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542B1 - 팔렛트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팔렛트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542B1
KR101119542B1 KR1020090076326A KR20090076326A KR101119542B1 KR 101119542 B1 KR101119542 B1 KR 101119542B1 KR 1020090076326 A KR1020090076326 A KR 1020090076326A KR 20090076326 A KR20090076326 A KR 20090076326A KR 101119542 B1 KR101119542 B1 KR 101119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tor
wheel
pallet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719A (ko
Inventor
진을숙
Original Assignee
진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을숙 filed Critical 진을숙
Priority to KR102009007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5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서 팔렛트를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팔렛트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팔렛트(P)의 측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프레임(1);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리프트수단;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모터(13)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수단은; 바퀴지지브래킷(7)을 통해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된 상태에서, 비행기 바퀴와 같이 회전운동되며 접힘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높이를 낮추거나, 회전운동되며 펼쳐짐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높이를 1단계로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뒤로 설치되는 바퀴(5); 4절링크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기동되도록 앞뒤 바퀴(5)를 각각 연결하는 링크(9); 전동(傳動)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퀴지지브래킷(7)을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렛트, 적재함, 카고(cardo), 운반, 이송, 리프트, 캐리어(carrier)

Description

팔렛트 운반장치{Carrier for Palette of Cargo}
본 발명은 팔렛트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팔렛트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적재함 차량(cargo vehicle)이 물류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품수송용 냉동탑차가 도시된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짐(C)을 실은 팔렛트(P, palette)는 통상 지게차(100)를 이용하여 적재함(102)에 올려진다. 그러나 적재함(102)의 길이가 긴 경우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깊숙한 곳까지 짐을 적재할 수는 없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적재함의 측벽이 날개를 펼치듯 옆으로 열리는 형태의 적재함이 제안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적재함은 냉동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 때문에 냉동차량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즉, 여전히 냉동탑차의 적재함에 짐을 싣는 작업은 불편한 점이 많다. 그래서 종래 지게차가 적재함(102)의 입구(102a) 근처에 짐을 올려놓으면 이를 이송하여 적재함의 깊숙한 곳까지 짐을 운반시키고, 나아가 하역시에도 깊숙이 적재된 짐 을 적재함 입구 근처까치 운반시키기 위한 기계적 장비가 제공된바 있다.
종래의 이러한 운반장비는 적재함 바닥에 레일을 배치하고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짐을 옮겨놓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대개의 경우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레일이라는 제한을 받기 때문에 차체가 옆으로 기울어 있는 경우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또한 수동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적재함이 차량의 전방을 향해 또는 후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차량이 평지에 정차되어 있더라도 팔렛트 하나의 무게가 예를 들어 1톤 이상이 될 경우에는 적재함 자체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경사를 거슬러 무거운 팔렛트를 옮기는 작업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지 적재함이 옆으로 또는 앞뒤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손쉽게 팔렛트를 적재함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팔렛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근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은 짐이 실린 팔렛트를 들어올리는 기능과 그 팔렛트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겸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레일이라는 구속 없이 자재하게 팔렛트를 운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져야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팔렛트의 측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프레임;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리프트수단;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수단은; 비행기 바퀴와 같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운동되며 접힘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낮추거나 회전운동되며 펼쳐짐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뒤로 설치되는 바퀴; 4절링크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기동되도록 앞뒤 바퀴를 각각 연결하는 링크; 전동(傳動)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퀴지지브래킷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기동수단은 상기 바퀴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와 전륜 또는 후륜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운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제1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사봉과 상대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볼하우징; 상기 제1모터로 하여금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 상기 제1모터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기구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상판으로 하여금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기동하게 하는 보조리프트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리프트수단은; 상기 프레임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안내공을 마련하고; 이 안내공을 따라 상기 상판이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는 상기 안내공에 끼워지는 승강핀을 설치하고;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판에 고정되는 길이가변수단에 의해 상기 상판이 상기 안내공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가변수단은 상기 제1모터에 의해 기동하는 전동기구로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에 나사결합되어 나사봉과 상대운동을 하게 되는 볼하우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모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된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2모터는 차량으로부터 12V 또는 24V의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재함 바닥에 레일 또는 주행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경제적으로 이익이 된다. 또한 적재함이 어떠한 이유에서건 옆으로 또는 앞뒤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도 팔렛트를 적재함 내부에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렛트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구조를 알 수 있도록 일부 부품이 제거 내지 절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팔렛트 운반장치의 측면도이다.
팔렛트 운반장치는 레저용품중 하나인 스케이트보드(또는 롤러보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팔렛트 운반장치(이하, '운반장치'라 함)는 사용이 필요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취급하기 적당한 무게(예를 들어 8 ~ 15 kg)를 가진다. 하나의 팔렛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운반장치가 사용된다. 2개의 운반장치는 동일한 구성과 작용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만을 도시 및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은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팔렛트(P)의 측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프레임은 중량물을 견딜 수 있도록 차대와 유사한 강성구조를 가진다. 프레임(1)의 외부에는 케이스 형태의 상판(3)이 설치되는데 이는 후술 되겠지만 본 발명의 필수적 사항은 아니다.
프레임(1) 저면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4개의 바퀴(5)가 설치된다. 바퀴(5)는 전륜이 되는 한쌍의 제1바퀴(5a)와 후륜이 되는 한쌍의 제2바퀴(5b)로 구성된다. 바퀴(5)의 접지면은 우레탄, 금속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냉동탑차의 적재함 바닥이 얼음에 의해 미끄러운 것에 대비하여 접지면을 금속으로 하고 표면에 널링(knurling) 가공함으로써 스파이크처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추천된다.
운반장치는 그의 높이를 높이기 위한 리프트수단과 그 자체의 위치를 평면이동시키기 기동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차례로 설명한다.
상기 리프트수단은 기능적으로 볼 때 필수적인 제1리프팅단계와 보조적인 제2리프팅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리프팅단계는 이착륙시의 비행기 바퀴와 같이 바퀴를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운동되며 접힘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낮추거나 회전운동되며 펼쳐짐으로써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제2리프팅단계는 바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프레임에 연동되어 있는 상판을 들어 올림으로써 운반장치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링크기구는 바퀴(5)로 하여금 4절링크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기동되도록 한다. 각각의 바퀴(5)는 판형상의 바퀴지지브래킷(7)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퀴지지브래킷(5)은 프레임(1) 측벽에 설치되는 브래킷회전축(X1,X1'. 이하 ' 제1축'이라 한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 상에 설치된다. 제1바퀴(5a)와 제2바퀴(5b)는 링크(9)에 의해 연결된다. 링크(9)의 연결지점(C1,C1')은 제1축(X1,X1')의 아래에 이격되어 있다. 이로써 앞뒤의 제1축(X1,X1')과 링크(9)의 연결지점(C1,C1')은 4절링크와 같은 연결구조를 갖게 된다.
제1모터(11)는 전동(傳動)기구를 매개로 하여 링크기구를 관절운동시킴으로써 바퀴(5)를 접거나 펼치게 된다. 바퀴(5)의 이러한 동작에 의해 운반장치가 승강운동되는 것이다. 전동기구에 대하여는 후술된다.
기동수단에 포함되는 제2모터(13)는 바퀴(5)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프레임(1) 상에 설치된다. 제2모터(13)의 회전력은 감속기구(15)를 통해 제2바퀴(5a)에 전달된다. 회전력은 제1바퀴 또는 제2바퀴의 어느 일측에 전달되면 충분하다. 감속기구(15)는 헬리컬기어 또는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일단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기동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어렵지 않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리프트수단의 핵심인 전동(傳動)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동기구는 기본적으로 제1모터(11)의 출력축에서 바퀴지지브래킷(7)까지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일컫는다.
제1모터(11)의 출력축은 나사봉(17)에 연결되어 나사봉(17)을 회전시킨다. 볼하우징(19, ball housing)은 이 나사봉(17)에 나사결합된다. 제1모터(11)의 회전에 의해 제1모터(11)와 볼하우징(19)은 나사봉(17)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대운동을 겪게 될 것이다. 한쌍의 커넥팅로드(21)의 각 일단은 볼하우징(19)의 양측에 유동핀(22)을 매개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넥팅로드(21)의 타단은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핀(2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만 커넥팅로드(21)는 상판(3)을 매개로 프레임(1)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그 이유는 후술된다.
이로써 도 4의 측면도상 커넥팅로드(21)는 고정핀(23)을 중심으로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나사봉의 선단(17a)은 볼하우징(19)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있다. 제1모터(11)와 나사봉(17)은 만능조인트(24, universal joint)로 연결되어 출력축의 각도변화에 적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유동핀(22)과 고정핀(23)은 각각 제2축(X2)과 제3축(X3)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나사봉(17)과 커넥팅로드(21)는 제1모터(11)의 위치변화에 따라 관절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관절운동에 따라 볼하우징(19)은 프레임(1)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되게 된다.
한편 제1모터(11)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프레임(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수단은 제1모터(11)를 수납하고 있는 제1모터케이싱(25)의 양측면에는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7)과, 프레임(1)의 양측벽에 가이드레일(27)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어 가이드레일(27)을 따라 기동되는 이송블럭(29) 또는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사봉(17)이 볼하우징(19)으로부터 이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모터(11) 자체는 가이드레일(27)을 따라 도 4상 우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한편, 제1모터(11) 또는 제1모터케이싱(25)과 바퀴지지브래킷(7) 사이에는 크랭크암(31)이 연결된다. 물론 크랭크암(31)의 양단은 각각 베어링수단에 의해 상대적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랭크암(31)과 바퀴지지브래킷(7)의 연결지점(C2)은 바퀴지지브래킷(7)의 제1축(X1)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모터(11)가 도 4상 우측으로 밀리게 되면, 크랭크암(31)에 힘이 전달되어 바퀴지지브래킷(7)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바퀴지지브래킷의 회전중심축인 제1축(X1)을 중심으로 한 바퀴(5)의 회전은 90°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즉, 제1모터(11)의 회전에 의해 바퀴의 캐스터각(Caster Angle)은 프레임(1)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물론 반드시 직각이 아니라 그와 유사한 범위가 될 수도 있다.
제1모터(11)의 회전에 의한 바퀴지지브래킷(7)의 회전각도는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는 브래킷의 측부(7a)가 프레임의 소정의 단부(1a)에 걸리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며 그 제한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트수단은 제1모터(11)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전동기구가 구동됨으로써 상판(3)으로 하여금 프레임(1)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기동하게 하는 보조리프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리프트수단은; 프레임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안내공(33); 이 안내공(33)을 따라 상판(3)이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3)에 설치되는 승강핀(35); 및 일단은 프레임(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판(3)에 고정되는 길이가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가변수단은 제1모터(11)에 의해 기동하는 위에 설명된 전동기구일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핀(23)을 상판에 설치하는 이유는 보조리프트수단을 위해서이다.
보조리프트수단에 의하면 리프트수단이 2단계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1단계는 바퀴지지브래킷(7)을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1)의 높이를 일차적으로 높여 운반장치의 상면이 팔렛트(P)의 저면에 살며시 닿거나 10mm 미만으로 인접되게끔 하는 단계이다(도 7 참조). 2단계는 본격적으로 팔렛트의 저면에 힘을 가해 팔렛트를 들어올리는 단계이다(도 8 참조).
1단계는 위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이하 2단계를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판(3)은 안내공(33) 및 승강핀(35)을 매개로 상대적 유동이 가능하게 프레임(1)과 연결된다.
안내공(33)은 프레임(1)의 연장방향을 따라 그의 측벽에 브이(V)자 형태로 이 타공되어 있으며, 승강핀(35)은 상판(1)의 측벽에 각각의 안내공에 끼워져 그를 따라 구름운동하며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공(33)은 힘의 안배를 위해 4쌍이 마련된다.
한편, 바퀴지지브래킷(7)만을 회전시킬 경우에는 위에 언급된 것처럼 고정 핀(23)은 프레임에 고정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인 보조리프트수단까지 고려한다면 고정핀(23)은 도시된 것처럼 상판(1)에 연결되어야 한다.
제1모터(11)가 회전하여 바퀴지지브래킷(7)이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는 지점까지 회전되는 순간이 있게 된다(도 7 참조). 그 이후에 제1모터(11)가 지속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프레임(1)과 상판(3)의 상대운동이 시작되게 된다. 그러면 승강핀(35)이 안내공(33)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승강핀(35)과 일체를 이루는 상판(3) 역시 안내공(33)을 따라 기동하게 된다. 제1모터(11)가 최대한 회전하게 되면, 승강핀(35)은 안내공(33)의 가장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며 안내공(33)의 수직높이의 범위에서 상판(3)은 프레임(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된다(도 7에서 도 8의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 해당함). 이후 제2모터(13)가 구동되면 제2바퀴(5b)가 허브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운반장치가 평면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3)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블록 형태의 포지셔너(37)가 상판(3) 저면에 부착 설치된다. 포지셔너(37, positioner)는 경사부(37a)와 둥근홈 형태의 안착부(37b)로 구성된다. 프레임(1)에는 이 경사부(37a)를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안착부(37b)에 안착되게 되는 안전핀(39)이 마련된다. 포지셔너(37)는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안내공(33)과 같은 개수로 안내공(33)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판(3)의 상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공지의 여러 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거나 우레탄 코팅을 하는 방식이 생각될 수 있다.
운반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통상의 팔렛트(P) 높이와 운반장치의 단계별 상승높이를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운반장치는 전기력에 의해 기동되게끔 제1,2(전동)모터(11,13)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때로 유압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는 있을 것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력을 사용할 수 없거나 전기적 부품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동으로 일부의 동작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수단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모터(11)가 어떤 이유에서 동작될 수 없는 경우 지렛대(L)를 이용하여 제1모터(11)를 가이드레일(27)을 따라 기동되게끔 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는 상판(1)의 전방 하부에 지렛대회전축(X4, 이하 '제4축'이라 한다)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렛대홀더(41)를 설치하는 것이다. 지렛대(L)를 지렛대홀더(41)에 끼운 후 도 9상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지렛대홀더(41)는 제1모터(11) 전체를 가이드레일(27)을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를 위해, 일단은 제4축(X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핀(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브래킷(43)이 구비된다. 회동브래킷(43)은 대략 삼각형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지렛대홀더(41)와는 일체가 되어 제4축(X4)을 중심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핀(23)은 회동브래킷(43)을 통해 상판(3)에 연결되게 된다. 정상 가동시 회동브래킷은 2개의 잠금핀(45)에 의해 상판(3)과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비상시에는 잠금핀(45)을 해체하여 상판(3)과 상대적 유동이 가능하게 한 후 지렛대(L)를 이용하여 고정핀(23) 자체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고정핀(23)이 제4축(X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사봉(17), 볼하우징(19), 제1모터(11) 등이 일체가 되어 움직임으로써 바퀴지지브래킷(7)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지레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어 지렛대(L)는 큰 힘으로써 나사봉(17) 및 이에 연결된 제1모터(11) 및 크랭크암(31)을 기동시킬 수 있게 된다.
지렛대홀더(41)는 지렛대가 끼워지는 원형의 메인홀(47)과 지렛대를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안착홈(49, 도 10 참조)이 마련된다.
위에서 언급된 제1,2모터(11,13)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된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1모터(11)는 스텝모터(stepping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2모터(11,13)는 차량으로부터 12V 또는 24V의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도 1에 종래기술로서 본 발명의 운반장치가 적용되는 적재함 차량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팔렛트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내부구조를 알 수 있도록 일부 부품이 제거 내지 절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팔렛트 운반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10은 일부 분해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3 ; 상판
5 ; 바퀴 7 ; 바퀴지지브래킷
9 ; 링크 11,13 ; 제1,2 모터
15 ; 감속기구 17 ; 나사봉
19 ; 볼하우징 21 ; 커넥팅로드
27 ; 가이드레일 31 ; 크랭크암
33 ; 안내공 35 ; 승강핀
37 ; 포지셔너 39 ; 안전핀
41 ; 지렛대홀더
L ; 지렛대 P ; 팔렛트

Claims (5)

  1.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지는 팔렛트(P)의 측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프레임(1);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리프트수단;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수단은; 바퀴지지브래킷(7)을 통해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된 상태에서, 비행기 바퀴와 같이 회전운동되며 접힘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높이를 낮추거나, 회전운동되며 펼쳐짐으로써 상기 프레임(1)의 높이를 1단계로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뒤로 설치되는 바퀴(5); 4절링크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기동되도록 앞뒤 바퀴(5)를 각각 연결하는 링크(9); 전동(傳動)기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퀴지지브래킷(7)을 상기 프레임(1) 상에 설치되는 제1축(X1,X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제1모터(11)를 포함하며;
    상기 기동수단은 상기 바퀴(5)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2모터(13); 상기 제2모터(13)와 상기 바퀴(5)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제1모터(11)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기구가 구동됨으로써 2단계로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는 보조리프트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리프트수단은; 상기 프레임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3); 상기 프레임(1) 측벽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안내공(33); 상기 상판(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공(33)을 따라 상기 상판(3)이 상승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33)에 끼워지는 승강핀(35); 상기 제1모터(11)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봉(17); 상기 나사봉(17)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사봉(17)과 상대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에 연결되는 볼하우징(19); 상기 제1모터(11)로 하여금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11)와 상기 프레임(1)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는 상기 제1모터(11)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나사봉(17); 상기 나사봉(17)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사봉(17)과 상대운동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볼하우징(19); 상기 제1모터(11)로 하여금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11)와 상기 프레임(1)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운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모터(11,13)는 차량으로부터 12V 또는 24V의 직류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것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된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운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5)는 접지면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널링(knurling)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운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이 상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3) 저면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서, 경사부(37a)와 둥근홈 형태의 안착부(37b)로 구성되는 블록 형태의 포지셔너(37, positioner);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모터(11)가 회전됨에 의해 상기 경사부(37a)를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안착부(37b)에 안착되게 되는 안전핀(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렛트 운반장치.
KR1020090076326A 2009-08-18 2009-08-18 팔렛트 운반장치 KR101119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326A KR101119542B1 (ko) 2009-08-18 2009-08-18 팔렛트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326A KR101119542B1 (ko) 2009-08-18 2009-08-18 팔렛트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19A KR20110018719A (ko) 2011-02-24
KR101119542B1 true KR101119542B1 (ko) 2012-02-28

Family

ID=4377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326A KR101119542B1 (ko) 2009-08-18 2009-08-18 팔렛트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7239B (zh) * 2014-01-24 2016-05-04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l型导柱式器械升降机构
KR101598407B1 (ko) * 2014-05-02 2016-02-29 박창수 팔레트 캐리어
KR102123790B1 (ko) * 2018-10-19 2020-06-17 주식회사 삼미정공 팔레트 리프트 agv 및 agv 운영 시스템
KR102374502B1 (ko) * 2020-04-07 2022-03-15 주식회사 삼미정공 리프트형 agv 운영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2263U (ko) 1973-10-09 1975-06-06
JPS5185455U (ko) * 1974-12-27 1976-07-08
JPH09169216A (ja) * 1995-12-20 1997-06-30 Nawa Denki:Kk 電動式搬送車用横移動装置
KR20050056741A (ko) * 2003-12-10 2005-06-16 오세훈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2263U (ko) 1973-10-09 1975-06-06
JPS5185455U (ko) * 1974-12-27 1976-07-08
JPH09169216A (ja) * 1995-12-20 1997-06-30 Nawa Denki:Kk 電動式搬送車用横移動装置
KR20050056741A (ko) * 2003-12-10 2005-06-16 오세훈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719A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0125B2 (en) Pallet transportation assembly and processes of transporting pallets using the same
US5829947A (en) Cargo handling hydraulic ramp loader system and methods
US6155770A (e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EP1592579B1 (en) Vehicles and traillers incorporating moveable load carrying platforms
CN102656089B (zh) 飞机发动机单元体运输托架
US20080238010A1 (en) Combination dolly- pallet
KR101119542B1 (ko) 팔렛트 운반장치
MX2014008821A (es) Sistema y aparato para cargar/descargar la carga de una plataforma de camión o camioneta.
EP3476652A1 (en) Transport platform
KR20110035040A (ko)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CN110040163B (zh) 自卸式平板车
CN103640710A (zh) 传送平台传动滚轮升降装置
JP2019014564A (ja) 設置・移動用アウトリガー
EP3962795B1 (en) Pallet truck
CN102514518A (zh) 车用装货卸货器
JP2006001661A (ja) 重量物移動装置と重量物移動台車および立体駐車場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KR20110039597A (ko) 팔렛트 운반장치
US7543827B2 (en) Lifting device
US20230124326A1 (en) Lifting device
CN219115727U (zh) 应用于直升机的地空转载装卸平台
CN114715811B (zh) 一种四向车联合叉车货物转运平台
KR20010040404A (ko) 위치전환지지부재 및 그의 용도
CN220684582U (zh) 一种多功能车轮叉车
KR20190138722A (ko)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