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690B1 -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690B1
KR101118690B1 KR1020090117624A KR20090117624A KR101118690B1 KR 101118690 B1 KR101118690 B1 KR 101118690B1 KR 1020090117624 A KR1020090117624 A KR 1020090117624A KR 20090117624 A KR20090117624 A KR 20090117624A KR 101118690 B1 KR101118690 B1 KR 10111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pallet
horizontal support
moving sp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087A (ko
Inventor
송창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에프
Priority to KR102009011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6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를 구성하는 이동공간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팔레트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수직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몸체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의 일측과 상부에는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을 상기 이동공간의 전, 후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수평 지지부의 이동공간의 전, 후에는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을 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간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의 상부에는 푸쉬 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을 90°간격으로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푸쉬 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팔레트에 상기 운반물을 낙하시키는 낙하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의 최종 포장단계 전에 상기 운반물을 삽입 및 회전작동시켜 팔레트의 상부에 용이하게 적재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운반물을 한정된 장소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몸체, 이송수단, 푸쉬 수단, 회전수단, 낙하수단.

Description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Transportation the load system for pallet}
본 발명은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을 최종 포장단계 전에 원하는 형태로 팔레트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한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 자동포장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유동하는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화장지 안착구와, 상기 화장지 안착구에 작업자가 직접 일정량의 화장지를 안착시키고 체인의 유동에 의해 화장지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를 거쳐 전달되는 화장지세트는 다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팔레트에 적재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지세트를 팔레트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대략 3 ~ 4명의 작업자가 번갈아 가면서 수작업으로 화장지세트를 적재해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장지세트를 팔레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적재시 일정하게 적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무게 중심이 어긋나게 화장지세트를 적재하게 되면 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화장지세트가 낙하하여 다시 적재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의 최종 포장단계 전에 상기 운반물을 삽입 및 회전작동시켜 팔레트의 상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운반물이 한정된 장소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를 구성하는 이동공간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팔레트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수직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몸체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의 일측과 상부에는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을 상기 이동공간의 전, 후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수평 지지부의 이동공간의 전, 후에는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을 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간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의 상부에는 푸쉬 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을 90°간격으로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푸쉬 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팔레트에 상기 운반물을 낙하시키는 낙하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의 최종 포장단계 전에 상기 운반물을 삽입 및 회전작동시켜 팔레트의 상부에 용이하게 적재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팔레트에 적재되는 운반물을 한정된 장소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적재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푸쉬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경계구획판과 지지격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10)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M) 을 이송되는 이송수단(30)과, 상기 몸체(20)에 구성되는 이동공간의 전, 후에 각각 장착되는 푸쉬 수단(40)과, 상기 이동공간(2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푸쉬 수단(40)에서 공급되는 운반물을 수납하면서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수단(50)과, 상기 회전수단(50)의 작동을 통해 수납된 운반물을 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팔레트(P)에 전달하는 낙하수단(6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팔레트(P)는 공지된 팔레트를 택일하여 형성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22)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21)과, 상기 수평 지지부(21)를 구성하는 이동공간(22)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팔레트(P)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수직 지지부(23)로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20)는 수평 지지부(21)를 구성하는 이동공간(22)의 하부로 화장지 등과 같은 운반물(M)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직 지지부(23)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20)를 구성하는 수직 지지부(23)에는 승?하강장치(70)가 장착되되, 상기 승?하강장치(70)는 링크기구, 유?공압실린더, 체인 구동 중 택일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외부에는 상기 승?하강장치(70)를 거쳐 운반물(M)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를 운반할 수 있도록 배출 컨베이어(80)가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M)을 이송되는 이송수단(30)은 소정구간 형성되는 공급레일(31)과, 상기 공급레일(31)에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전달하는 이송레일(32)과, 상기 공급레일(31)에서 공급되는 운반물(M)을 분배하는 분배기구(34)와, 상기 이송레일(32)에서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전달하는 운반레일(35)과, 상기 운반레일(35)에서 공급되는 운반물(M)을 정지 및 지지하는 멈춤판(36)과, 상기 멈춤판(36)의 위치를 상기 운반물(M)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3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레일(31)은 연속해서 운반물(M)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레일(32)은 상기 공급레일(31)의 전, 후에 각각 장착되고 하부에 장착되는 이송구동수단(33)을 이용해서 상기 운반물(M)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레일(31)에서 공급되는 운반물(M)을 상기 이송레일(32)에 하나씩 번갈아가면서 분배하는 분배기구(34)는 두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가 전, 후로 이동하면서 공급레일(31)에서 공급되는 운반물(M)을 전, 후의 이송레일(32)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분배기구(34)는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장착되는 운반물(M)을 전, 후로 번갈아가면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상부에 장착되는 운반레일(35)은 다수개의 이송롤러 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레일(32)에서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전 달하게 된다.
상기 몸체(20)에 구성되는 이동공간의 전, 후에 각각 장착되는 푸쉬 수단(40)은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상하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간격 프레임(41)과, 상기 간격 프레임(41)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딩 작동하여 운반물(M)을 이동공간(22)에 전달하는 가압판(42)과, 상기 가압판(42)을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구동모터(4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푸쉬 수단(40)은 상기 구동모터(43)의 정?역 작동시 상기 가압판(42)이 간격 프레임(41)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멈춤판(36)에 위치하는 운반물(M)을 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공간(2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푸쉬 수단(40)에서 공급되는 운반물을 수납하면서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작동시 회전작동하는 경계구획판(52)과, 상기 경계구획판(5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격판(5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끝단은 상기 운반물(M)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원의 지름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구획판(52)은 소정의 크기와 면적을 가지는 네 개의 구획판(53)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장착공간(54)이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운반물(M)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구획판(5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격판(56)은 운반물(M)의 폭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수단(50)의 작동을 통해 수납된 운반물을 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팔레트(P)에 전달하는 낙하수단(60)은 구동모터(61)와,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낙하간격 프레임(62)과, 상기 낙하간격 프레임(62)에 장착되는 낙하판(6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낙하판(63)은 상기 낙하간격 프레임(6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운반물(M)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모터(61)의 정?역 작동시 슬라이딩 작동하여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물(M)을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팔레트(P)에 낙하시키는 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22)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21)와, 상기 수평 지지부(21)를 구성하는 이동공간(22)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팔레트(P)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수직 지지부(23)로 이루어지는 몸체(2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20)를 구성하는 수직 지지부(23)에는 링크기구, 유?공압실린더, 체인 구동 중 하나를 택일하여 작동함에 따라 상기 팔레트(P)를 승, 하강시 킬 수 있도록 승?하강장치(70)를 장착하고, 외부에는 상기 팔레트(P)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배출 컨베이어(8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21)의 일측과 상부에 연속해서 상기 운반물(M)이 하나씩 공급되는 공급레일(31)과, 상기 공급레일(31)의 전, 후에 각각 장착되고 하부에 장착되는 이송구동수단(33)을 이용해서 상기 운반물(M)을 전달하는 이송레일(32)과, 상기 공급레일(31)에서 공급되는 운반물(M)을 상기 이송레일(32)에 하나씩 분배하는 분배기구(34)와, 다수개의 이송롤러 또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레일(32)에서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전달하는 운반레일(35)과, 상기 이동공간(22)의 일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운반레일(35)에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정지 및 지지하는 멈춤판(36)과, 상기 멈춤판(36)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37)으로 구성되는 이송수단(30)이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레일(31)과 이송레일(32)의 끝단은 운반물(M)의 이송을 위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지지부(21)를 구성하는 이동공간(22)의 전, 후에는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M)을 이동공간(22)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수단(40)이 장착한다
이때, 상기 푸쉬 수단(40)은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상하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간격 프레임(41)과, 상기 간격 프레임(41)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딩 작동하여 운반물(M)을 이동공간(22)에 전달하는 가압판(42)과, 상기 가압판(42)을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구동모터(43)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공간(22)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21)의 상부에는 푸쉬 수단(40)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M)을 수납하면서 90°간격으로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수단(5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네 개의 구획판(53)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장착공간(54)이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운반물(M)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55)이 형성되는 경계구획판(52)과, 상기 네 개의 구획판(53)의 외면에 상기 운반물(M)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격판(56)으로 구성한다 .
다음으로, 상기 이동공간(22)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21)의 하부에 구동모터(61)와,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낙하간격 프레임(62)과, 상기 낙하간격 프레임(6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운반물(M)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모터(61)의 정?역 작동시 슬라이딩 작동하여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물(M)을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팔레트(P)에 낙하시키는 한 쌍의 낙하판(63)으로 이루어진 낙하수단(60)을 장착하면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10)의 조립 순서는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10)를 이용하여 팔레트(P)에 운반물(M)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급레일(31)에 연속해서 상기 운반물(M)이 하나씩 공급되어 전달되면, 상기 분배기구(34)는 전, 후로 왕복 운동하면서 연속해서 상기 이송레일(32)에 운반물(M)을 번갈아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레일(32)에 전달되는 운반물(M)은 상기 이송레일(32)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구동수단(33)의 작동에 따라 이송레일(32)을 거쳐 운반레일(35)에 전달된 다음 멈춤판(36)에 이송된 후 정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운반물(M)은 항시 수납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멈춤판(36)에 위치한 순차적으로 이송된 운반물(M)은 상기 푸쉬 수단(40)을 구성하는 가압판(42)의 전진 작동을 통해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에 수납되면서 낙하판(63)에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푸쉬 수단(40)을 구성하는 가압판(42)의 작동시 상기 운반물(M)은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끝단에 형성되는 곡면과 경사면을 따라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내부로 운반물(M)이 수납된 상태에 상기 회전수단(50)의 구동모터(51)의 작동에 따라 90°간격으로 회전작동시켜서 내부가 빈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이 상기 푸쉬 수단(40)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다시 상기 이송수단(30)과 푸쉬 수단(40)을 이용해서 상기 운반물(M)을 빈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낙하수단(60) 의 낙하판(63)을 슬라이딩 작동시켜 상기 이동공간(22)을 개방하면 상기 운반물(M)은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낙하판(63)의 슬라이딩 작동 후 이동공간(22)이 개방되면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사이에 위치하는 운반물(M)은 그대로 하강하여 수직 지지부(23)의 내부에 위치하는 팔레트(P)의 상부에 적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작용을 연속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팔레트(P)는 승?하강 장치(70)를 통해 하강작동한 후 상기 팔레트(P)의 적재용량만큼 적재되면 상기 배출 컨베이어(80)를 따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푸쉬 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경계구획판과 지지격판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20 : 몸체,
21 : 수평 지지부, 22 : 이동공간,
23 : 수직 지지부, 30 : 이송수단,
31 : 공급레일, 32 : 이송레일,
33 : 이송구동수단, 34 : 분배기구,
35 : 운반레일, 36 : 멈춤판,
40 : 푸쉬 수단, 41 : 간격 프레임,
42 : 가압판, 43 : 구동모터,
50 : 회전수단, 51 : 구동모터,
52 : 경계구획판, 53 : 구획판,
54 : 장착공간, 55 : 경계구획판,
56 : 지지격판, 60 : 낙하수단,
61 : 구동모터, 62 : 낙하간격 프레임,
63 : 낙하판.

Claims (6)

  1.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10)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와 연통되는 이동공간(22)이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21)와, 상기 수평 지지부(21)를 구성하는 이동공간(22)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팔레트(P)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수직 지지부(23)로 이루어지는 몸체(20)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20)를 구성하는 수평 지지부(21)의 일측과 상부에는 화장지와 같은 운반물(M)을 상기 이동공간(22)의 전, 후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0)이 장착되며,
    상기 수평 지지부(21)를 구성하는 이동공간(22)의 전, 후에는 상기 이송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M)을 이동공간(22)으로 이동시키는 푸쉬 수단(40)이 장착되고,
    상기 이동공간(22)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21)의 상부에는 푸쉬 수단(40)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M)을 설정 방위각도로 회전작동시키는 회전수단(50)이 장착되며,
    상기 이동공간(22)의 위치하는 수평 지지부(21)의 하부에는 상기 푸쉬 수단(40)을 통해 공급되는 운반물(M)을 지지하면서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팔레트(P)에 상기 운반물(M)을 낙하시키는 낙하수단(60)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소정의 크기와 면적을 가지는 네 개의 구획판(53)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장착공간(54)이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운반물(M)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55)이 형성되는 경계구획판(52) 및 상기 네 개의 구획판(53)의 외면에 상기 운반물(M)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격판(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의 끝단은 상기 운반물(M)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계구획판(52)과 지지격판(56)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원의 지름을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계구획판(52)은 소정의 크기와 면적을 가지는 네 개의 구획판(53)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51)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장착공간(54)이 형성되며, 외부에는 상기 운반물(M)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55)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구획판(5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격판(56)은 운반물(M)의 폭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를 구성하는 수직 지지부(23)에는 링크기구, 유?공압실린더, 체인 구동 중 하나를 택일하여 작동함에 따라 상기 팔레트(P)를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장치(70)가 장착되고, 외부에는 상기 팔레트(P)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배출 컨베이어(8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30)은,
    연속해서 상기 운반물(M)이 하나씩 공급되는 공급레일(31)과,
    상기 공급레일(31)의 전, 후에 각각 장착되고 하부에 장착되는 이송구동수단(33)을 이용해서 상기 운반물(M)을 전달하는 이송레일(32)과,
    상기 공급레일(31)에서 공급되는 운반물(M)을 상기 이송레일(32)에 하나씩 분배하는 분배기구(34)와,
    다수개의 이송롤러 또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레일(32)에서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전달하는 운반레일(35)과,
    상기 이동공간(22)의 일측 끝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운반레일(35)에 전달되는 운반물(M)을 정지 및 지지하는 멈춤판(36)과,
    상기 멈춤판(36)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 수단(40)은,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상하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간격 프레임(41)과,
    상기 간격 프레임(41)의 내부에 장착되고 슬라이딩 작동하여 운반물(M)을 이동공간(22)에 전달하는 가압판(42)과,
    상기 가압판(42)을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하수단(60)은,
    구동모터(61)와,
    상기 수평 지지부(21)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낙하간격 프레임(62)과,
    상기 낙하간격 프레임(6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운반물(M)을 지지하며, 상기 구동모터(61)의 정?역 작동시 슬라이딩 작동하여 상부에 안착되는 운반물(M)을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장착되는 팔레트(P)에 낙하시키는 낙하판(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KR1020090117624A 2009-12-01 2009-12-01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KR10111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24A KR101118690B1 (ko) 2009-12-01 2009-12-01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24A KR101118690B1 (ko) 2009-12-01 2009-12-01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87A KR20110061087A (ko) 2011-06-09
KR101118690B1 true KR101118690B1 (ko) 2012-03-12

Family

ID=4439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624A KR101118690B1 (ko) 2009-12-01 2009-12-01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778B (zh) * 2017-01-16 2020-01-1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膜片供应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406B1 (ko) * 1998-01-16 2001-03-02 성재갑 튜브 분배 장치
KR100682410B1 (ko) * 2006-08-31 2007-02-16 (주)대원이엔지 우유팩 이송용 파렛타이즈 시스템
KR100776292B1 (ko) * 2007-05-11 2007-11-13 송해용 분류 배출장치
KR100858481B1 (ko) * 2007-03-30 2008-09-12 한대중 단위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406B1 (ko) * 1998-01-16 2001-03-02 성재갑 튜브 분배 장치
KR100682410B1 (ko) * 2006-08-31 2007-02-16 (주)대원이엔지 우유팩 이송용 파렛타이즈 시스템
KR100858481B1 (ko) * 2007-03-30 2008-09-12 한대중 단위 포장장치
KR100776292B1 (ko) * 2007-05-11 2007-11-13 송해용 분류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87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4619A (en) Arrangement for storage of goods in packages in an upright depository
CN105008254B (zh) 用于运输物品的设备和方法
CN110872004B (zh) 用于将包裹件从倾侧的容器中卸载到传送带上的方法
CN110386439B (zh) 用于卸载并分拣在容器内提供的包裹的分拣卸载机和方法
KR100990485B1 (ko) 가스용기의 적재 및 이송용 컨베이어장치
KR101118690B1 (ko) 팔레트용 운반물 적재장치
JP4642614B2 (ja) 物品充填段積み搬送装置
US9038808B2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roducts and a low pressure storage device therefor
JP2014047002A (ja) 物品整列供給装置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JP2007217020A (ja) 商品の自動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20127822A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CN105905609A (zh) 一种重型及易碎快递件传送运输装置
JP7294628B2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US6808355B2 (en) Chain store and process for unloading it
JPH0480107A (ja) 自動調剤システムにおけるキャリーストッカー
CN112849882A (zh) 胚布仓储装置及其使用方法
JP5486288B2 (ja) 物品搬送装置
PL196115B1 (pl) Urządzenie do poziomego transportowania i magazynowania międzyoperacyjnego półwyrobów
JPH10305922A (ja) 袋類の分配装置
JP2013541480A (ja) パレットへの載置装置、および搬送用パレットにパッケージユニットを行および/または列をなして配列載置する方法
CN219669264U (zh) 一种配合印刷机自动上下料物流线
CN201317562Y (zh) 大吨位散料集装袋辊道输送装置
JP2002002946A (ja) 長尺農産物の整列・箱詰装置
JP4374510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