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324B1 - Ip 연결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Ip 연결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324B1
KR101119324B1 KR1020070028265A KR20070028265A KR101119324B1 KR 101119324 B1 KR101119324 B1 KR 101119324B1 KR 1020070028265 A KR1020070028265 A KR 1020070028265A KR 20070028265 A KR20070028265 A KR 20070028265A KR 101119324 B1 KR101119324 B1 KR 10111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ress
base station
message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674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4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53Lease time; Renewa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5Types of network names containing special prefi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특히, 이동/고정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 IP주소 설정절차를 간략화할 수 있는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할 때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상기 단말의 IP주소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로 알려줌으로써 단말은 상기 IP주소의 재설정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IP주소를 설정한다.
IP주소 설정 절차

Description

IP 연결 설정 방법{METHOD FOR IP CONNECTIVITY ESTABLISHMENT PROCEDURE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 적용되는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서 사용되는 레인징 (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3은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하향링크(DL) 트래픽이 존재하여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등록절차를 통하여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주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하향 링크 트래픽이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레인징 절차를 통해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하향 링크 트래픽이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레인징 절차를 통해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상향 링크 트래픽이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등록 절차를 통해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서 사용되는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
도8은 핸드오버시 레인징 절차를 통해 단말로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 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핸드오버시 등록절차를 통해 단말로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10a 및 10b는 DHCP의 경우, DHCP 서버가 단말(MSS)과 같은 망에 존재할 때, 서브넷의 변경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11a 및 11b는 DHCP의 경우, DHCP 서버가 단말(MSS)과 다른 망에 존재할 때, 서브넷의 변경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고정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 IP주소 설정절차를 간략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는 이동(또는 고정)단말 (예를 들어, 이동국, 이동 가입자국, 사용자 단말, 사용자 기기, 등)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휴지모드(Idle Mode)를 지원하고 있다. 상기 휴지모드에서 호출영역(Paging Zone)은 호출그룹(Paging Group)이라는 다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전체 영역으로 정의되며, 동일한 호출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은 같은 값의 호출주기 (Paging_Cycle)와 호출오프셋(Paging_Offset)을 가진다.
이동 단말은 기지국으로 휴지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고, 기지국은 자신의 호출영역 ID(Paging-group ID)과 그에 따른 호출주기 및 호출오프셋을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단말은 휴지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휴지모드동안 단말은 약속한 호출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broadcast)형태로 전달되는 호출을 통하여 계속 휴지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전송해야할 트래픽(데이터 패킷 등)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언제든지 휴지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휴지모드에 있던 단말이 다른 호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동기를 상실하는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호출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휴지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에게 전달해야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호출을 통하여 단말로 하여금 휴지모드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에게 전달해야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호출 메시지의 동작코드 (Action code)를 enter network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 또는 단말이 상향으로 보낼 데이터가 있을 경우 단말은 IP주소설정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상기 절차는 호출을 수신한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망 국번 (Network prefix)이 동일한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지만 종래에는 Network Prefix를 비교하는 절차가 제공 되지 않기 때문에 생략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휴지모드는 다음의 동작 및 단계들로 구성된다.
- 이동단말의 휴지모드 개시
- 셀 선택
- 단말의 호출메시지 방송시간 동기화
- 단말 호출 비가용 주기
- 단말 호출 청취 주기
- 기지국 호출 방송 메시지 전송 주기
- 기지국 호출 방송 메시지
- 호출 가용 모드 종료
이들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은 기지국 호출 방송 메시지이다.
기지국 호출방송 메시지는 기지국을 통하여 또는 다른 망 요소를 통하여 특정 이동 단말에게 현재 지연된 하향링크의 트래픽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상기 호출방송 메시지는 기지국 호출방송 메시지 전송기간동안 방송 CID로 전송이 되어야 하며, 호출이 필요한 이동 단말의 수와 관계없이 전송기간동안 전송되어야 한다.
상기 기지국 호출방송 메시지는 전송하는 기지국의 논리적 소속을 나타내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호출 그룹 ID를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기지국 호출방송 메시지에서 이동 단말은 이동 단말 MAC 주소 hash로 구분되며, 하나의 기지국 호출방송 메시지는 복수의 MAC주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호출방송 메시지는 이동 단말 MAC 주소 hash로 구분되는 각 이동 단말에 대하여 동작 코드(Action Code)를 전송 해야 하는데, 상기 동작 코드는 다음과 같다.
- 00: no action required
- 01: perform Ranging to establish location and acknowledge message
- 10: perform initial network entry
- 11: reserved
상기 동작코드 중에서,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을 때 전송하는 기지국 호출 방송 메시지는 동작코드 '10'을 전송하고, 단말은 상기 동작코드에 따라 network entry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휴지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이 하향링크로 수신할 데이터가 있어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을 받거나 또는 상향링크로 보낼 데이터가 있을 때 이동 단말은 반드시 IP주소를 다시 설정해야 한다.
즉, 휴지모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이 다른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보류(연기)된 하향 링크로의 데이터가 있다는 호출 방송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은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IP Subnet, Prefix, Access Router(NetID)가 이전에 이동 단말이 사용하던 것과 동일할 경우 IP주소 설정 절차를 생략 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로 휴지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이 보낼 데이터가 있어 기지국과 등록절차를 수행할 때, 기지국은 이전에 수신한 단말이 사용하던 IP Subnet, Prefix 및 Access Router(NetID)와 현재 기지국내에서 사용 가능한(사용하는) IP Subnet, Prefix 및 Access Router (NetID)를 서로 비교하여 IP주소 재 설정여부를 이동 단말로 알려 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IP Subnet, Prefix 및 Access Router(NetID)를 비교할 수 있는 절차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이 상향 혹은 하향 링크 데이 터가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마다 IP주소 설정 절차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를 위한 과정은 전 처리과정, 핸드오버과정 및 drops and corrupted HO attempts로 구성되어 되어 있다.
1. 핸드오버를 위한 전처리 과정
IEEE 802.16e의 핸드오버를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는 주변 기지국과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에서 방송하여 단말들에게 알리는 과정(Network Topology Advertisement)과,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인접 기지국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과(MSS scanning of neighbor BS), 선택적으로 인접 기지국과 초기 단말 전력값 및 동기를 위한 시간차등을 맞추는 과정(Association Procedures)으로 구성된다.
* Network Topology Advertisement
기지국은 망 구성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MOB_NBR-ADV MAC(Medium Access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셀내의 모든 단말에게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여 셀내의 단말에게 주변 기지국의 정보를 알려준다.
* MSS scanning of neighbor BS
단말은 핸드오버를 위해서 주변 기지국을 검색해야 하는데 주변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주기(Scanning interval)를 MOB_SCN-REQ MAC 메시지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요청하고,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MOB_SCN-RSP MAC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이 주변 기지국을 검색할 수 있는 주기를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없이 직접 MOB_SCN_RSP MA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Unsolicited request). 이때 기지국이 할당하는 검색주기 및 검색시작을 위한 오프셋단위는 모두 프레임 단위로 할당된다.
* Association Procedure
Association과정은 단말이 기지국과 레이징(Ranging) 과정(단말이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셀에 정상적으로 합류하는 과정으로서, 단말은 기지국을 검색하여 새로운 기지국을 선택하면 Association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Association은 RNGREQ MAC 메시지를 단말이 전송하고, 기지국은 RNG-RSP MAC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의 전력 오프셋값 및 타이밍 오프셋값 등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RNG-REQ MA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초기 레이징(Initial Ranging) 동작이라고 하며 상기 동작은 IEEE 802.16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으로서, 단말이 망 진입(Network Entry)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동작이 된다. 핸드오버(HO)에서 새로운 단말을 받아들인 목표(Target) 기지국은 특정 단말이 자신의 셀에 Association된 사항을 단말이 이전에 속했던 서빙(Serving) 기지국으로 전송한 다음 단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2. Handover (HO) Process
상기 핸드오버 전처리 과정에서 획득한 인접 기지국과의 채널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은 핸드오버를 시작하게 된다.
* Cell Selection
셀 선택 동작은, 단말이 셀에 정상적으로 등록하기 전에 현재 셀의 기지국에 서 전송하는 신호의 신호대간섭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SINR)보다 우수한 신호의 SINR를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으로 새롭게 등록하기 위해서 셀을 바꾸는 동작이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이 아직 등록과정을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말의 이동을 전혀 알 수 없다. 도 2는 IEEE 802.16e의 셀 선택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 HO Initiation
핸드오버 개시는 기지국(BS)과 이동 단말(MSS)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경우 기지국은 MOB_BSHO-REQ MAC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경우 단말은 MOB_MSSHO-REQ MAC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이 MOB_MSSHO-REQ MAC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SINR을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핸드오버시 목표 기지국이 될 수 있는 후보 기지국을 현재의 서빙(Serving)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MOB_MSSHO-REQ MAC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자신이 단말을 핸드오버시키기 위해서 전송하는 MOB_BSHO-REQ MAC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주변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단말을 핸드오버시키기 위한 응답(ACK)을 확인한 다음 단말의 핸드오버를 허용하게 된다. MOB_BSHO/MSSHO-REQ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또는 기지국은 MOB_MSSHO/BSHO-RSP MAC 메시지를 전송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목표 기지국을 알려주게 된다.
* 핸드오버 취소(HO cancellation)
단말 또는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서 MOB_MSSHO/BSHO-REQ MAC 메 시지를 전송한 후 단말은 핸드오버를 취소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OB_HO-IND MAC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세팅(HO_Type=01)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핸드오버를 중지시키게 된다.
* 서빙 기지국과 단절(Termination with the serving BS)
단말은 MOB_HO-IND MAC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핸드오버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고 핸드오버 동작을 완료한다. 이때 단말은 MOB_HOIND MAC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세팅(HO Type=00)하여 정상적으로 핸드오버가 종료되었음을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MOB_HOIND MAC 메시지를 수신되면 핸드오버한 단말에게 할당되었던 MAC state machine, ARQ connection 및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모든 접속을 종료하게 된다.
* 핸드오버 거절(HO rejection)
단말은 기지국이 권고한 핸드오버를 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단말은 MOB_HO-IND MAC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세팅(HO Type=10)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거절 메시지를 수신하면 목표 기지국을 다시 구성하여 단말로 MOB_BSHORSP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3. Drops and Corrupted HO Attempts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Downlink)의 복조가 불가한 경우 또는 핸드오버 이후에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NGREQ MAC 메시지에 대한 RNG-RSP MAC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NG-REQ MAC 메시지의 전송 제한 횟수에 걸리는 경우에는 통신을 종료한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원하는 목표 기지국으로 망 진입(Network Entry)과정을 재 수행하여 접속을 복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 목표 기지국으로 재진입(Re-entry with the target BS)
핸드오버를 수행한 단말은 목표 기지국으로 새로운 망 진입(Network Entry)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목표 기지국 뿐만 아니라 주변 기지국도 재진입 (Re-entry)을 위한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단, 기지국 입장에서 재진입은 일반적인 망 진입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 하향링크 동기화 및 파라미터 획득(Synchronization with Downlink and obtain parameters)
핸드오버를 수행한 단말은 목표 기지국의 하향링크 신호를 검출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이루고, 기지국이 전송하는 MOB_NBR-ADV MAC 메시지를 수신하여 주변 기지국의 상황을 파악한다. 이외에 단말은 일반적인 망 진입 과정과 동일한 동작 즉, DL_MAP 및 DCD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 상향링크 파라미터 획득(Obtain uplink parameters)
핸드오버를 수행한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파라미터를 획득한 다음 상향링크 파라미터를 UL_MAP MAC 메시지 및 UCD 메시지등을 통해서 수신하게 된다.
* 레인징 및 상향링크 파라미터 조정(Ranging and uplink parameters adjustment)
핸드오버를 수행한 단말은 새로운 기지국으로 레인징(Ranging)을 시도한다. 상기 레인징 동작은 IEEE 802.16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으로서, 단말은 자신의 48비트 길이의 MAC주소를 기준으로 기지국이 할당한 Ranging opportunity (레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간)를 통해 경쟁 할당 방식의 레이징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레인징 동작을 통해서 단말은 목표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기본 ID (Basic ID)와 주관리 ID (Primary management ID)를 할당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UL_MAP MAC 메시지에 삽입되어져 전송되는 Fast_UL_ranging IE를 단말이 수신하여 상향링크 파라미터를 획득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인징 동작을 위해서 할당받는 Ranging opportunity는 일반적인 망 진입을 위한 초기 레인징(Initial Ranging) 동작에서와 달리 무경쟁 (Contention-free)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 단말 재인증(MSS re-authentication)
단말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한 인증과정으로서, PKM (Private Key Management)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인증과정이 발생하며 기존의 security context는 변경없이 인증과정이 수행된다.
* Re-register and Re-establish Provisioned Connections
기지국은 이미 단말의 48비트 MAC 주소를 수신한 상태이고 단말의 인증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으므로 정상적인 단말의 등록과정이 수행된다. 단말은 REG-REQ MAC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절차를 시작하고, 기지국은 REG-RSP MAC메시지를 전송하여 핸드오버되기 전 단말의 provisioned connection을 재 설정하여 정상적인 IP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한 후 IP 재설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Subnet이 동일할 경우에는 IP재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를 알 수 없고 매번 단말이 이동을 할 경우 IP주소 재설정을 하게 된다. 즉,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 한 후 IP주소 설정이 필요 없이 이전 IP주소를 사용 가능한 경우(예를 들어 IP subnet이나 Foreign Agent이 동일한 경우)에도 종래에는 이동한 후 반드시 IP주소 설정을 수행 해야 했다. 따라서, 동일한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음에도 주소 재설정을 함으로써 핸드오버시 불필요한 시간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IP주소 설정절차를 간략화할 수 있는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단말이 새 연결점(point of attachment)과 관계를 맺을 때 마다 (예를들어, 핸드오버 실행, 유휴모드에서 수신모드로 변경 등) 항상 IP 주소 재설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 IP 주소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새 IP 주소를 설정해야 하는지를 고려하여 IP 주소 재설정이 실제적으로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이 이하 설명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IEEE 802.16과 같은 IEEE의 여러 워킹 그룹들에서 진행중인 연구 및 개발과 관련있으며, 이들에 이용되는 개념과 기술 내용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여러 종류의 망들과 통신 기술들을 연동(interworking)하는 작업, 예를 들어, IEEE망과 셀률러 망들(예를 들어, 3G 망)간의 호환성을 이루기 위한 노력 등이 진행됨에 따라, 본 발명이 이러한 호환성을 이루는데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무선 접속 시스템과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들을 고려하면, 망 계층에서,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패킷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서, 인터넷 프로토콜(IP)이 패킷들을 위한 주소설정(addressing) 및 라우팅(routing)을 제공한다. 여기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각 장치(사용자 단말, 이동 단말, 무선 접속 장치, 등)는 제대로 인지되고 다른 장치들과 구분될 수 있게 IP 주소의 설정이 필요하다.
IPv4 및 IPv6라고 불리는 인터넷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었다. 32-비트 주소들을 이용하는 IPv4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각 장치가 자기만의 IP 주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터넷 통신의 증가로 인하여 한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32-비트 주소들이 곳 고갈되기 때문에, 128-비트를 이용하는 IPv6라는 개선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이 이동성(mobility)을 가졌기 때문에 (즉, 이동 단말이기 때문에) IP 주소 설정을 더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핸트오버를 실행할 수 있는데, 단말이 한 특정 영역을 맡은 기지 국에 의해 관리되다가 이동하면 다른 영역을 맡은 다른 기지국에 의해 관리돼야 한다. 즉, 제 1 서브넷 (망의 일부)에 있는 이동 단말이 제 2 서브넷(망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한다. 또 다른 예로는 시용자 단말이 동작 모드를 유휴(idle)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바꿀때가 있는데, 이는 전력 소비 방지 동작 모드의 예로서 이동성이 있는 단말이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핸드오버 또는 유휴모드 상황에서, IP 주소설정이 적당한 때에 이루어져야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수신을 차질없이 할 수 있다.
종래 기술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탬에서는, 핸드오바 과정에서 소위말하는 "관리되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가 끝난 후에 제 2 연결 지시자(CID)를 획득하여 IP 주소 재설정을하고 IP 통신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새 연결점(기지국)으로 이동한 이동 단말이 관리된 이동 단말이면, 외부 에이전트 또는 새 연결점(기지국)과 연결된 DHCP 서버에 의해 할당될 수있는 서브넷에 상관없이 IP 주소 재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IP 주소 재설정을 언제 해야할지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MAC 계층에서 IP 계층의 결정을 알수 없기 때문에, IP 주소 재설정을 단말에게 알릴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연결점(기지국)은 백본 메시지(또는 다른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P 주소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이 IP 주소 재설정 절치들의 수행여부를 MAC 계층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한다.
연결점(기지국)의 MAC 계층이 IP 주소 설정이 필요한지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기때문에 핸드오버 절차들이 간략해질수 있고 핸드오버 이후에 통신을 재개하 는데 시간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이동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IP주소 설정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또는 연결점: point of attachment) 이 판단하여 단말로 알려줄 수 있는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은,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할 때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상기 단말의 IP주소의 재설정 여부를 기지국(또는 연결점)이 판단하여 상기 단말로 알려준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망 진입을 시도하는 목표 기지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IP주소의 재설정 여부는 레인징 응답메시지 또는 등록 응답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이전에 사용하던 IP Subnet, Prefix 및 Access Router(NetID)와 현재 자신이 사용 가능한(사용하는) IP Subnet, Prefix 및 Access Router (NetID)를 서로 비교하여, 단말의 IP주소 재 설정여부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사용하는 network prefix ID(NetID)가 변경되면, 그 변경된 NetID를 레인징 응답 메시지 또는 등록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network prefix ID(NetID)가 변경된 경우에만 IP주소의 재설정 여부를 레인징 응답 메시지 또는 등록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전달한다.
본 발명은 이동/고정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할 때 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사용되는 IP Subnet, Prefix, Access Router, Foreign Agent의 변화(NetID)에 따라 주소 설정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단말이 현재 하향 링크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호출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향링크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할 때 단말의 IP주소 재 설정 여부를 기지국이 판단하여 단말에 알려줌으로써 필요에 따라 IP주소 재 설정 절차를 생략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오버 과정중에서 이동한 후 IP주소의 재설정 여부를 기지국(또는 연결점)이 판단하여 단말로 알려줌으로써 필요에 따라 IP주소 재설정 절차를 생략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할 때의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서는, 등록응답 메시지(REG-RSP),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 및 호출방송 백본 (Backbone) 메시지등이 정의된다.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 등록 절차를 수행 할 때 새로운 기지국(Target BS)이 이전 기지국(Serving BS)으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P주소 관련된 ID와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또는 사용 가능한) ID를 비교하여, 두 ID가 다를 때 IP 재설정 요구비트(re-establishment required bit)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상기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는, 이동단말이 핸드오버 후 새로운 기지국과 레인징을 할 때 새로운 기지국이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P주소 관련된 ID와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또는 사용 가능한) ID를 비교하여, 두 ID가 다를 때 IP 재설정 요구비트(re-establishment required bit)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따라서, 상기 새로운 기지국(Target BS)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 또는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단말의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상기 호출 방송 백본 메시지는 동일한 호출(Paging) 영역에 속하는 기지국들은 휴지모드로 전환한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또는 휴지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이동 단말이 등록 해지를 요청한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될 트래픽이 도착하였을 때 그 사실을 호출 영역내의 다른 기지국에 알리기 위해서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출 방송 백본 메시지는 이동 단말이 사용하던 network prefix ID(Net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다음의 도 1 및 도 2는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와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의 포멧을 나타낸 일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는 bit #2를 통하여 단 말의 IP주소 재할당 여부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는 새로운 기지국이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P주소 관련된 ID와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또는 사용 가능한) ID를 비교하여, 두 ID가 다를 경우에는 단말에게 NetID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it #2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NetID변경지시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IP주소를 재설정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도 bit #2를 통하여 단말의 IP주소 재할당 여부를 나타내며, 다름 비트를 통하여 단말에게 NetID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bit #0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말은 상기 NetID변경지시가 설정된 경우 IP주소를 재설정하게 된다.
도 3은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하향링크(DL) 트래픽이 존재하여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등록절차를 통하여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주는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휴지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이동 단말은 기지국과 등록 해지 요청/응답 (DREG_REQ/DREG_RSP)를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은 휴지모드로 들어간 단말의 정보를 동일 호출영역(Paging zone)내에 있는 모든 기지국들에게 방송한다(Paging-announce). 이를 통해서 호출주기마다 상기 단말이 수행해야 할 절차를 기지국들에게 알려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호출 방송 백본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호출 방송 백본 메시지에는 단말의 MAC 주소와 함께 이동 단말이 사용하던 IP주소에 해당하는 Network Prefix ID(NetID)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후, 휴지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은 전송해야 할 트래픽(상향 트래픽)이 발생하거나 또는 수신해야 할 트래픽(하향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은 휴지 모드를 종료하고 망 진입(Network entry)를 수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망 진입(Network entry)절차를 수행하는 기지국(BS#3)은 이동 단말이 등록 해지한 기지국(BS#1)으로부터 수신한 network prefix ID((NetID)와 현재 자신이 사용 가능한 network prefix ID(NetID)를 비교하여, 이동 단말의 IP주소 재설정 필요 여부를 레인징 절차시(RNG-RSP를 통해) 또는 등록 절차시(REG-RSP를 통해) 이동 단말에 알려 준다.
따라서, 이동 단말은 RNG-RSP 또는 REG-RSP메시지를 근거로 IP주소 재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IP주소 재설정이 필요 없는 경우 IP주소 재 설정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보다 신속히 통신을 재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망과의 핸드오버를 위하여 IP주소와 관련된 ID가 변경되었을 때는 이를 기지국이 단말로 레인징 또는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로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등록 응답 메시지에 설정 여부 bit를 설정해서 알려 주는 방법
2.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설정 여부 bit를 설정해서 알려 주는 방법
상기 1 및 2의 경우는 network prefix ID (NetID)가 변경 되었을 경우 이를 각각 레인징 응답 메시지와 등록 응답 메시지에 별도로 변경된 ID를 단말에 알려 준다.
3. Network prefix ID (NetID)가 변경 됐을 경우만 레인징 응답 메시지 또는 등록 응답 메시지를 통해 이동 단말에게 알려 준다. 이를 수신하면 단말은 IP주소 설정 절차를 수행하고 전달된 Network Prefix ID(NetID)를 저장한다.
도4는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하향 링크 트래픽이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레인징 절차를 통해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하향 링크 트래픽이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레인징 절차를 통해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이다.
도6은 휴지모드에 있는 단말이 상향 링크 트래픽이 있어 휴지모드를 종료할 때 등록 절차를 통해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예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단말의 핸드오버시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서는, 등록응답 메시지(REG-RSP),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 및 핸드오버 확인(HO-confirm) 메시지등이 정의된다.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 등록 절차를 수행할 때 새로운 기지국이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P주소 관련 ID와 현재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ID를 비교하여, 두 ID가 다를 때 IP 재설정 요구비트(re-establishment required bit)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그리고, 상기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RNG-RSP)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후 새로운 기지국과 레이징을 할 때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IP주소 관련된 ID와 현재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ID를 비교하여, 두 ID가 다르면 IP 재설정 요구비트(IP re-establishment required bit) 비트를 설정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 수행시 이전 기지국이 새로운 기지국으로 이동 하려는 이동 단말의 IP주소 관련된 메시지를 백본 (Backbone)을 통해 전달하는 메시지이다. 따라서, 상기 메시지들을 통하여 새로운 기지국(target BS)은 이동한 단말의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REG-RSP)와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 (RNG-RSP)의 포멧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의 포멧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시작하는 경우와 기지국의 결정에 의해 망이 핸드오버를 시작하는 경우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핸드오버를 할 때는 이전 기지국(Serving BS)으로부터 새로운 기지국 (Target BS)으로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HO-Confirm)가 백본(Backbone)으로 전달되어 진다. 상기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HO-Confirm)에는 이동하는 단말의 IP주소와 관련된 ID(NetID=xxx)를 포함하여 전달하면 새 기지국은 이를 이용해 자기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IP주소 관련된 ID(NetID)와 비교하여 이 결과를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를 한 후 레인징 또는 등록 절차를 수행 할 때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단말은 IP주소를 재 설정해야 하는지 아니면 이전에 사용하던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이전 기지국과 새 기지국의 IP subnet이 동일 한 경우나 FA(Foreign Agent)가 동일 한 경우 등에 핸드오버시 단말이 IP주소를 재 설정할 필요를 줄임으로써 매번 IP주소 설정으로 발생하는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망과의 핸드오버를 위하여 IP주소와 관련된 ID가 변경 되었을 시는 이를 기지국이 단말에 레인징 혹은 등록 응답 메시지에 담아 알려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단말의 IP주소 설정방법에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에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줄 수 있는 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이하게 3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도 8은 핸드오버시 레인징 절차를 통해 단말로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동작을 도시한 한 예이다.
도 9는 핸드오버시 등록절차를 통해 단말로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 주는 동작을 도시한 한 예이다.
본 발명이 IP 연결 설정 절차들을 최소화하는 것과 관련 있다고 할 수 있다. IEEE 802.16에서는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및 Mobile IP을 사용하여 IP 주소들을 단말(MSS: Mobile Subscriber Stations)들에게 할당하고, 목표(target) 기지국(BS)으로 MSS 핸드오버가 끝나면, IP 연결 재설정이 필요하다. 구러나, 타겟 BS 에서 동일한 서브넷을 이용하거나 또는 새 BS에 동일한 외부 에이전트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IP 연결 재설정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며, MSS는 동일한 IP 조소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하는 MSS를 위해 서브넷 변경 또는 외부 에이전트 변경을 판단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MSS가 새 BS로 이동할 때, MSS의 서브넷 변경 또는 외부 에이전트 변경을 판단하기 위해, 새 BS는 벡본 메시지를 통해 제공되는 서브넷 변경 지시를 MSS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망 ID는 서브넷 프리픽스(Prefix), 접속 라우터, 또는 외부 에이전트를 대표할 수 있다. 하나의 BS는 망 설정에 따라 한 개 이상의 NetID를 가질 수도 있다.
현재 IEEE 802.16에서는 IP 재설정을 위한 지시를 MSS에게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IP 연결을 재설정 해야할 필요 여부에 대한 결정을 MSS가 할 수 있게 해결책을 제공한다. MSS의 IP 관련 정보를 백본을 통해서 타겟 BS에게 줌으로써, 타겟 BS가 IP 재설정에 대한 지시를 MSS에게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MSS 핸드오버가 끝나면, 서브넷 변경과 관계없이 새 IP 할당 절차가 필요하다. 그러나, 새 BS에 대하여 망의 서브넷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MSS는 이전 BS에서 사용하던 이전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DHCP의 경우, 새 BS에 대하여 망 서브넷이 변경되지 않았으면, MSS는 이전 BS에서 사용앴던 이전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IPv4의 경우, MSS가 새 BS로 이동하면, MSS가 모바일 IPv4를 이용하여 IP 연결을 재설정하는데 시간이 다소 걸렸다. 그러나, 새 BS에 동일한 외부 에이전트가 연결되어 있으면, MSS는 지연을 줄이기 위해 모바일 IP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MSS는 서브넷 또는 외부 에이전트가 이전 BS와 다른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가 필요하다. IP 주소 설정 방법에 따라 서브넷 변경 결정을 위한 정보도 다르다. 우선, 두 개의 IP 주소 할당 방법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는 DHCP를 이용하고, 다른 하나는 모바일 IPv4를 이용하는 것이다. DHCP 메시지 및 모바일 IPv4 메시지들이 제 2 관리 연결에 전달되기 때문에, BS들은 IP 관련 정보를 관측(monitor)하여 저장할 수 있다. MSS가 새 BS로 이동할 때, 이전 BS는 저장된 정보를 새 BS로 보내며 (예를 들어, MSS의 NetID를 백본을 통해서 보냄), 새 BS는 수신된 정보를 자체 저장 정보(예, NetID)와 비교하여 서브넷 변경에 대한 판단을 한다. MSS의 성공적인 핸드오버 이후에, 새 BS는 서브넷 변경에 대한 판단을 REG-RSP를 통하여 MSS에게 보낸다. 예를들어, 새 BS의 한 NetID가 이전 BS로부터 수신한 NetID와 동일하면, 새 BS는 IP 재설정이 필요없다는 지시를 REG-RSP의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LV"를 통해 MSS에게 알린다. NetID가 서빙 BS 또는 목표 BS 또는 이들 모두에 존재하지 않으면, 목표 BS는 IP 연결을 재설정하라는 지시를 MSS으로 보내야 한다.
이하, DHCP의 경우와 모바일 IP의 경우에 대하여 서브넷 변경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한 절차들을 설명한다.
도 10a, 10b, 11a 및 11b는 DHCP 경우의 예들을 도시하며, 도 10a과 10b는 DHCP 서버가 MSS와 같은 망에 존재할 때를, 도 11a와 11b는 DHCP 서버가 MSS와 다른 망에 존재할 때를 도시한다. 도 10a는 MSS가 전송하는 DHCP 메시지를, 도 10b는 MSS 메시지에 응답하는 DHCP 서버가 보내는 DHCP 메시지를 도시한다. 도 11a는 MSS에서 라우터(router)내의 릴레이 에이전트 (relay agent)에 의해 DHCP 서버로 전달되는 DHCP 메시지를, 도 11b는 DHCP 서버에서의 응답이 라우터 내의 릴레이를 통해 MSS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a 내지 11b를 참조하며, 서버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내의 릴레이 에이전트 IP 주소 및 서버 지시자를 이용하여 서브넷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달할 수 있다. 여기서, DHCP 메시지의 "giaddr"는 릴레이 에이전트의 IP 주소를 나타내며, server identifier 는 DHCP 서버를 나타내며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목적지 주소를 나타낸다.
모바일 IPv4의 경우, MSS는 자기 자체 움직임을 에이전트 광고 [IETF RFC 3220]의 ICMP 라우터 광고 [IETF RFC 1256] 부분 내의 lifetime filed 또는 망-프리픽스 [IETF RFC 3220]들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피리픽스-길이 확장을 가진 라우터 주소는 망-피리픽스를 나타낼수 있다. 그러나, 프리픽스-길이는 선택적인 파라메터이며, 프리픽스-길이가 없다면, 이 정보는 망-프리픽스를 결정하는 데 이용되면 안된다. 도 12는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의 일예를 도시한다.
DHCP의 경우, BS는 제 2 관리 연결상에 DHCP 서버로부터 MSS로 보내는 DHCP 오퍼(offer) 메시지를 듣고 "giaddr" 및 "Server Identifier"를 저장한다. 모바일 IP의 경우, BS는 외부 에이전트로부터 주기적인 에이전트 광고 메시지를 듣고, ICMP 라우터 광고 부분 내의 라우터 주소 및 에이전트 광고의 프리픽스-길이 확장 내의 프리픽스-길이 확장을 저장한다.
MSS가 새 BS로 이동할 때 목표 BS로 정보를 제공하여, 목표 BS는 MSS의 서브넷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목표 BS는 등록 응답 메시지(RSG-RSP)를 통하여 MSS가 IP 연결 재설정 여부에 대하여 알려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DHCP 관련 정보 및 IP 관련 정보를 관찰(monitor)할 수 있도록 BS를 위한 체계를 추가했다. 또한, 시간-길이-값 (Time-Length-Value: TLV) 파라미터들을 REG-RSP 메시지에 추가하여, IP 주소 재설정 절차의 시행 여부를 MSS 에게 지시한다.
이동망에 대해서, 목표 BS에는 MSS 핸드오버를 위한 REG-RSP 메시지 내에 IP Address Change Information TLV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TLV는 백본을 통해 이전 BS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MSS가 IP 연결 재설정 여부를 알린다. 만약 목표 BS가 판단을 못하면, 이 값은 1로 설정된다.
관리되는 MSS에 대하여, 새 BS 진입으로 인해 IP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3계층(Layer 3) 프로토콜 교환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MSS는 BS 변경에 대하여 적당한 감지 및 응답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IPv4 이동 검출과 재등록을 살시, 또는 모바일 IPv4 바인딩 갱신 (Binding Update)를 실시). MSS가 IP 연결 유지를 위해서, 새 BS는 MSS에게 IP 주소 변경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새 BS의 IP 주소 변경 지시는 백본을 통한 이전 BS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만들어진다. DHCP를 이용하고 제 2 관리 연결 상의 외부 에이전트로부터 보내는 에이전트 광고를 들어서, MSS의 IP 연결 설정을 관찰(모니터링)하여 이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표 1은 IP 주소 설정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다.
Name Type Length Value Scope
IP Address Establishment Information ?? variable Compound REG-RSP
이하, 표 2는 IP 주소 설정 정보에 있을수 있는 TLV 값들을 일예을 나타낸다.
Name Type Length Value Scope
DHCP IP address
establishment information
??.? 8 Relay agent's IP address in giaddr and the DHCP server IP address in the server identifier option in DHCP message REG-RSP
이하, 표 3은 IP 주소 설정 정보에 있을수 있는 TLV 값들을 일예을 나타낸다.
Name Type Length Value Scope
Mobile IP FA
address information
??.? variable Router Addresses in ICMP Router Advertisement portion and prefix-length extension in Prefix-Length Extension of an Agent Advertisement REG-RSP
이하, 표 4는 IP 주소 변경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필드는 핸드오버 후이 MSS가 IP 주소 재설정의 여부를 나타낸다. 비트값 '0'은 필요 없는 경우, 비트값 '1'은 필요한 경우를 나타낸다.
Name Type Length Value Scope
IP Address Change ?? 1 Bit #0: IP re-establishment required REG-RSP
이하, 표 5는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의 일예를 나타낸다.
Field Size Notes
Global Header 152 bits
For (j=0; j<Num Records; j++) {
MSS unique identifier 48 bits A unique identifier used by MSS (as provided to the BS on the RNG-REQ message)
BW Estimated 8 bits Bandwidth which is provided by BS (to guarantee minimum packet data transmission) TBD how to set this field
QoS Estimated 8 bits Quality of Service level
- Unsolicited Grant Service (UGS)
- Real-time Polling Service (rtPS)
- Non-real-time Polling Service (nrtPS)
- Best Effort Service (BE)
}
Relay Agent IP address 32 bits Relay Agent s IP address in giaddr in DHCP message
DHCP server IP address 32 bits DHCP server IP address in the server identifier option in DHCP message from the server
For (k=0; k<Num Router Addr; k++) {
Router Address 32 bits Router Addresses in ICMP Router Advertisement portion
Prefix-Length 8 bits Prefix-length extension in Prefix-Length-Extension of an Agent Advertisement
}
Security field TBD A means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또한, 본 발명은 IP 주소 재설정 절차들을 시행할 여부를 MSS에게 지시하는 REG-RSP 메시지 내의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LV"를 수정하여, "NetID" 및"HO-Confirm and Paging-announce" 백본 메시지들을 추가한다.
상기 IP 주소 설정 방법에는, I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BS는 SS 또는 MSS의 IP 연결 설정을 위해서 "Method for allocating IP address TLV"를 REG-RSP 메시지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TLV는 또한 MSS가 새 BS로 이동할 때 MSS가 IP 연결을 제설정해야할 여부를 나타낸다. IP 재설정 요구 비트는 백본상으로 이전 BS로부터 수신한 NetID에 따라 설정된다. 목표 BS가 결정을 못하면, 이 값은 '1'로 설정된다 (IP 재설정 필요).
이하, 표 6 및 7은 IP 주소 할당 방법의 일예들을 나타낸 것이며, 표 8은 HO-확인 메시지 포멧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9는 호출-통지 메시지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Type Length Value Scope
5.23 1 Bit #0: DHCP default
Bit #1: Mobile IPv4
Bit #2: IP re-establishment required
Bit #3-7: reserved; shall be set to zero
REG-REQ
REG-RSP
Type Length Value
17 1 Bit #0: DHCP
Bit #1: Mobile IPv4
Bit #2: IP re-establishment required
Bit #3-7: reserved; shall be set to zero
Field Size Notes
Global Header 152 bits
For (j=0; j<Num Records; j++) {
MSS unique identifier 48 bits A unique identifier used by MSS (as provided to the BS on the RNG-REQ message)
BW Estimated 8 bits Bandwidth which is provided by BS (to guarantee minimum packet data transmission) TBD how to set this field
QoS Estimated 8 bits Quality of Service level
- Unsolicited Grant Service (UGS)
- Real-time Polling Service (rtPS)
- Non-real-time Polling Service (nrtPS)
- Best Effort Service (BE)
}
NetID 8 bits Network ID of MSS
Security field TBD A means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Field Size Notes
Message Type=? 8 bits
Sender BS-ID 48 bits A BS unique identifier used by MSS (same number as that broadcast on the DL-MAP message)
Target BS-ID 48 bits Set to 0xffffff to indicate broadcast
Time Stamp 32 bits Number of milliseconds since midnight GMT (set to 0xffffff to ignore)
Num MSS 8 bits Number of MSSs to page
For (j=0; j<Num Records; j++) {
MSS MAC address 48 bits 48-bit unique identifier used by MSS (as provided to the BS on the RNG-REQ message)
NetID 8 bits Network ID of MSS
PAGING CYCLE
16 bits Bandwidth which is provided by BS (to guarantee minimum packet data transmission) TBD how to set this field
PAGING OFFSET 8 bits Quality of Service level
- Unsolicited Grant Service (UGS)
- Real-time Polling Service (rtPS)
- Non-real-time Polling Service (nrtPS)
- Best Effort Service (BE)
}
Security field TBD A means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CRC field 32 bits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휴지모드 모드에 있는 이동 단말이 망 진입절차를 수행할 때, 이동 단말의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한 기지국(또는 연결점)이 상기 단말의 Network prefix ID(NetID)를 동일 호출영역내 의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망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기지국(연결점)은 상기 NetID와 자기 기지국내에 사용되는 NetID를 비교하여 이동단말의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알려준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NetID가 변경되었을 경우 그 변경된 ID를 단말에 알려 주어 IEEE 802.16이 아닌 다른 망과의 핸드오버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오버 후 이동 단말이 IP주소 설정 절차를 수행 할 때 두 기지국간에 사용되는 Subnet이 동일하거나 같은 Foreign Agent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정보(NetID)를 이전 기지국이 새로운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상기 새 기지국은 전달된 NetID와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사용하는) NetID와 비교하여 IP주소 재설정 여부를 이동 단말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이 휴지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거나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IP주소 설정절차를 간략화함으로써 종래 IP주소 재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지연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무선 접속 기술에 대하여 설명된 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 이동성, 핸드오버, 유휴모드 등과 같은 유사한 점들이 있기에, WIMax, WiBro, Wi-Fi와 같은 현재 개발중인 여러 무선 접속 기술들도 본 발명의 특징들과 기술들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 명백하다.

Claims (7)

  1.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가 제 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단말의 네트워크 프리픽스 ID(Net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단말이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진입하기 위해 등록 절차를 해지한 네트워크 엔터티이며;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터티가 아이들 모드를 종료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network entry)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터티로부터 수신된 NetID와 상기 제 1 네트워크 엔터티가 현재 사용하는 또는 사용 가능한 NetID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단말의 IP 주소 재설정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IP 주소 재설정 필요(IP address re-establishment required) 필드를 상기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 재설정 필요 필드는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 재설정 필요 필드 값은 1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단말이 사용하는 NetID가 변경된 경우,
    상기 IP 주소 재설정 필요 필드는 상기 단말의 IP 주소 재설정을 지시하며, 상기 변경된 NetID는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KR1020070028265A 2004-05-10 2007-03-22 Ip 연결 설정 방법 KR101119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923804P 2004-05-10 2004-05-10
US60/569,238 2004-05-10
US57083604P 2004-05-14 2004-05-14
US60/570,836 2004-05-14
US57153704P 2004-05-17 2004-05-17
US60/571,537 2004-05-17
US57718604P 2004-06-07 2004-06-07
US60/577,186 2004-06-07
KR1020040041597 2004-06-08
KR20040041597 2004-06-0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142A Division KR101119372B1 (ko) 2004-05-10 2005-05-06 Ip 연결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674A KR20070048674A (ko) 2007-05-09
KR101119324B1 true KR101119324B1 (ko) 2012-06-12

Family

ID=3714938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142A KR101119372B1 (ko) 2004-05-10 2005-05-06 Ip 연결 설정 방법
KR1020070028265A KR101119324B1 (ko) 2004-05-10 2007-03-22 Ip 연결 설정 방법
KR1020070028266A KR101119389B1 (ko) 2004-05-10 2007-03-22 Ip 연결 설정 방법
KR1020070028264A KR101167937B1 (ko) 2004-05-10 2007-03-22 Ⅰp 연결 설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142A KR101119372B1 (ko) 2004-05-10 2005-05-06 Ip 연결 설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266A KR101119389B1 (ko) 2004-05-10 2007-03-22 Ip 연결 설정 방법
KR1020070028264A KR101167937B1 (ko) 2004-05-10 2007-03-22 Ⅰp 연결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0510B2 (ko)
KR (4) KR101119372B1 (ko)
CN (1) CN1985475B (ko)
IL (1) IL179082A (ko)
MX (1) MXPA060130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605633T3 (pl) * 2004-06-07 2013-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i sposób do przekazywania w systemie telekomunikacyjnym BWA
US7505775B2 (en) 2004-06-25 2009-03-17 Gi Seon Ryu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EP1767035B1 (en) * 2004-06-25 2014-08-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20060012242A (ko) * 2004-08-02 2006-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단말의 연계수행 방법
KR100885158B1 (ko) * 2004-08-09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단말의 주기적인레인징방법
KR100876771B1 (ko) * 2004-08-17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압축 방법과 스캐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670423B1 (ko) * 2004-11-04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주변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08119B1 (ko) * 2005-01-08 2007-04-16 학교법인 대양학원 무선 망에서 지역 에이전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및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17733B1 (ko) * 2005-01-22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시스템 및 방법
KR101119101B1 (ko) * 2005-02-16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US7885231B2 (en) * 2005-04-14 2011-0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20060274743A1 (en) * 2005-06-06 2006-12-07 Alper Yegi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device to learn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networks within its neighborhood
IL169503A (en) * 2005-07-03 2010-12-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0703416B1 (ko) * 2005-07-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수행 완료 통보 시스템 및 방법
US7747252B2 (en) * 2005-07-12 2010-06-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negotiation optimization for wireless system
US9184898B2 (en) * 2005-08-01 2015-1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time, frequency and spatial channel in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KR100957355B1 (ko) * 2005-08-25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Ⅰp 기반의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페이징시스템 및 방법
JP2007058743A (ja) * 2005-08-26 2007-03-08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省電力制御方法
KR100735265B1 (ko) * 2005-09-14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피 주소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0901373B1 (ko) * 2005-10-11 200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03802B1 (ko) * 2005-10-20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7933236B2 (en) * 2005-10-27 2011-04-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a wireless routing architecture and protocol
US9204420B2 (en) * 2006-01-25 2015-12-01 Alcatel Lucent QoS-aware p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72421B1 (ko) * 2006-03-06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최적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지원 장치 및 방법
EP1833274A1 (en) * 2006-03-08 2007-09-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fast handovers using dynamic router advertisements
KR20070097858A (ko)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손실 하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패킷 스위칭 무선통신시스템 및 하드 핸드오버 방법
US20070264979A1 (en) * 2006-04-25 2007-11-15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IP address in portable Internet network when interworking with different types of network
CN101064959B (zh) * 2006-04-30 2014-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城域网中网络侧发起移动终端进入空闲模式的方法
CA2651868C (en) * 2006-05-13 2014-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procedures for initial network entry and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8149843B2 (en) * 2006-06-28 2012-04-03 Cisco Technology, Inc. Capability exchange between network entities in WiMAX
KR20080008935A (ko) 2006-07-18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주소 선 설정 방법
US20080025250A1 (en) * 2006-07-28 2008-01-3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paging indication sequences in paging messages
JP4848890B2 (ja) * 2006-08-23 2011-12-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基地局
EP1912400A1 (en) * 2006-10-10 2008-04-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IP route optimization
KR101012007B1 (ko) * 2006-10-31 2011-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신호를스캐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953830B2 (en) * 2006-11-07 2011-05-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network reconfiguration upon changes in DHCP IP addresses
US8086235B2 (en) 2006-12-06 2011-12-2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CN101202768A (zh) * 2006-12-14 2008-06-18 昂达博思公司 允许移动设备ip地址的越区切换的系统和方法
WO2008076626A1 (en) * 2006-12-14 2008-06-26 Adapt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ip address handoff for mobile devices
KR101370824B1 (ko) 2007-05-16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소 설정에서의 지연을 줄이기 위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수행 방법 및 장치
US20080299973A1 (en) * 2007-05-29 2008-12-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rolled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EP2156680B1 (en) * 2007-06-19 2019-05-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paging occasions
CN101330644B (zh) * 2007-07-16 2011-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分组域多业务流寻呼许可控制的方法
KR101055109B1 (ko) * 2007-07-25 2011-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션 이동 방법 및 세션 연속성을 지원하는 방법
CN101394289B (zh) * 2007-09-18 2011-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超移动宽带接入网的计费方法
CN101399767B (zh) * 2007-09-29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移动时安全能力协商的方法、系统及装置
KR101481030B1 (ko) * 2007-10-17 2015-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장치 및 방법
JPWO2009101780A1 (ja) * 2008-02-12 2011-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位置情報管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エッジ装置並びに移動端末
US8200285B2 (en) * 2008-04-30 2012-06-12 Nokia Siemens Network Oy Initial eNode-B configuration over-the-air
JP5158194B2 (ja) * 2008-05-02 2013-03-06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移動機並びに方法
US8880705B2 (en) 2008-10-15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reation and release of proxy mobile IP connections
TWI393393B (zh) * 2008-12-01 2013-04-11 Inst Information Industry 閘道模組、通訊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US8615655B2 (en) * 2009-01-22 2013-12-24 Check Point Software Technologies, Ltd. Methods and devices for packet tagging using IP indexing via dynamic-length prefix code
EP2449836B1 (fr) * 2009-06-30 2017-02-15 Orange Procedes et noeuds pour l'activation d'un terminal de communication
US8266257B1 (en) * 2009-09-01 2012-09-11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amount of time required to reconnect to a computing network
KR101673592B1 (ko) * 2009-12-10 2016-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국 간 핸드 오버 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정보 갱신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16738A1 (en) * 2010-03-05 2011-09-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tation Acquisition
EP2421321B1 (en) * 2010-08-16 2017-12-2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mobile station for reestablishing a connection by way of NAS procedures
US20130044731A1 (en) * 2011-08-15 2013-02-21 Qualcomm Incorporated Proactive Feedback Transmissions During Handover Procedures
US10051521B2 (en) * 2012-11-27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Fast association and address continuity for handoff between unmanaged access points
WO2015005729A1 (en) 2013-07-12 2015-0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cation of cell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92494B2 (en) 2013-07-15 2016-07-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latency during initial link setup
CN104918328B (zh) * 2014-03-12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基站控制器
CN105450541B (zh) * 2014-08-29 2018-10-02 阿尔卡特朗讯 基于服务链路由应用数据包的方法与设备
US9949063B2 (en) 2015-06-01 2018-04-17 Apple Inc. Bluetooth low energy triggering NAN for further discovery and connection
CN114423017B (zh) * 2015-08-12 2024-04-0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自配置自优化的方法、系统及装置
US10945168B2 (en) 2016-04-20 2021-03-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ndover method
CN106210168B (zh) * 2016-07-06 2019-05-07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更换出口网关地址的方法和装置
US11678234B2 (en) * 2019-02-08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transmitting on pre-allocated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211187B1 (ko) * 2020-04-02 2021-02-01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 무선망 ip 주소 할당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85A (ko) * 2000-07-31 2002-02-07 무네유키 가코우 포지티브 감광성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사재료 및화상형성 방법
KR20020055848A (ko) * 2000-12-29 2002-07-10 박종섭 원거리 인증 서버를 이용한 동적 ip 주소 관리방법
KR20030020636A (ko) * 2001-09-04 2003-03-1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망 및 그 이동통신망의 호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3081A (en) 1993-11-01 1997-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758771A (ja) 1993-08-12 1995-03-03 Sharp Corp アドレス管理装置
JPH09331580A (ja) 1996-06-13 1997-12-22 Toshiba Corp メッセージ伝送サービス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3609624B2 (ja) 1997-08-01 2005-01-12 株式会社東芝 移動計算機装置、移動計算機管理装置、モバイル情報管理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GB2341059A (en) 1998-08-28 2000-03-01 Nokia Oy Ab Internet protocol flow detection
FI108200B (fi) 1998-09-14 2001-11-30 Nokia Mobile Phones Ltd Yhteyden vaihto matkaviestinverkkojen välillä
US6560216B1 (en) * 1998-09-17 2003-05-06 Openwave Systems Inc. Data network computing device call processing
US7136645B2 (en) 1998-10-09 2006-11-14 Netmotion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and other intermittent connectivity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6160804A (en) 1998-11-13 2000-12-12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ity management for a multimedia mobile network
KR100379459B1 (ko) 1999-02-12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US6504828B1 (en) 1999-03-11 2003-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handoff algorithms for mobiles operating in CDMA systems
US6622251B1 (en) 1999-04-07 2003-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to put a mobile terminal into sleep when a frame control channel containing a location of slow broadcast channel does not include wakeup information
US6704789B1 (en) 1999-05-03 2004-03-09 Nokia Corporation SIM based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DHCPv4/v6 messages
JP3440881B2 (ja) * 1999-06-08 2003-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ポロジ情報自動構築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590880B1 (en) 1999-10-15 2003-07-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handover in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ATE325481T1 (de) 1999-12-13 2006-06-15 Broadcom Corp Flexibler aufwärtsburst von profilparametern zur verbesserung von kurzen burst- impulsrauschsignalen
EP1111874A1 (en) 1999-12-20 2001-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Routing in mobile-IP Ad-Hoc networks
US6982967B1 (en) 2000-06-29 2006-01-03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roxy mobile nod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260638B2 (en) * 2000-07-24 2007-08-21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in a wireless network
US7698463B2 (en) 2000-09-12 2010-04-13 Sri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disseminating topology and link-state information to routing nodes in a mobile ad hoc network
US7218634B1 (en) 2000-10-10 2007-05-15 Nortel Networks Limited Assisted power-up and hand-off system and method
KR100520141B1 (ko) 2000-10-26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주소를 가지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JP3770874B2 (ja) 2000-11-21 2006-04-26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ipを使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地域的トンネル管理方法
JP2002186010A (ja) 2000-12-13 2002-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ノード位置管理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02063901A1 (en) * 2001-02-06 2002-08-15 Nokia Corporation Access system for a cellular network
US7065062B2 (en) 2001-02-16 2006-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IP mobility management at dormant hand-over in CDMA IP-based cellular packet-data network
WO2002067536A2 (en) * 2001-02-19 2002-08-2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mmunications network
US6965584B2 (en) 2001-02-27 2005-11-15 Telcordia Technologies, Inc. Dynamic forward assignment of internet protocol addresses in wireless networks
US6907016B2 (en) 2001-04-03 2005-06-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IP registration in selected inter-PDSN dormant hand-off cases in a CDMA2000-based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652608B2 (ja) 2001-05-16 2011-03-16 Kddi株式会社 モバイルipのデータ転送方法
US7283496B2 (en) 2001-10-17 2007-10-16 Alcatel Lucent Network paging system and method
JP3886795B2 (ja)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US7072340B2 (en) 2002-01-31 2006-07-04 Telcordia Technologies, Inc. Dynamic assignment and validation of IP addresses in wireless IP networks
JP2003274438A (ja) 2002-03-18 2003-09-26 Victor Co Of Japan Ltd 無線端末装置、回線制御装置、ip無線電話システム
JP3876741B2 (ja) 2002-03-27 2007-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トコル変換方法及び装置
US6973310B2 (en) 2002-06-26 2005-12-06 Qualcomm Inc. Fast reacquisition after long sleep
US7039404B2 (en) * 2002-06-27 2006-05-02 Intel Corporation Continuous mobility across wireless networks by integrating mobile IP and GPRS mobility agents
US6907033B2 (en) * 2002-07-16 2005-06-1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router advertisement information to a mobile node in a radio IP system
US7130614B2 (en) 2002-08-30 2006-10-31 Nokia Corporation Mobile unit attachment/update to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100513022B1 (ko) * 2002-09-10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데이터위치 저장기 공통 사용 방법 및 시스템
JP3663191B2 (ja) 2002-09-17 2005-06-2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
JP4082152B2 (ja) 2002-09-25 2008-04-3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20040122976A1 (en) * 2002-10-24 2004-06-24 Ashutosh Dutta Integrated mobility management
US20040085957A1 (en) 2002-11-01 2004-05-06 Sanjeev Verm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P connectivity to mobile nodes during handover
US7031328B2 (en) 2003-03-10 2006-04-18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traversing an IPv4 network by IPv6 mobile routers
KR20040092830A (ko) 2003-04-29 200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구간 설정 방법
KR100665457B1 (ko) 2003-04-3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에서의 상태 천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I20030967A (fi) * 2003-06-27 2004-12-28 Nokia Corp Yhteysasetusten valinta
US20050025164A1 (en) * 2003-07-16 2005-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amless hand-off of mobile node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7739394B2 (en) 2003-07-29 2010-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i-level addressing for internet protocol broadband access
KR101194031B1 (ko) 2003-12-02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Ip기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서로 다른 무선인터페이스를 갖는 기지국간 핸드오프 방법
US7860978B2 (en) 2004-01-22 2010-12-28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Establishing a secure tunnel to access router
US7768975B2 (en) 2004-03-29 2010-08-03 Telecordia Technologies, Inc. Fast handoff using GPS technology for mobile telematics
US7213057B2 (en) * 2004-03-31 2007-05-01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configuration of notebook computer based on lo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85A (ko) * 2000-07-31 2002-02-07 무네유키 가코우 포지티브 감광성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사재료 및화상형성 방법
KR20020055848A (ko) * 2000-12-29 2002-07-10 박종섭 원거리 인증 서버를 이용한 동적 ip 주소 관리방법
KR20030020636A (ko) * 2001-09-04 2003-03-10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망 및 그 이동통신망의 호 운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98) *
논문(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9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674A (ko) 2007-05-09
KR20060045949A (ko) 2006-05-17
CN1985475B (zh) 2012-10-31
KR20070050884A (ko) 2007-05-16
KR101119372B1 (ko) 2012-06-12
KR20070053174A (ko) 2007-05-23
MXPA06013012A (es) 2007-03-01
US7920510B2 (en) 2011-04-05
KR101167937B1 (ko) 2012-08-02
IL179082A (en) 2011-04-28
CN1985475A (zh) 2007-06-20
US20050272481A1 (en) 2005-12-08
KR101119389B1 (ko) 2012-06-12
IL179082A0 (en)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324B1 (ko) Ip 연결 설정 방법
JP4427577B2 (ja) Ip接続設定手順の簡略化
EP1599062B1 (en) Fast handover method for IEEE 802.11 wireless LAN networks
KR101119101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US8244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fast mobility IP with link identifier prefi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40757B2 (en) Handover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10530B1 (ko) 연결 중심 무선 링크를 가지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아이피 주소 구성 및 등록 방법
KR100800810B1 (ko) 브리지형 휴대 인터넷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08000893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p 주소 선 설정 방법
EP1281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gnin temporary identifiers to a mobile node during handover
WO2007012054A2 (en) Fmipv6 integration with wimax
KR101216081B1 (ko) 이종망 간 핸드오버 시의 ip 주소 재설정 방법
KR2006009751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60119128A (ko) Map 도메인 간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0657514B1 (ko)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dhcp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서브넷간 핸드오버 제공 방법
Dunmore et al. of Deliverable: Mobile IPv6 Handovers: Performance Analysis and
KR20090108286A (ko) 옥내용/옥외용 기지국으로 구성된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제어 방법
KR20090114019A (ko) 옥내용/옥외용 기지국으로 구성된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의옥내용 핸드오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