5초 내지 7.5초 인식하게 하고 주 신호등 및 보조 신호등 전체의 황색신호가 적색의 신호로 변경되는 시간 간격이 3초이므로, 교차로의 딜레마 구간을 완벽히 소화해 낼 수 있어 가장 적절한 보조 신호등의 개수는 5개임을 알 수 있고 아울러 주 신호 등의 개수가 4개이므로 주 신호등과 차별을 둘 수 있는 것이다.
3. 보조신호등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디자인 즉, 보조 신호등의 모양을 타원형으로 하여 주 신호등의 원형과 차별을 두면서 빛의 형태가 타원형과 원형이 유사한 성질을 감안하여, 주 및 보조 신호체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보조 신호등 자체가 복수의 주 신호등이 설치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바 운전자에게 보다 선명한 신호지시기를 제공하여 야간이나 새벽 우천 시 특히 가시 거리가 좋지 않은 안개가 낀 시각에 주행할 때보다 더 큰 효과가 있다 하겠다.
4. 보조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주신호와 연동하여 동일하게 하였으므로, 보조 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주 신호의 적색신호 황색신호 녹색신호와 동일한 체계로 변경되게 함에 따라 보조신호등으로 인해 주 신호체계에 조금의 혼란과 지장조차도 주지 않도록 하였고 나아가서 보조 신호등 자체로도 주 신호등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하기에 설명하는 운용 예시에서 알 수 있다.
보조 신호등이 설치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실제 도로 상황이나 차량의 흐름에 따라 약간의 오차는 있겠지만 차량이 교차로 접근 주행 시 상황을 예로 들면, 운전자가 차량 정지 여부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면, 즉 신호 변경시간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면 차량을 정지하기 위한 정지거리 중 공주거리는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동거리만 소요된다고 볼 수 있다. 차량 제동거리의 한국 보안 기준에는 최고 시속 80㎞이상의 자동차는 승차정원(최대적재)의 상태에서 초속도 50㎞에서 22m이내에 정지해야 하며, 시속 80㎞이하의 자동차는 초속도 35㎞에서 14m이내에 정지하여야 한다 라고 정의되어 있으므로, 시속 60㎞시 제동거리는 약 30m, 시속 70㎞는 35m, 시속 80㎞는 40m정도인데 일반 도로의 최고 허용 속도인 80㎞로 주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제동거리 40m는 3초 이내에 정지할 수 있다.
즉, 아래의 표에 나타난 시간별 주행거리 이내에서 정지할 수 있다. 아래의 운용 예시는 보조 신호등의 신호간격을 1초로 했을 때이며 만약 시간간격을 1.5초로 줄 경우에 시간별 진행거리는 더 길어진다.
< 표 > 차량 속도별 진행거리
1 sec 2 sec 3 sec 4 sec 5 sec 6 sec 7 sec
60 ㎞ 17m 33m 50m 67m 83m 100m 117m
70 ㎞ 19m 39m 58m 78m 97m 117m 136m
80 ㎞ 22m 44m 67m 89m 111m 133m 156m
< 예시 >
전방 교차로 주행 시 보조 신호등 5개 전체가 녹색 신호인 경우에는 주 신호 등의 예비 정지 신호인 황색신호로 바뀔 때까지 5초 이상 여유가 남아 있으므로, 딜레마구간인 80m이내 지점에서 주행할 때는 교차로를 통과하여도 된다. 보조신호등의 녹색신호가 최초로 황색신호로 바뀔 때에는 주 신호등 황색신호 변경 4초 전 이다.
1. 시속 6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60m에서 70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 호등 1번의 녹색신호가 황색으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2. 시속 7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70m에서 80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호등 1번의 녹색 신호가 황색으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3. 시속 80㎞로 주행시 교 차로 후방 80m에서 90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호등 1번의 녹색신호가 황색으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4. 시속 6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45m에서 50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호등 1번과 2번이 황색신호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5. 시속 7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55m에서 60m지점을 통과할 때, 보 조신호등 1번과 2번이 황색신호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6. 시속 7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35m에서 40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호등 1번과 2번 3 번이 황색신호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7. 시속 8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40m에서 45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호등 1번과 2번 3번이 황색신호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8. 시속 80㎞로 주행 시 교차로 후방 20m에서 25m지점을 통과할 때 보조신호등 1번과 2번 3번 4번이 황색신호로 변경되면 교차로에 정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잔여시간 인식 신호등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신호등은 자체로도 주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음에 이 원리를 주 신호등 장치에 응용한 것으로 현재 일반 도로에서 신호등 설치 개수 현황은 편도 2차선 도로인 경우 2개 설치되어 있으며 3차선 이상일 때는 3개의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는 복수의 신호등을 설치함으로써 주행중인 운전자가 특별히 하나의 신호등을 주시하지 않더라도 쉽게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야간이나 새벽 주행 시 도시의 다른 불빛과도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인 바 만일 응용된 주 신호등이 도입된다면 현재 2개의 신호등으로 4개 이상의 신호등이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 오게 해 보다 선명하고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교통신호 지시기가 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보조신호등 역할도 동시에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또는 우회전을 지시하는 신호등 표시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4에서는 통상의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또는 우회전을 지시하는 신호등으로서 녹색 표시등이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 (100)은 통상의 도로에 설치되는 신호등 유지대이고, (20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표시부로서 보조 신호등이고, (300)은 제2의 표시부로서 기존의 교통 신호체계에서 사용되는 주 신호등이다.
또, (201)은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제1의 표시등이고, (202)은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제2의 표시등이고, (203)은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제3의 표시등이고, (203)은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제3의 표시등이고, (204)은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제4의 표시등이고, (205)은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제5의 표시등이며, 이들 보조 신호등(200) 내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201~205)과 주 신호등(300) 내의 각가의 표시등은 통상의 신호등에 사용되는 LED 등의 발광 표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가 본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선명하고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타원형의 5개의 표시등을 마련한 보조 신호등(200)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201~205)은 빛의 형태가 타원형과 원형이 유사한 성질을 감안하여, 주 신호등의 원형과 상이하게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보조 신호등(200) 자체가 복수의 주 신호등(300)이 설치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201~205)으로 이루 어진 보조 신호등(200)에 의해 운전자는 보다 선명한 신호지시기를 인식하며, 특히 야간이나 새벽, 우천 시 또는 가시 거리가 좋지 않은 안개가 낀 시각에 주행할 때보조 신호등(200) 자체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301)은 주 신호등(300) 내에 마련된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이고, (302)는 주 신호등(300) 내에 마련된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신호의 표시 상태의 변경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5는 도 4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표시에 있어서 주행 또는 우회전을 지시하는 신호등이 표시된 후, 정지신호를 예시하기 위해 보조 표시등(200)의 제1의 표시등(201)이 황색으로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신호의 표시 상태의 계속적인 변경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6은 도 5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표시에 있어서 주행 또는 우회전을 지시하는 신호등이 표시되고 정지신호를 예시하여 운전자에게 정지신호를 인식시키기 위해, 보조 표시등(200)의 제 1의 표시등(201) 내지 제4의 표시등(204)이 황색으로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교차로 진입 정지신호를 확실하게 예시하기 위해 황색등이 점등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7은 도 6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표시에 있어서 주행 또는 우회전을 지시하는 신호등이 소등되고, 운전자에게 정지신호를 보다 확실하게 인식시키기 위해 보조 표시등(200)의 제 1의 표시등(201) 내지 제5의 표시등(205)과 주 신호등(300) 내에 마련된 정지 신호의 표시로서 황색 신호등(303)이 황색으로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다.는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서 정지신호인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8은 도 7에 따른 교통 신호등의 표시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정지신호를 인식시킨 후, 통상의 정지신호와 마찬가지로 보조 표시등(200)의 제 1의 표시등(201) 내지 제5의 표시등(205)과 주 신호등(300) 내에 마련된 정지 신호의 표시로서 적색 신호등(304)이 적색으로 점등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 및 표시 방법에 대해 도 9 및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있어서, (400)은 통상의 도로상에 설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등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이고, (401)은 보조 신호등인 제1의 표시부(200) 및 주 신호등인 제2의 표시부(300)의 각각의 표시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기 위한 명령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이고, (402)는 메모리부(402)에 저장된 명령 값에 따라 보조 신호등인 제1의 표시부(200) 및 주 신호등인 제2의 표시부(300)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403)은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이다.
또, (500)은 서울 경찰청과 같은 중앙관제소에서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주 교 통 관리 시스템이다. 즉,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은 도로의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각각의 도로에 설치된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의 각각의 표시등의 표시간격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원활한 주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 및 그 표시 방법에 대해 도 10에 따라 한다.
먼저 통상의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에서의 교통신호등의 표시 방법에 따라 제2의 표시부인 주 신호등(300)의 녹색 신호등(301)이 점등된다(S10).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표시부의 보조 신호등(200)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201~205), 제2의 표시부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이 동시에 점등된다.
또한 교통 신호등의 설치 장소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이 순차로 점등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이 동시에 점등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음에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즉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이 설치된 장소의 교통량에 따라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에서 설정된 신호등의 점등 시간이 경과된 후,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의 소등을 위한 예비 단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표시등(200)의 제1의 표시등(201)이 황색으로 점등된다(S20). 이때에도 주신호 등(300)의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은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보조 표시등(200)의 제2의 표시등(202)이 황색으로 점등된다(S30). 이때에도 주신호등(300)의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은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과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의 메모리부(401)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보조 표시등(200)의 제 3의 표시등(203)이 황색으로 점등된다(S40). 이때에도 주신호등(300)의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은 점등된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계속 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보조 표시등(200)의 제 4의 표시등(204)이 황색으로 점등되고(S50). 주신호등(300)의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301)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도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운전자의 주행 및 좌회전을 위한 교차로 등의 진입을 정지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색신호등이 점등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표시부인 보조 표시등(200)의 제 1의 표시등(201) 내지 제5의 표시등(205)과 제2의 표시부인 주 신호등(300)의 황색 신호등(303)이 황색으로 점등된다(S60).
그 후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과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의 메모리부(401)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운전자의 주행 및 좌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신호등이 점등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의 표시부인 보조 표시등(200)의 제 1의 표시등(201) 내지 제5의 표시등(205)과 제2의 표시부인 주 신호등(300)의 적색 신호등(304)이 적색으로 점등된다(S70).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등의 표시 간격은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이 설치된 도로의 교통량에 따라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이 원격으로 제어하여 원활한 주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지시하는 신호등 표시장치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1의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보조 신호등(200) 내에 마련된 표시등이 제 1 내지 제 4의 표시등(201~204)으로 이루어지고, 주신호등(300)에서 주 신호등(300) 내에 마련된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302)을 제외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제 1 내지 제 4의 표시등(201~204)은 빛의 형태가 타원형과 원형이 유사한 성질을 감안하여, 주 신호등의 원형과 상이하게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보조 신호등(200) 자체가 복수의 주 신호등(300)이 설치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 지시하는 신호등 표시장치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 (100)은 통상의 도로에 설치되는 신호등 유지대이고, (40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의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기존의 교통 신호체계에서 사용되는 신호등이다. 즉, (401)~(404)는 제1의 표시부이고, (405)~(408)은 제2의 표시부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표시부는 제 1 내지 제8의 표시등으로 이루어지고, 제1의 표시부의 제 1 내지 제4의 표시등(401~404)은 좌회전 방향 지시등을 나타내고, 제2의 표시부의 제 5 내지 제8의 표시등(405~408)은 진행 가부 지시등을 나타낸다. 즉, 실시예 3은 실시예 1 또는 2와 달리 주 신호등과 보조 신호등을 하나의 신호등으로 형성한 것이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 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에서의 교통신호등의 표시 방법에 따라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400)의 녹색 신호등(404~408)이 점등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회전 신호의 표시로서 제1의 표시부의 제 1 내지 제4의 표시등(401~404)과 주행신호의 표시로서 제2의 표시부의 제5내지 제8의 표시등(405~408)이 녹색신호로서 동시에 점등된다.
또한 교통 신호등의 설치 장소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405~408)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401~404) 이 순차로 점등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소정의 시간의 경과 후, 즉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이 설치된 장소의 교통량에 따라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에서 설정된 신호등의 점등 시간이 경과된 후,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405~408)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401~404)의 소등을 위한 예비 단계로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표시등(401)과 제5의 표시등(405)이 황색으로 점등된다. 이때에도 제1의 표시등(401)과 제5의 표시등(405) 이외의 표시등은 주행 표시로서의 녹색 신호등과 좌회전 주행 신호의 표시로서 녹색 신호등은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과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의 메모리부(401)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표시부 및 제2의 표시부 전부가 운전자의 주행 및 좌회전을 위한 교차로 등의 진입을 정지시키기 위해 황색신호등으로 점등된다.
그 후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과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의 메모리부(401)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운전자의 주행 및 좌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신호등이 점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등의 표시 간격은 교통신호등의 표시 제어 시스템(400)이 설치된 도로의 교통량에 따라 주 교통 관리 시스템(500)이 원격으로 제어하여 원활한 주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신호등의 적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신호등의 시스템에 있어서 주신호등과 보조신호등 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국내 교통사고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교차로 및 횡단보도 교통사고 중 절반 이상이 전방 교차로 교통신호등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또는 경사진 도로상에 위치하고 있는 지점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동 지점에서의 사고는 직선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보다 더 크게 다중 충돌의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굴곡 지점에서는 전방 신호등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며 하향 경사가 가파른 도로 상황에서는 신호 변경에 따라 차량 속도를 제어함에 순간적 판단을 내리기 어려움이 있어 차량을 급가속 또는 급제동함이 사고 발생의 주된 원인이다.
이에 동 지점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차량 주행 방향의 전방에 교차로 교통신호등과 동일한 보조신호등을 설치하거나 황색의 깜빡이 등을 설치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주의를 요하는 방식을 현재 운용하고 있는바 상기 방식은 단지 전방에 교차로가 있다는 것만을 지시함으로서 차량 운전자에게 주의 및 환기를 줄 수 있는 효과는 있겠으나 보조신호등이 설치된 후방 지점을 지나게 되면 보조신호등과 관계없이 전방의 교차로 교통신호등의 지시에 따라 차량의 진행 가부를 다시 판단해야 하므로 동 지점에서의 사고 방지 효과는 크지 않다.
왜냐하면 실제 전방의 보조신호등은 후방 교차로 교통신호등과는 통상 약 50m 내지 100m정도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데 동 지점에서는 후방 교차로의 신호상태 및 신호변경 시간을 전혀 예측할 수 없어 교차로의 교통상황을 판단할 수 없으므로 상기 방식으로는 굴곡구간 및 경사구간에서의 교통사고의 위험은 여전히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상기 방식 중 후방 교차로 교통신호등과 동일한 보조신호등을 전방에 설치할 경우 특히 야간이나 새벽 또는 악천후 시에는 교차로 주 신호등과 전방의 보조신호등을 구별하기가 어려우므로 실제 교차로 지점을 착각할 수 있어 또 다른 사고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상기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교통신호등이 원형인 적색, 황색, 화살표, 녹색 4개의 단색 등 또는 적색, 황색, 녹색 3개의 단색 등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에 비해 본 발명은 타원형으로 각 등마다 적색, 황색, 화살표, 녹색 4가지 신호를 전부 구현할 수 있는 5개의 등을 결합해서 구성함에 기존의 교통신호등은 1개의 등에만 각각의 신호가 점등되나 본 발명의 보조신호등은 5개의 신호등 전부 동일한 신호가 점등되어 주, 보조신호등을 서로 확연히 구별할 수가 있으며 신호 지시의 운용에 있어서도 5개의 등의 신호가 각각의 신호로 순차적으로 점등 및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주 교차로 교통신호등의 신호 변경 시간을 정확히 예측 가능하게끔 고안되어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방 보조신호등은 기존의 교통신호등과 구성에서 차별을 두었으나 신호의 운용 방식을 주 신호등과 동일하게 하여 굴곡 지점에서 전방의 교차로 신호등이 보이지 않더라도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조신호등을 전방에 설치하더라도 교차로 지점을 혼동하지 않도록 특히 야간이나 새벽 악천후 시에도 큰 효과가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고 또 다른 하나의 큰 특징은 정지와 주행신호의 변경시간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으므로 굴곡이 나 경사진 도로 상항에서 신호변경에 따른 급제동 및 급가속을 방지할 수 있어 사고 다발지역에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에 의하면, 운전자가 교차로나 횡단 보도 운행 시 주행 신호에서 정지 신호로 바뀔 때 변경시간을 전혀 예측하지 못함으로 차량이 즉시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무리하게 진행하거나 급제동하는 것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에 의하면, 주행중인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변경 시간을 정확히 예측함에 있어 주 신호체계에 전혀 혼란과 부담을 주지 않으며 아무런 거부감을 주지 않고 편안하게 인지할 수 있어 교차로로 접근 운행 중 차량의 정지 여부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에 의하면, 주행중인 운전자로 하여금 신호변경 시간을 정확히 예측하여 교차로로 접근 운행 중 차량의 정지 여부를 미리 결정하므로, 교차로의 적체 현상을 감소시키고 또한 주행 중인 차량의 가속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연료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2)

  1. 중앙관제소에서 제어 가능하고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으로서,
    상기 보조 신호등 및 상기 주 신호등의 각각의 표시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기 위한 명령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령 값에 따라 상기 보조 신호등 및 주 신호등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신호등은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주신호등이 적색, 화살표, 황색 녹색인 경우 동일하게 전부 점등되며, 주신호등의 주행신호가 변경되기 전 도로상의 교차로 진입을 막기 위해 녹색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점등되고,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도로상의 교차로 진입을 막기 위해 녹색 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 신호로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2.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으로 이루어지고, 보조 신호등의 각각의 표시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기 위한 명령 값이 저장된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명령 값에 따라 상기 보조 신호등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 및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도로상에 설치된 주신호등의 신호등 상태를 통지하도록, 주행하는 도로에서 주신호등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전방에 설치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을 제어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 신호등의 적색 신호등이 점등된 경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동시에 적색으로 점등되는 제1의 단계,
    상기 주 신호등의 황색 신호등이 점등된 경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2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동시에 황색으로 점등되는 제 2의 단계
    상기 주 신호등의 녹색 신호등이 점등된 경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동시에 녹색으로 점등되는 제 3의 단계,
    상기 주 신호등의 녹색 신호등이 점멸되기 전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은 제 1 내지 제 5의 표시등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녹색신호의 점멸과 동시에 황색으로 점등되는 제 4의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단계 내자 제4의 단계는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실행되며,
    상기 보조 신호등의 제 1 내지 제5의 표시등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의 표시 방법.
KR1020070005921A 2006-03-17 2007-01-19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KR10112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921A KR101121775B1 (ko) 2007-01-19 2007-01-19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PCT/KR2007/001304 WO2007108613A1 (en) 2006-03-17 2007-03-16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EP07715689.1A EP1997091A4 (en) 2006-03-17 2007-03-16 DISPLAY CONTROL SYSTEM FOR AN AMPEL AND DISPLAY PROCESS
JP2009500299A JP2009530704A (ja) 2006-03-17 2007-03-16 交通信号機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2/063,415 US20090135024A1 (en) 2006-03-17 2007-03-16 Display control system of traffic light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921A KR101121775B1 (ko) 2007-01-19 2007-01-19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063 Division 2006-03-17 2006-03-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731A Division KR100829451B1 (ko) 2007-11-30 2007-11-30 자동차 연료 절감 및 사고 방지를 위한 신호 변경예측형 신호등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1020080068530A Division KR100913895B1 (ko) 2008-07-15 2008-07-15 신호 변경 예측형 신호등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454A KR20070094454A (ko) 2007-09-20
KR101121775B1 true KR101121775B1 (ko) 2012-03-23

Family

ID=3868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921A KR101121775B1 (ko) 2006-03-17 2007-01-19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7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5496A (zh) * 2017-07-26 2018-04-10 赵瑞锋 一种可预测式交通信号控制器、装置及方法
CN109064767A (zh) * 2018-08-28 2018-12-21 陈涛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交通信号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55B1 (ko) * 2008-03-28 2009-06-25 렉스젠(주) 교통상황 기록장치
KR101455066B1 (ko) * 2013-09-23 2014-10-27 방은미 차량용 신호등 장치 및 신호표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885Y1 (ko) * 2001-10-16 2002-02-21 김원택 일체형 안전신호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885Y1 (ko) * 2001-10-16 2002-02-21 김원택 일체형 안전신호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5496A (zh) * 2017-07-26 2018-04-10 赵瑞锋 一种可预测式交通信号控制器、装置及方法
CN107895496B (zh) * 2017-07-26 2020-05-08 赵瑞锋 一种可预测式交通信号控制器、装置及方法
CN109064767A (zh) * 2018-08-28 2018-12-21 陈涛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交通信号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454A (ko)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0704A (ja) 交通信号機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20150194053A1 (en) Pedestrian Safe Crossing Vehicle Indication System
KR20160092958A (ko) 교차로 신호위반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21775B1 (ko) 신호변경 예측용 보조신호등 및 그 표시 방법
KR20160092957A (ko) 교차로에서 신호위반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교차로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7393316A (zh) 智能道路辅助控制方法及系统
CN108668417B (zh) 基于车辆的照明控制
KR100986875B1 (ko) 신호 변경 예측형 신호등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200428605Y1 (ko) 횡단보도용 경고장치
JP3193765U (ja) 車体前面にブレーキランプを有する自動車
KR200274422Y1 (ko) 횡단보도용 조광장치
KR100913895B1 (ko) 신호 변경 예측형 신호등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CN117275253B (zh) 一种智能交通指示控制系统及方法
KR200367214Y1 (ko) 신호등 제어 시스템
KR200426097Y1 (ko) 야간 횡단보도 보행등기구
KR200278342Y1 (ko) 교차로 신호장치
US20110156927A1 (en) Vehicular traffic control system
JP4182478B2 (ja) 交差点照明装置
KR0173166B1 (ko) 교통 신호 도로병을 이용한 운전자 주의 환기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0829451B1 (ko) 자동차 연료 절감 및 사고 방지를 위한 신호 변경예측형 신호등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102272398B1 (ko) 신호등 및 이를 이용한 신호방법
JP2006072741A (ja) 照明装置
US20230093221A1 (en) Warning light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flashing rate
JP7378209B2 (ja) 街路灯、および交差点の監視方法
KR200188397Y1 (ko) 표지병을 이용한 교통 신호 전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