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741A -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741A
KR20050056741A KR1020030089795A KR20030089795A KR20050056741A KR 20050056741 A KR20050056741 A KR 20050056741A KR 1020030089795 A KR1020030089795 A KR 1020030089795A KR 20030089795 A KR20030089795 A KR 20030089795A KR 20050056741 A KR20050056741 A KR 2005005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primary
whe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훈
Original Assignee
오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훈 filed Critical 오세훈
Priority to KR102003008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6741A/ko
Publication of KR2005005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74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이 얹어지는 화물상차대(21)를 구비하고 구동휘일(4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핸드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휘일(40)의 중앙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모터(58)와, 상기 구동휘일(40)의 회전중심을 포함하는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8)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전달하여 상기 구동휘일(40)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58)의 회전축(59)에 구비되는 1차구동기어(60)와, 상기 1차구동기어(60)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휘일(4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박스커버(7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1차피동기어(64)와, 상기 1차피동기어(64)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2차구동기어(67)와,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2차구동기어(67)가 내접하게 치합되도록 내주를 둘러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휘일(40)과 일체로 설치되는 2차피동기어(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A driving device for hand pallet}
본 발명은 핸드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핸드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핸드팔레트는 화물의 단거리 이동에 사용되는 것으로, 화물창고나 공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된다. 핸드팔레트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 인력으로 구동되고 기본적으로 화물상차대를 승강시키는 유압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핸드팔레트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체 일측에 유압실린더(10)가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0)는 작동레버(11)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작동레버(11)는 작업자가 잡고 핸드팔레트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 12는 유압실린더(10)의 피스톤로드의 복귀를 위한 스프링이다.
핸드팔레트의 본체 일측에는 화물상차대(21)의 승강을 위한 승강용 유압실린더(20)가 구비된다. 상기 화물상차대(21)는 2개가 핸드팔레트의 전방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있다. 상기 화물상차대(21)에는 화물이 얹어진다.
한편, 핸드팔레트의 본체에는 구동휘일(4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휘일(40)은 핸드팔레트 전체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2개가 구비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유압탱크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물상차대(21)에 상당한 무게의 화물을 싣게 되면 초기구동에 많은 힘이 소요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92-3661호가 제시되었다. 이에서는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화물상차대(21)를 상승시킨 후, 화물의 자중으로 초기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위치에너지를 구동휘일(40)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원리이다.
이는 중량이 큰 화물의 초기 이동에는 매우 효과적이기는 하나, 정지와 이동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정지후 이동시마다 반복하여 구동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팔레트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모터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팔레트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동휘일에 내장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물이 얹어지는 화물상차대를 구비하고 구동휘일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핸드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휘일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휘일의 회전중심을 포함하는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전달하여 상기 구동휘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1차구동기어와, 상기 1차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휘일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박스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1차피동기어와, 상기 1차피동기어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2차구동기어와,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2차구동기어가 내접하게 치합되도록 내주를 둘러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휘일과 일체로 설치되는 2차피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구동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휘일의 회전중심에는 본체측과 연결되는 기어박스커버에 구비되는 회전중심브라켓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는 모터로 구동휘일을 구동할 수 있어 핸드팔레트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구동장치가 구동휘일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여 관통되는 영역에 구비되어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장착브라켓(50)은 핸드팔레트의 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 핸드팔레트의 이동을 위한 구동휘일(4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브라켓(50)에는 제1통공(51) 및 제2통공(51')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장착브라켓(50)에는 회전중심축(52)이 고정된다. 상기 회전중심축(52)은 상기 구동휘일(40)의 회전중심이다. 상기 회전중심축(5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통공(53)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53)은 상기 제1통공(51)과 연통된다. 상기 회전중심축(52)은 상기 구동휘일(40)에 설치된 베어링(54,5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장착브라켓(50)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구동휘일(40)의 일측면에는 모터장착판(56)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장착판(56)은 상기 구동휠(40)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되는 관통부(41)를 통해 장착브라켓(50)에 체결된다. 상기 모터장착판(56)의 중심에는 통공(56')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통공(56')은 상기 회전중심축(52)의 통공(53) 및 상기 장착브라켓(50)의 제1통공(51)과 대응된다.
상기 모터장착판(56)에는 구동모터(58)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58)의 회전축(59)은 상기 통공(56')(53)(51)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브라켓(50)의 반대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59)의 선단에는 1차구동기어(60)가 구비된다. 상기 1차구동기어(60)는 상기 회전축(59)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1차구동기어(60)는 상기 장착브라켓(50)의 제1통공(51)을 통해 연장되어 장착브라켓(50)의 일면으로 돌출된다. 도면부호 62는 베어링이다.
상기 1차구동기어(60)와 치합되게 1차피동기어(64)가 구비된다. 상기 1차피동기어(64)는 상기 장착브라켓(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통공(51')에는 베어링(65)이 구비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70)에도 상기 1차피동기어(64)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5')이 구비된다.
상기 1차피동기어(64)와 동심이 되도록 일체로 또는 1차피동기어(64)의 회전중심에 압입되어 일체로 회전되게 2차구동기어(67)가 구비된다. 상기 2차구동기어(67)는 상기 장착브라켓(50)의 제2통공(5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2차구동기어(67)는 상기 구동휘일(40)에 고정된 2차피동기어(69)와 치합된다. 상기 2차피동기어(69)는 링형상으로 그 내주면을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차피동기어(69)의 회전중심은 상기 구동휘일(40)의 회전중심과 동심이다.
한편, 상기 장착브라켓(50)의 일면에 설치된 1차피동기어(64) 등을 차폐하기 위해 커버(70)가 사용된다. 상기 커버(70)에는 각각 상기 1차구동기어(60)와 1차피동기어(64)의 지지를 위한 베어링(62)(65')이 지지된다.
다음으로 도 4에는 상기 구동모터(58)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구동휘일(40)의 관통부(41)외부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구동모터(58)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구동휘일(40)의 관통부(41) 내부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핸드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동시킬 때는 상기 구동모터(58)를 구동시켜 구동휘일(40)이 회전되게 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58)가 회전하면 회전축(59)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59)에 구비된 1차구동기어(60)가 1차피동기어(64)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1차구동기어(60)와 1차피동기어(64)사이의 치합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1차피동기어(64)에는 상기 2차구동기어(67)가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1차피동기어(64)의 회전에 의해 상기 2차구동기어(67)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2차구동기어(67)와 치합되어 있는 2차피동기어(69)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2차피동기어(69)는 상기 구동휘일(40)에 장착되어 있어, 2차피동기어(69)가 회전되면 구동휘일(40)도 회전된다. 여기서도, 상기 2차구동기어(67)와 2차피동기어(69)사이의 치합에 의해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8)의 구동력이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휘일(40)로 감속되어 전달되므로, 상대적으로 중량물인 화물이 화물상차대에 안착되더라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58)가 상기 구동휘일(40)의 관통부(41)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이면, 전체 구동장치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핸드팔레트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는 핸드팔레트의 이동을 위한 구동휘일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형성되는 관통부에 설치되므로 핸드팔레트의 구성을 상대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어배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고속회전하는 소형모터를 사용하여 핸드팔레트를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중량물인 화물을 작업자가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핸드팔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구동모터가 사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구동모터가 사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구동휘일 41: 관통부
50: 장착브라켓 51,51': 제1 및 제2 통공
52: 회전중심축 53: 통공
54,54': 베어링 56: 모터장착판
56': 통공 58: 구동모터
59: 회전축 60: 1차구동기어
62: 베어링 64: 1차피동기어
65: 베어링 67: 2차구동기어
69: 2차피동기어 70: 커버

Claims (4)

  1. 화물이 얹어지는 화물상차대를 구비하고 구동휘일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핸드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구동휘일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휘일의 회전중심을 포함하는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전달하여 상기 구동휘일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1차구동기어와,
    상기 1차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휘일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박스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1차피동기어와,
    상기 1차피동기어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2차구동기어와,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2차구동기어가 내접하게 치합되도록 내주를 둘러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휘일과 일체로 설치되는 2차피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구동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휘일의 회전중심에는 본체측과 연결되는 기어박스커버에 구비되는 회전중심브라켓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팔레트용 구동장치.
KR1020030089795A 2003-12-10 2003-12-10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KR20050056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95A KR20050056741A (ko) 2003-12-10 2003-12-10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95A KR20050056741A (ko) 2003-12-10 2003-12-10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741A true KR20050056741A (ko) 2005-06-16

Family

ID=3725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795A KR20050056741A (ko) 2003-12-10 2003-12-10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67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42B1 (ko) * 2009-08-18 2012-02-28 진을숙 팔렛트 운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42B1 (ko) * 2009-08-18 2012-02-28 진을숙 팔렛트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0426B2 (ja) 床上運搬車用の駆動ユニット
CN109153326B (zh) 行星架和行星齿轮变速器
US20080041654A1 (en) Transmission
US4172616A (en) Cutting head with self-contained power source
US3982443A (en) Power take-off unit
JP5276572B2 (ja) 作業用車両の終減速装置
US7383933B2 (en) Hybrid electro-mechanical transmission with secured hub for park pawl loading and method
US9315365B2 (en) Lifting assembly
KR20050056741A (ko) 핸드 팔레트용 구동장치
CN106895116A (zh) 带单向离合器的行星传动装置
US20210332871A1 (en) Gear driving device for automotive movable parts
JPS60102400A (ja) 自動車用ジヤツキ操作装置
US11433532B2 (en) Robot joint structure
FI93941C (fi) Nostin
EP0131380A1 (en) Hoist
KR20180105409A (ko) 워엄을 이용한 스윙 베어링 감속기
KR20180105412A (ko) 스윙 감속기
US20230382356A1 (en) Axle assembly having a differential brake
KR100626750B1 (ko) 하이포이드 기어를 가지는 감속장치
JPH02956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装置
KR100582699B1 (ko) 지게차용 전동드라이브 액슬장치
KR20040069556A (ko) 지게차용 전동드라이브 액슬장치
JP2016068532A (ja) ミキサ車及びミキサ車のドラム緊急駆動具
JPH07157092A (ja) コンテナキャリアの駆動装置
KR20210074949A (ko) 캘리퍼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