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341B1 - 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 Google Patents

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341B1
KR101118341B1 KR1020107003050A KR20107003050A KR101118341B1 KR 101118341 B1 KR101118341 B1 KR 101118341B1 KR 1020107003050 A KR1020107003050 A KR 1020107003050A KR 20107003050 A KR20107003050 A KR 20107003050A KR 101118341 B1 KR101118341 B1 KR 10111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eaning fluid
circumferential surface
membrane
lo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1642A (en
Inventor
다츠오 네지가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3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B01D2313/902Integrated clea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Abstract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막 세정용 유체의 상기 하부 배관에의 공급을 조정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for adjusting the supply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to the lower pipe during the filtration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wherein the branch pipe of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header tube A joint member for watertightly connecting the joint member, the joint member having a tubular portion into which the lower pipe is inserted from one end portion, and the branch pipe is inserted from the other end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and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branch pipe at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in the cylinder. And a discharge port for supply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to the discharge port. The cla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connected.

Description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여과 장치{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를 구비하는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comprising a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for supplying a membrane cleaning fluid into a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during the filtration membrane cleaning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79364호 공보에는, 원수(原水)를 여과막 모듈에 보내는 배관에 기체를 도입하고, 이 여과막 모듈에 형성된 원수 도입구를 통해 그 여과막 모듈에 기체를 도입하는 동시에, 여과막의 여과수측에 기체 또는 액체를 도입하여 막의 여과수측으로부터 원수측으로 기체 또는 액체를 투과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079364 discloses that gas is introduced into a pipe for sending raw water to a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gas is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through a raw water inlet formed in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It is described that gas or liquid is introduced to the filtrate side to permeate the gas or liquid from the filtrate side of the membrane to the raw water side.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7936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079364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에서는,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에어나 약액 등의 공급량이 토출구에 가까운 곳에서는 많아지고, 토출구에서 먼 곳에서는 적어져 여과막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아, 이 여과막의 한쪽을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filtration membrane is cleaned, the supply amount of air or chemical liquid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increases at a position close to the discharge port, decreases at a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rt, and uniformly covers the entire filtration membran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supplied and one side of this filtration membrane could not be sufficiently washed.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막 세정용 유체를 여과막 전체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및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를 구비한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membrane cleaning fluid capable of uniformly supply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of the filter membrane module to the entire filter membrane when the filter membrane module is cleaned. It is to provide a filtration device having a supply seam and a fluid supply seam for membrane clean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구성은,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水密式)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for supply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nto the lower pipe of the filter membrane module during the filter membrane cleaning of the filter membrane module, And a joint member for connecting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branch pipe of the header pipe in a watertight manner, wherein the lower pipe is inserted from one end, and the branch pipe is connected from the other end. The tube portion is inserte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ortio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or the branch pipe, The discharg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 supply for supplying a cleaning fluid for the piping is connec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가,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대하여,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음새 부재를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 배관에 공급되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econd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configuration, the seam member has an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with respect to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And moving the joint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thereby adjust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ied to the lower pip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가,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고,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가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캡 너트와, 이들 캡 너트 안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캡 너트의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통부의 단부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부 배관과 상기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third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or second configuration, the joint member is externally attached to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respectively,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tubular portion A pair of cap nuts which can be screwed into a threaded portion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are accommodated in these cap nuts, and are respectively externally provided in the lower pipe or the branch pipe, an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ap nut. And a pair of sealing members which are press-contacted and sealed between the end 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by screwing the formed screw part into the screw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tubula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necting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in a watertight man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4 구성은, 상기 제1~제3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통부의 내주면이, 상기 통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in the 4th structure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any one of said 1st-3rd structur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cylindrical part in which the said discharge port is formed is an axial direction of the said cylindrical part. I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aper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구성은, 상기 제1~제4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내주면에,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은, 상기 통부의 축 둘레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ifth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configurations, a concav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round the cylind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6 구성은, 상기 제1~제5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음새 부재의 통부가 투명하여, 상기 통부 안에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막 세정용 유체가 상기 통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며 유량이 균일해져 상기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ixth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configurations, at least the cylinder portion of the joint member is transparent, an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n the cylind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ube portion and the flow rate becomes uniform so that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to be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7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가 에어이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seventh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ing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configuratio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air,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Is formed,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in the cylinder portion, and discharges ai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구성은, 여과막을 갖는 여과막 모듈과, 상기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와,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는,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한쪽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상기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ration membrane module having a filtration membrane, a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for supplying a membrane cleaning fluid into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during the filtration membrane cleaning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membrane. A filtration device including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to a cleaning fluid supply joint, wherei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seam is a watertight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branch pipe of the header pipe. The joint member is provided, The said joint member is equipped with the cylinder part into which the said lower pipe is inserted from one end, and the said branch pipe is inserted from the other e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cylinder pa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lower pipe, and the said branch A por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ipe, and the gap in which the gap is formed is formed. Ther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leaning fluid for membrane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e is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ai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구성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의 통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면, 토출된 막 세정용 유체가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을 따라 주회(周回)하고, 하부 배관의 단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from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joint member, the discharged membrane cleaning fluid is discharged. Can be circul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and the membrane cleaning fluid can be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lower pipe or the end of the branch pipe.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구성에 의하면, 하부 배관 및 분기 배관에 대하여, 이음새 부재를 하부 배관 및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와 토출구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간극을 유동하는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member and the branch pipe are moved between the end of the lower pipe or the branch pipe and the discharge port by moving the joint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The distance can be adjusted, and as a result,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flowing through the gap.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캡 너트를 통부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통부의 단부면과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 및 통부의 단부면과 분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시일 부재로 수밀식으로 시일할 수 있어, 확실한 시일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third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crewing a pair of cap nuts to threaded portions formed on each of both ends of the tube portion, between the end face of the tube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e and the end face of the tube portion And sealing can be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and the seal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4 구성에 의하면, 토출구가 형성되는 통부의 내주면은, 통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부의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가 형성된 내주면과, 이 토출구에 대면하는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의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constitu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s constituted by a taper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the membrane cleaning of the cylinder portion is performed.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n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 port of the fluid is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facing the discharge port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구성에 의하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막 세정용 유체가 오목홈을 통해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을 따라 용이하게 주회할 수 있으므로, 막 세정용 유체를 하부 배관의 단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오목홈의 크기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여 오목홈 안에서의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constitu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ing s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can be easily circulate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through the concave groove. The membrane cleaning fluid can be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lower pipe or the end of the branch pipe. In addition,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cave groove by adjusting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n the concave groove.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6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이음새 부재의 통부가 투명하기 때문에 이 통부 안에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막 세정용 유체가 이 통부 전체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분산되고 유량이 균일하게 토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ixth configura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the cylinder portion of the joint member is transparent, the membrane clean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n the cylinder portion is uniformly distribut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the flow rate is reduced.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that it is discharged uniformly.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7 구성에서는, 막 세정용 유체는 에어이고, 이음새 부재의 통부의 내주면과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토출구는,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부의 내주면과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통부의 축 둘레로 통부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유량 조절 영역이 된다. 토출구로부터 하부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그 에어는 유량 조정 영역에서 임시 저장되고, 하부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된다. In the seventh constitution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air,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joint memb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cylindrical portion. It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portion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around the axis of the cylinder portion, thereby forming a flow rate adjusting region. When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the ai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flow rate adjusting region, and is uniformly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from the end of the lower pip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의 통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면, 토출된 막 세정용 유체가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의 외주면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므로, 하부 배관의 단부 또는 분기 배관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from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joint member, the discharged membrane cleaning fluid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branch of the lower pipe. Since it circulat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piping, it can supply a film | membrane cleaning fluid to a lower piping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of a lower piping or the end of a branch piping.

도 1은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에 의해 접속된 여과막 모듈을 장비한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하부 배관의 축 방향에서의, 통부에 형성한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와, 하부 배관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고, 도 3의 (a)는 토출구와 하부 배관 단부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를 도시하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비해 긴 경우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예에서의 하부 배관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통부의 내주면을 테이퍼면으로 구성한 예에서의 분기 배관의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고,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통부의 내주면에, 토출구가 연통하는 오목홈이 통부의 내주면 전면(全面)에 걸쳐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의 (b)는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connected by the flow regulating joint according to 1st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is invention.
FIG. 2A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ow rate adjusting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rate adjusting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formed in the tube portion and the lower pipe 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is adjusted, and FIG. FIG. 3B shows a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ipe end and the lower pipe end is shorter than that of FIG. 3A.
FIG. 4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low rate adjustment se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ing s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or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is constituted by a tapered surface. It is cross-sectional explanatory drawing. 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low rate adjustment se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s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or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is constituted by a tapered surface.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a cross section.
Fig. 5 (a) shows the flow rate adjusting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piping in the example in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ing is constituted by a tapered surfac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expands and shows the edge part of. FIG. 5B shows a flow rate adjustment se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s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ranch in the example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or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is constituted by a tapered surface.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expands and shows the edge part of piping.
Fig. 6 shows a flow rate adjustment sea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ing se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indentation groov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es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in which the discharge por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It is cross-sectional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an example in the case formed over the whole surface.
FIG. 7: (a)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flow volume adjusting joint which concerns on 5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is invention. FIG. 7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flow rate adjusting join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에 의해 접속된 여과막 모듈을 장비한 여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a), (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통부에 형성한 막 세정용 유체의 토출구와, 하부 배관 단부 사이의, 하부 배관의 축 방향에서의 거리를 조절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Embodiment of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sectional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connected by the flow regulating joint according to 1st Embodime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of this invention. 2 (a) and 2 (b) are cross-sectional explanatory views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adjusting j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discharge por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formed in the tube and a lower portion It is sectional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he mode which adjusts the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of lower piping between pipe piping ends.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여과 장치(2)는 중공사 여과막 모듈(3)과, 유량 조정 이음새(1)와, 공급 배관(15)을 구비하고 있다.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은, 중공사 여과막을 내장하는 모듈이다. 유량 조정 이음새(1)는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중공사막 세정 시에 이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하부 배관(6)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량 조정 이음새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량 조정 이음새(1)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의 일례이고, 토출구(11), 오리피스(19), 이음새 부재(4)로 구성되며, 막 세정용 유체를 하부 배관(6) 안에 공급할 때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 스크러빙 세정을 위한 에어를 예로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ltration apparatus 2 is equipped with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the flow regulating joint 1, and the supply piping 15. As shown in FIG.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is a module incorporating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The flow regulating joint 1 is a flow regulating joint for supplying a membrane cleaning fluid into the lower pipe 6 of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dur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washing of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The flow regulating joint 1 of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and is comprised from the discharge port 11, the orifice 19, and the joint member 4, and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connected to the lower piping 6 The flow rate at the time of supplying inside can be adjusted. In this embodiment, air for scrubbing clean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membrane cleaning fluid.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5로 도시하는 요소는 원액 공급 헤더관이고, 이 원액 공급 헤더관(5)의 분기 배관(5a)과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원액 공급 유로가 되는 하부 배관(6)은 이음새 부재(4)에 의해 수밀식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음새 부재(4)는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하부 배관(6)과 분기 배관(5a)은 이음새 부재(4)에 의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접속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elemen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 is a raw liquid feed header tube, and the lower pipe 6 serving as the raw liquid feed flow path of the branch pipe 5a of the raw liquid feed header tube 5 and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Silver is watertightly connected by the joint member 4. Moreover, the joint member 4 can move to the axi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FIG. 1)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with respect to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and also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are connected by the joint member 4 so that relative movement is possible to the axi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FIG. 1)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이음새 부재(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단부로부터 하부 배관(6)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분기 배관(5a)이 삽입되는 투명한 통부(9)와, 상기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에 각각 외장되고, 통부(9)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9a, 9b)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부(25a)가 내주부에 형성된 한 쌍의 캡 너트(25)와, 이 캡 너트(25) 안에 수용되고, 하부 배관(6) 또는 분기 배관(5a)에 각각 외장되며, 캡 너트(25)의 내주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5a)를 통부(9)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9b)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통부(9)의 단부면(9c)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한 쌍의 링형의 고무 패킹(시일 부재)(27)과, 캡 너트(25) 안에 수용되고, 하부 배관(6) 또는 분기 배관(5a)에 각각 외장되며, 고무 패킹(27)을 캡 너트(25)측으로부터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보호하는 미끄럼 이동 링(26)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무 패킹(27)은 단면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joint member 4 has the transparent pipe part 9 in which the lower pipe 6 is inserted from one end, and the branch pipe 5a is inserted from the other end, and the said lower pipe ( 6) and a pair of cap nuts which are respectively external to the branch pipe 5a and have female threads 25a which are screwed to male threads 9a, 9b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tubular portion 9, and which are screwed together. (25) and a female portion (25a) accommodated in the cap nut (25) and externally attached to the lower pipe (6) or the branch pipe (5a), respectively, an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p nut (25). A pair of pressure welded seals between the end face 9c of the tubular portion 9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6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5a by screwing into a male screw portion 9b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Ring-shaped rubber packing (seal member) 27 and cap nut 25 are housed in the lower pipe 6 or branch pipe 5a, respectively, It is the structure which has the sliding ring 26 which protects the packing 27 so that sliding is possible from the cap nut 25 side. The rubber packing 27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또한, 시일 부재는 단면 삼각형상의 링형 고무 패킹(27)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의 시일 부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O링 등이어도 좋다. 유량 조정 이음새(1)의 이음새 부재(4)는 한 쌍의 캡 너트(25)와 한 쌍의 고무 패킹(27)(시일 부재)으로 이루어지는 수밀 구조에 의해 하부 배관(6)과 분기 배관(5a)을 수밀식으로 접속한다. 또한 유량 조정 이음새(1)의 이음새 부재(4)는 수지제이고, 부식에 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ealing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ring-shaped rubber packing 27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various sealing members may be applied, and an O-ring or the like may be used. The joint member 4 of the flow adjusting joint 1 has a lower pipe 6 and a branch pipe 5a by a watertight structure composed of a pair of cap nuts 25 and a pair of rubber packings 27 (sealing members). ) Is connected watertightly. In addition, the joint member 4 of the flow regulating joint 1 is made of resin, and has a structure resistant to corrosion.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7로 도시하는 요소는 여과액 배출 헤더관이고, 이 여과액 배출 헤더관(7)의 분기 배관(7a)과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여과액 배출 유로가 되는 상부 배관(8)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음새 부재(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과액 배출 헤더관(7)의 분기 배관(7a)과 상부 배관(8)을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4)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토출구(11)는 생략된다. 또한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은 외장 케이스(13)의 하단부가 도시하지 않는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In FIG. 1, the element shown with the code | symbol 7 is a filtrate discharge header tube, and becomes the filtrate discharge flow path of the branch piping 7a of this filtrate discharge header tube 7, and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As shown in FIG. The upper pipe 8 is connected by the above-mentioned joint member 4 which can move in the axi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FIG. 1) of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1 as shown in FIG. 2 is abbreviate | omitted to the joint member 4 which connects the branch piping 7a of the filtrate discharge header tube 7, and the upper piping 8.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which the lower end part of the exterior case 13 does not show in figure.

도 1에 도시하는 여과 장치(2)를 이용하여 여과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는 원액 탱크로부터의 원액이 원액 공급 펌프에 의해 원액 공급 헤더관(5)으로부터 원액 공급 유로가 되는 하부 배관(6)을 통해 중공사 여과막 모듈(3) 안에 공급되고, 중공사 여과막 모듈(3)의 중공사막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내압식 여과)으로, 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외압식 여과)으로 투과되어 여과되고, 그 여과액은 여과액 배출 유로가 되는 상부 배관(8)을 통해 여과액 배출 헤더관(7)을 통해 도시하지 않는 여과액 탱크에 수용된다.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filtration operation using the filtration device 2 shown in FIG. 1, the lower pipe in which the raw liquid from the undiluted liquid tank (not shown) becomes the raw liquid supply flow path from the raw liquid supply header tube 5 by the raw liquid supply pump ( 6) supplied through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perme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of the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to the outside (pressure-resistant filtration) o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external pressure filtration) and filtered. The filtrate is accommodated in a filtrate tank (not shown) through the filtrate discharge header tube 7 through an upper pipe 8 serving as a filtrate discharge flow path.

도면 중에서 부호 10으로 도시하는 요소는 복귀 원액 유로이고, 중공사막을 투과하지 않는 원액의 일부가 복귀 원액 유로(10)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원액 탱크에 복귀된다. In the figure, an elemen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 is a return stock solution flow path, and a part of the stock solution that does not penetrate the hollow fiber membrane is returned from the return stock solution flow path 10 to a stock solution tank (not shown).

한편,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도 2, 도 3)에는 미리 정해진 간극(δ)이 형성되고, 이 통부(9)의 이 간극(δ)이 형성된 부위에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11)에 에어 공급 배관 헤더(12)가 분기 배관(12a) 및 공급 배관(15)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predetermined gap δ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tubular portion 9 of the joint member 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FIGS. 2 and 3). At the portion where the gap δ is formed, a discharge port 11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or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is formed. The air supply pipe header 1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 via the branch pipe 12a and the supply pipe 15.

상기 구성에서는,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상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δ)이 형성되고, 상기 통부(9)의 상기 간극(δ)이 형성된 부위에 상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11)에 에어 공급 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11)로부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하부 배관(6)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하부 배관(6)의 단부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In the said structure, predetermined clearance gap (delta)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9d of the cylindrical part 9 of the joint member 4,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a of the said lower piping 6, and the A discharge port 11 for discharging air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gap δ is formed, and the air supply pipe 15 is formed at the discharge port 11. Connected. Therefore, when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the discharged air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5a ( It circulates along the wall surface of 5a1), it returns to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lower piping 6, and is supplied in the lower piping 6 uniformly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dge part of the lower piping 6. As shown in FIG.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 세정 유체로서 에어를 이용하고 있고,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과,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통부(9)의 단부면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고무 패킹(27)에 의해 형성되는 주머니형의 간극(δ), 즉 유량 조정 영역(16)에 일단 저장된다. 그 후, 유량 조정 영역(16)에 저장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단부(6b)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면 부호 19로 도시하는 요소는 병렬로 복수 접속된 각 중공사 여과막 모듈(3)에 에어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δ)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조절함으로써 오리피스(19)와 같은 정도의 유로 저항 작용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 오리피스(19)를 생략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air is used as the membrane cleaning fluid,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the discharged air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Rubber seal (27) which is press-contacted and sealed between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tubular portion (9) of the joint member (4), the end face of the tubular portion (9),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It is stored once in the bag-shaped gap δ formed by), that is, the flow rate adjusting region 16. Thereafter, the air stored in the flow rate adjusting region 16 is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6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In addition, although the element shown with the code | symbol 19 in the drawing has shown the orifice for supplying air uniformly to each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3 connected in parallel in multiple number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9 of the joint member 4) By adjusting the volum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region 16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gap δ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the orifice ( Since the flow path resistance effect similar to that of 19 can be exhibited, this orifice 19 can be omitted.

또한, 적어도 이음새 부재(4)의 통부(9)가 투명한 수지(투명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부(9) 내에서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통부(9)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유량이 균일하게 토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부(9)는 반투명이어도 좋으며, 에어 등의 막 세정용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Moreover, since at least the cylinder part 9 of the joint member 4 is comprised from transparent resin (transparent memb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 in the said cylinder part 9 is uniform over the perimeter of the cylinder part 9 whole. It can be confirmed visually that it is dispersed so that the flow rate is uniformly discharged. In addition, the cylinder part 9 may be translucent, and it is sufficient if it can visually confirm the membrane cleaning fluids, such as air.

다음에, 유량 조정 이음새(1)의 이음새 부재(4)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배관(6)을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좁아지고[도 2의 (a)의 이점 쇄선 참조], 반대로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가 넓어진다. 이와 같이, 하부 배관(6)을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분기 배관(5a)을 하부 배관(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정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 movement in the case of moving the joint member 4 of the flow regulating joint 1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2 (a), the lower pipe 6 moves downward from the position shown by the solid line with respect to the branch pipe 5a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Then,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and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is narrowed (see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2 (a)), and moves upwards. As a result,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and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is widened. In this way, by moving the lower pipe 6 relative to the branch pipe 5a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and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 Can be adjusted. Similarly, by moving the branch pipe 5a relative to the lower pipe 6 in the axial direction,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and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 Can be adjusted.

또한, 도 3의 (a), (b)에는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이 이미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배관(6)과 분기 배관(5a)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일정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의 (a)에서 도시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이음새 부재(4)의 양단부의 캡 너트(25)를 풀고, 이음새 부재(4)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예컨대, 위쪽)으로 이동시켜 도 3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한다. 이렇게 하면, 토출구(11)와 하부 배관(6)의 단부(6b) 사이의 축 방향의 거리(L)는 넓어지고, 간극(δ)[유량 조정 영역(16)]을 유동하여 하부 배관(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로 저항이 증대한다. 그 결과, 하부 배관(6)에의 에어 공급량은 감소한다. 반대로, 도 3의 (b)에서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3의 (a)에서 도시하는 상태가 되도록, 이음새 부재(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토출구(11)와 하부 배관(6)의 단부(6b) 사이의 축 방향의 거리(L)가 좁아지고, 에어의 유로 저항이 감소되어 하부 배관(6)에 대한 에어의 공급량이 증대한다.3A and 3B,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are alread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 The case where D) is constant is shown. Here, on the basis of the state shown in FIG. 3A, the cap nuts 25 at both ends of the joint member 4 are loosened, and the joint member 4 is connected to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It moves to the axial direction (for example, upward) of, and makes it the state shown in FIG.3 (b). In this way, the distance L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the discharge port 11 and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is widened, and the gap δ (flow rate adjusting region 16) flows to lower pipe 6.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supplied to) increases. As a result, the air supply amount to the lower pipe 6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joint member 4 is moved downwar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3 (b) to the state shown in FIG. 3 (a), the end portions of the discharge port 11 and the lower pipe 6 ( The distance L in the axial direction between 6b) is narrowed, and the flow path resistance of air decreases, and the supply amount of air to the lower pipe 6 increase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4)에 삽입된 하부 배관(6) 또는 분기 배관(5a)을,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 사이의 이격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lower piping 6 or the branch piping 5a inserted in the joint member 4 is moved relative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and the lower piping 6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and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5a.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에 대하여, 이음새 부재(4)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의 토출구(11)와, 하부 배관(6)의 단부(6b) 사이의 축 방향[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서의 거리(L)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변화시켜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by moving the joint member 4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with respect to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arrange |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distance L in the axi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s of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between the air outlet 11 of the air and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can be adjusted. Thereby, the flow volume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volume of the flow volume adjustment area | region 16, adjusting the flow path resistance of air.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에 형성된 토출구(11)로부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하부 배관(6)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하부 배관(6)의 단부(6b)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그 결과로서, 하부 배관(6)에 대한 에어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해진다.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ing 6 from the discharge port 11 formed in the cylinder part 9 of the joint member 4, the discharged air will be the lower piping 6 It circulat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it returns to the back surface side of the lower piping 6, and is supplied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dge part 6b of the lower piping 6 to the lower piping 6. As a result, the uniform supply of air to the lower pipe 6 becomes possible.

또한, 에어의 토출구(11)를 분기 배관(5a)의 외주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음새 부재(4)의 통부(9)에 형성된 토출구(11)로부터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가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분기 배관(5a)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분기 배관(5a)의 단부(5a2)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상승하여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그 결과로서, 하부 배관(6)에 대한 에어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port 11 can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5a. In this case, the branch pipe (from the discharge port 11 formed in the tube portion 9 of the joint member 4) can be forme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5a, the discharged air circulat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and returns to the back side of the branch pipe 5a, thereby branching pipe 5a. It uniformly ri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part 5a2 of (), and is supplied in the lower piping 6. As a result, the uniform supply of air to the lower pipe 6 becomes possible.

다음에 도 4의 (a), 도 5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B)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하부 배관(6)의 단부(6b)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이음새(1B)는 이음새 부재(4B)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B)의 통부(9)에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의 토출구(11)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부(9)의 내주면(9d)이, 통부(9)의 축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A)으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테이퍼면(17A)은 하측 내경보다 상측 내경이 넓어져 있다. Next,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5A.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rate adjustment seam 1B as a membrane supply fluid supplying se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5A is an end 6b of the lower pipe 6. It is a figure which expands and shows. As shown to Fig.4 (a) and FIG.5 (a), the flow regulating joint 1B is equipped with the joint member 4B. In the cylinder part 9 of the joint member 4B, the discharge port 11 of air as a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fac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art 9d. Has a tapered surface 17A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4) of the cylinder portion 9. In more detail, the taper surface 17A has the upper inner diameter wider than the lower inner diameter.

이러한 구성, 즉 에어의 토출구(11)가 형성되는 통부(9)의 내주면(9d)을 통부(9)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A)으로 구성함으로써, 토출구(11)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이 토출구(11)에 대면하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 형성되는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테이퍼면(17A)에 의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By constructing such a structure,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ortion 9 in which the air outlet 11 is formed, with a tapered surface 17A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9, The volume of the flow rate adjusting region 16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ortion 9 at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port 11 is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facing the discharge port 11. Can be ch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ing 6 and the branch piping 5a by the tapered surface 17A.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배관(6)의 단부(6b)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a)[도 5의 (a)의 실선 참조]은 하부 배관(6)의 단부(6b)가 아래족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하부 배관(6)의 단부(6b)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b)[도 5의 (a)의 이점 쇄선 참조]에 비해 넓어져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정 영역(16)으로부터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로 저항은, 하부 배관(6)이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작아진다. 따라서, 이음새 부재(4B)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 조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생략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B)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to Fig.5 (a), the edge part 6b of the lower pipe 6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9 when the edge part 6b of the lower pipe 6 is arrange | positioned upward. The width δa (refer to the solid line in FIG. 5A) of the gap δ between 9d) is defined as that of the lower pipe 6 when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is disposed below the lower foot. The width δb of the gap δ between the end portion 6b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tube portion 9 is wider than the width δb (see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5A). Therefore,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flow volume adjustment area 16 into the lower pipe 6 becomes small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wer pipe 6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refore, by moving the joint member 4B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can be adjusted to efficiently adjust the flow rate. 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which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and also with the flow adjustment joint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also by the flow adjustment joint 1B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same effect can be expected.

다음에 도 4의 (b), 도 5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C)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분기 배관(5a)의 단부(5a2)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이음새(1C)는 이음새 부재(4C)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C)의 통부(9)에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의 토출구(11)가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통부(9)의 내주면(9d)이 통부(9)의 축 방향(도 4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B)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테이퍼면(17B)은 상측 내경보다 하측 내경이 넓어져 있다.Next,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B and 5B.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rate adjustment seam 1C as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ing se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5B shows the end portion 5a2 of the branch pipe 5a. It is an enlarged view. As shown in FIG.4 (b) and FIG.5 (b), 1 C of flow volume adjusting joints are equipped with 4 C of joint members. In the cylinder part 9 of the joint member 4C, the discharge port 11 of air as a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in the position which fac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ing 5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er part 9 ( 9d) is comprised with the taper surface 17B inclined at the predetermined angle (theta)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FIG. 4) of the cylinder part 9. As shown to FIG. In more detail, the taper surface 17B has a lower inner diameter than the upper inner diameter.

이러한 구성, 즉 에어의 토출구(11)가 형성되는 통부(9)의 내주면(9d)을 통부(9)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17B)으로 구성함으로써, 토출구(11)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통부(9)의 내주면(9d)과, 토출구(11)에 대면하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 사이에 형성되는 유량 조정 영역(16)의 용적을 테이퍼면(17B)에 의해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By constructing such a structure,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ortion 9 where the air outlet 11 is formed, with a tapered surface 17B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9, The volume of the flow rate adjustment region 16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ortion 9 at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port 11 is forme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facing the discharge port 11 is determined. The tapered surface 17B can be ch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분기 배관(5a)의 단부(5a2)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분기 배관(5a)의 단부(5a2)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c)[도 5의 (a)의 실선 참조]은 분기 배관(5a)의 단부(5a2)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분기 배관(5a)의 단부(5a2)와 통부(9)의 내주면(9d) 사이의 간극(δ)의 폭(δd)[도 5의 (a)의 이점 쇄선 참조]에 비해 넓어져 있다. 따라서 유량 조정 영역(16)으로부터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로 저항은, 분기 배관(5a)이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작다. 따라서, 이음새 부재(4C)를 하부 배관(6) 및 분기 배관(5a)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유량 조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생략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C)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ortion 9 when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is disposed below. The width δc (see the solid line in FIG. 5A) of the gap δ between 9d) is the end of the branch pipe 5a when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is disposed above. The width δd of the gap δ between 5a2 and 9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tubular portion 9 is wider than that (see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5A). Therefore,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flow volume adjustment area 16 into the lower pipe 6 is smaller than the case where the branch pipe 5a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compared with the case arrange | positioned upward. Therefore, by moving the joint member 4C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pipe 6 and the branch pipe 5a,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can be adjusted to efficiently adjust the flow rate. 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which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and also by the flow volume adjustment joint 1C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flow volume adjustment joint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You can expect the same effect as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D)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유량 조정 이음새(1D)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음새 부재(4D)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D)의 통부(9)에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의 토출구(11)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6,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which concerns on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rate adjustment seam 1D as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sea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flow rate adjustment seam 1D is provided with the seam member 4D, as shown in FIG. 6. Doing. In the cylinder portion 9 of the joint member 4D, a discharge port 11 of air as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또한, 통부(9)의 내주면(9d)에는, 토출구(11)에 연통하는 단면 사각형상의 오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18)은 통부(9)의 축 둘레에서 내주면(9d)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토출구(11)를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이 토출구(11)에 연통하고, 통부(9)의 축 둘레의 내주면(9d)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홈을 형성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art 9, the recessed groove 18 of the cross section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11 is formed. The recessed grooves 18 ar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around the axis of the cylinder portion 9. Al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port 11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1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around the axis of the cylinder portion 9. Concave grooves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이러한 구성, 즉 에어의 토출구(11)가 형성된 통부(9)의 내주면(9d)에 토출구(11)와 연통하는 오목홈(18)을 통부(9)의 내주면(9d)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오목홈(18)을 통해,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된 에어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또는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의 벽면을 따라 용이하게 주회할 수 있으므로, 에어를 하부 배관(6)의 단부(6b) 또는 분기 배관(5a)의 단부(5a2)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at is, a concave groove 18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11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ortion 9 on which the air discharge port 11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d of the cylinder portion 9. According to one configura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 through the concave groove 18 is easily circulate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Since it is possible,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lower pipe 6 uniform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or the end 5a2 of the branch pipe 5a.

또한, 오목홈(18)은 단면 사각형상 외에 단면 반원 형상, 단면 반타원 형상, 단면 반장원 형상, 단면 삼각형상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고, 오목홈(18)의 크기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고 이 오목홈(18) 안에서의 에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에어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을 생략한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D)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cave groove 18 can apply various shapes such as a cross-sectional semicircle shape, a cross-sectional semi-ellipse shape, a cross-sectional semi-circle shape, and a cross-sectional triangle shape in addition to the cross-sectional square shape. The flow rate of the air can be adjusted by appropriately setting and adjusting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in the concave groove 18. 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which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and also by the flow volume adjusting joint 1D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flow volume adjusting joint 1 which concerns on 1st Embodiment You can expect the same effect as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의 유량 조정 이음새(1E)를 도시하고, 도 7의 (a)는 유량 조정 이음새(1E)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유량 조정 이음새(1E)의 단면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the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which concerns on 5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IG. 7 shows a flow rate adjustment seam 1E as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sea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rate adjustment seam 1E, and FIG.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flow regulating joint 1E.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이음새(1E)는 하부 배관(6)과 헤더관(5)의 분기 배관(5a)을 O링(수밀 구조)(35)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4E)를 구비하고 있다. 이음새 부재(4E)는, 한쪽 단부로부터 하부 배관(6)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분기 배관(5a)이 삽입되는 통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30)는 원통 형상을 반으로 분할한 단면 원호형의 2개의 하프 부재(31, 32; halved members)를 구비한다. 하프 부재(31, 32)에는 서로 중첩되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클램프 부재(31a, 32a)가 연장되어 있다. 하프 부재(31, 32)는 클램프 부재(31a, 32a)끼리가 서로 중첩되고, 볼트(33)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로 된다. 통부(30)의 양단부에는, 각각 O링(35)이 내장되어 있고, 볼트(33)에 의해 클램프 부재(31a, 32a)를 체결함으로써, 내장되어 있는 O링(35)이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및 분기 배관(5a)의 외주면(5a1)에 압박 접촉되어, 수밀 구조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7, the flow rate adjustment joint 1E is a joint member which connects the branch pipe 5a of the lower pipe 6 and the header pipe 5 using the O-ring (watertight structure) 35 ( 4E). The joint member 4E has a tubular portion 30 into which the lower pipe 6 is inserted from one end and the branch pipe 5a is inserted from the other end. The cylinder part 30 is provided with two half members 31 and 32 which are circular arc shape which divided the cylindrical shape in half. The clamp members 31a and 32a extend along the edge portions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half members 31 and 32. Clamp members 31a and 32a overlap each other, and the half members 31 and 32 are fastened by the bolt 33, and are integrated. O-rings 35 are built in both ends of the cylinder part 30, and the O-rings 35 embedded therein are fastened by fastening the clamp members 31a and 32a by bolts 33.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a1 of the branch pipe 5a to form a watertight structure.

통부(30)의 내주면과,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극(δ)이 유량 조정 영역(16)으로서 형성되고, 이 간극(δ)이 형성된 부위에는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막 세정용 유체로서의 에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1)가 형성되며, 토출구(11)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A predetermined gap δ is formed as the flow rate adjusting region 16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3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and the lower pipe 6 is disposed at the portion where the gap δ is formed. A discharge port 11 for discharging air as the film cleaning flui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side wall), and a supply pipe 15 for supplying air to the discharge port 11 is connect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조정 이음새(1E)에 의하면, 이음새 부재(4E)의 통부(30)에 형성된 토출구(11)로부터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면, 토출된 에어가 하부 배관(6)의 외주면(6a)의 벽면을 따라 주회하여 하부 배관(6)의 이면측에까지 돌아 들어가고, 하부 배관(6)의 단부(6b)로부터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하부 배관(6) 안에 공급된다. 그 결과로서 에어를 하부 배관(6) 안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ow rate adjustment joint 1E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whe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ing 6 from the discharge port 11 formed in the cylinder part 30 of the joint member 4E, it discharged, Air circulate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a of the lower pipe 6 to return to the rear surface side of the lower pipe 6, and the lower pipe 6 is uniformly circumferentially from the end 6b of the lower pipe 6. ) Is supplied. As a result, air can be supplied uniformly into the lower pipe 6.

이상, 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막 세정용 유체로서 막의 스크러빙 세정을 위한 에어를 예시했지만, 스크러빙 세정을 위한 질소, 또는 그 외의 가스 또는 중공사막에 접촉하여 오물을 분해 세정하기 위한 오존이나 과산화수소 등의 가스일 수도 있다. 또한 막 세정용 유체는 약 세정을 위한 약액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의 약액은 여과막 모듈 안에 공급되는 원액보다 비중이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ased on each embodimen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mbodiment.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ir for scrubbing cleaning of the membrane is exemplified as a membrane cleaning fluid, but nitrogen for scrubbing cleaning, gas such as ozone or hydrogen peroxide for decomposing and cleaning dirt in contact with the gas or hollow fiber membrane It may be. In additio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may be a chemical liquid for chemical cleaning, and in this case, the chemical liquid is preferably lighter in specific gravity than the stock solution supplied in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1, 1B: 유량 조정 이음새(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2: 여과 장치, 3: 중공사 여과막 모듈(여과막 모듈), 4, 4B, 4C, 4D, 4E: 이음새 부재, 5: 원액 공급 헤더관(헤더관), 5a: 분기 배관, 6: 하부 배관, 11: 토출구, 9, 30: 통부, 9a, 9b: 수나사부, 9d: 통부의 내주면, 15: 공급 배관, 17A, 17B: 테이퍼면, 18: 오목홈, 25: 캡 너트, 25a: 암나사부, 27: 고무 패킹(시일 부재). 1, 1B: flow rate adjustment seam (membrane supply seam), 2: filtration device, 3: hollow fiber filtration membrane module (filtration membrane module), 4, 4B, 4C, 4D, 4E: seam member, 5: stock feed header Pipe (header pipe), 5a: branch pipe, 6: lower pipe, 11: discharge port, 9, 30: tube part, 9a, 9b: male thread part, 9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part, 15: supply pipe, 17A, 17B: taper face 18: recessed groove, 25 cap nut, 25a female thread portion, 27 rubber seal (seal member).

Claims (8)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로서,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에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seam for supply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nto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during the filtration membrane cleaning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a joint member for watertightly connecting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branch pipe of the header pipe.
The seam member,
The lower pipe is inserted from one end, and the tub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ranch pipe from the other e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y one or both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tubing,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tubing, and the lower tubing or the branch tubing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mbrane, and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는,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대하여,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음새 부재를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유로 저항을 조절하여 상기 하부 배관에 공급되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The said joint member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said lower piping and the said branch pip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aid lower piping and the said branch piping, The said joint member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aid lower piping and the said branch piping. And a supply amount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ied to the lower pipe by adjusting a flow path resistance of the membrane cleaning flu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새 부재는, 상기 하부 배관 및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고,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가 내주부에 설치된 한 쌍의 캡 너트와, 상기 캡 너트 안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 배관 또는 상기 분기 배관에 각각 외장되며, 상기 캡 너트의 내주부에 형성된 나사부를 상기 통부의 외주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통부의 단부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압접되어 시일하는 한 쌍의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배관과 상기 분기 배관을 수밀식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The pair of screw part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joint member is externally provided on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and a screw part capable of screwing to a screw par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tube part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part. An end face of the tube portion by screwing a screw portion,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p nut and the cap nut and externally attached to the lower pipe or the branch pipe, respectively, to a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tube portion. And a pair of seal members which are pressed against and sea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wherein the lower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watertightly connected to each other. Seam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통부의 내주면은, 상기 통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The membrane inner fluid supply joi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s constituted by a taper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통부의 축 둘레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cylinder part is formed with the recessed groov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aid discharge port, The said recessed groove is formed over the whole periphery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said shaft part.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sea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이음새 부재의 통부가 투명하여, 상기 통부 안에서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막 세정용 유체가 상기 통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며 유량이 균일해져 상기 하부 배관 안에 공급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The at least cylinder part of the said joint member is transparent, The said membrane cleaning fluid discharged from the said discharge port in the said cylinder part is distributed uniformly over the perimeter of the said cylinder part, and the flow volume becomes uniform, A membrane supply fluid supply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supply in the lower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는 에어이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에어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air,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ip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in the cylinder portion, the fluid supply joint for membrane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ipe.
여과막을 갖는 여과막 모듈과, 상기 여과막 모듈의 여과막 세정 시에 이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 안에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와,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에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을 포함하는 여과 장치로서,
상기 막 세정용 유체 공급 이음새는, 상기 여과막 모듈의 하부 배관과 헤더관의 분기 배관을 수밀 구조로 접속하는 이음새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새 부재는,
한쪽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배관이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분기 배관이 삽입되는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 및 상기 분기 배관의 외주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과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통부의 상기 간극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하부 배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막 세정용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 상기 공급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A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for supplying a membrane cleaning fluid into a lower pipe of the filter membrane module when the membrane is washed, and a membrane cleaning fluid for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 joint. As a filtration device comprising a supply pipe for supplying a,
The membrane cleaning fluid supplying seam includes a seam member for connecting the lower pipe of the filtration membrane module and the branch pipe of the header pipe in a watertight structure.
The seam member,
The lower pipe is inserted from one end, and has a tube portion into which the branch pipe is inserted from the other e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and one or bo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tub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tubing, and at a portion where the gap is formed in the tubul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tub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membrane cleaning fluid is formed, and the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KR1020107003050A 2007-09-18 2008-09-11 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KR1011183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40679 2007-09-18
JPJP-P-2007-240679 2007-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42A KR20100031642A (en) 2010-03-23
KR101118341B1 true KR101118341B1 (en) 2012-03-09

Family

ID=4046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050A KR101118341B1 (en) 2007-09-18 2008-09-11 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32684B2 (en)
KR (1) KR101118341B1 (en)
CN (1) CN101801508B (en)
TW (1) TWI367791B (en)
WO (1) WO2009038010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553A (en) * 1996-11-18 1998-05-26 Asahi Chem Ind Co Ltd Filter-membrane cartridge having joint
JPH11311596A (en) * 1998-04-28 1999-11-09 Asahi Chem Ind Co Ltd Cut detection method of hollow-fiber film
KR100366739B1 (en) * 1998-04-28 2003-01-09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Joint structure for filtration membrane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045A (en) * 1975-02-03 1976-11-16 Rev-O-Pak, Inc. Means for coupling and sealing membrane carrying tube sections
JP2718852B2 (en) * 1992-05-18 1998-02-25 株式会社東芝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device
JPH11309348A (en) * 1998-04-28 1999-11-09 Asahi Chem Ind Co Ltd Dummy case attaching structure
JP2003334429A (en) * 2002-05-17 2003-11-25 Asahi Kasei Corp Header component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JP2006082034A (en) * 2004-09-17 2006-03-30 Asahi Kasei Chemicals Corp Structure for connecting header to filter membrane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553A (en) * 1996-11-18 1998-05-26 Asahi Chem Ind Co Ltd Filter-membrane cartridge having joint
JPH11311596A (en) * 1998-04-28 1999-11-09 Asahi Chem Ind Co Ltd Cut detection method of hollow-fiber film
KR100366739B1 (en) * 1998-04-28 2003-01-09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Joint structure for filtration membran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1508A (en) 2010-08-11
KR20100031642A (en) 2010-03-23
TW200922702A (en) 2009-06-01
CN101801508B (en) 2012-07-25
JP5132684B2 (en) 2013-01-30
TWI367791B (en) 2012-07-11
JPWO2009038010A1 (en) 2011-01-06
WO2009038010A1 (en)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0303B1 (en) Filter assemblies
US4559138A (en) End connected filter cartridges
US6702941B1 (en) Fluid treatment elements adapted for cross flow treatment
CN1043850C (en) Water filter cartridge
JP4584018B2 (en) Deaerator
US9126129B2 (en) Filter device and filter element
CN106999806A (en) Liquids recovery filter
KR101118341B1 (en) Film washing fluid supply joint, and filtering device
EP1078679B1 (en) Filtration apparatus with controllable joint structure
JP4220465B2 (en) Device for filtering fluids fed under high pressure
AU2013327385A1 (en) Filter tank assembly
JP2009028725A (en) All-fluororesin membrane module
JP4388269B2 (en) All fluororesin membrane module
JP4502651B2 (en) Valve and fluid system having the valve
US20240116690A1 (en) Flexible tank
JP2006116523A (en) Liquid separation apparatus
KR102557680B1 (en) Filter Assembly for Faucet
JP4105716B2 (en) Deaeration device and deaeration method
JP2019111482A (en) Cleaning method of membrane element
RU2102127C1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JP2005169181A (en) Vertical stand typ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same
KR200325994Y1 (en) The structure of nozzle for chemistry fluid tank made of high quality
KR101702820B1 (en) Pressuriz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filtr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H1128307A (en) Deaeration device and deaeration method
KR100610047B1 (en) The structure of nozzle for chemistry fluid tank made of high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