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025B1 -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0025B1 KR101120025B1 KR1020050020135A KR20050020135A KR101120025B1 KR 101120025 B1 KR101120025 B1 KR 101120025B1 KR 1020050020135 A KR1020050020135 A KR 1020050020135A KR 20050020135 A KR20050020135 A KR 20050020135A KR 101120025 B1 KR101120025 B1 KR 101120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recording
- recording layer
- thickness
- lay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record carriers
- G11B7/268—Post-production operations, e.g. initialising phase-change recording layers, checking for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각 기록층 사이에 미러 효과에 의한 신호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 다층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 사이에 구비된 간격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간격층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기록층에 포커싱되는 빔이 다른 기록층에서 반사되어 또 다른 기록층에 포커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기록 매체에서 각 기록층 사이의 미러 효과를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으며,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간격층만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미러 효과에 의한 신호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며, 다층 기록 매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동일한 간격의 기록층을 구비한 종래의 다층 기록 매체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층 기록 매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다층 기록 매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서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다층 기록 매체에서 재생층(K)과 미러층(M)에서 반사되는 빔의 강도 비율(αKM)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4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반사율과 미러 효과에 의한 강도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8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의 경우 반사율과 미러 효과에 의한 강도 비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8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서 복수 개의 미러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4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층 0 및 기록층 1의 미러층들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a 내지 11c는 8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층 0 및 기록층 1의 미러층들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다층 기록 매체에서 노이즈와 미러 효과의 존재시에 반사율에 따른 재생 신호의 지터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를 비교한 그래프.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의 각 기록층 사이에 미러 효과에 의한 신호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는 다층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일층 구조의 기록 매체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빔을 단파장화하고 고개구수의 대물렌즈를 이용하여 초해상 근접장 구조의 기록 매체 나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청자색 레이저 다이오드 및 0.85의 개구수(NA)를 갖는 대물렌즈를 이용하여 각 레이어마다 약 25GB의 저장 용량을 갖는 다층 구조의 블루레이(Blu-ray) 디스크를 구현한 바 있다. 상기 블루레이 디스크는 약 2시간 분량의 HDTV화질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표준적인 고화질 TV의 경우 약 13시간 분량의 프로그램의 저장할 수 있다.
다층 기록 매체는 종래의 광픽업을 이용한 읽기 및/또는 쓰기에 있어서 단일층의 광디스크와 하위 호환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 데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이러한 다층 기록 매체는 듀얼층 DVD-ROM(Read-Only) 디스크, ROM/RAM(Rewritable) 디스크, WO(Write-Once) 디스크, 및 RAM/RAM 디스크 등의 다양한 형태의 매체로 발전하였다. 상기 다층 기록 매체는 단일층의 기록 매체에 비하여 거의 N배(N은 기록층의 수)의 저장 용량을 가지게 된다.
상기 다층 기록 매체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각 간격층(spacer layer)의 두께 및 반사율은 상기 기록 매체의 신호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간격층은 각 기록층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10㎛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며, 또한 광검출기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소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각 기록층의 반사율이 매칭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층 기록 매체에서는 구면 수차(spherical abberation)를 보상하기 위하여, 전체 층의 총 두께가 빔확장기와 같은 보상 수단의 보상 범위 내의 값이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 서, 상기 다층 기록 매체는 4층 구조를 갖는 일회 기록형(WO) 디스크 구조로서, 데이터가 기록/재생되는 층은 테릴륨(Te)이 도핑된 산화 팔라듐(Pd)층, 즉 Te-O-Pd 층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층 기록 매체는 인접 기록층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 기록층 사이에 20㎛ 두께의 간격층을 포함한다. 상기 각 기록층 사이의 간격층의 두께는 동일하다. 이로 인해, 다른 기록층에서 반사된 빔이 포커싱되는 미러 효과에 의하여 크로스토크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동일한 간격의 기록층을 구비한 종래의 다층 기록 매체를 간략히 나타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미러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W1 내지 W4는 각 기록층 사이의 간격(간격층의 두께)으로서 W1 내지 W4의 크기는 동일하다. 기록층 4에 기록된 소정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 빔을 입사하여 상기 기록층 4에 빔을 포커싱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입사빔은 상기 기록층 4의 a지점에 포커싱되는 한편, 각 기록층 사이의 동일한 간격으로 인해서 상기 기록층 3에서 반사된 빔이 기록층 2의 b 지점에서 포커싱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록층 2에서 반사된 빔이 기록층 0의 c 지점에서도 포커싱된다. 이로 인해, 상기 a지점에서의 신호 뿐만 아니라, b지점 및 c지점에서의 신호로 인해 재생 신호가 열화되는 미러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미러 효과(mirror effect)란 어느 기록층의 데이터 재생을 위해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의 어느 한 층에 빔을 포커싱 하였을 때, 반사된 빔이 다른 기록층에서 포커싱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반사된 빔이 포커싱되는 다른 층을 "미러층" 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경우에 있어서, 기록층 2 및 기록층 0이 기록층 4에 대한 미러층에 해당한다.
상기 미러 효과는 재생하고자 하는 기록층 이외에도 다른 기록층으로부터도 소정의 신호가 검출되게 되므로 신호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큰 크로스토크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55380호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다층 기록 매체를 제안한 바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3a의 경우에는 상기 입사되는 빔의 방향을 기준으로 입사빔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기록층 사이의 간격이 점점 감소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도 3b의 경우에는 상기 입사되는 빔의 방향을 기준으로 입사빔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기록층 사이의 간격이 점점 증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로 인해, 어느 한 기록층에 포커싱되는 빔이 다른 기록층에 포커싱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러 효과를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다층 기록 매체는 미러 효과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상기 다층 기록 매체는 구면 수차의 보상을 고려하지 않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면 수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전체 다층 기록 매체의 두께는 소정 크기 이하가 되어야 하는데, 종래 다층 기록 매체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점차 증가하는 두께를 갖는 기록층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구면 수차의 보상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둘째, 제조 측면에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종래의 다층 기록 매체는 제조하기 어렵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층의 반사율을 계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소정의 두께와 반사율을 가지는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큰 변경없이 제조 편의성 및 제조 비용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미러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다층 기록 매체 또는 그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 사이에 구비된 간격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간격층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기록층에 포커싱되는 빔이 다른 기록층에서 반사되어 또 다른 기록층에 포커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의 두께를 D라고 하고, 나머지 간격층의 두께를 D0라고 하면, 상기 D와 D0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다음의 수학식; (여기서, δ는 제조 과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간격층 두께의 오차 허용값)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층 i와 기록층 i-1 사이의 간격층의 두께를 Di라 하였을 때, 상기 간격층의 두께는 다음의 수학식; (여기서, N은 상기 기록층의 수, K는 상기 기록층의 일련 번호(K=0, 1, 2,..., N-3), L은 기록층 K의 상단에 위치하며 입사되는 빔이 반사되는 기록층의 일련 번호(L=K+1, K+2,..., N-2), Q는 입사되는 빔이 반사되는 기록층의 상단에 위치한 기록층의 일련 번호(Q=L+1, L+2,..., N-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은 빔이 입사되는 쪽으로부터 두 번째로 멀리 떨어진 간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은 미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간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미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의 수학식; (여기서 K는 입사되는 빔이 포커싱되는 기록층의 일련 번호, M은 빔이 반사되는 기록층의 일련 번호, Ri는 기록층 i의 반사율, Ti는 기록층 i의 투과율)으로 표현되는 상기 빔이 포커싱되는 기록층에서 반사되는 빔의 강도와 빔이 반사되는 다른 기록층에서의 반사되는 빔의 강도 사이의 비율인 αKM을 이용하여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αKM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록층의 반사율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αKM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록층의 반사율은 지터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값은 0.02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층의 수를 N, 상기 기록층의 평균 반사율을 Rv, 각 기록층의 일련 번호를 K라 하였을 때, 각 기록층 K의 반사율 RK는 다음의 수학식; 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층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의 제조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먼저, 각 기록층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각 기록층 사이의 간격이 10㎛이상인 경우, 기록층 사이의 크로스토크에 의한 신호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서는 각 기록층 사이의 최소 간격은 적어도 10㎛이상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구면 수차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다층 기록 매체의 두께는 소정 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미러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 기록층 사이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조시 각 기록층 사이의 두께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신호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조 편의성 및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여 가능한 단순한 구조의 다층 기록 매체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에 적합한 각 기록층 사이의 거리, 반사율을 설정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각 기록층 사이의 간격층은 다양한 구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층은 유전체층이나 기록 보조층 등의 다양한 층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간격층이 어떠한 구성을 갖는지에 중점을 두지 않고,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기록층 사이의 거리, 즉 상기 간격층의 두께 및 반사율 등을 설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다양한 구조의 다층 기록 매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각 기록층의 미러 효과 및 신호 특성 등에 대하여 살펴본 후,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다층 기록 매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는 총 N 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N 개의 기록층 사이에는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방식에 따라서 기록/재생을 위한 유전체층이나 보조층 등의 다양한 층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기록층 사이의 층들을 총칭하여 간격층(spacer layer)으로 정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간격층의 두께, 즉 상기 기록층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설정하여 미러 효과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쪽으로부터 가장 먼 쪽의 기록층부터 0부터 N-1의 정수를 부여하여, 가장 먼 쪽의 기록층을 기록층 0, 가장 가까운 쪽의 기록층을 기록층 N-1와 같이 정의한다. 또한, Ri는 기록층 i의 반사율(reflectivity), Ti는 기록층 i의 투과율(transmissity)로 정의한다. 또한, Di는 기록층 i와 기록층 i-1 사이의 간격층의 두께, 즉, 기록층 i와 기록층 i-1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미러 효과는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입사 빔이 포커싱되는 기록 층(이하, "재생층"이라 한다)과 미러층이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는 경우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재생층에 입사된 빔이 다른 기록층에 의하여 반사되어 미러층에 포커싱되는 경우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도 5는 다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서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임의의 기록층 K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각 기록층 사이의 두께는 다음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여기서, K는 각 기록층의 일련 번호로서, 0, 1, 2,..., N-3이다. K가 N-2, N-1인 경우, 즉 다층 기록 매체의 기록층 중에서 가장 상위의 두 층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미러 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K의 값에서 N-2, N-1은 제외된다. 또한, L은 기록층 K의 상단에 위치하는 기록층의 일련 번호로서, 입사되는 빔이 반사되는 임의의 기록층을 가리키며(L=K+1, K+2,..., N-2), Q는 입사되는 빔이 반사되는 기록층의 상단에 위치한 임의의 기록층을 가리킨다(Q=L+1, L+2,..., N-1).
예를 들어, 도 5에서 L=K+2, 즉 기록층 K+2에서 반사되는 빔에 의한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록층 K로부터 기록층 K+2 까지의 각 간격층의 두께의 합 (dF)인 dK+1+dK+2의 값이, 상기 기록층 K+2로부터 그 상단의 임의의 기록층 Q까지의 거리의 합(dM)과는 다른 값을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학식 1은 기록층 K의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기록층 K의 상단에 위치한 기록층 중에서 입사되는 빔이 반사되는 층을 기준으로 반사층으로부터 기록층 K까지의 두께의 합(수학식 1의 좌변)이 상기 반사층 상측의 임의의 기록층까지의 두께의 합(수학식 1의 우변)과는 달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미러층과 실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빔이 포커싱되는 재생층에서 반사되는 빔의 강도에는 차이가 있다. 상기 재생층에서의 반사되는 빔의 강도와 미러층에서의 반사되는 빔의 강도 사이의 비율을 αKM이라고 하면, 상기 αKM은 미러 효과에 의하여 얼마만큼의 크로스토크가 발생되는지를 정성적(qualitatively)으로 보여준다. 미러층에 해당하는 기록층 M에서의 반사빔의 강도와 임의의 재생층인 기록층 K로부터의 반사빔의 강도 αKM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K는 실제 입사되는 빔이 포커싱되는 재생층을 가리키며(K=0,1,..., N-3), M은 미러층을 가리키는 일련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2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도 6은 다층 기록 매체에서 재생층(K)과 미러층(M)에서 반사되는 빔의 강도 비율(αKM)을 계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가장 간단한 경우로서 3개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의 경우, 재생층(기록층 L0)에서 반사되는 빔(I0)와 미러층(기록층 L2)에서 반사되는 빔에 의한 빔(I1)사이의 강도 비율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입사되는 빔의 강도를 I라고 하였을 때, 기록층 L0의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상기 L0에 포커싱되고 반사되는 빔 I0의 강도는 I×T1×R0×T1이다. 또한, 상기 기록층 L0의 첫 번째 미러층에 해당하는 L2 및 L1에서 반사되어 출력되는 미러 효과에 의한 빔 I1의 강도는 I×R1×R2×R1이다. 따라서, 재생층인 기록층 L0에서 반사되는 빔과 미러층인 L2에서 반사되는 빔 사이의 강도의 비율(I1/I0)은 과 같다.
이와 같이, 재생층 K 와 미러층 M에 의하여 반사되는 빔 강도의 비율은 상기 재생층과 미러층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임의의 재생층 K와 미러층 M에서 반사되는 빔의 강도 비율을 계산해 보면 상기 수학식 2와 같음을 유추해 낼 수 있다.
도 7은 4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반사율과 미러 효과 에 의한 강도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러층에서 반사된 빔의 강도 비율은 반사율의 증가와 함께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입사되는 빔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최하측의 기록층 0의 경우가 기록층 1에 비하여 더 큰 미러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기록층의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것은 각 기록층 사이의 크로스토크에 의한 신호 특성의 열화, 즉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는 방법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반사율을 무작정 감소시키는 것은 재생 신호의 C/N(Carrier to Noise ratio)를 감소시키므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도 7에서 4층 구조의 기록 매체의 경우, 최하단에 위치한 기록층 0과 1만이 각각 한 개의 미러층을 가지며, 다른 기록층 2와 3의 재생시에는 미러 효과에 의한 영향이 없으므로 미도시되었다.
도 8은 8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의 경우 반사율과 미러 효과에 의한 강도 비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8개의 기록층을 갖는 경우에는 모든 기록층이 미러층을 갖는 것이 아니라, 최하단으로부터 6개의 기록층만이 미러층을 갖는다. 이 경우, 최하단의 기록층 0 및 기록층 1은 각각 3개의 미러층을, 기록층 2 및 3은 각각 2개의 미러층을, 기록층 4 및 5는 각각 1개의 미러층을 갖는다. 8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서 복수 개의 미러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 9를 참조하면, 기록층 0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위해 기록층 0에 빔을 포커싱한 경우, 기록층 2, 기록층 4 및 기록층 6에도 반사빔이 포커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기록층 0에 대해서 기록층 2, 기록층 4 및 기 록층 6의 총 3개의 미러층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기록층 0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시에 상기 3개의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가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미러층을 갖는 기록층에 대하여서는 상기 기록층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미러층을 제 1 미러층, 그 다음으로 가까운 미러층을 제 2 미러층과 같이 표현하기로 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8개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의 경우에도 반사율이 증가함에 따라 각 미러층에 의하여 반사되는 빔의 강도 비율이 점차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미러층에 의한 강도 비율의 차이가 크므로, 각 미러층이 전체적인 미러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층기록 매체에 있어서, 미러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미러 효과를 일으키는 미러층 중 소정 크기 이상의 미러 효과를 일으키는 미러층의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미러층의 영향을 제거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가장 큰 미러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록층 0의 제 1 미러층이나, 기록층 1의 제 1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를 제거한다면, 전체 미러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4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층 0 및 기록층 1의 미러층들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그래프의 y축은 지터값으로, 상기 지터값은 미러 효과가 커질수록 증가하므로 미러 효과의 영향을 나타내게 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기록층 0의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 및 기록층 1의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는 반사율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그러나, 상기 기록층 1의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는 상기 기록층 0의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에 비하여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c는 8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층 0 및 기록층 1의 미러층들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a는 기록층 0의 제 1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의 관계, 도 11b는 기록층 1의 제 1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의 관계, 도 11c는 기록층 0의 제 2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와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8층 구조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비록 각 기록층에 대하여 다양한 미러층이 존재하지만, 모든 미러층이 미러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미러층만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기록층 0의 제 1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는 반사율의 증가와 함께 빠르게 증가하지만, 기록층 1의 제 1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도 11b)나 상기 기록층 0의 고차의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도 11c)는 상기 도 11a에 비하여 그다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층 기록 매체에서 각 기록층에 대하여 다양한 미러층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일부 미러층을 제외하고는 다른 미러층에 의한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예를 들어, 상기 기록층 0의 제 2미러층에 의한 강도 비율은 약 0.01로 매우 작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는 상기와 같은 사실을 이 용하여 미러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를 제거하는데 중점을 두어서 다층 기록 매체의 구성을 단순화한다. 여기서, 상기 강도 비율이 0.02보다 큰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빔이 기록 매체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된다고 하면, 상기 기록 매체의 하측에 위치한 기록층의 반사율이 상측에 위치한 기록층의 반사율보다 더 커야 한다. 이는 하측에 위치한 기록층으로 입사되는 빔이 더 긴 진행 경로를 가지므로, 광픽업 등에서 균일한 신호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빔의 진행 중 발생될 수 있는 광손실을 보상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하측에 위치한 기록층의 반사율이 가장 크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율과 미러 효과는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결국 최하측에 위치한 기록층에 의한 미러 효과가 신호 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미러 효과에 의한 신호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최하측에 위치한 기록층의 제 1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를 제거한다면 신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각 기록층에 포커싱되는 빔은 동일한 평균 반사율(Rv)을 갖어야 한다. 즉, 임의의 기록층에서 포커싱된 후 광픽업에서 검출되는 빔은 동일한 크기의 강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어느 기록층에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던지 간에 균일한 신호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임의의 기록층 K에서의 반사율 RK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최상측에 위치한 기록층 N-1의 반사율 RN-1은 Rv와 같다.
다음의 표 1은 4층의 기록측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광손실이 없는 경우 각 기록층의 반사율(R)과 투과율(T)을 계산한 표이다.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5.00% | 5.25% | 6.17% | 7.01% |
T | 95.00% | 94.75% | 93.83% | 92.99%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10.00% | 10.99 | 15.58% | 21.87% |
T | 90.00% | 89.01% | 84.42% | 78.13%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15.00% | 17.22% | 30.30% | 62.37% |
T | 85.00% | 82.78% | 69.70% | 37.63% |
최대값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R | 16.90% | 19.71% | 37.96% | 98.64% |
T | 83.10% | 80.29% | 62.04% | 1.36% |
상기 표 1에서는 각각 평균 반사율을 5%, 10%, 15%로 설정한 경우, 각 기록층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론적인 최대 평균 반사율은 16.90%이다. 만약, 다층 기록 매체에서 광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라면 상기 최대 평균 반사율에 비하여 더 작은 평균 반사율을 나타낼 것이다.
다음의 표 2는 8층의 기록측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광손실이 없는 경우 각 기록층의 반사율(R)과 투과율(T)을 계산한 표이다.
기록층 7 | 기록층 6 | 기록층 5 | 기록층 4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3.00% | 3.09% | 3.40% | 3.64% | 3.92% | 4.24% | 4.63% | 5.24% |
T | 97.00% | 96.91% | 96.60% | 96.36% | 96.08% | 95.76% | 95.37% | 94.76% |
기록층 7 | 기록층 6 | 기록층 5 | 기록층 4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4.00% | 4.16% | 4.73% | 5.21% | 5.79% | 6.53% | 7.47% | 9.07% |
T | 96.00% | 95.84% | 95.27% | 94.79% | 94.21% | 93.47% | 92.53% | 90.93% |
기록층 7 | 기록층 6 | 기록층 5 | 기록층 4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5.00% | 5.25% | 6.17% | 7.01% | 8.11% | 9.60% | 11.75% | 15.83% |
T | 95.00% | 94.75% | 93.83% | 92.99% | 91.89% | 90.40% | 88.25% | 84.17% |
기록층 7 | 기록층 6 | 기록층 5 | 기록층 4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R | 6.00% | 6.36% | 7.74% | 9.10% | 11.01% | 13.90% | 18.76% | 30.12% |
T | 94.00% | 93.64% | 92.26% | 90.90% | 88.99% | 86.10% | 81.24% | 69.88% |
최대값 | 기록층 7 | 기록층 6 | 기록층 5 | 기록층 4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R | 7.20% | 7.72% | 9.82% | 12.07% | 15.61% | 21.92% | 35.97% | 94.02% |
T | 92.80% | 92.28% | 90.18% | 87.93% | 84.39% | 78.08% | 64.03% | 5.98% |
상기 표 2에서는 다층 기록 매체의 평균 반사율을 각각 3%, 4%, 5%, 6%로 설정한 경우, 각 기록층에서의 반사율과 투과율의 계산값을 나타내는 한편, 광손실이 없는 경우의 최대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8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서, 광손실이 없는 경우 얻을 수 있는 최대 평균 반사율은 7.20%이다. 광손실이 존재한다면 상기 최대 평균 반사율의 값은 더 감소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 반사율을 감소시킴으로써 미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사율의 감소는 노이즈로 인해 재생 신호의 C/N을 낮추게 되어 재생 신호의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노이즈의 존재시에 반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지터 특성을 개선할 수는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반사율의 증가는 미러 효과를 증가시켜 지터 특성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노이즈 및 미러 효과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지터값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한 범위의 반사율을 선택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에서 노이즈와 미러 효과의 존재시에 반사율에 따른 재생 신호의 지터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장 큰 미러 효과를 나타내는 기록층 0에서의 반사율이 4.50%일 때, 가장 작은 지터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인 기록층 0의 반사율은 지터값이 대략 6%이하의 값을 갖는 4.3~4.7%의 범위내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수학식 3으로부터 다른 기록층의 반사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면, 다층 기록 매체에서 미러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기록층 사이의 거리, 즉 간격층의 두께를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미러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간격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는 것은 제조 과정을 어렵게 하고, 제조 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다.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층은 일부의 미러층이므로, 모든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러층의 미러 효과만을 제거함으로써 제조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만족할 만한 재생 신호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은 간격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러층(이하, "주 미러층"이라 한다)에 의한 미러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경우라면, 각 기록층의 반사율을 최대로 설정함으로써 높은 C/N 값을 얻도록 한다. 주 미러층의 효과를 제거할 수 없는 경우라면,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사율을 감소시켜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율을 감소시키면 C/N 값이 낮아지므로 적절한 범위, 즉 지터값이 최소가 되는 반사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다층 기록 매체의 간격층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하여 미러 효과를 제거한다(단계 100). 특히, 여러 개의 기록층 중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최하측의 기록층에 의한 미러층이 생기지 않도록 적절히 간격층의 두께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간격층의 두께를 설정한다. 그러나, 모든 간격층이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상기 최하측의 기록층에 대한 미러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호 특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간격층만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미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간격층의 두께를 D라고 하고, 나머지 간격층의 두께를 D0라고 하면, 상기 D와 D0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δ는 제조 과정상에 발생할 수 있는 간격층 두께의 오차 허용값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간격층을 제외한 나머지 간격층의 두께는 D0±δ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계 100에 의하여 설정된 간격층의 두께로 주 미러층의 효과가 제거되 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0). 적절하게 간격층의 두께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제조 오차로 인해 간격층 두께가 의도된 바와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즉, 단순히 제조상의 오류에 의하여 주 미러층의 효과가 제거되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간격층의 두께를 설정하여 미러 효과를 제거하도록 한다(단계 120). 그러나, 제조시 설정한 대로 간격층의 두께를 설정하였으나, 주 미러층에 의한 미러 효과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반사율을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단계 140). 여기서, 반사율은 지터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소정의 반사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110에서 주 미러층의 효과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높은 C/N을 얻을 수 있도록, 각 기록층이 가능한 최대의 평균 반사율을 갖도록 설정한다(단계 130).
최대 평균 반사율은 다음의 수학식 5로 표현된다.
여기서, N은 기록층의 수를 의미하며, Ri는 각 기록층의 반사율로서 다음의 수학식 6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각 간격층의 두께와 함께 상기 반사율을 조정하여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간격층의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 수학식 3, 5 및 6을 만족하도록 각 기록층의 반사율을 설정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서 8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기록층의 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8층보다 많거나 적은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도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에서는, 미러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기록층 1과 기록층 2 사이의 간격, 즉 D2만이 14㎛의 다른 값을 갖고, 나머지 간격층은 10㎛으로 동일한 두께의 간격층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간격층만의 두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록층 0과 기록층 1의 미러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머지 기록층 2 내지 7에 의한 미러 효과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영향이 작다. 즉, 입사되는 빔의 방향을 기준으로 두 번째로 멀리 떨어진 간격층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하측에 위치한 기록층 0과 기록층 1의 데이터 재생시 발생될 수 있는 미러 효과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간격층의 두께만을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간격층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기록 매체의 각 간격층의 두께를 모두 다르게 설정하여 모든 미러 효과를 제거하지 않고도,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부 간격층만의 두께만을 재설정함으로써 미러 효과를 상당히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강도 비율이 0.02이상인 미러층에 대해서만 미러 효과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은 상기와 같이 일부 간격층만이 다른 두께를 갖는 경우의 지터값과 미러 효과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의 지터값을 비교한 표이다.
기록층 7 | 기록층 6 | 기록층 5 | 기록층 4 | 기록층 3 | 기록층 2 | 기록층 1 | 기록층 0 | |
본 발명의 경우 | 5.23% | 5.87% | 5.84% | 5.45% | 6.10% | 6.17% | 5.48% | 4.6% |
이상적인 경우 | 5.23% | 5.87% | 5.84% | 5.41% | 6.04% | 6.04% | 5.48% | 4.6% |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와 같이 일부 간격층만의 두께를 변경한 경우 미러 효과가 없는 이상적인 경우와 매우 유사한 작은 지터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층 기록 매체에서 간격층의 투과율을 약 97%라고 한다면, 약 5.8%의 최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5에서는 8층의 기록층을 갖는 다층 기록 매체에서 미러 효과가 가장 큰 기록층 0 및 기록층 1에서의 지터값을 비교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는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록층 0 및 기록층 1에 대한 미러층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러 효과를 감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지터값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기록 매체는 종래의 다층 기록 매체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일부 간격층만의 두께를 변경하여 신호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시의 오류로 상기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간격층이 다른 두께로 설정되지 못하고, 모든 간격층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경우에도 지터값이 최소가 되는 소정의 범위의 값으로 반사율을 낮추어 미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8층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기록층 0 및 기록층 1의 반사율을 4.3~4.7%로 설정한다면, 미러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기록층의 반사율은 상기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기록 매체에서 각 기록층 사이의 미러 효과를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간격층만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미러 효과에 의한 신호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며, 다층 기록 매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22)
-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기록 매체에 있어서,상기 기록층 사이에 구비된 간격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간격층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기록층에 포커싱되는 빔이 다른 기록층에서 반사되어 또 다른 기록층에 포커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은 빔이 입사되는 쪽으로부터 두 번째로 멀리 떨어진 간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은 미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간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αKM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록층의 반사율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αKM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록층의 반사율은 지터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소정값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
-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록층을 구비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상기 어느 하나의 기록층에 포커싱되는 빔이 다른 기록층에서 반사되어 또 다른 기록층에 포커싱되지 않도록 상기 기록층 사이에 구비된 간격층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간격층의 두께를 다른 간격층과 다르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은 빔이 입사되는 쪽으로부터 두 번째로 멀리 떨어진 간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층은 미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간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αKM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록층의 반사율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상기 αKM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록층의 반사율은 지터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 제 18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소정값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기록 매체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0135A KR101120025B1 (ko) | 2005-03-10 | 2005-03-10 |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US11/290,593 US7567493B2 (en) | 2005-03-10 | 2005-12-01 | Multilaye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W095102745A TW200634808A (en) | 2005-03-10 | 2006-01-25 | Multilaye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B2006100074710A CN100474422C (zh) | 2005-03-10 | 2006-02-14 | 多层记录介质及其制造方法 |
JP2006036963A JP2006252752A (ja) | 2005-03-10 | 2006-02-14 | 多層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
EP06110893A EP1701348A3 (en) | 2005-03-10 | 2006-03-09 | Multilaye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0135A KR101120025B1 (ko) | 2005-03-10 | 2005-03-10 |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9106A KR20060099106A (ko) | 2006-09-19 |
KR101120025B1 true KR101120025B1 (ko) | 2012-03-15 |
Family
ID=3658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0135A KR101120025B1 (ko) | 2005-03-10 | 2005-03-10 |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567493B2 (ko) |
EP (1) | EP1701348A3 (ko) |
JP (1) | JP2006252752A (ko) |
KR (1) | KR101120025B1 (ko) |
CN (1) | CN100474422C (ko) |
TW (1) | TW20063480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41505B2 (ja) * | 2004-08-19 | 2009-10-07 | ソニー株式会社 | 多層光情報記録媒体 |
DE602006021462D1 (de) * | 2005-12-02 | 2011-06-01 | Ricoh Co Ltd | Mehrschichtiges optisches informationsaufzeichnung |
JP4803138B2 (ja) * | 2007-05-18 | 2011-10-26 | Tdk株式会社 | 光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方法 |
JP4640378B2 (ja) * | 2007-06-01 | 2011-03-0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多層光ディスク |
JP2008305503A (ja) * | 2007-06-08 | 2008-12-18 | Sony Corp |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
WO2009050994A1 (ja) * | 2007-10-19 | 2009-04-23 | Sharp Kabushiki Kaisha | 光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US8475902B2 (en) | 2008-07-30 | 2013-07-02 | Pioneer Corporation | Optical recording medium |
AU2009325765A1 (en) * | 2008-12-10 | 2010-06-17 | Panasonic Corporation |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
WO2010067556A1 (ja) * | 2008-12-11 | 2010-06-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JP2011170937A (ja) * | 2010-02-22 | 2011-09-01 | Tdk Corp |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シリーズ |
JP2011198410A (ja) * | 2010-03-19 | 2011-10-06 | Sony Corp | 多層光記録媒体 |
JP5343913B2 (ja) * | 2010-04-15 | 2013-11-13 | ソニー株式会社 | 多層光記録媒体 |
JP6201377B2 (ja) | 2013-04-01 | 2017-09-27 | ソニー株式会社 | 光記録媒体 |
WO2014207911A1 (ja) * | 2013-06-28 | 2014-12-31 | 株式会社 東芝 | 光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55380A (ja) * | 2000-10-27 | 2001-06-08 | Victor Co Of Japan Ltd | 光記録媒体 |
JP2004213720A (ja) * | 2002-12-27 | 2004-07-29 | Tdk Corp | 光記録媒体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05924B1 (en) | 1993-01-04 | 1999-06-23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ultiplan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record carrier for use in such a system |
ATE181614T1 (de) * | 1993-01-04 | 1999-07-15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Mehrflächen informationsspeichersystem und aufzeichnungsträger zür verwendung in einem derartigen system |
US5373499A (en) | 1993-07-22 | 1994-12-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ultilayer optical disk and system having multiple optical paths include identical total disk substrate thickness |
TW273616B (ko) * | 1993-12-15 | 1996-04-01 | Ibm | |
JPH0944895A (ja) * | 1995-07-31 | 1997-02-14 | Victor Co Of Japan Ltd | 光ピックアップ、光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
-
2005
- 2005-03-10 KR KR1020050020135A patent/KR1011200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12-01 US US11/290,593 patent/US756749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1-25 TW TW095102745A patent/TW200634808A/zh unknown
- 2006-02-14 CN CNB2006100074710A patent/CN10047442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14 JP JP2006036963A patent/JP2006252752A/ja not_active Revoked
- 2006-03-09 EP EP06110893A patent/EP1701348A3/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55380A (ja) * | 2000-10-27 | 2001-06-08 | Victor Co Of Japan Ltd | 光記録媒体 |
JP2004213720A (ja) * | 2002-12-27 | 2004-07-29 | Tdk Corp | 光記録媒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9106A (ko) | 2006-09-19 |
TW200634808A (en) | 2006-10-01 |
JP2006252752A (ja) | 2006-09-21 |
US7567493B2 (en) | 2009-07-28 |
EP1701348A2 (en) | 2006-09-13 |
EP1701348A3 (en) | 2007-05-02 |
US20060203680A1 (en) | 2006-09-14 |
CN1831981A (zh) | 2006-09-13 |
CN100474422C (zh) | 2009-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0025B1 (ko) |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
US8156515B2 (en) |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device | |
US7876664B2 (en) | Optical recording medium | |
JP5130366B2 (ja) | 光記録媒体 | |
US6873590B2 (en) | Objective lens for optical pick-up | |
US7443779B2 (en) | Objective optical system for optical recording media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it | |
EP1158502B1 (en) | 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up device adopting the same | |
JP5441586B2 (ja) |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の製造方法 | |
US20050117496A1 (en) | Objective optical system and optical pickup device using it | |
US7298675B2 (en) | Multilayer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pickup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the same | |
RU2509382C2 (ru) | Оптически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 |
JP2007531188A (ja) | 光走査装置及び方法 | |
US20110205867A1 (en) |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series of optical recording media | |
KR20080039756A (ko) | 다층 기록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 |
JP4744832B2 (ja) | 対物レンズ | |
US7872958B2 (en) |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optical element for the same, and design method of the same | |
JP4313743B2 (ja) | 光記録媒体 | |
US7787349B2 (en) | Optical pickup lens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 |
US20080123507A1 (en) | Optical element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 |
JP4849905B2 (ja) | 光ピックアップ光学系、対物レンズ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US20040120052A1 (en) | Objective lens, optical head apparatus,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 |
JP2008293572A (ja) | 多層光記録媒体 | |
JP2009163780A (ja) | 光記録ディスク、光記録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