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901B1 -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901B1
KR101119901B1 KR1020080132874A KR20080132874A KR101119901B1 KR 101119901 B1 KR101119901 B1 KR 101119901B1 KR 1020080132874 A KR1020080132874 A KR 1020080132874A KR 20080132874 A KR20080132874 A KR 20080132874A KR 101119901 B1 KR101119901 B1 KR 10111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alt
cornu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440A (ko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례군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9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은 원추리, 비비추, 마늘, 연잎, 산수유, 구기자 중 선택된 5종을 음건하고 세절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5종을 각각의 혼합율을 달리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가열된 70 내지 90℃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약리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원추리, 비비추, 마늘, 연잎, 산수유, 구기자, 소금

Description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A MANUFACTURE METHOD OF FUNCTIONAL SALT}
본 발명은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효과 및 약리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일반적으로 식염이라고도 하며, 그 종류로는 천일염, 암염, 기계염, 재제염, 가공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가공염은 원료 소금을 볶음, 태움, 용융 등의 방법으로 그 원형을 변형한 소금 또는 기타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소금 등을 말한다. 대표적인 가공염으로는 구운 소금과 죽염 등을 들 수가 있다.
인체에서 소금(염분)은 체내 혈액 중에서 약 0.9중량%를 차지하고, 체외로 배출되는 땀, 눈물, 소변 등에는 약 0.1~0.5중량%를 점유하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성분이다. 구체적으로, 삼투압 차이를 발생시켜 체액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혈액 속의 산소와 영양분이 세포 속으로 전달되고 세포 속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이 혈액 속으로 이송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인체 내 염분은 신경 세포에 있어서의 신호 전달을 위한 전위차를 생성하고, 염분이 해리되어 생성되는 음이온인 C1-는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의 생성과 혈액 중 적혈구 생성 기전에 관여한다. 따라서 염분 결핍 시에는 소화 장애나 현기증, 빈혈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염분을 지속적으로 과다하게 섭취하는 경우 혈액을 산성화시켜서 점도 상승을 유발하므로 혈전과 동맥경화, 고혈압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식염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음식물에 식염을 충분히 사용하는 경우, 음식물의 맛이 자극적이 되고, 식욕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은 여전히 식염을 과다하게 섭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혈압, 신장염, 위염, 위암, 당뇨병의 빈발 문제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약리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은 원추리, 비비추, 마늘, 연잎, 산수유, 구기자 중 선택된 5종을 음건하고 세절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5종을 각각의 혼합율을 달리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가열된 70 내지 90℃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마늘 200중량부, 산수유 50중량부, 구기자 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연잎 200중량부, 산수유 50중량부, 구기자 5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약리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은 원추리, 비비추, 마늘, 연잎, 산수유, 구기자 중 선택된 5종을 음건하고 세절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5종을 각각의 혼합율을 달리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가열된 70 내지 90℃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원추리, 비비추, 구기자, 산수유는 청정지역으로 알려져 있는 지리산 자락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를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원추리, 비비추, 구기자, 산수유, 연잎, 마늘이 가지는 효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원추리
성질은 서늘하고[凉]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오줌이 빨가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과 몸에 번열이 나는 것, 사림(沙淋)을 낫게 한다. 수기(水氣)를 내리며 주달(酒疸)을 낫게도 한다.
집 근처에 심는데 흔히 만만한 싹을 캐서 끓여서 먹는다. 꽃망울을 따서 생절이를 만들어 먹으면 가슴을 시원하게 하는데 좋다. 일명 녹총이라고도 하고 꽃은 의남(宜男)이라고도 하는데 임신부가 차고 다니면 아들을 낳게 된다.
원추리는 백합과의 다년초로 우리나라 전라북도(덕유산), 전라남도(지리산), 경상북도(금오산, 팔공산), 충청남도(계룡산), 충청북도(속리산), 강원도(설악산, 점봉산, 백석산)에서 자생한다.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방추상으로 굵어지는 것이 있다.
잎은 두 줄로 배열하고 너비 1.2~2.5cm이며 끝이 처진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서 높이 1m 내외로 자라고 끝이 갈라져서 6~8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2~8cm, 작은 꽃줄기는 길이 1~2 cm이다. 꽃은 등황색이고 길이 10~13 cm, 통부(筒部)는 길이 1~2 cm이다. 내화피는 나비 3~3.5cm이며 긴 타원형이다. 6개의 수술은 통부 끝에 달리고 꽃잎보다 짧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이뇨, 지혈, 소염제, 간질환, 결석병에 사용한다. 효능은 꽃은 진통제, 구토방지제, 진경제, 정화제, 해열제, 진정제 작용을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꽃을 출산시의 진통제로 섰으며, 꽃 추출액은 혈액정화제이다. 뿌리즙은 효과적인 해독제로서 비소중독에 유효하다. 민간에서는 뿌리가 항암작용이 있다. 끓여 만든 뿌리차는 이뇨작용을 한다.
나) 비비추
비비추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30~40cm이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달걀 모양 심장형 또는 타원형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8~9맥이 있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다소 물결 모양이다.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7~8월에 피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으로 달리며 꽃줄기는 길이 30~40cm이다. 포는 얇은 막질이고 자줏빛이 도는 흰색이며 작은 꽃자루의 길이와 거의 비슷하다. 화관은 끝이 6개로 갈라져서 갈래조각이 약간 뒤로 젖혀지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서 비스듬히 서고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서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다) 구기자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한쪽이 뾰족한 방추형으로 조금 납작하며 길이 6~18mm, 지름 3~8mm정도로 표면은 선홍색 또는 암홍색으로 과피는 부드럽고 질기며 쭈그러졌다. 과육의 육질은 유윤하면서 점성이 있고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자보간신(滋補肝腎), 윤폐(潤肺), 익정(益精), 명목(明目), 보수(補髓), [자음보혈(滋陰補血), 명목(明目)], 구복(久服): 경신(輕身), 연년(延年)의 효능이 있으며, 허로(虛勞), 요통(腰痛), 유정(遺精) ,해수(咳嗽) ,목적(目赤) ,소갈(消渴) ,심통(心痛) ,이명(耳鳴) ,토혈(吐血) ,두훈(頭暈) 등을 주로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라) 산수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은 시고[酸] 떫으며[澁] 독이 없다. 음(陰)을 왕성하게 하며 신정[精]과 신기(腎氣)를 보하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경을 딴딴하고 크게 한다. 또한 정수(精髓)를 보해 주고 허리와 무릎을 덥혀 주어 신[水藏]을 돕는다. 오줌이 잦은 것을 낫게 하며 늙은이가 때없이 오줌 누는 것을 낫게 하고 두풍과 코가 메는 것, 귀먹는 것을 낫게 한다.
한국(중부이남)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 쪽이나 인가부근에서 재배하는 낙엽 소교목이다. 키는 7m이고, 수피는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회갈색으로 잎은 대생, 난형이며 끝은 길고 뾰족하다.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연두색, 윗면은 짙은 녹색, 양면에 갈색의 긴 털이 분포한다. 꽃은 양성화, 노란색, 지름은 4~5mm로,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피고, 20~30송이가 산형화서로 달린다. 총포는 4장, 연두색으로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자루의 길이는 약 10mm, 자방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 타원형으로 붉게 익으며, 광택이 난다. 삽정(澁精), 염한(斂汗), 보신(補腎), 온간(溫肝), 조양(助陽), 강음(强陰), 제풍(除風), 축한(逐寒), 하기(下氣), 발한(發汗), 통규(通竅), 파징결, 난요슬(暖腰膝), 축소변(縮小便), 살삼충(殺三蟲), [수삽보조(收澁補助)], 구복(久服): 명목(明目), 경신(輕身), 연년(延年) 간과 신장에 작용하여 간과 신장의 기운을 북돋아주고 따뜻하게 하며 유정과 땀을 그치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장이 허약해서 발생하는 유정과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땀이 그치지 않고 월경이 과다하게 나오는 증상에 효과가 있으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여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플 때, 팔다리에 힘이 없을 때 등에도 효과가 있다. 간의 기운이 약하여 눈이 침침하거나 어지러 움증이 나타날 때 효과가 있다.
마) 연잎
갈증을 멎게 하고 태반을 나오게 하며 버섯중독을 풀어 주고 혈창(血脹)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연은 아시아 남부, 북호주 원산이다.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개이다. 꽃턱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이다. 종자가 꽃턱의 구멍에 들어 있다. 종자의 수명은 길고 2000년 묵은 종자가 발아한 예가 있다. 품종은 일반적으로 대륜, 중륜, 소륜으로 나눈다.
비(脾)의 기능이 허약해서 설사를 할 때에 비(脾)기능을 보(補)하여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음혈(陰血)이 휴손되어 가슴이 뛰고 잘 놀라며 잠을 못 자는 증상에 산조인(酸棗仁), 맥문동(麥門冬)을 배합해서 사용하면 그 효력이 매우 우수하다.
바) 마늘
대산(大蒜)이라 하였으며, 성질이 따뜻하고[溫](열(熱)하다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 독이 있다. 옹종(癰腫)을 헤치고 풍습(風濕)과 장기를 없애며 현벽(玄癖)을 삭히고 냉과 풍증을 없애며 비를 든든하게 하고 위를 따뜻하게 하며 곽란으로 쥐가 이는 것, 온역(瘟疫), 노학(勞~)을 치료하며 고독과 뱀이나 벌레한테 물린 것을 낫게 한다.
이와 같은 각 재료의 효능에 의해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추출액은 뛰어난 약리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여 코팅하면 약리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① 원추리, 비비추, 마늘, 산수유, 구기자를 음지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각 재료들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세절한다.
② 세절된 원추리, 비비추, 마늘, 산수유, 구기자를 혼합하며, 혼합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마늘 200중량부, 산수유 50중량부, 구기자 50중량부로 혼합한다.
③ 혼합물을 90℃로 가열되는 물에 투입하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서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다.
④ 추출된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고 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를 완료한다.
<실시예 2>
① 원추리, 비비추, 연잎, 산수유, 구기자를 음지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각 재료들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세절한다.
② 세절된 원추리, 비비추, 연잎, 산수유, 구기자를 혼합하며, 혼합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연잎 200중량부, 산수유 50중량부, 구기자 50중량부로 혼합한다.
③ 혼합물을 90℃로 가열되는 물에 투입하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서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다.
④ 추출된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고 건조하여 소금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비교예 1>
① 원추리, 비비추, 연잎, 산수유, 구기자를 음지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각 재료들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세절한다.
② 세절된 원추리, 비비추, 연잎, 산수유, 구기자를 혼합하며, 혼합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연잎 100중량부, 산수유 100중량부, 구기자 100중량부로 혼합한다.
③ 혼합물을 90℃로 가열되는 물에 투입하고 일정 시간 가열하여서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다.
④ 추출된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고 건조하여 소금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실험예 1 : DPPH법에 의한 항산화력 조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회전식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고 동결 건조를 실시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96웰(well) 플래이트(plate)에 콘트롤(control)에는 추출물의 용매를 실험군에는 실험재료를 농도별로 100 μL씩 각각 6개씩 시딩(seeding)한다. 콘트롤(Control)과 실험군에는 각각 60 μM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첨가하고, blank에는 60 μM DPPH대신 EtOH를 넣고 약 3초 정도 흔들어 섞은 후, 실온에서 30분을 방치하고 540 nm에서 마이크로플래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able 19. 50% inhibitory concentration of oriental medicines on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No. Oriental medicines 50%Inhibitory concentration(㎍/ml)
1 HF:HL:N:L:C(4:1:2:0.5:0.5) 8.85
2 HF:HL:A:L:C(4:1:2:0.5:0.5) 20.58
3 HF:HL:N:L:C(4:1:1:1:1) 26.69
4 HF:HL:N:L:C(4:1:1:1:1) 30.84
5 HF 115.74
6 HL 25
7 A >250
8 N 47.91
원추리(Hemerocallis fulva : HF), 비비추(Hosta lowgipes :HL), 마늘(Allium sativum var. pekinense: A), 연잎(Nelumbo nucifera: N), 산수유 (Lycium chinensis: L), 구기자(Cornus officinalis: C)
실험예 1과 같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혼합비로 혼합한 추출액의 항산화 효과가 비교예 1의 혼합비로 혼합한 추출액의 항산화 효과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소금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 및 각 재료들이 가지는 약리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3)

  1. 원추리, 비비추, 마늘, 산수유, 구기자의 5종 또는 원추리, 비비추, 연잎, 산수유, 구기자의 5종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음건하고 세절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5종을 각각의 혼합율을 달리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가열된 70 내지 90℃의 물을 사용하여 상기 혼합물의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소금에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혼합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마늘 200중량부, 산수유 50중량부, 구기자 50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혼합물은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원추리 400중량부, 비비추 100중량부, 연잎 200중량부, 산수유 50중량부, 구기자 50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20080132874A 2008-12-24 2008-12-24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11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874A KR101119901B1 (ko) 2008-12-24 2008-12-24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874A KR101119901B1 (ko) 2008-12-24 2008-12-24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440A KR20100074440A (ko) 2010-07-02
KR101119901B1 true KR101119901B1 (ko) 2012-02-29

Family

ID=4263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874A KR101119901B1 (ko) 2008-12-24 2008-12-24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988A (ko) 2015-03-06 2016-09-19 원진식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소금
KR101802400B1 (ko) 2014-06-26 2017-11-2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gaba 함유 가공소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5860A (zh) * 2018-08-14 2019-01-01 中国科学院青海盐湖研究所 黑枸杞食用盐及其制备方法
CN109998083A (zh) * 2019-04-10 2019-07-12 云南省盐业有限公司 一种植物彩色盐制品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50A (ko) * 2002-03-14 2003-09-22 최규원 약소금 만드는 방법
KR100420153B1 (ko) 2000-10-17 2004-03-02 노영인 무, 마늘, 고추, 생강, 엿기름, 홍화씨, 은행, 천일 약소금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53B1 (ko) 2000-10-17 2004-03-02 노영인 무, 마늘, 고추, 생강, 엿기름, 홍화씨, 은행, 천일 약소금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20030074950A (ko) * 2002-03-14 2003-09-22 최규원 약소금 만드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2400B1 (ko) 2014-06-26 2017-11-2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gaba 함유 가공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7988A (ko) 2015-03-06 2016-09-19 원진식 장수버섯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옻 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440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Vardhana Direct uses of medicinal plants and their identification
Al-Qudah et al. Lemon as a source of functional and medicinal ingredient: A review
Rahman et al. Taxonomic study of leafy vegetables at Santahar Pouroshova of District Bogra, Bangladesh with emphasis on medicinal plants
KR101424858B1 (ko) 간기능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308314A (zh) 一种酸枣核桃百合代用茶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151600A (zh) 一种酒曲及制备方法及用该酒曲酿制药酒的方法及药酒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19901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6942133A (zh) 一种斗鸡的养殖方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CN106805235A (zh) 一种适用于呼吸系统疾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CN103341139A (zh) 一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616690A (zh) 一种具有保健功效的龙贡果肉果冻
Kumar et al. Ethnomedicinal diversity of aromatic plants in foot hill regions of Himachal Pradesh, India
KR20080093947A (ko)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Rao Diversity of some important wild edible plants of Kumaun Uttarakhand: a review
KR20100111510A (ko) 아토피 피부 치유 개선제
Lamo et al. Medicinal plants biodiversity of some selected villages of Zanskar Valley (Ladakh region)
Shaheen et al. Status of edible wild plants in Pakistan: Case studies
KR20030005127A (ko)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한 건강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