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402B1 - 입력 정밀도의 개선 - Google Patents

입력 정밀도의 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402B1
KR101121402B1 KR1020090018872A KR20090018872A KR101121402B1 KR 101121402 B1 KR101121402 B1 KR 101121402B1 KR 1020090018872 A KR1020090018872 A KR 1020090018872A KR 20090018872 A KR20090018872 A KR 20090018872A KR 101121402 B1 KR101121402 B1 KR 10112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auxiliary icon
auxiliary
display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342A (ko
Inventor
완화 후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인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인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인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패널 상의 입력 정밀도가 개선된다. 입력 장치는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오브젝트 아이콘, 센서가 압력을 검출한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 보다 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센서가 외부 입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 패널, 입력 결정, 보조 아이콘, 오브젝트 아이콘

Description

입력 정밀도의 개선{IMPROVEMENT OF INPUT PRECISION}
본 출원은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전체적으로 포함되는 개시물인 2008년 3월 6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8-056494 호의 우선권의 혜택에 기초하고 이를 주장한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방법 및 입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로 정보의 일부분이 입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경우, 사용자는 그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등을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한다.
마우스는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한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이한 기능들을 처리하도록 복수의 버튼을 갖는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쪽의 버튼을 갖는 마우스의 경우, 왼쪽 클릭 행위나 왼쪽 버튼을 누르는 행위는 특정한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오른쪽 클릭 행위나 오른쪽 버튼을 누르는 행위는 선택적인 작동을 개시 한다. 이 선택적인 작동은,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한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들을 선택하게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 소프트 키를 이용하여 실행 스크린의 수직 또는 수평 폭을 변경하기 위해 스크롤 바를 조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최근에, 전형적인 저장 인스톨된 단말기를 위해 도입된 전형적인 터치 패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할 때 오직 하나의 행위만 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된 소프트 키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과 같은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선택적인 작동을 개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복수의 처리를 수행하는 여러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미심사 출원 제 2007-20728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상의 복수의 위치를 누를 때 압력이 검출되는 위치의 수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 입/출력 장치가 고려된다. 정보 입/출력 장치의 작동이, 압력이 검출되는 위치의 수와 일치되도록 설정될 때, 이 정보 입/출력 장치는 복수의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0-18163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에 의해 위치 표시가 수행 중인 상태에서 포인터의 현재 위치와 상이한 위치를 누를때 미리 결정된 작동을 개시하는 터치 패널 시스템이 고려된다.
그러나,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7-207281 호에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가 검출된 위치의 수에 대응하는 조작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할 때 의도된 작동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도된 작동이 복수의 대안을 가질 때, 검출된 위치의 수는 모든 대안들을 일치시키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0-181630 호에 개시된 기술은, 터치 패널 상에서 정확한 위치를 누르지 않을 때, 의도된 조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7-207281 호 및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0-181630 호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의도된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상술된 위치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결점으로서, 그/그녀가 누를 것으로 가정되는 터치 패널 상의 영역을 식별하는 것이 그 사용자에게 곤란하다.
또한,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7-207281 호와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0-181630 호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누를 때, 특정 작동을 개시하는 조작 신호는, 압력이 가해지는 전체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출력된다. 이와 같이, 결점으로서, 리스트 박스 및 스크롤 바와 같이 압력이 검출되는 일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밀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조작이 곤란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7-207281 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미심사 특허 출원 제 2000-181630 호
본 발명의 양태는 앞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입력 방법 및 입력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입력 장치는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센서가 상기 압력을 검출한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센서가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는 입력 장치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센서가 압력을 검출한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2 보조 아이콘 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센서가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된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조작 신호 출력 프로세스를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센서가 압력을 검출한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절차; 및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센서가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입력 장치는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센서가 압력을 검출한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그 사이즈가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센서가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술된 결론은 터치 패널 상의 조작으로 표시될 수 있는 작동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의도된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 압력이 가해질 것으로 추측되는 터치 패널 상의 영역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터치 패널 상의 입력 정밀도가 개선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프로그램을 포함한) 입력 장치를,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이 도시된 첨부된 도면들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입력 장치 (1) 는 데이터 라인 (3) 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 (2) 에 접속된다.
입력 장치 (1) 는 사용자 작동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라인 (3) 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 (2) 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력 장치 (1) 는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요청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맨-머신 인터페이스 (man-machine interface) 와 같이 기능한다.
정보 처리 장치 (2) 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PC) 로서 구현된다. 정보 처리 장치 (2) 는 입력 장치 (1) 에 접속되고 입력 장치 (1) 로 부터 전송된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조작을 수행한다.
이제, 입력 장치 (1) 의 외부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봤을때, 입력 장치 (1) 는 검출 유닛 (12) 을 갖는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 (1) 의 단면을 측면에서 봤을 때, 검출 유닛 (12) 은 디스플레이 유닛 (13) 앞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검출 유닛 (12) 은 "검출 단계"를 수행하고 터치 패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초래되는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구현된다.
검출 유닛 (12) 은 외부 압력의 검출을 나타내는 "압력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검출 유닛 (12) 의 센서는 터치 패널로서 구현된다. 본원에 사용된 터치 패널은 전형적인 조작 모드에서 작동한다.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검출 유닛 (12) 과 함께, 터치 패널을 구성하고 데이터의 임의의 부분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제 1 보조 아이콘 A와 제 2 보조 아이콘 B를 도시하는 조작 스크린 (131) 을 디스플레이한다.
"제 1 보조 아이콘 A"는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외부 압력이 가해질 터치 패널 상의 범위 (이하, "제 1 검출 영역 R1"라 지칭함) 를 나타내기 위한 마커 이미지이다. 제 1 조작 신호를 후술한다.
제 1 보조 아이콘 A는 원과 그 원으로 둘러싸인 화살표 (이하, "포인터"라 지칭함) 로 표시된다. 화살표 (포인터) 의 선단 (leading end) 은 제 1 보조 아이콘을 누를때 선택될 오브젝트를 포인팅하도록 설계된다.
제 1 보조 아이콘 A는 소정의 사이즈 (이하, "제 1 사이즈"라 칭함) 를 갖는다. 제 1 사이즈는 사용자가 이것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면 어떤 사이즈라도 가능하다.
제 1 사이즈가 디스플레이 유닛 (13)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의 터치 패널 상의 (센서를 누르는) 조작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것으로 가정되는 아이콘 Ⅰ (이하, "오브젝트 아이콘 Ⅰ"이라 지칭함) 보다 크기만 하다면, 그 제 1 사이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아이콘 Ⅰ의 사이즈의 몇 배 (예를 들어, 2배)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보조 아이콘 A는 오브젝트 아이콘 Ⅰ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 1 사이즈는, 예를 들어,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사용자 손가락 폭의 3 배일 수 있다. 또한, 제 1 보조 아이콘 A의 형상은 원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각형 또는 패턴과 같은 다이어그램일 수 있다.
"제 2 보조 아이콘 B"는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외부 압력이 가해질 터치 패널 상의 범위 (이하, "제 2 검출 영역 R2"라 지칭함) 를 나타내기 위한 마커 이미지이다. 제 2 조작 신호를 후술한다.
제 2 보조 아이콘 B는 원과 그 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으로 복수의 화살표로 표시되고, 이 화살표는 규칙적인 각도의 간격으로 정렬된다. 화 살표는, 사용자가 제 1 보조 아이콘 A를 이동시킬 때 제 1 보조 아이콘 A의 이동가능한 방향을 포인팅하도록 설계된다.
제 2 보조 아이콘 B는 소정의 사이즈 (이하, "제 2 사이즈"라 지칭함) 를 갖는다. 제 2 사이즈는 사용자가 이것을 쉽게 조작시킬 수 있다면 어떤 사이즈라도 가능하다.
제 2 사이즈가 도 3에 도시된 오브젝트 아이콘 Ⅰ 보다 크기만 하다면, 이것은 오브젝트 아이콘 Ⅰ의 사이즈의 몇 배 (예를 들어, 2배) 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보조 아이콘 B는 또한, 오브젝트 아이콘 Ⅰ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 2 사이즈는, 예를 들어, 세로 및 가로 방향 모두에서, 사용자 손가락 폭의 몇 배일 수 있다. 또한, 제 2 보조 아이콘 B의 형상은 원으로 제한되지 않고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제 1 보조 아이콘 A 또는 제 2 보조 아이콘 B 중 어느 하나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터치 패널 (검출 유닛 (12)) 의 2개의 상이한 포인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응답하여 제 1 보조 아이콘 A와 제 2 보조 아이콘 B를 디스플레이한다.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위치들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어, 압력이 가해지는 2개의 포인트 중 한 포인트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제, 입력 장치 (1) 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 (1) 는 또한, 도 2b에 도시된 검출 유 닛 (12) 과 디스플레이 유닛 (13) 이외에, 제어 유닛 (11) 과 통신 유닛 (14) 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 (11) 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로서 구현되고, 입력 장치 (1) 의 모든 부분들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 (11) 은 검출 위치 결정기 (111),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 (112), 조작 결정기 (113), 및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을 포함한다.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검출 유닛 (12) 이 검출 유닛 (12) 으로부터 입력된 압력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압력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이하, "검출된 위치"라 지칭함) 를 결정하는 "검출 위치 결정 단계"를 수행한다.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또한, 압력 검출 신호가 검출 유닛 (12) 으로부터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압력 입력 결정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압력이 검출되는 위치의 수 (이하, "압력 검출 위치의 수"라 지칭함) 를 카운트하는 "검출 위치 카운팅 단계"를 수행한다.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 (112) 는, 디스플레이 유닛 (13) 이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 단계"를 수행한다.
조작 결정기 (113) 는,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와 관련하여, 검출 위치 결정기 (111) 에 의해 결정된, 터치 패널 상의 하나 이상의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조작 결정 단계"를 수행한다.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조작 결정기 (113) 에 의해 결정된 위치적 관계에 대응하는 소정의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에만 압력이 가해질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제 1 출력 신호 OS1를 출력하는 "제 1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제 1 조작 신호 OS1의 신호 포맷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조작 신호 OS1"로 표시된 콘텐트는 예를 들어 마우스와 같은 전형적인 포인팅 장치 상의 왼쪽 클릭에 의해 "개시된 특정한 작동"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보조 아이콘 A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모두가 (예를 들어, 2개의 손가락으로) 사용자 등에 의해 눌러질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제 2 조작 신호 OS2를 출력하는 "제 2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제 2 조작 신호 OS2의 신호 포맷은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서, "제 2 조작 신호 OS2"로 표시된 콘텐트는 예를 들어 전형적인 마우스 상에서 오른쪽 클릭에 의해 "개시된 선택적인 작동"일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시각에, 제 1 보조 아이콘 A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모두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제 1 및 제 2 검출 영역 R1 및 R2 중 하나가 이미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검출 영역 R1과 R2 중 다른 하나가 후속하여 눌러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에 압력이 가해질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제 1 보조 아이콘 A를 이동시키는 명령인 이동 조작 신호 MS를 출력하는 "이동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를 제외한 영역에 압력이 가해질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 ES를 출력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
통신 유닛 (14) 은, 예를 들어, 통신 모듈로서 구현되고, 정보 처리 장치 (2) 로/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 (14) 은 제 1 조작 신호 OS1, 제 2 조작 신호 OS2, 이동 조작 신호 MS 및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 ES를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에서 정보 처리 장치 (2) 로 송신한다.
이제, 상술된 구성을 가진 입력 장치 (1) 가 입력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응답 프로세스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입력 장치 (1) 는 도 5에 관한 개시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도 6a에 관한 개시에서 우편 번호와 전화 번호 입력 스크린 (132A) 만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제 1 보조 아이콘 A, 제 2 보조 아이콘 B 어느 것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압력 입력 결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압력 검출 신호가 검출 유닛 (12) 으로부터 입력되는지 여부 (즉, 검출 유닛 (12) 이 압력을 검출했는지 여부) 를 결정한다 (단계 11). 압력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단계 11에서 아니오),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압력이 검출될 때까지 그리고 압력 검출 신호가 검출 유닛 (12) 에 의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패널 상의 한 위치를 누른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검출 유닛 (12) 은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을 검출하여 압력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압력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11에서 예).
그런다음,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검출 위치 카운팅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12).
"검출 위치 카운팅 단계"에서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되는 경우 (단계 12에서 예) 에 대한 설명을 아래에 할 것이다.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될 때 (단계 12에서 예),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 (112) 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 (13) 이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13).
디스플레이 유닛 (13) 이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단계 13에서 아니오),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디스플레이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아이콘 A과 제 2 보조 아이콘 B를 입력 스크린 (132B)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14). 제 1 보조 아이콘 A와 제 2 보조 아이콘 B는 검출 위치 결정기 (111) 에 의해 결정된 압력이 검출된 복수의 위치들 중 한 위치 상에 최초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되는 경우,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 (112) 가 보조 아이콘 A와 B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고 결정할 때 (단계 13에서 예), 조작 결정기 (113) 는, "조작 결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검출 위치 결정기 (111) 에 의해 결정되는 압력 검출 위치, 제 1 보조 아이콘 A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사이에서 위치적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15).
사용자가 2개의 손가락으로 제 1 보조 아이콘 A과 제 2 보조 아이콘 B 모두를 동시에 누른다고 가정한다. 그런다음, 조작 결정기 (113) 는, 압력이 검출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라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15에서 예).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제 2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전형적인 마우스 상에서 오른쪽 클릭에 대응하는 "선택적 작동을 개시"하라는 명령을 제시하는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조작 신호 OS2가 정보 처리 장치 (2) 로 보내질 때, 예를 들어 입력 스 크린 (132D) 상에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조작 결정기 (113) 는,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를 제외한 영역을 구성하고, 동시에,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를 제외한 영역을 구성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17에서 "예"로 가정한다.
그런다음,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 ES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한다 (단계 18). 한편, 제 1 검출 영역 R1과 제 2 검출 영역 R2를 제외한 영역 모두에 동시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제어 유닛 (11) 은 조작 응답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검출 위치 결정기 (111) 는 "검출 위치 카운팅 단계"에서 압력이 검출되는 위치의 수가 복수가 아니라는 것 (즉,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수가 "1"이라는 것) 을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다 (단계 12에서 아니오).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가 아니라는 것을 결정할 때 (단계 12에서 아니오),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 (112) 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가 디스플레이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19).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단계 19에서 아니오), 이 상태는 전형적인 마우스 상에서 조작 (왼쪽 클릭) 이 수행되는 상태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전형적인 마우스 상의 왼쪽 클릭에 대응하는 제 1 조작 신호 OS1을 출력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 (112) 는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 결정한다. 단계 19에서 예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조작 결정기 (113) 는, "조작 결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검출 위치 결정기 (111) 에 의해 결정되는 터치 패널 상의 압력 검출 위치,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의 현재 위치, 및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의 현재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한다 (단계 2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터치 패널 상의 제 1 검출 영역 R1에 압력이 가해진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 중인 위치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클릭 또는 더블 클릭한다고 가정한다.
그런다음, 조작 결정기 (113) 는, 압력이 검출되는 위치가 제 1 검출 영역 R1 (즉,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과 동일한 위치이기 때문에, 제 1 검출 영역 R1으로부터 압력이 검출된다는 것을 결정한다 (단계 20에서 예).
조작 신호 출력은 "제 1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전형적인 마우스 상의 왼쪽 클릭에 대응하는 "특정한 작동 개시" 명령들이 전달하는 제 1 조작 신호 OS1을 출력한다 (단계 21).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아이콘 A로 표시된 화살표 (포인터) 의 선단이 입력 스크린 (132B) 내의 리스트 박스와 오버랩되는 경우,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를 사용자가 클릭하다고 가정 한다. 그런다음, 정보 처리 장치 (2) 는, 제 1 조작 신호 OS1가 수신되었을 때, 리스트 박스 내의 버튼을 누르는 특정한 작동을 개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입력 스크린 (132C) 을 참고하면, 풀-다운 (pull-down) 메뉴가 화살표로 나타난 위치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압력이 검출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와 동일하지 않을 때 (단계 20에서 아니오), 조작 결정기 (113) 는 "조작 결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압력이 검출된 위치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와 동일하지 않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22).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터치 패널 상의 제 2 검출 위치 R2가 눌러진다고 가정한다. 그런다음, 압력이 검출된 위치는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동일하고, 조작 결정기 (113) 는 제 2 검출 영역 R2로부터 압력이 검출되었는지 결정한다 (단계 22에서 예).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이동 조작 신호 출력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전형적인 마우스의 포인터의 이동에 대응하는 작동을 수행하는 이동 조작 신호 MS를 출력한다 (단계 23).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입력 스크린 (132E) 을 참고하면,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에 압력이 이미 가해진 상태에서 눌러진 위치가 변한 후 (예를 들어, 제 2 보조 아이콘 B의 드래그),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 A 및 B는 디스플레이 유닛 (13) 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이동한다.
제 1 보조 아이콘 A가 터치 패널의 에지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제 2 보조 아이콘 B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시켜, 전체 제 2 보조 아이콘 B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튀어나오지 않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2 보조 아이콘 B가 제 1 보조 아이콘 A의 이동 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 2 보조 아이콘이 대체될 때, 제 2 보조 아이콘 B와 제 1 보조 아이콘 A는 가까이 있게 된다. 여기서,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바람직하게, 그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입력 스크린 (132F) 를 참고하면, 제 1 보조 아이콘 A가 검출 유닛 (12) 의 스크린 (즉, 터치 패널) 의 바텀으로 이동하고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튀어나올 준비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제 2 보조 아이콘 B을 디스플레이 영역 (즉, 터치 패널 상의 검출 영역) 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제 2 보조 아이콘 B가 제 1 보조 아이콘 A와 가까이 있도록 유지하여 전체 제 2 보조 아이콘 B가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검출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1 검출 영역 R1),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제 2 검출 영역 R2) 어느 것도 아닐 때 (단계 22에서 아니오), 제어 유닛 (11) 은 조작 응답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 장치 (1) 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 (13) 은 검출 유닛 (12) 이 압력을 검출한 검출 영역 (예를 들어, 터치 패널) 상에 제 1 검출 영역 R1에 대응하는 제 1 보조 아이콘 A와 제 2 검출 영역 R2에 대응하는 제 2 보조 아이콘 B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검출 유닛 (12) 은 제 1 보조 아이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들 중 적어도 한 위치와 제 2 보조 아이콘 B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들 중 적어도 한 위치 상에서 외부 압력을 검출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조작 신호 출력 유닛 (114) 은 각각의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와 관련하여 압력이 검출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서 상이한 작동을 지시하는 각각의 조작 신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터치 패널의 조작에 의해 지시될 수 있는 작동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보조 아이콘 A와 제 2 보조 아이콘 B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눌러질 것으로 가정되는 터치 패널 상의 영역을 사용자가 쉽게 식별하게 돕는다.
본 발명에서, 작동 중인 내부 입력 장치 (1) 가 상술된 바와 같이 전용 하드웨어의 일부분에 의해 실현되는 것처럼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이 작동은 또한, 입력 장치 (1) 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입력 장치 (1) 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판독한 후,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입력 장치 (1) 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R), 마그네토 광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콤팩트 디스크 (CD) 등과 같은 휴대용 기록 매체, 및 입력 장치 (1) 내부에 인스톨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를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입력 장치 (1) 의 제어 유닛 (11) 에 의해 판독될 수 있어, 제어 유닛 (11) 의 제어 하에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여기서, 입력 장치 (1) 의 제어 유닛 (11) 은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로서 작동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입력 장치는, 센서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검출 위치 결정기, 및 이 검출 위치 결정기에 의해 결정되는 압력 검출 위치,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조작 결정기를 포함한다. 조작 결정기가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서, 압력 검출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조작 결정기가,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서, 조작 결정기가, 압력 검출 위치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서, 압력 검출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 한 위치인 경우, 조작 결정기가,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구성하고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구성한다고 결정할 때,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가 출력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검출 위치 수 결정기와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가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검출 위치 수 결정기가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입력 방법은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된 압력 검출 위치,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가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방법에서, 압력 검출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가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방법에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가 압력 검출 위치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 방법에서, 압력 검출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가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구성하고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각각 구성한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가 출력된 때, 이 디스플레이 단계는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 방법은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가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가 검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할 때, 이 디스플레이 단계는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프로그램은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 및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절차에 의해 결정된 압력 검출 위치,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절차가 압력 검출 위치가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절차는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가 압력 검출 위치가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절차는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압력 검출 위치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절차가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각각,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구성하고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각각 구성한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절차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절 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가 출력된 때, 이 디스플레이 단계는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 및 제 1 보조 아이콘 및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절차가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가 검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할 때, 이 디스플레이 절차는 제 1 보조 아이콘과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청구범위로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형태와 세부 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입력 장치와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외부를 도시하는 전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조작 스크린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입력 장치에 의해 조작 응답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입력 스크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6b는 제 1 및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때의 입력 스크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는 제 1 조작 신호가 출력될 때 입력 스크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7b는 제 2 조작 신호가 출력될 때 입력 스크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8a는 이동 조작 신호가 출력될 때 입력 스크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8b는 제 1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범위 밖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될 때의 입력 스크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Claims (18)

  1.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로서,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
    상기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을 포인팅하는 제 1 보조 아이콘으로서, 상기 제 1 검출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보다 큰,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이동가능한 방향을 포인팅하는 제 2 보조 아이콘으로서, 상기 제 2 검출 영역은 상기 제 1 검출 영역과 상이하며 상기 제 2 검출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상기 2 보조 아이콘
    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검출 위치 결정기; 및
    상기 검출 위치 결정기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압력 검출 위치,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조작 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 다고 상기 조작 결정기가 결정할 때, 상기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상기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고 상기 조작 결정기가 결정할 때, 상기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상기 조작 결정기가 결정할 때, 상기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상기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각각 구성한다고 상기 조작 결정기가 결정할 때, 상기 조작 신호 출력 유닛은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입력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검출 위치 수 결정기; 및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과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다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 결정기가 결정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상기 검출 위치 수 결정기가 결정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입력 장치.
  7.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를 갖는 입력 장치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을 포인팅하는 제 1 보조 아이콘으로서, 상기 제 1 검출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보다 큰,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이동가능한 방향을 포인팅하는 제 2 보조 아이콘으로서, 상기 제 2 검출 영역은 상기 제 1 검출 영역과 상이하며 상기 제 2 검출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상기 2 보조 아이콘
    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 검출 위치 결정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압력 검출 위치,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 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각각,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라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과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13. 조작 신호 출력 프로세스를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서 상의 가압에 응답하여 처리되는 오브젝트 아이콘,
    상기 센서가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제 1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을 포인팅하는 제 1 보조 아이콘으로서, 상기 제 1 검출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보다 큰,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하는 제 2 검출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이동가능한 방향을 포인팅하는 제 2 보조 아이콘으로서, 상기 제 2 검출 영역은 상기 제 1 검출 영역과 상이하며 상기 제 2 검출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오브젝트 아이콘의 사이즈 보다 큰, 상기 2 보조 아이콘
    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관계하여, 상기 센서가 상기 외부 압력을 검출한 압력 검출 위치의 위치적 관계에 따라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압력 검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 검출 위치 결정 단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압력 검출 위치,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 1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각각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 2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와 동일하다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이동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출 위치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2개의 상이한 위치인 경우,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2개의 압력 검출 위치가 각각,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라고 결정할 때, 상기 상이한 조작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는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디스플레이 종료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기록 매체.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위치의 상기 위치적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과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위치의 수가 복수라고 결정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제 1 보조 아이콘 및 상기 제 2 보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록 매체.
KR1020090018872A 2008-03-06 2009-03-05 입력 정밀도의 개선 KR101121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6494A JP4650699B2 (ja) 2008-03-06 2008-03-06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8-056494 2008-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342A KR20090096342A (ko) 2009-09-10
KR101121402B1 true KR101121402B1 (ko) 2012-03-20

Family

ID=4105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872A KR101121402B1 (ko) 2008-03-06 2009-03-05 입력 정밀도의 개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9733B2 (ko)
JP (1) JP4650699B2 (ko)
KR (1) KR101121402B1 (ko)
CN (2) CN101526876B (ko)
HK (1) HK1133475A1 (ko)
TW (1) TWI427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2944B2 (ja) 2009-12-01 2012-11-1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処理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処理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処理プログラム
JP5466993B2 (ja) * 2010-05-10 2014-04-09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24175B2 (en) 2011-06-23 2014-05-13 Ricoh Company, Ltd. Halftone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halftone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EP2847658B1 (en) 2012-05-09 2017-06-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EP2847660B1 (en) 2012-05-09 2018-11-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2847662B1 (en) 2012-05-09 2020-02-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JP6273263B2 (ja) 2012-05-09 2018-01-3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接触に応答して追加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1960305B1 (ko) * 2012-07-04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D806103S1 (en) * 2016-05-23 2017-12-26 Netflix,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preview window and peek row
KR102535793B1 (ko) * 2016-06-15 202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175550B1 (ja) * 2016-11-04 2017-08-0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6354418B (zh) * 2016-11-16 2019-07-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的操控方法和装置
CN106843580B (zh) * 2017-01-16 2019-10-1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738332A (zh) * 2019-10-10 2021-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交互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1630A (ja) 1998-12-11 2000-06-30 Ricoh Elemex Corp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の情報入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60058784A (ko) * 1998-01-26 2006-05-30 웨인 웨스터만 수동 입력 통합 방법 및 장치
US20060125803A1 (en) 2001-02-10 2006-06-15 Wayne Westerma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JP2007207281A (ja) 2007-05-21 2007-08-16 Ricoh Co Ltd 情報入出力装置、情報入出力制御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3009A (ja) * 1993-09-03 1995-03-17 Sharp Corp マウスボタンエミュレート方法
JPH08234909A (ja) 1995-02-23 1996-09-13 Casio Comput Co Ltd 入力装置
US6246395B1 (en) * 1998-12-17 2001-06-12 Hewlett-Packard Company Palm pressure rej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s
JP3861526B2 (ja) * 1999-09-20 2006-12-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入力指示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30080947A1 (en) * 2001-10-31 2003-05-01 Genest Leonard J.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mand bar
US6938221B2 (en) * 2001-11-30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stylus-based user input
TW555981B (en) * 2002-05-02 2003-10-01 Chi Lin Technology Co Ltd Continuous single-line type touch panel and method to detect the touching position and area thereof
JP2004038503A (ja) * 2002-07-02 2004-02-05 Nihon Brain Ware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4114298A2 (en) * 2003-06-23 2004-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JP4143529B2 (ja) 2003-12-10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724492B2 (ja) * 2004-02-24 2005-12-07 株式会社カナック 問題解決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489306B2 (en) * 2004-12-22 2009-02-10 Microsoft Corporation Touch screen accuracy
KR101085447B1 (ko) * 2004-12-31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위치 검출 장치 및 이의 터치 위치 검출 방법과,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JP2007193469A (ja) * 2006-01-18 2007-08-0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そのタッチ入力位置検出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70257891A1 (en) * 2006-05-03 2007-11-08 Esenther Alan W Method and system for emulating a mouse on a multi-touch sensitive surface
TWI321288B (en) * 2006-08-31 2010-03-0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US9740386B2 (en) * 2007-06-13 2017-08-22 Apple Inc. Speed/positional mode transl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784A (ko) * 1998-01-26 2006-05-30 웨인 웨스터만 수동 입력 통합 방법 및 장치
JP2000181630A (ja) 1998-12-11 2000-06-30 Ricoh Elemex Corp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の情報入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60125803A1 (en) 2001-02-10 2006-06-15 Wayne Westerma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JP2007207281A (ja) 2007-05-21 2007-08-16 Ricoh Co Ltd 情報入出力装置、情報入出力制御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23568B (zh) 2016-08-03
CN101526876B (zh) 2013-04-17
JP4650699B2 (ja) 2011-03-16
TWI427510B (zh) 2014-02-21
US8269733B2 (en) 2012-09-18
US20090225053A1 (en) 2009-09-10
CN103123568A (zh) 2013-05-29
JP2009211641A (ja) 2009-09-17
CN101526876A (zh) 2009-09-09
TW200945145A (en) 2009-11-01
KR20090096342A (ko) 2009-09-10
HK1133475A1 (en)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402B1 (ko) 입력 정밀도의 개선
JP47528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079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536316B1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9178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42931B1 (ko) 표시장치
US90033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ouchscreen and method of editing input letter thereof
CN102375597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KR101323281B1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20070097093A1 (en) Pad type input device and scroll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070263015A1 (e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US20110138275A1 (en) Method for selecting functional icons on touch screen
US20100156813A1 (en)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With Absolute And Relative Input Modes
US20090066659A1 (en) Computer system with touch screen and separate display screen
KR20110095565A (ko)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JP201214186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283341A1 (en)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6754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2507764A (ja) マルチレベル仮想キーボードを含む通信装置
KR102283360B1 (ko) 텍스트 편집 위치를 가이드 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JP5709206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処理決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JP2003345511A (ja) タッチパネル付き画像記録再生装置
CN106095325A (zh) 一种输入控制方法及用户终端
JP4430910B2 (ja)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KR10107564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