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341B1 -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341B1
KR101118341B1 KR1020107003050A KR20107003050A KR101118341B1 KR 101118341 B1 KR101118341 B1 KR 101118341B1 KR 1020107003050 A KR1020107003050 A KR 1020107003050A KR 20107003050 A KR20107003050 A KR 20107003050A KR 101118341 B1 KR101118341 B1 KR 10111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eaning fluid
circumferential surface
membrane
lo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642A (ko
Inventor
다츠오 네지가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B01D2313/902Integrated clea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막 세정용 유체의 상기 하부 배관에의 공급을 조정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를 구비하는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79364호 공보에는, 원수(原水)를 여과막 모듈에 보내는 배관에 기체를 도입하고, 이 여과막 모듈에 형성된 원수 도입구를 통해 그 여과막 모듈에 기체를 도입하는 동시에, 여과막의 여과수측에 기체 또는 액체를 도입하여 막의 여과수측으로부터 원수측으로 기체 또는 액체를 투과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7936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에서는,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에어나 약액 등의 공급량이 토출구에 가까운 곳에서는 많아지고, 토출구에서 먼 곳에서는 적어져 여과막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아, 이 여과막의 한쪽을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막 세정용 유체를 여과막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를 구비한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구성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水密式)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가,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대하여,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음새 부재를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 배관에 공급되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가,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고,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가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캡 너트와, 이들 캡 너트 안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캡 너트의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통부의 단부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부 배관과 상기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4 구성은, 상기 제1~제3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통부의 내주면이, 상기 통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구성은, 상기 제1~제4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내주면에,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은, 상기 통부의 축 둘레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6 구성은, 상기 제1~제5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음새 부재의 통부가 투명하여, 상기 통부 안에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막 세정용 유체가 상기 통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며 유량이 균일해져 상기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7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가 에어이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구성은, 여과막을 갖는 여과막 모듈과, 상기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와,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는,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상기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구성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의 통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면, 토출된 막 세정용 유체가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을 따라 주회(周回)하고, 하부 배관의 단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구성에 의하면, 하부 배관 및 분기 배관에 대하여, 이음새 부재를 하부 배관 및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와 토출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간극을 유동하는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캡 너트를 통부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통부의 단부면과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 및 통부의 단부면과 분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시일 부재로 수밀식으로 시일할 수 있어, 확실한 시일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4 구성에 의하면, 토출구가 형성되는 통부의 내주면은, 통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부의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가 형성된 내주면과, 이 토출구에 대면하는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의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구성에 의하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막 세정용 유체가 오목홈을 통해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을 따라 용이하게 주회할 수 있으므로, 막 세정용 유체를 하부 배관의 단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의 크기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오목홈 안에서의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6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이음새 부재의 통부가 투명하기 때문에 이 통부 안에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막 세정용 유체가 이 통부 전체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산되고 유량이 균일하게 토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7 구성에서는, 막 세정용 유체는 에어이고, 이음새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과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토출구는,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부의 내주면과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통부의 축 둘레로 통부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유량 조절 영역이 된다. 토출구로부터 하부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그 에어는 유량 조정 영역에서 임시 저장되고, 하부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의 통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면, 토출된 막 세정용 유체가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므로, 하부 배관의 단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에 의해 접속된 여과막 모듈을 장비한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하부 배관의 축 방향에서의, 통부에 형성한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와, 하부 배관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고, 도 3의 (a)는 토출구와 하부 배관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를 도시하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비해 긴 경우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예에서의 하부 배관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예에서의 분기 배관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통부의 내주면에, 토출구가 연통하는 오목홈이 통부의 내주면 전면(全面)에 걸쳐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에 의해 접속된 여과막 모듈을 장비한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a),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통부에 형성한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와, 하부 배관 단부 사이의, 하부 배관의 축 방향에서의 거리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여과 장치(2)는 중공사 여과막 모듈(3)과, 유량 조정 이음새(1)와, 공급 배관(15)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은, 중공사 여과막을 내장하는 모듈이다. 유량 조정 이음새(1)는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중공사막 세정 시에 이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하부 배관(6)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량 조정 이음새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량 조정 이음새(1)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일례이고, 토출구(11), 오리피스(19), 이음새 부재(4)로 구성되며, 막 세정용 유체를 하부 배관(6) 안에 공급할 때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 스크러빙 세정을 위한 에어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5로 도시하는 요소는 원액 공급 헤더관이고, 이 원액 공급 헤더관(5)의 분기 배관(5a)과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원액 공급 유로가 되는 하부 배관(6)은 이음새 부재(4)에 의해 수밀식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음새 부재(4)는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하부 배관(6)과 분기 배관(5a)은 이음새 부재(4)에 의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
이음새 부재(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단부로부터 하부 배관(6)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분기 배관(5a)이 삽입되는 투명한 통부(9)와, 상기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에 각각 외장되고, 통부(9)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9a, 9b)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25a)가 내주부에 형성된 한 쌍의 캡 너트(25)와, 이 캡 너트(25) 안에 수용되고, 하부 배관(6) 또는 분기 배관(5a)에 각각 외장되며, 캡 너트(25)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5a)를 통부(9)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9b)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통부(9)의 단부면(9c)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한 쌍의 링형의 고무 패킹(시일 부재)(27)과, 캡 너트(25) 안에 수용되고, 하부 배관(6) 또는 분기 배관(5a)에 각각 외장되며, 고무 패킹(27)을 캡 너트(25)측으로부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호하는 미끄럼 이동 링(26)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무 패킹(27)은 단면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는 단면 삼각형상의 링형 고무 패킹(27)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의 시일 부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O링 등이어도 좋다. 유량 조정 이음새(1)의 이음새 부재(4)는 한 쌍의 캡 너트(25)와 한 쌍의 고무 패킹(27)(시일 부재)으로 이루어지는 수밀 구조에 의해 하부 배관(6)과 분기 배관(5a)을 수밀식으로 접속한다. 또한 유량 조정 이음새(1)의 이음새 부재(4)는 수지제이고, 부식에 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7로 도시하는 요소는 여과액 배출 헤더관이고, 이 여과액 배출 헤더관(7)의 분기 배관(7a)과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여과액 배출 유로가 되는 상부 배관(8)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음새 부재(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과액 배출 헤더관(7)의 분기 배관(7a)과 상부 배관(8)을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4)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토출구(11)는 생략된다. 또한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은 외장 케이스(13)의 하단부가 도시하지 않는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여과 장치(2)를 이용하여 여과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원액 탱크로부터의 원액이 원액 공급 펌프에 의해 원액 공급 헤더관(5)으로부터 원액 공급 유로가 되는 하부 배관(6)을 통해 중공사 여과막 모듈(3) 안에 공급되고,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중공사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내압식 여과)으로, 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외압식 여과)으로 투과되어 여과되고, 그 여과액은 여과액 배출 유로가 되는 상부 배관(8)을 통해 여과액 배출 헤더관(7)을 통해 도시하지 않는 여과액 탱크에 수용된다.
도면 중에서 부호 10으로 도시하는 요소는 복귀 원액 유로이고, 중공사막을 투과하지 않는 원액의 일부가 복귀 원액 유로(10)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원액 탱크에 복귀된다.
한편,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도 2, 도 3)에는 미리 정해진 간극(δ)이 형성되고, 이 통부(9)의 이 간극(δ)이 형성된 부위에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11)에 에어 공급 배관 헤더(12)가 분기 배관(12a) 및 공급 배관(15)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상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δ)이 형성되고, 상기 통부(9)의 상기 간극(δ)이 형성된 부위에 상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11)에 에어 공급 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1)로부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하부 배관(6)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하부 배관(6)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 세정 유체로서 에어를 이용하고 있고,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과,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통부(9)의 단부면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고무 패킹(27)에 의해 형성되는 주머니형의 간극(δ), 즉 유량 조정 영역(16)에 일단 저장된다. 그 후, 유량 조정 영역(16)에 저장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단부(6b)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면 부호 19로 도시하는 요소는 병렬로 복수 접속된 각 중공사 여과막 모듈(3)에 에어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δ)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조절함으로써 오리피스(19)와 같은 정도의 유로 저항 작용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 오리피스(19)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이음새 부재(4)의 통부(9)가 투명한 수지(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부(9) 내에서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통부(9)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량이 균일하게 토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부(9)는 반투명이어도 좋으며, 에어 등의 막 세정용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다음에, 유량 조정 이음새(1)의 이음새 부재(4)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배관(6)을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좁아지고[도 2의 (a)의 이점 쇄선 참조], 반대로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가 넓어진다. 이와 같이, 하부 배관(6)을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분기 배관(5a)을 하부 배관(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 (b)에는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이 이미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배관(6)과 분기 배관(5a)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일정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의 (a)에서 도시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이음새 부재(4)의 양단부의 캡 너트(25)를 풀고, 이음새 부재(4)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예컨대, 위쪽)으로 이동시켜 도 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한다. 이렇게 하면, 토출구(11)와 하부 배관(6)의 단부(6b) 사이의 축 방향의 거리(L)는 넓어지고, 간극(δ)[유량 조정 영역(16)]을 유동하여 하부 배관(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로 저항이 증대한다. 그 결과, 하부 배관(6)에의 에어 공급량은 감소한다. 반대로, 도 3의 (b)에서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3의 (a)에서 도시하는 상태가 되도록, 이음새 부재(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토출구(11)와 하부 배관(6)의 단부(6b) 사이의 축 방향의 거리(L)가 좁아지고, 에어의 유로 저항이 감소되어 하부 배관(6)에 대한 에어의 공급량이 증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4)에 삽입된 하부 배관(6) 또는 분기 배관(5a)을,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이음새 부재(4)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의 토출구(11)와, 하부 배관(6)의 단부(6b) 사이의 축 방향[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서의 거리(L)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변화시켜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에 형성된 토출구(11)로부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하부 배관(6)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하부 배관(6)의 단부(6b)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그 결과로서, 하부 배관(6)에 대한 에어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의 토출구(11)를 분기 배관(5a)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에 형성된 토출구(11)로부터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가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분기 배관(5a)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분기 배관(5a)의 단부(5a2)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상승하여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그 결과로서, 하부 배관(6)에 대한 에어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4의 (a), 도 5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B)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하부 배관(6)의 단부(6b)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이음새(1B)는 이음새 부재(4B)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B)의 통부(9)에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의 토출구(11)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부(9)의 내주면(9d)이, 통부(9)의 축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A)으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테이퍼면(17A)은 하측 내경보다 상측 내경이 넓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 즉 에어의 토출구(11)가 형성되는 통부(9)의 내주면(9d)을 통부(9)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A)으로 구성함으로써, 토출구(11)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이 토출구(11)에 대면하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 형성되는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테이퍼면(17A)에 의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배관(6)의 단부(6b)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a)[도 5의 (a)의 실선 참조]은 하부 배관(6)의 단부(6b)가 아래족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b)[도 5의 (a)의 이점 쇄선 참조]에 비해 넓어져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정 영역(16)으로부터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로 저항은, 하부 배관(6)이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이음새 부재(4B)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 조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생략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B)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의 (b), 도 5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C)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분기 배관(5a)의 단부(5a2)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이음새(1C)는 이음새 부재(4C)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C)의 통부(9)에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의 토출구(11)가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부(9)의 내주면(9d)이 통부(9)의 축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테이퍼면(17B)은 상측 내경보다 하측 내경이 넓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 즉 에어의 토출구(11)가 형성되는 통부(9)의 내주면(9d)을 통부(9)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B)으로 구성함으로써, 토출구(11)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토출구(11)에 대면하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 사이에 형성되는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테이퍼면(17B)에 의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기 배관(5a)의 단부(5a2)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분기 배관(5a)의 단부(5a2)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c)[도 5의 (a)의 실선 참조]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분기 배관(5a)의 단부(5a2)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d)[도 5의 (a)의 이점 쇄선 참조]에 비해 넓어져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정 영역(16)으로부터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로 저항은, 분기 배관(5a)이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작다. 따라서, 이음새 부재(4C)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 조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생략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C)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D)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유량 조정 이음새(1D)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음새 부재(4D)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D)의 통부(9)에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의 토출구(11)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통부(9)의 내주면(9d)에는, 토출구(11)에 연통하는 단면 사각형상의 오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18)은 통부(9)의 축 둘레에서 내주면(9d)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토출구(11)를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이 토출구(11)에 연통하고, 통부(9)의 축 둘레의 내주면(9d)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 즉 에어의 토출구(11)가 형성된 통부(9)의 내주면(9d)에 토출구(11)와 연통하는 오목홈(18)을 통부(9)의 내주면(9d)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오목홈(18)을 통해,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된 에어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을 따라 용이하게 주회할 수 있으므로, 에어를 하부 배관(6)의 단부(6b) 또는 분기 배관(5a)의 단부(5a2)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18)은 단면 사각형상 외에 단면 반원 형상, 단면 반타원 형상, 단면 반장원 형상, 단면 삼각형상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고, 오목홈(18)의 크기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이 오목홈(18) 안에서의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에어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생략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D)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E)를 도시하고, 도 7의 (a)는 유량 조정 이음새(1E)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유량 조정 이음새(1E)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이음새(1E)는 하부 배관(6)과 헤더관(5)의 분기 배관(5a)을 O링(수밀 구조)(35)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4E)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E)는, 한쪽 단부로부터 하부 배관(6)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분기 배관(5a)이 삽입되는 통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30)는 원통 형상을 반으로 분할한 단면 원호형의 2개의 하프 부재(31, 32; halved members)를 구비한다. 하프 부재(31, 32)에는 서로 중첩되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클램프 부재(31a, 32a)가 연장되어 있다. 하프 부재(31, 32)는 클램프 부재(31a, 32a)끼리가 서로 중첩되고, 볼트(33)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된다. 통부(30)의 양단부에는, 각각 O링(35)이 내장되어 있고, 볼트(33)에 의해 클램프 부재(31a, 32a)를 체결함으로써, 내장되어 있는 O링(35)이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및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압박 접촉되어, 수밀 구조가 형성된다.
통부(30)의 내주면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극(δ)이 유량 조정 영역(16)으로서 형성되고, 이 간극(δ)이 형성된 부위에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가 형성되며, 토출구(11)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E)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4E)의 통부(30)에 형성된 토출구(11)로부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하부 배관(6)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하부 배관(6)의 단부(6b)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그 결과로서 에어를 하부 배관(6) 안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상, 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 막의 스크러빙 세정을 위한 에어를 예시했지만, 스크러빙 세정을 위한 질소, 또는 그 외의 가스 또는 중공사막에 접촉하여 오물을 분해 세정하기 위한 오존이나 과산화수소 등의 가스일 수도 있다. 또한 막 세정용 유체는 약 세정을 위한 약액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의 약액은 여과막 모듈 안에 공급되는 원액보다 비중이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1, 1B: 유량 조정 이음새(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2: 여과 장치, 3: 중공사 여과막 모듈(여과막 모듈), 4, 4B, 4C, 4D, 4E: 이음새 부재, 5: 원액 공급 헤더관(헤더관), 5a: 분기 배관, 6: 하부 배관, 11: 토출구, 9, 30: 통부, 9a, 9b: 수나사부, 9d: 통부의 내주면, 15: 공급 배관, 17A, 17B: 테이퍼면, 18: 오목홈, 25: 캡 너트, 25a: 암나사부, 27: 고무 패킹(시일 부재).

Claims (8)

  1.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는,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대하여,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음새 부재를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 배관에 공급되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는,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고,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가 내주부에 설치된 한 쌍의 캡 너트와, 상기 캡 너트 안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캡 너트의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통부의 단부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배관과 상기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통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통부의 축 둘레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음새 부재의 통부가 투명하여, 상기 통부 안에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가 상기 통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며 유량이 균일해져 상기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는 에어이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8. 여과막을 갖는 여과막 모듈과, 상기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와,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는,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 구조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상기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KR1020107003050A 2007-09-18 2008-09-11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 KR101118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40679 2007-09-18
JP2007240679 2007-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42A KR20100031642A (ko) 2010-03-23
KR101118341B1 true KR101118341B1 (ko) 2012-03-09

Family

ID=4046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050A KR101118341B1 (ko) 2007-09-18 2008-09-11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32684B2 (ko)
KR (1) KR101118341B1 (ko)
CN (1) CN101801508B (ko)
TW (1) TWI367791B (ko)
WO (1) WO200903801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553A (ja) * 1996-11-18 1998-05-26 Asahi Chem Ind Co Ltd 継ぎ手を有する濾過膜カートリッジ
JPH11311596A (ja) * 1998-04-28 1999-11-09 Asahi Chem Ind Co Ltd 中空糸状膜の膜切れ検知方法
KR100366739B1 (ko) * 1998-04-28 2003-01-09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여과막 모듈의 접속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045A (en) * 1975-02-03 1976-11-16 Rev-O-Pak, Inc. Means for coupling and sealing membrane carrying tube sections
JP2718852B2 (ja) * 1992-05-18 1998-02-25 株式会社東芝 中空糸膜フィルタ装置
JPH11309348A (ja) * 1998-04-28 1999-11-09 Asahi Chem Ind Co Ltd ダミーケースの取付構造
JP2003334429A (ja) * 2002-05-17 2003-11-25 Asahi Kasei Corp ヘッダ部品及びその接続構造
JP2006082034A (ja) * 2004-09-17 2006-03-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濾過膜モジュールのヘッダー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553A (ja) * 1996-11-18 1998-05-26 Asahi Chem Ind Co Ltd 継ぎ手を有する濾過膜カートリッジ
JPH11311596A (ja) * 1998-04-28 1999-11-09 Asahi Chem Ind Co Ltd 中空糸状膜の膜切れ検知方法
KR100366739B1 (ko) * 1998-04-28 2003-01-09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여과막 모듈의 접속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7791B (en) 2012-07-11
TW200922702A (en) 2009-06-01
JPWO2009038010A1 (ja) 2011-01-06
CN101801508A (zh) 2010-08-11
CN101801508B (zh) 2012-07-25
JP5132684B2 (ja) 2013-01-30
WO2009038010A1 (ja) 2009-03-26
KR20100031642A (ko)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0303B1 (en) Filter assemblies
US4559138A (en) End connected filter cartridges
US6702941B1 (en) Fluid treatment elements adapted for cross flow treatment
CN1043850C (zh) 滤水器套筒
JP4584018B2 (ja) 脱気装置
US9126129B2 (en) Filter device and filter element
CN106999806A (zh) 液体回收过滤器
KR101118341B1 (ko)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
EP1078679B1 (en) Filtration apparatus with controllable joint structure
JP4220465B2 (ja) 高圧下で給送される流体を濾過する装置
JP4398504B2 (ja) オールフッ素樹脂製膜モジュール
AU2013327385A1 (en) Filter tank assembly
JP4388269B2 (ja) オールフッ素樹脂製膜モジュール
JP4502651B2 (ja) 弁およびその弁を有する流体システム
US20240116690A1 (en) Flexible tank
JP2006116523A (ja) 液体分離装置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JP4105716B2 (ja) 脱気装置及び脱気方法
JP2019111482A (ja) 膜エレメントの洗浄方法
RU2102127C1 (ru) Аппарат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и
JP2005169181A (ja) 縦置型膜分離装置及び縦置型膜分離装置の保守方法
KR101702820B1 (ko) 가압식 중공사형 막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JPH1128307A (ja) 脱気装置及び脱気方法
KR100610047B1 (ko) 화공유체탱크용 노즐의 구조
JPH11197463A (ja) スパイラル型膜エレメント用ベッセルおよび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