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410B1 -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410B1
KR101121410B1 KR1020060069586A KR20060069586A KR101121410B1 KR 101121410 B1 KR101121410 B1 KR 101121410B1 KR 1020060069586 A KR1020060069586 A KR 1020060069586A KR 20060069586 A KR20060069586 A KR 20060069586A KR 101121410 B1 KR101121410 B1 KR 10112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lat cable
movable member
contact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902A (ko
Inventor
요시노리 다카시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6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4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저배화(低背化)를 가능하게 하고, 평형 케이블의 접촉시에, 충분한 클릭감 그리고 충분한 접압을 얻을 수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가동 부재 (30) 의 캠부 (33) 는 이 가동 부재 (3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자 (20) 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수압부와는 비접촉으로 접촉부측에서의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폐쇄 위치일 때에 수압부를 누르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수압부는 볼록부 (21D) 와 이것에 계속해서 이어지는 오목부 (21B) 를 갖고 있고, 가동 부재 (30) 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에 상기 캠부가 이 볼록부 (21D) 를 눌러 수압부에 최대 수압력을 초래하고,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 최대 수압력보다 낮은 수압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오목부 (21B) 에 캠부가 수납된다.
커넥터

Description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하여 이동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도 5a 는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그리고 도 5b 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0A: 상부벽
10B: 바닥벽
14: 섬 형상부
20: 단자
21: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A: 압압부
21B: 수압부 (오목부)
21D: 수압부 (볼록부)
22: 고정 아암부
22A: 접촉부
22B: 고정부
22E: 접속부
30: 가동 부재
33: 캠부
C: 평형 케이블
특허 문헌 1: 특허 제3047862호
본 발명은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는 첨부 도면의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51) 를 치밀하게 다수 형성하기 위해서, 단자가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외형이 부여되어 있으며, 그 평탄면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단자 (51) 는, 동 일 도면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서로 평행한 상부 아암 (52) 과 하부 아암 (53) 이 있으며, 이들 양 아암이 중간 위치의 연결부 (54) 로 연결되어, 대략 「エ」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부 아암 (53) 은 하우징 (55) 의 바닥벽 (56) 과 접면하고 있음과 함께 이 하부 아암 (53) 의 일단부 (57) 가 하우징 (55) 과 걸려 고정되어 있다. 타단부는 하우징 밖에 있고 결선을 받는 접속부 (58)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부 아암 (52) 은, 상기 연결부 (54) 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단측에 접촉부 (52A) 를 갖고 하부 아암 (53) 의 대응 접촉부 (53A) 와의 사이에서 평형 케이블 (P) 을 눌러 접촉한다 (도 5b 참조). 또한, 타단부에는, 가동 부재 (59) 가 도 5a 로부터 도 5b 의 상태로 회전 운동함으로써, 이 가동 부재 (59) 로부터 힘을 받는 코너부 (52B) 를 갖고 있고, 이 힘으로 상부 아암 전체가 지레의 원리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부 (54) 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지도록 변위함으로써, 상기 접촉부 (52A) 를 케이블로 누른다.
가동 부재 (59) 는 모서리부 (59A) 를 갖고,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코너부 (52B) 에 대하여 이 모서리부 (59A) 가 캠부로서 작용하고, 이 모서리부 (59A) 가 코너부 (52B) 의 일변측으로부터 이 코너부 (52B) 의 정점을 넘어 타변측으로 이동할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타변측으로 이동한 후에도, 상기 상부 아암 (52) 을 눌러 접촉부 (52A) 에서의 접압을 유지하고 있다.
이 종류의 커넥터는 가로 방향의 치수는 그다지 제약받지 않지만, 높이 방향으로는 작은 치수일 것, 이른바 저배화가 요구된다. 또한, 평형 케이블과 단자 사이에 충분한 접압을 초래하는 위치에 가동 부재가 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 가동 부재의 회전 운동시에, 충분한 클릭감이 얻어질 것도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저배화와 충분한 클릭감은, 한쪽이 만족되면 다른 쪽은 불충분하게 된다.
단자의 상부 아암 (52) 에 형성된 코너부 (52B) 를 이루는 일변측과 타변측의 두 직선부가 큰 각도를 이루고 있는 편이 가동 부재와의 접촉 위치의 이동이 급격히 변화하기 때문에 클릭감은 크다. 이 각도를 크게 한 경우, 일변측은 상부 아암의 길이 방향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타변측을 이 일변측에 대하여 크게 경사지도록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이 타변측은 높이 방향으로 크게 경사져 연장되게 되어, 필요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상부 아암 (52) 의 높이 치수가 커진다. 이것은, 단자 (51) 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게 되어, 커넥터의 저배화에 역행한다. 나아가서는, 상기 타변측은 직선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가동 부재 (59) 와의 접촉 위치가 일변측과 타변측의 경계를 이루는 코너부 (52B) 의 정점을 넘고나서 급격히 상부 아암에의 압압력을 감하여, 접촉부 (52A) 에서의 케이블과의 접압이 충분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 접압을 충분히 확보하고자 하면, 저배화는 가능하지만, 코너부에서의 각도가 충분하지 않게 되어, 큰 클릭감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저배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충분한 클릭감이 얻어짐과 동시에 클릭감을 얻은 후의 단자의 케이블에 대한 접압을 큰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과 관련된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한 채 이 금속판에 외형을 부여하여 얻어진 복수의 단자와, 이 복수의 단자를 그것들의 판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갖고 유지하는 하우징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단자는 평형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지지점부를 갖는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를 갖고, 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는 일단측에 상기 평형 케이블을 압압하기 위한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상기 가동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시에 이 가동 부재의 캠부로부터의 힘을 수압하는 수압부를 갖고, 이 수압부에서의 수압에 의해 이 수압부가 단자의 판면과 동일 면내에서 탄성 변위를 발생시켜 상기 접촉부와 평형 케이블 사이에 접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동 부재의 캠부는 이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단자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수압부와는 비접촉으로 접촉부측에서의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폐쇄 위치일 때에 수압부를 누르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수압부는 볼록부와 이것에 계속해서 이어지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가동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에 상기 캠부가 이 볼록부를 눌러 수압부에 최대 수압력이 발생하고,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 최대 수압력보다 낮은 수압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오목부에 캠부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에, 이 가동 부재의 캠부와 단자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에 형성된 수압부의 접촉 위치가 이 수압부의 볼록부일 때에 최대 수압력을 얻는다. 그 후, 이 볼록부에 계속되는 오목부 전반부에서의 급경사로 큰 클릭감을 얻는다. 그리고, 가동 부재의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캠부는 오목부 후반부에 이르고, 이 오목부 후반부에서는 경사가 감소 그리고 역경사져 있어 큰 수압력을 기초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캠부는 긴원 또는 타원의 단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는 이 캠부의 계합 영역과 적합한 오목 만곡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캠부의 긴원 또는 타원의 곡선부에서 수압부에 있어서의 당접 위치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또한, 오목부가 오목 만곡부가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폐쇄 위치인 캠의 최종 위치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와 대략 평행한 고정 아암부를 갖고, 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와 고정 아암부가 서로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에 지지점부가 위치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때, 단자는 고정 아암부가 연결부의 근방에서 하우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시에,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수압부에서 가동 부재의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으면 지지점부인 연결부에 큰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키므로, 이 연결부 근방의 고정부에서 하우징에 의해 확실히 고정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바닥벽과, 이 바닥벽과 상부벽 사이에 형성된 섬 형상부를 갖고, 단자의 고정부가 상기 바닥벽과 섬 형상부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과 상부벽 사이를 이용하여 섬 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의 높이 치수를 늘리지 않고 단자의 고정부를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섬 형상부를 상기 연결부의 근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 아암부는 일단측에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압압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접촉부를 갖고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타단측에 하우징 밖으로 돌출한 접속부를 갖고, 하우징의 바닥벽이 회로 기판에 향하도록 커넥터가 배치되었을 때에, 이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와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4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지면에 평행한 평탄면을 갖는 판 형상의 단자가 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하우징에 의해서 복수개, 배열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 (10) 은 전기 절연재로 제작되고, 외형이 대략 직방형을 이루며, 판 형상의 각 단자가 그 판면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삽입되기 위한 슬릿 형상의 단자 수납 구멍 (11) 이 이 하우징 (10) 의 상부벽 (10A) 과 바닥벽 (1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 형상의 단자 수납 구멍 (11) 은 판 형상의 단자의 판 두께와 대략 동등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가 하우징의 우단부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 수납 구멍 (11) 은 단자에 대응하여, 지면에 직각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10) 에 좌우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0) 의 가로 방향에서 대략 왼쪽 절반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단자 수납 구멍 (11) 을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통하여 하우징의 좌단에 개구하는 케이블 삽입 공간 (1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삽입 공간 (12) 은 삽입될 평형 케이블의 두께보다 높이 방향에서 약간 큰 치수로 되어 있고, 개구부에서는, 케이블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테이퍼부 (12A) 를 이루고 있다.
한편, 하우징 (10) 의 가로 방향 대략 오른쪽 절반의 영역에서는, 상방에 개구하여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 수납 구멍 (11) 을 연통하는 개구부 (1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13) 에는 후술하는 가동 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10) 에는 상기 단자 수납 구멍 (11) 내에서 이 하우징 (10) 의 상부벽 (10A) 과 바닥벽 (10B) 사이에 섬 형상부 (1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섬 형상부 (14) 는 상기 단자 수납 구멍 (11) 의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대향 내벽면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10) 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단자 (20) 는 금속판의 판면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외형을 이루고 있고, 도 1 과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와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 아암부 (22) 를 갖고 있다. 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와 고정 아암부 (22) 는 대략 평행하게 좌우로 연장되 어 있고, 상기 하우징 (10) 의 단자 수납 구멍 (11) 의 상부 그리고 하부에 각각 수납되어 있다.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와 고정 아암부 (22) 는 좌우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 (23) 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는 연결부 (23) 의 위치로부터 좌방 그리고 우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좌방의 전단 위치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 형상의 압압부 (21A) 를 갖고, 또한 우방의 후단 위치 근방에는 하부 가장자리에 원호 형상으로 오목 만곡되는 오목부 (21B) 를 갖고 있다. 이 오목부 (21B) 는 그 좌방에서 인접하는 직상(直狀) 가장자리 (21C) 와의 경계부에 볼록부 (21D) 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 (21D) 와 오목부 (21B) 가 하기 서술하는 캠부로부터 압력을 받는 수압부를 형성한다. 또한, 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C) 는 그 상부 가장자리 (21E) 와 하우징 (10) 의 상부벽 (10A) 의 내면 사이에 틈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고정 아암부 (22) 도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부 (23) 의 위치로부터 좌방 그리고 우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좌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전단에는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압압부 (21A) 에 대향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 형상의 접촉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23) 의 직좌방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대략 사다리꼴의 고정부 (2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 (22B) 는 단자 (20) 가 상기 단자 수납 구멍 (11) 에 좌방으로부터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 (10) 의 바닥벽 (10B) 과 섬 형상부 (14) 사이에 압입되어 유지된다.
상기 고정 아암부 (22) 는 연결부 (23) 의 우방 위치에 돌출형 스토퍼부 (22C), 오목 만곡부 (22D), 그리고 접촉부 (22E) 를 순차적으로 갖고 있다. 상기 오목 만곡부 (22D) 는 본 실시예의 경우, 원호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오목부 (21B) 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22E) 는 하우징 (10) 밖으로 돌출하여 하방으로 굴곡되어 하우징 (10) 의 바닥벽 (10B)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가장자리를 갖고, 커넥터가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에 배치되었을 때, 그 대응 회로부와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된다.
가동 부재 (30) 는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전기 절연재로 제작되어 있고,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하우징 (10) 과 대략 동일한 범위에 이르러 연장되어 있으며, 도시와 같이, 상기 방향에서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슬릿 형상의 홈부 (31) 가 형성되고, 이 홈부 (31) 보다 상방 부분을 조작부 (32), 그리고 하방 부분을 긴원형 캠부 (33) 로 되어 있다. 이 가동 부재 (30) 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세로 방향으로 직립하는 개방 위치와, 가로 방향으로 도치된 폐쇄 위치 (도 3 참조) 사이를 회전 운동을 수반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가동 부재 (30) 는 도 1 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 그 홈부 (31) 내에 단자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우부가 진입하도록 상기 하우징 (10) 에 장착되고, 캠부 (33) 는 좌부가 단자 (20) 의 스토퍼부 (22C) 에 근접하고, 우부는 오목 만곡부 (22D) 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단자 (10) 의 고정 아암부 (22) 의 상부 가장자리에 맞닿아 있다. 도 1 에서, 상기 캠부 (33) 의 가로 방향 길이는 단 자의 오목부 (21B) 와 오목 만곡부 (22D) 의 대향 거리보다 크게 제작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 요령으로 조립되어 사용된다.
(1) 먼저, 하우징 (10) 에 단자 (20) 를 장착한다. 각 단자 (20) 는 하우징 (10) 의 단자 수납 구멍 (11) 에 우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삽입된다. 삽입이 진행되면 단자 (20) 의 고정부 (22B) 가 하우징 (10) 의 바닥벽 (10B) 과 섬 형상부 (14) 사이에 압입됨과 동시에, 접속부 (22E) 의 앞 가장자리가 하우징 (10) 의 후단면에 맞닿는다. 이렇게 하여, 단자 (20) 는 소정 위치에 위치되고, 그 위치에서 확실히 유지된다.
(2) 다음으로, 가동 부재 (30) 를 도 1 의 상태 즉 상방으로 직립하는 개방 위치의 자세에서 조립한다. 이 가동 부재 (30) 의 홈부 (31) 에 단자 (20) 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우부가 진입해 오도록 이 가동 부재 (30) 를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가동 부재 (30) 는 그 캠부 (33) 가 단자 (20) 의 스토퍼부 (22C) 와 오목 만곡부 (22) 사이의 오목 형상 부분에 수납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의 조립은 완료된다.
(3) 이러한 커넥터는 그 사용시에 소정의 회로 기판 (도시하지 않음) 상에 형성된다. 단자 (20) 의 접속부 (22E) 가 대응 회로부와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됨과 동시에, 커넥터 자체가 그 하우징 등으로 보강 금구나 나사 등에 의해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4) 다음으로, 평형 케이블 (C),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을 좌방으로부터 케이블 삽입 공간 (12) 에 삽입하고, 그 후, 도 2 와 같이, 가동 부재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한다. 상기 가동 부재 (30) 가 회전 운동하면 캠부 (33) 가 도 1 의 가로 방향의 자세에서 도 2 의 세로 방향의 자세로 변화하고, 이것에 의해 단자 (20) 는 수압부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부 (21D) 에서 상방으로 눌려져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가 연결부 (23) 보다 우방의 부분에서 상방으로 경사 변위된다. 따라서, 지레의 원리에 의해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는 상기 연결부 (2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 연결부 (23) 보다 좌방의 부분이 하방으로 경사 변위된다. 따라서, 단자 (20) 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에 형성된 압압부 (21A) 와 고정 아암부 (22) 에 형성된 접속부 (22A)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평형 케이블 (C) 은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압압부 (21A) 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결과적으로, 이 압압부 (21A) 와 고정 아암부 (22) 의 접촉부 (22A) 사이에서 협압된다. 평형 케이블 (C) 은 하면에 접속면을 갖고 있으면 상기 접촉부 (22A) 에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만약 상면에 접속면을 갖고 있으면 상기 압압부 (21A) 에서 접속된다. 물론, 양면에 접속면을 갖고 있으면 양 부 (21A, 22A) 에서 접속된다.
(5) 상기 가동 부재 (30) 의 회전 운동 이동 중, 단자 (20) 의 수압부에서의 압력은 캠부 (33) 가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하부 가장자리 직선부와 오목부 (21B) 의 경계를 이루는 볼록부 (21D) 와 맞닿고 있을 때가 최대치를 나타낸다.
(6) 또한, 상기 가요 부재 (30) 를 회전 운동시키면,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캠부 (33) 는 볼록부 (21D) 를 벗어나 오목부 (21B) 에 수납된다. 이 볼 록부 (21D) 로부터 오목부 (21B) 로의 이행시에는 오목부 (21B) 의 입구측이 급구배가 되기 때문에, 단자에서의 수압력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조작자로서는 큰 클릭감을 얻는다. 캠부 (33) 가 오목부 (21B) 내에 수납되어도, 캠부 (33) 는 역방향 경사의 오목부 (21B) 의 출구측과 접촉하게 되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를 상기 오목부 (21B) 에서 충분히 상방으로 변위시키고 있기 때문에, 평형 케이블 (C) 의 협압력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오목부 (21B) 는 이 오목부 (21B) 의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서로 역구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캠부 (33) 는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또한, 준비되지 않은 외력을 받더라도 가동 부재 (30) 가 우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좌방으로의 이동은 단자의 스토퍼부 (22C) 가 그 이동을 규제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형태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동 부재 (30) 의 회전 운동을 수반하는 이동 또는 단자 (20) 의 빠짐 방지에 관하여, 도 4 와 같은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도 4 에서는, 캠부 (33) 의 이동을 안내하는 단자의 오목 만곡부 (22D) 는 이것에 인접하는 직선부에 대하여 도 1 의 경우와 같이 움푹 패어 있지는 않고, 매끄럽게 직선부로 이행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캠부 (33) 는 이 오목 만곡부 (22D) 가 그 원호 형상를 이루는 형상으로 가동 부재 (30) 의 우방으로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서, 단자 (20) 는 사다리꼴 고정부 (22B)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섬 형상부 (14) 로의 압입뿐만 아니라, 접속부 (22E) 의 일부에 형성된 고정 오목부 (22F) 에 하우징의 바닥벽 단부 (10C) 가 압입되어 있어 고정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의 고정에 의해 접속부 (22E) 가 하부 가장자리, 즉 땜납되는 부위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소정 위치가 된다. 나아가서는, 단자 (20) 는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 (21) 의 상부 가장자리가 단자의 하우징 (10) 으로의 압입시에 대응하는 상부벽 (10A) 의 대응 테이퍼 단부 (10D) 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단자 (20) 의 수압부의 형상에 대해서도 변형 가능하다. 도시의 예에서는, 수압부를 이루는 볼록부와 오목부는 볼록부가 직선 가장자리와 원호 형상의 오목부의 입구의 경계에서 불연속으로 구배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변화해도 되고, 또한, 오목부가 두 개의 역구배의 직선 가장자리에 의해서 역 V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것과 마찬가지로, 캠부는 긴원형이 아니더라도, 타원형 또는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가동 부재의 캠부가 단자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에 형성된 수압부에 대하여 최대 수압력을 부여한 후에, 수압부가 볼록부로부터 오목부 전반부에 걸쳐 크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 크게 클릭감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오목부 후반부에서는 경사가 반대로 되어 있고, 가동 부재의 회전 운동을 정위치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압력도 큰 값으로 유지할 수 있어 단자의 케이블과의 접압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Claims (7)

  1.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한 채 이 금속판에 외형을 부여하여 얻어진 복수의 단자와, 이 복수의 단자를 그것들의 판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소정 간격을 갖고 유지하는 하우징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을 수반하여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구비하고, 단자는 평형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지지점부를 갖는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를 갖고, 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는 일단측에 상기 평형 케이블을 압압하기 위한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상기 가동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시에 이 가동 부재의 캠부로부터의 힘을 수압하는 수압부를 갖고, 이 수압부에서의 수압에 의해 이 수압부가 단자의 판면과 동일 면내에서 탄성 변위를 발생시켜 접촉부와 평형 케이블 사이에 접압을 초래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동 부재의 캠부는 이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단자의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수압부와는 비접촉으로 접촉부측에서의 평형 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폐쇄 위치일 때에 수압부를 누르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수압부는 볼록부와 이것에 계속해서 이어지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가동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이동 중에 상기 캠부가 이 볼록부를 눌러 수압부에 최대 수압력을 발생하고,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이 최대 수압력보다 낮은 수압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오목부에 캠부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캠부는 긴원 또는 타원의 단면 형상을 갖고, 오목부는 이 캠부의 계합 영역과 결합면의 형상이 일치하는 오목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는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와 평행한 고정 아암부를 갖고, 이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와 고정 아암부가 서로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에 지지점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단자는 고정 아암부가 연결부의 근방에서 하우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바닥벽과, 이 바닥벽과 상부벽 사이에 형성된 섬 형상부를 갖고, 단자의 고정부가 상기 바닥벽과 섬 형상부 사이에 압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 아암부는 일단측에 절굿공 형상의 아암부의 압압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접촉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7.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 아암부는 타단측에 하우징 밖으로 돌출한 접속부를 갖고, 하우징의 바닥벽이 회로 기판에 향하도록 커넥터가 배치되었을 때에, 이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와 접하는 것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1020060069586A 2005-08-08 2006-07-25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10112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586A KR101121410B1 (ko) 2005-08-08 2006-07-25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9149 2005-08-08
KR1020060069586A KR101121410B1 (ko) 2005-08-08 2006-07-25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902A KR20070017902A (ko) 2007-02-13
KR101121410B1 true KR101121410B1 (ko) 2012-03-16

Family

ID=4365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586A KR101121410B1 (ko) 2005-08-08 2006-07-25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53B1 (ko) * 2010-03-19 2012-0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1113435B1 (ko) * 2010-03-22 2012-02-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423A (ja) * 2000-08-02 2002-02-15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4178958A (ja) * 2002-11-27 2004-06-24 D D K Ltd コネクタ
JP2004342426A (ja) * 2003-05-14 2004-12-02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423A (ja) * 2000-08-02 2002-02-15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4178958A (ja) * 2002-11-27 2004-06-24 D D K Ltd コネクタ
JP2004342426A (ja) * 2003-05-14 2004-12-02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902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7982B2 (ja)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950009900B1 (ko)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JP45488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0977424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783081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7028155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
JP200130780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090068897A1 (en) Slot connector
JP2011023236A (ja) コネクタ
JP2004022286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521351B2 (ja) 基板用コネクタ
WO2009093566A1 (ja) 電気コネクタ
US7147477B2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KR101121410B1 (ko)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4579322B2 (ja)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995946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20170352971A1 (en) Connector
JP2008123802A (ja) 電気コネクタ
JP5993755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80097303A1 (en) Card edge connector
JP4721466B2 (ja)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0044898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32468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9129562A (ja) コネクタ
JP201103486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