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128B1 -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128B1
KR101117128B1 KR1020090121291A KR20090121291A KR101117128B1 KR 101117128 B1 KR101117128 B1 KR 101117128B1 KR 1020090121291 A KR1020090121291 A KR 1020090121291A KR 20090121291 A KR20090121291 A KR 20090121291A KR 101117128 B1 KR101117128 B1 KR 10111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
biphenyl
formula
ylmeth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139A (ko
Inventor
김낙정
배명애
유성은
강남숙
허정녕
이규양
서지희
장성연
황은숙
홍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US12/765,363 priority Critical patent/US8372862B2/en
Priority to CN2010101908152A priority patent/CN101904844B/zh
Priority to JP2010126866A priority patent/JP5538071B2/ja
Publication of KR2010013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128B1/ko
Priority to US13/734,348 priority patent/US909060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도체는 TAZ 단백질을 조절하므로,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TAZ, 골다공증, 비만, 당뇨, 고지혈증

Description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porosis or obesity comprising a phenyltetrazole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구 노령화와 더불어 노인성 질환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노령인구가 많은 선진국에서는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특히, 골다공증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서, 대부분의 노인들이 경험하는 질환이다.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이는 골 흡수와 골 형성의 균형이 무너져 발생하는 것으로, 골 형성보다 골 흡수가 과다하게 진행되는 것에 기인한다. 골 조직의 석회가 감소되어 뼈의 치밀질이 엷어지고 그로 인해 골수강(骨髓腔)이 넓어지고, 증세가 진전됨에 따라 뼈가 약해짐으로써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쉬운 상태에 이르게 된다. 골 조직은 조골세포에 의해 형성되고 파골세포에 의해 파괴 흡수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동적인 조직이다.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과거에는 주로 골의 무기질, 즉 칼슘과 인의 대사이상을 중심으로 그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의 발병 기전 규명에는 큰 진전을 보지 못하였다.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알렌드로네이트, 에티드로네이트), 호르몬 제제(랄옥시펜), 비타민 D 제제, 칼시토닌 제제, 칼슘 제제 등이 있다. 그러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흡수율이 떨어지며 복용방법이 까다롭고 식도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호르몬 제제는 평생 복용하여야 하며 장기 투여할 경우 유방암, 자궁암, 담석 및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타민 D 제제는 고가이며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고, 칼시토닌 제제는 고가이며 투여방법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칼슘제제는 부작용은 적지만 치료보다는 예방효과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으며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장기 투여시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골수 유래의 성체 줄기세포, 특히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는 뼈를 비롯하여 연골, 근육, 지방세포 등 다양한 형태의 세포 및 조직으로 분화된다. 성체줄기세포의 분화 활성은 질병 및 노화에 의하여 현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감소된 분화활성은 골, 연골 및 근육조직의 재생 활성의 감소를 유발함과 동시에 면역 기능의 약화를 수반하고, 감염에 의한 다양한 질병을 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성체줄기세포의 분화 활성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관련 대사성 질환, 골 질환 및 노화로 수반되는 질환 전반에 걸쳐 유용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성체줄기세포에서 특이적 세포 형태로의 분화는 중요한 전사인자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며, 외부 신호전달에 반응하여 이 유전인자들의 발현이 조절되고 세포 특이성을 띄는 유전인자 발현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전사인자에 의하여 결정적인 조절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전사인자는 상이한 리간드와의 결합에 의하여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 또는 억제하게 되는데, 상기 전사인자의 활성이 증가하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되어 비만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cDougald et al., Annu . Rev . Biochem., 1995;64:345-73; Adams et al., J. Clin. Invest ., 1997;100:3149-53; Fajas et al., Curr . Opin . Cell Biol ., 1998;10:165-73).
최근, PPARγ 전사인자의 활성을 조절하는 전사 보조조절인자인 TAZ(transcriptional coactivator with PDZ-binding motif) 단백질이 보고되었다(Kanai et al., Embo . J., 2000;19:6778-91). 상기 TAZ 단백질은 14-3-3 세포내 단백질과 결합하는 파트너 단백질로 클로닝되었으며, 89번째 세린이 인산화에 의해 14-3-3 단백질과 결합되어 세포질에 머무르고 있음이 알려졌다(Kanai et al., Embo. J., 2000;19:6778-91; Park et al., J. Biol . Chem ., 2004;279:17384-90). TAZ 단백질은 WW 도메인, 코일드 코일(coiled-coil) 도메인, PDZ-결합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어 다른 단백질과의 다양한 결합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WW 도메인은 PPXY 라는 펩타이드 배열과 강한 결합 활성을 보임으로써 PPXY 모티프를 포함하고 있는 수종의 단백질과의 결합 가능성을 시사한다. 2003년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결정적 조절인자인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단백질과 TAZ 단백질내 WW 도메인의 결합이 규명되었으며, 이의 결합을 통해 RUNX2의 표적 유전자 발현 조절 활성이 증폭되어 오스테오칼신 (osteocalcin) 등 골 조직 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골조직의 분화 생성을 더 촉진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Hong et al., Science 2005;309:1074-8). 또한 TAZ 단백질의 WW 도메인에 결합하는 단백질로 폴리오마바이러스 (polyomavirus) T 항원이 알려졌으나 그 정확한 세포내에서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나아가, PPXY 모티프를 갖는 전사인자 중의 하나인 PPARγ가 새로운 TAZ 결합 단백질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합은 PPARγ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활성을 저해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Hong et al., Science, 2005;309:1074-8). TAZ 단백질의 지방세포 분화 저해 기전은, TAZ 단백질이 PPARγ 단백질과 결합하여 PPARγ의 DNA 결합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전자의 전사 촉진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지방세포 특이성을 갖는 PPARγ 표적 유전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TAZ 단백질의 RUNX2 및 PPARγ와의 결합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분화 조절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줄기세포의 분화를 결정짓는데 있어 RUNX2 및 PPARγ 단백질과 TAZ 단백질이 결합함으로써 RUNX에 의한 조골세포 분화는 촉진되는 반면, 동시에 PPARγ에 의한 지방 세포의 분화는 억제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Hong et al., Science 2005;309:1074-8; Deng et al., Front Biosci ., 2008;13:2001-21; Hong et al., Cell Cycle 2006;5:176-9). 즉, TAZ 단백질의 발현 정도에 따라 중간엽 줄기세포의 분화 운명이 결정된다는 중요한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외에도 TAZ 결합 단백질로서 TBX5(T-box transcription factor 5)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결합은 심장 및 다리 발생에서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Murakami et al., Proc . Natl . Acad . Sci . USA ., 2005;102:18034-9). 또한, 배아 발생기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PAX3 단백질과 결합하여 그 기능을 조절할 것으로 제시된다(Murakami et al., Biochemical &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06;339:533-9). 뿐만 아니라, TAZ 단백질은 PDZ 결합 모티프를 통해 다양한 PDZ 도메인 포함 단백질과 결합하여 활성을 나타낸다. TTF-1(thyroid transcription factor-1)은 폐 조직의 분화 형성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유전인자이며 폐 표피 세포의 계면단백질-C(surfactant protein-C)라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있다. TAZ 단백질은 TTF-1과의 결합을 통해 계면단백질-C의 발현을 촉진하는 전사보조촉진인자로 설명되고 있다(Park et al., J. Biol . Chem ., 2004;279:17384-90). 또한, TEF-1(transcriptional enhancer factor-1) 단백질과 의 결합을 통하여 근육 조직에서의 TEF-1 조절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할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Mahoney et al., Biochem . J., 2005;388:217-25).
TAZ 단백질의 줄기세포 분화 조절 기능과 별도로, MCF7 유방암 세포의 이동, 침윤 및 종양발생에 있어 TAZ의 기능이 알려져 있으며(Chan et al., Cancer Res ., 2008;68:2592-8), TAZ 단백질의 부재시 신세포에 많은 낭포를 형성하는 다낭성 신질환의 발병이 동물모델에서 보고되어 TAZ 단백질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접근이 다방면에서 시도되고 있다(Makita et al., Am . J. Physiol . Renal . Physiol ., 2008;294:F542-53; Tian et al., Molecular & Cellular Biology , 2007;27:6383-95). 별도로, FGF-2가 조골세포 분화시 TAZ 단백질을 감소시키는 신호로 일부 보고되어 있으나(Deng ZL et al., Front Biosci., 2008;13:2001-21; Eda et al., Biochemical &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 2008;366:471-5), TAZ 단백질의 기능의 중요성에 비하여 TAZ 단백질의 조절 기전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심도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세포 핵 내에서 DNA 결합 활성을 갖는 전사인자를 조절하는 전사인자보조조절인자로 작용하는 TAZ 단백질의 경우, 세포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은 전제 조건이 된다. 현재까지 TAZ 단백질은 세린 탈인산화에 의해 핵으로 이동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TAZ 단백질과 14-3-3과의 결합의 저해도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세포 내에서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화합물은 TAZ 단백질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및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에 효과적인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화합물이 TAZ 단백질의 조절을 통하여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과 지방세포분화의 억제를 통한 비만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페닐테트라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TAZ 단백질을 조절하므로,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1
상기 식에서,
A는 에틸 또는 n-부틸이고;
R1은 메틸, CH2OH, CO2Me, CH2F, CH(OMe)2, CH2OAc, CH2OCH2SMe 또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2
이며;
R2는 수소, 브롬, CO2Me,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3
,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4
또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5
이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X는 CH 또는 질소이고;
P는 수소 또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6
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에틸-7-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7
;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부틸-5-메틸-6-피리딘-3-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8
;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2-부틸-6-피리딘-2-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9075777668-pat00009
;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2-부틸-7-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 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0
;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2-부틸-5-플루오로메틸-6-(1-옥시-피리딘-2-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1
;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2-부틸-5-디메톡시메틸-3-{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일)-페닐-메탄올: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2
;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2-부틸-5-디메톡시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일}-페닐-메탄올: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3
;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4
;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5
;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2-부틸-7-메틸-5-메틸설파닐메톡시메틸-6-페닐-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6
; 및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2-부틸-6-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7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2-부틸-5-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6-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8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2 내지 13의 화합물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19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0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표 1에 기재된 공지의 방법(논문 또는 특허)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중,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화학식 7 및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식 2를 통해 제조할 수 있고, 화학식 9 및 1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식 3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식 4를 통해 제조할 수 있고, 화학식 12 및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식 5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화학식 6 내지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5단계로 이루어진 반응식 1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2
<단계 1>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1에 따른 알킬화반응에서는 화학식 1-1의 화합물에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염기조건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가능한 바람직한 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또는 트리에틸아민이며, 바람직한 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이며, 반응조건은 실온에서 3시간 정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2에 따른 플루오르화반응에서는 단계 1에서 얻은 화학 식 1-3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나서, 이에 다스트(DAST)(예컨대, 1.2 당량)을 -78℃에서 천천히 가하고, 서서히 0℃로 올려 10분 동안 반응시켜서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3>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3에서는 단계 2에서 얻은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톨루엔에 녹이고 2-트리부틸틴피리딘(예컨대, 1 내지 3 당량)을 가하고, 테트라키스 트리페닐포스핀(예컨대 0.03 당량)을 가한 후, 반응온도를 120℃로, 15시간 반응시켜서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4>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4에서는 단계 3에서 얻은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에 녹인 후, 적절한 산화제(예컨대, 1.3 내지 5 당량)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반응시켜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가능한 산화제로는 m-클로로퍼옥시 벤조산(MCPBA), 옥손, 과산화수소수, 퍼아세트산 이며,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메탄올, 아세트산, 물이며, 바람직하게는 MCPBA(1.5당량)와 디클로로메탄 용매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5시간 정도 반응시키는 것이다.
<단계 5>
상기 반응식 1의 단계 5에서는 단계 3에서 얻은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인 후, 산(예컨대, 1 내지 5 당량)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 내지 3시간 반응시켜 테트라졸의 보호기가 제거된 화학식 6 의 목적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가능한 바람직한 산으로는 염산(무수), 염산, p-톨루엔 설폰산, MeSO3H 또는 아세트산 등이 있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1-1 및 1-2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WO 95/21838호, WO 95/345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96-00884호, 95-25039호)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7 및 8의 화합물들은 하기 5단계로 이루어진 반응식 2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3
<단계 1>
반응식 1의 단계 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1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2-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2-2의 화합물을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인후, 1-페닐비닐보론산(예컨대, 1 내지 1.5 당량)을 가하고 Pd(PPh3)4(예컨대, 5 mol%), 3M-Na2CO3(예컨대, 2 당량) 또는 Pd(OAc)2(예컨대, 3 mol%), PPh3(예컨대, 10 mol%) 및 트리에틸아민(예컨대, 2 당량) 가하여 11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1,4-다이옥산/물(3:1)에 녹인 후, OsO4(예컨대, 3 내지 10 mol%) 및 NaIO4(예컨대, 2 내지 3 당량)를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거나 또는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78℃에서 오존가스를 첨가하면서 2시간 반응시켜 화학식 2-4의 알데히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화학식 2-4의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디에틸 에테르에 녹인 후, PhMgBr 또는 PhMgCl(예컨대, 1 내지 2 당량)을 첨가하고 -78℃ 내지 0℃에서 1시간 반응시켜 화학식 7의 목적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5>
반응식 1의 단계 4에서 화학식 1-5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단계 4의 화학식 7 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4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8의 목적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2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2-1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WO 95/21838호, 대한민국 특허 95-25039호)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9 및 10의 화합물들은 하기 2단계로 이루어진 반응식 3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4
<단계 1>
반응식 1의 단계 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3-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1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2>
반응식 1의 단계 4에서 화학식 1-5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4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3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3-1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WO 95/21838호, US 5691348, 대한민국 특허 95-25039호)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1의 화합물은 하기 3단계로 이루어진 반응식 4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5
<단계 1>
반응식 1의 단계 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4-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1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4-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2>
상기 반응식 2의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2의 화합물을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녹인 후, 염기로서 소듐하이드라이드(NaH; 예컨대, 1.5 당량)을 첨가하고 ClCH2SMe (예컨대, 1.1 당량) 및 요오드화나트륨 (예컨대, 0.3 내지 1당량) 첨가하고 0 oC 내지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알킬화된 화학식 4-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단계 3>
반응식 1의 단계 4에서 화학식 1-5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화학식 4-3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4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4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4-1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WO 95/21838호, US 5691348, 대한민국 특허 95-25039호)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2 및 13의 화합물은 하기 3단계로 이루어진 반응식 5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6
상기 반응식 5의 화학식 5-2에서 R1 및 R2는 Br 또는 COOMe이고(단 여기서 R1과 R2가 같은 경우는 제외한다), 상기 화학식 5-2에서 R1이 Br인 경우 화학식 5-3의 R1은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7
이고, 상기 화학식 5-2에서 R1이 COOMe인 경우 화학식 5-3의 R2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8
이다.
<단계 1>
반응식 1의 단계 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5-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1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5-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이성체 화합물도 동일한 비율로 얻을 수 있다.
<단계 2>
반응식 2의 단계 2에서 화학식 2-2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단계 1의 화학식 5-2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2의 단계 2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스즈키 커플링된 화학식 5-3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3>
반응식 1의 단계 4에서 화학식 1-5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단계 2의 화학식 5-3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반응식 1의 단계 4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학식 12 13의 목적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5에서 사용되는 화학식 5-1의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WO 95/21838호, US 5691348, 대한민국 특허 95-25039호)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탈설폰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탄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 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설폰산 또는 염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즉,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당량 또는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하거나, 또는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하거나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및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2 내지 12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전사인자 보조조절인자인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을 촉진시키며(실험예 1), 핵으로 이동한 TAZ 단백질은 PPARγ와의 결합을 통해 PPARγ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실험예 2), 나아가 전사인자인 RUNX2와의 결합을 통해 RUNX2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켰다(실험예 3). 또한,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결과를 나타낸다(실험예 4).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골다공증, 비만, 당뇨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elixirs)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 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분광법, 핵자기공명 스펙트럼, 질량분광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X-선 구조결정법, 또는 대표적인 화합물의 원소분석 계산치와 실측치의 비교에 의해 화합물들의 분자구조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2-부틸-5- 플루오로메틸 -6-(1- 옥시 -피리딘-2-일)-3-[2'-(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6)의 제조
<1-1>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6-브 모-3H- 이미다조[4,5-b]피리딘 -5-일)-메탄올 (화학식 1-3)의 제조
(2-부틸-6-브로모-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0.70g, 2.49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용해한 후, 여기에 탄산칼륨(1.03g. 7.5 mmol) 및 5-(4'-브로모메틸-바이페닐-2-일)-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1.2g, 3.0 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에 물 60 mL을 가하여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60 mL×2회)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 및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92g, 수율 63%)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4(t, 3H), 1.06(t, 3H), 1.43(m, 2H), 1.64(d, 3H), 1.82(m, 2H), 2.84(t, 2H), 3.23(m, 1H), 3.42(m, 1H), 4.18(t, 1H, OH), 4.71(d, 2H), 5.52(s, 2H), 5.87(q, 1H), 7.09-7.17(m, 4H), 7.32-7.53(m, 3H), 7.86(d, 1H), 7.89(s, 1H) ; MS(m/e, M+): 590
<1-2> 메탄술폰산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일 틸}-6- 브로모 -5- 플루오르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1-4)의 제조
상기 <1-1>에서 얻은 화학식 1-3의 화합물(0.56g, 0.95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후, -78℃로 냉각시키고 디에틸아미노설퍼 디플루오라이드(DAST)(0.14 mL, 1.05 mmol)을 천천히 적가한 다음 0℃로 서서히 올리고 10분 정도 더 교반하고 물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물 50 mL을 가하여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50 mL×2회)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 및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32g, 수율 57%)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0(t, 3H), 1.06(t,3H), 1.39(m,2H), 1.63(d,3H), 1.76(m,2H), 2.80(t,2H), 3.20(m,1H), 3.42(m,1H), 5.46(s,2H), 5.59 and 5.75(s,1H, CH2F), 5.87(q,1H), 7.05(d,2H), 7.13(d,2H), 7.37-7.53(m,3H), 7.86(dd,1H), 8.18(s,1H): MS(m/e, M+): 592
<1-3>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5-플루오로메틸-6-피리딘-2일-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1-5)의 제조
상기 <1-2>에서 얻은 화학식 1-4의 화합물(200mg, 0.34 mmol)을 톨루엔 10 mL에 녹이고 2-트리부틸틴 피리딘(250mg, 0.68 mmol) 및 Pd(PPh3)4(20mg 0.017 mmol)를 가하여 120℃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을 감압하에 증발 및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오일상태의 표제화합물(160m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2(t, 3H), 1.07(t,3H), 1.41(m,2H), 1.64(d,3H), 1.81(m,2H), 2.83(t,2H), 3.20(m,1H), 3.42(m,1H), 5.54(dd, 2H), 5.58 and 5.74(s,1H, CH2F), 5.87(q,1H), 7.12(d,2H), 7.15(d,2H), 7.41-7.61(m, 5H), 7.84(m, 2H), 8.13(s,1H), 8.72(d, 1H) ; MS(m/e, M+): 590
<1-4>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5-플루오로메틸-6-(1- 옥시 -피리딘-2일)-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1-5)의 제조
상기 <1-3>에서 얻은 화학식 1-5의 화합물(240mg, 0.40 mmol)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녹이고 m-클로로퍼옥시 벤조산(m-CPBA)(200mg, 0.81 mmol)을 가한 다음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감압하에 증발 및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1/1 -> 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정제하여 고체상태의 표제화합물(170mg, 수율 70%)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2(t, 3H), 1.08(t,3H), 1.42(m,2H), 1.65(d,3H), 1.80(m,2H), 2.83(t,2H), 3.20(m,1H), 3.42(m,1H), 5.52(s, 2H), 5.46 and 5.62(s,1H, CH2F), 5.87(q,1H), 7.13-7.14(m,4H), 7.37-7.53(m, 6H), 7.86(dd, 1H), 8.00(s,1H), 8.45(d, 1H) ; MS(m/e, M+): 606
<1-5> 2-부틸-5- 플루오로메틸 -6-(1- 옥시 -피리딘-2-일)-3-[2'-(1H- 테트라졸 -5-일)-바이페닐-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6)의 제조
상기 <1-4>에서 얻은 화학식 1-6의 화합물(120mg, 0.19 mmol)을 메탄올 3 mL 에 녹이고 3N-HCl 1 mL을 가한 후 상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1N-NaOH를 가하여 pH 4 정도로 맞추고 물 20 mL에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20 mL×2회)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다. 이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 및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n-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100mg, 수율 94%)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78(t, 3H), 1.29(m, 2H), 1.60(br-s, 2H), 2.66(br-s, 2H), 5.10 and 5.45(d, 2H), 5.60(br-s, 2H), 6.73(d, 2H), 6.95(d, 2H), 7.15(d, 1H), 7.39-7.48(m, 5H), 7.48(d, 1H), 7.75(s, 1H), 8.38(d, 1H) : FAB-MS(m/e, M+): 535(M++1)
실시예 2: (2-부틸-5- 디메톡시메틸 -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바이페닐-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6-일)- 페닐 -메탄올 (화학식 7)의 제조
<2-1> 6- 브로모 -2-부틸-5- 디메톡시메틸 -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2-2)의 제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2-1의 화합물인 6-브로모-2-부틸-5-디메톡시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1.8g, 5.48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 (1.91g, 수율 55%)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2(t, 3H), 1.06(t, 3H), 1.42(m, 2H), 1.63(d, 3H), 1.79(m, 2H), 2.79(t, 2H), 3.21(m, 1H), 3.42(m, 1H), 3.48(s, 6H), 5.47(s, 2H), 5.79(s, 1H), 5.86(q, 1H), 7.08(d, 2H), 7.12(d, 2H), 7.37(dd, 1H), 7.44-7.55(m, 2H), 7.85(dd, 1H), 8.16(s, 1H); MS(m/e, M+): 634
<2-2> 2-부틸-5- 디메톡시메틸 -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 닐-4- 일메틸 }-6- 스티릴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2-3)의 제조
상기 <2-1>에서 얻은 화학식 2-2의 화합물(0.5g, 0.79 mmol)을 10 mL의 1,2-디메톡시에탄에 용해한 후, 여기에 트랜스-2-페닐비닐-브론산 350mg(2.37 mmol, 3eq), Pd(PPh3)4 46mg(0.04 mmol, 0.05eq) 및 3M-Na2CO3 0.79 mL(2.37 mmol, 3eq)을 첨가하여 90℃에서 5시간 동안 환류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셀라이트에 여과 후 용매는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2:1)로 정제하여 옅은 노란색 포말 고체 형태의 표제화합물(355mg, 수율 68%)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 d 0.93(t, 3H), 1.08(t, 3H), 1.43(m, 2H), 1.66(d, 3H), 1.81(m, 2H), 2.80(t, 2H), 2.80(t, 2H), 3.23(m, 1H), 3.46(m, 1H), 3.48(s, 6H), 5.49(d, 2H), 5.55(s, 1H), 5.87(q, 1H), 7.00(d, 1H, J=16.2Hz), 7.11(m, 3H), 7.29(m, 2H), 7.39(m, 3H), 7.51(m, 2H), 7.55(m, 2H), 7.88(m, 2H), 8.29(s, 1H); MS(m/e, M+): 657
<2-3> 2-부틸-5- 디메톡시메틸 -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 닐-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6- 카르브알데하이드 (화학식 2-4)의 제조
상기 <2-2>에서 얻은 화학식 2-3의 화합물(355mg, 0.54 mmol)을 6 mL의 1,4-다이옥산 및 2 mL의 물에 용해한 후, 여기에 촉매제로 NaIO4 346mg(1.62 mmol, 3eq) 및 OsO4(2-메틸-2-프로판올에 녹인 2.5중량% 용액)을 소량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이 완료된 혼합물을 15 mL의 물에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15 mL)하면서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 형태의 표제화합물(255 mg, 수율 81%)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 d 0.92(t, 3H), 1.07(t, 3H), 1.41(m, 2H). 1.65(d, 3H), 1.80(m, 2H), 2.81(t, 2H), 3.23(m, 1H), 3.45(m, 1H), 3.51(s, 6H), 5.51(s, 1H), 5.89(q, 1H), 7.08(d, 2H, J=8.1Hz), 7.14(d, 2H, J=8.3Hz), 7.40(dd 1H, J=1.7, 7.5Hz), 7.51(m, 2H), 7.87(dd, 1H, J=1.7, 7.5Hz), 8.61(s, 1H), 10.75(s, 1H, -CHO); MS(m/e, M+): 583
<2-4> (2-부틸-5- 디메톡시메틸 -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 페닐-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6-일)- 페닐 -메탄올 (화학식 7)의 제조
상기 <2-3>에서 얻은 화학식 2-4의 화합물(255mg, 0.44 mmol)을 6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한 후, -78℃에서 페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디에틸 에테르에 녹인 3.0 M의 용액) 0.44 mL(1.31 mmol, 3eq)을 첨가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이 완료된 혼합물을 15 mL의 물에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15 mL)하면서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켜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1:2)로 정제하여 흰색 포말 형태의 표제화합물(220 mg, 수율 76%)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 d 0.90(t, 3H), 1.07(t, 3H), 1.38(m, 2H). 1.65(d, 3H), 1.77(m, 2H), 2.74(t, 2H), 3.22(m, 1H), 3.43(m, 1H), 3.49(s, 3H), 3.59(s, 3H), 3.67(s, 1H), 5.47(s, 2H), 5.52(s, 1H), 5.88(q, 1H), 6.77(s, 1H), 7.11(m, 4H), 7.39(m, 3H), 7.50(m 4H), 7.70(s, 1H), 7.87(d, 1H, J=7.2Hz); MS(m/e, M+): 661
실시예 3: {2-부틸-5- 디메톡시메틸 -3-[2'-(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3H-이 미다조[4,5-b]피리 딘-6-일}- 페닐 -메탄올 (화학식 8)의 제조
실시예 <1-5>에서 화학식 1-6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7의 화합물(100mg, 0.15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80m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 d 0.85(t, 3H), 1.31(m, 2H), 1.65(m, 2H), 2.63(t, 2H), 3.41(s, 3H), 3.50(s, 3H), 5.38(m, 2H), 5.54(s, 1H), 6.64(s, 1H), 6.97(m, 4H), 7.36(m, 3H), 7.41(d, 2H, J=7.1Hz), 7.53(m, 2H), 7.65(s, 1H), 7.93(d, 1H, J=7.5Hz); MS(m/e, M+): 589
실시예 4: 아세트산 6- 브로모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5- 일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9)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3-1의 화합물인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300mg, 0.9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340mg, 수율 59%)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8.16(s, 1H), 7.88(dd, J = 7.5 1.6 Hz, 1H), 7.50(m, 2H), 7.41(dd, J = 7.5 1.6 Hz, 1H), 7.15(d, J = 8.3 Hz, 2H), 7.06(d, J = 8.0 Hz, 2H), 5.88(q, 1H), 5.42(m, 4H), 4.09(t, 2H), 3.42(m, 1H), 3.20(m, 1H), 2.80(t, 2H), 2.14(s, 3H), 1.80(m 2H), 1.64(d, J = 6.0 Hz, 3H), 1.41(m, 2H), 1.05(t, 3H), 0.92(t, 3H)
실시예 5: 아세트산 6- 브로모 -2-부틸-3-[2'-(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 틸]-3H- 이미다조[4,5-b]피리딘 -5- 일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10)의 제조
실시예 <1-5>에서 화학식 1-6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화학식 9의 화합물(150mg, 0.2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126m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7.98(d, J = 7.3 Hz, 1H), 7.64(m, 3H), 7.42(d, J = 7.3 Hz, 1H), 7.03(d, J = 6.8 Hz, 2H), 6.94(d, J = 6.8 Hz, 2H), 5.41(s, 2H), 5.36(s, 2H), 2.73(t, 2H), 2.10(s, 3H), 1.69(m, 8H), 1.35(m, 2H), 0.89(t, 2H)
실시예 6: 2-부틸-7- 메틸 -5- 메틸설파닐메톡시메틸 -6- 페닐 -3-[2'-(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11)의 제조
<6-1>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7-메틸-6- 페닐 -3H- 이미다조[4,5-b]피리딘 -5-일)-메탄올 (화학식 4-2)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4-1의 화합물인 (2-부틸-7-메틸-6-페닐-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0.5g, 1.69 mmol)을 사 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0.58g, 수율 57%)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2(t, 3H), 1.08(t 3H), 1.40(m, 2H), 1.66(d, 3H), 1.78(m, 2H), 2.35(s, 3H), 2.75(t, 2H), 3.24(m, 1H), 3.42(m, 1H), 4.78(d, 2H, J=5.3Hz), 5.28(t, 1H, -OH), 5.48(s, 2H), 5.87(q, 1H), 7.15(m, 4H), 7.21(d, 2H, J=7.8Hz), 7.39-7.54(m, 6H) 7.88(dd, 1H, J=1.0, 7.3Hz); Mass: 601
<6-2> 2-부틸-3-{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7-메틸-5- 메틸설파닐메톡시메틸 -6- 페닐 -3H- 이미다조[4,5-b]피리딘 (화학식 4-3)의 제조
상기 실시예 <6-1>에서 얻은 화학식 4-2의 화합물 (0.53g, 0.88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에 용해한 후, 0℃로 냉각시키고 여기에 소듐하이드라이드(60%; 53mg, 1.32 mmol), 클로로메틸 메틸설파이드 (0.12 mL, 1.32 mmol) 및 NaI(0.13g, 0.88 mmol)를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물 50 mL에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50 mL×2회)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여과하였다. 이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 및 농축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3/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0.49g,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93(t, 3H), 1.10(t 3H), 1.38(m, 2H), 1.70(d, 3H), 1.76(m, 2H), 2.07(s, 3H), 2.35(s, 3H), 2.76(t, 2H), 3.23(m, 1H), 3.45(m, 1H), 4.50(s, 2H), 4.95(s, 2H), 5.45(s, 2H), 5.84(q, 1H), 7.10(m, 4H), 7.20(d, 2H,), 7.25-7.50(m, 6H) 7.90(m, 1H); Mass: 661
<6-3> 2-부틸-7- 메틸 -5- 메틸설파닐메톡시메틸 -6- 페닐 -3-[2'-(1H- 테트라졸 -5-일)- 이페닐-4- 일메틸 ]-3H- 이미다조 [4,5-b]p피리딘 (화학식 11)의 제조
실시예 <1-5>에서 화학식 1-6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실시예 <6-2>에서 얻은 화학식 4-3의 화합물(0.22g. 0.33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0.18g, 수율 91%)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δ 0.95(t, 3H), 1.43(m, 2H), 1.80(m, 2H), 2.07(s, 3H), 2.35(s, 3H), 2.85(t, 2H), 4.55(s, 2H), 4.85(s, 2H), 5.30(s, 2H), 7.00(m, 4H), 7.20(m, 2H), 7.32(m, 2H) 7.45(m, 5H); Mass: 589
실시예 7: 2-부틸-6-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12)의 제조
<7-1> 6-브로모-2-부틸-1-{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 일메틸}-1H- 벤조이미다졸 -5- 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5-2a; R 1 = Br , R 2 =COOMe) 및 5- 브로모 -2-부틸-1-{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1H- 벤조이미다졸 -6- 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5-2b; R 1 =COOMe, R 2 = Br ) 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 대신에 화학식 5-1의 화합물인 6-브로모-2-부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2.5g, 8.0 mmo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오일상태의 표제화합물 5-2a(1.87g, 수율 38%) 및 5-2b(1.97g, 수율 40%)를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5-2a; δ 0.93(t, 3H), 1.05(t, 3H), 1.42(m, 2H), 1.65(d, 3H), 1.82(m, 2H), 2.83(t, 2H), 3.22(m, 1H), 3.43(m, 1H), 3.93(s, 3H), 5.34(s, 2H), 5.86(q, 1H), 6.93(d, 1H, J=8.1Hz), 7.16(d, 1H, J=8.1Hz), 7.46(d, 1H, J=7.5Hz), 7.46-7.57(m, 2H), 7.50(s, 1H), 7.89(d, 1H, J=7.5Hz), 8.24(s, 1H) : Mass: 619
1H-NMR(300MHz, CDCl3) 5-2b; δ 0.93(t, 3H), 1.04(t, 3H), 1.43(m, 2H), 1.64(d, 3H), 1.81(m, 2H), 2.82(t, 2H), 3.21(m, 1H), 3.42(m, 1H), 3.91(s, 3H), 5.34(s, 2H), 5.86(q, 1H), 6.93(d, 1H, J=8.0Hz), 7.14(d, 1H, J=8.0Hz), 7.40(d, 1H, J=7.6Hz), 7.46-7.56(m, 2H), 7.76(s, 1H), 7.88(d, 1H, J=7.6Hz), 8.02(s, 1H) : Mass: 619
<7-2> 2-부틸-1-{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6-스티릴-1H- 벤조이미다졸 -5- 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5-3a; R 1 =
Figure 112009075777668-pat00029
, R 2 =COOMe) 및 2-부틸-1-{2'-[1-(1- 에톡시 -에틸)-1H- 테트라졸 -5-일]- 바이페닐 -4- 일메틸 }-5- 스티릴 -1H- 벤조이미다졸 -6- 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5-3b; R 1 =COOMe, R 2 =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0
) 의 제조
실시예 <2-2>에서 2-2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실시예 <7-1>에 얻은 화학식 5-2의 화합물(1.0g, 1.6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오일상태의 표제화합물 5-3a(0.72g, 수율 70%) 및 5-3b(0.69g, 수율 67%)를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5-3a; δ 0.92(t, 3H), 1.01(t, 3H), 1.45(m, 2H), 1.61(d, 3H), 1.84(m, 2H), 2.84(t, 2H), 3.20(m, 1H), 3.36(m, 1H), 3.92(s, 3H), 5.39(s, 2H), 5.80(q, 1H), 6.85(d, 1H, J=16.2Hz), 6.98(d, 1H, J=8.2Hz), 7.16(d, 1H, J=8.2Hz), 7.24(m, 1H), 7.31-7.36(m, 2H), 7.41(dd, 1H), 7.47-7.55(m, 4H), 7.48(s, 1H), 7.88(dd, 1H), 8.08(d, 1H, J=16.1Hz), 8.38(s, 1H) : Mass: 642
1H-NMR(300MHz, CDCl3) 5-3b; δ 0.94(t, 3H), 1.06(t, 3H), 1.45(m, 2H), 1.64(d, 3H), 1.85(m, 2H), 2.83(t, 2H), 3.22(m, 1H), 3.42(m, 1H), 3.91(s, 3H), 5.36(s, 2H), 5.87(q, 1H), 6.95(d, 1H, J=8.2Hz), 6.98(d, 1H, J=15.8Hz), 7.27(m, 1H), 7.33-7.58(m, 7H), 7.87(d, 1H, J=7.6Hz), 7.90(s, 1H), 8.05(s, 1H), 8.07(d, 1H, J=15.8Hz) : Mass: 642
<7-3> 2-부틸-6-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12)의 제조
실시예 <1-5>에서 화학식 1-6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실시예 <7-2>에서 얻은 화학식 5-3a의 화합물 (0.21g, 0.32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 (0.154g,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 : δ 0.83(t, 3H), 1.29(m, 2H), 1.59(m, 2H), 2.41(t, 2H), 3.89(s, 3H), 5.29(s, 2H), 6.71(d, 2H, J=8.1Hz), 6.76(d, 1H, J=16.1Hz), 6.91(d, 2H, J=8.1Hz), 7.23-7.32(m, 5H), 7.37(s, 1H), 7.47(s, 1H), 7.49(m, 1H), 7.54-7.65(m, 2H), 7.90(d, 1H, J=16.1Hz), 8.00(dd, 1H): Mass: 568
실시예 8: 2-부틸-5-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 이미다졸-6-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화학식 13)의 제조
실시예 <1-5>에서 화학식 1-6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실시예 <7-2>에서 얻은 화학식 5-3b의 화합물(0.25g, 0.39 mmol)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여 표제화합물(0.19g, 수율 87%)을 수득하였다.
1H-NMR(300MHz, CDCl3)δ 0.86(t, 3H), 1.30(m, 2H), 1.62(m, 2H), 2.44(t, 2H), 3.88(s, 3H), 5.26(s, 2H), 6.62(d, 1H, J=16.0Hz), 6.71(d, 2H, J=8.1Hz), 6.92(d, 2H, J=8.1Hz), 7.14(s, 1H), 7.29-7.34(m, 2H), 7.37-7.43(m, 2H), 7.49-7.55(m, 4H), 7.62(s, 1H), 7.85(d, 1H, J=16.0Hz), 7.98(m, 1H): Mass: 568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치환기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치환기
화합물
(화학식)
R1 R2 R3 A X P
2 CH2OH H Me 에틸 N H
3 Me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1
H n-부틸 N H
4 COOMe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2
H n-부틸 N H
5 CH2OH H Me n-부틸 N H
6 CH2F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3
H n-부틸 N H
7 CH(OMe)2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4
H n-부틸 N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5
8 CH(OMe)2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6
H n-부틸 N H
9 CH2OAc Br H n-부틸 N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7
10 CH2OAc Br H n-부틸 N H
11 CH2OCH2SMe Phenyl H n-부틸 N H
12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8
COOMe H n-부틸 CH H
13 COOMe
Figure 112009075777668-pat00039
H n-부틸 CH H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여 여러 가지 약리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화합물이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검증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세포내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TAZ 단백질에 녹색형광단백질(green fluorescence protein;gFP)을 연결한 벡터(pEGFP-TAZ) 및 세포 내 핵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적색형광단백질(Red fluorescence protein; RFP)이 연결된 핵 특이적 히스톤 단백질(RFP-H2B) 발현 벡터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pEGFP-TAZ 벡터는 전장 TAZ cDNA를 PCR 방법으로 얻은 다음, pEGFP 벡터(Invitrogen, Carlsbad, CA, USA)에 삽입하여 클로닝하였고, 또한, RFP-H2B 발현벡터는 전장 히스톤 H2B cDNA를 RFP 발현 벡터(Clontech Laboratories, Inc., Palo Alto, CA, USA)에 삽입하여 클로닝한 후,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Cos7 세포(ATCC, Manassas, VA)(5x103 cells/well)를 깔고 안정화 시킨 후, 이펙텐(effectene; Qiagen) 방법으로 pEGFP-TAZ 및 RFP-H2B 벡터를 세포 내로 도입하였다. 벡터 도입 48 시간 후, 상기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 내지 12의 화합물들을 각각 10 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처리 30분 후, BD 패스웨이(BD pathway high-content bioimager, BD bioscience) 기기를 이용하여 세포 내에서 초록 형광색의 핵으로의 이동을 실시간 확인하였다. 정량화 프로그램(BD IPLab™ for Pathway 와 BD™ Image Data Explorer)을 이용하여 RFP 신호를 발현하는 세포에서 GFP 신호의 핵에서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 발현되는 TAZ 단백질의 핵에서의 GFP 신호 발현 정도를 100%로 정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변화를 %로 표시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화합물
(화학식)
2 3 4 5 6 7 9 11 12
촉진 효과 (%) 130.30 156.83 135.25 150.56 132.42 160.30 147.45 133.70 149.46
그 결과, 본 발명의 12개 화합물 중 9개 화합물이 TAZ 단백질의 핵에서의 발현을 130% 이상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TAZ 단백질의 핵으로의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및 조골세포 분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PPAR γ 기능을 억제하는 TAZ 활성에 미치는 영향 검증
PPARγ 기능을 억제하는 TAZ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93T 세포(ATCC)를 48-웰 플레이트(1×105 세포/웰)에 깔고 안정화 시킨 후, PPARγ, TAZ 발현 벡터와 함께 aP2-luc(adipose fatty acid binding protein 2 promoter linked to luciferase) 및 pCMVβ 벡터를 도입하였다(Hong et al., Science 2005;309:1074-8, 참조). PPARγ 또는 TAZ 단백질 발현에 따른 표적 유전자의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aP2-luc 리포터 유전자를 함께 세포내로 도입하였으며, 세포내 도입 효율의 보정을 위해 pCMVβ 벡터를 모두 동일량 세포내로 도입하고 β-갈락토시다제 활성을 측정하여 루시퍼라제 활성 값에 보정하였다.
24 시간 후, 상기 세포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 내지 12의 화합물들을 각각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들로부터 NP-40 포함 용해용액을 사용하여 세포 단백질을 추출하고,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Promega, Sunnyvale, CA, USA). PPARγ에 의한 aP2 프로모터 활성 증가가 TAZ 발현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감소된 수치를 100%로 정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한 활성 저해 효과를 %로 나타내었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PPARγ 기능을 억제하는 TAZ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영향
화합물
(화학식)
2 3 5 6 7 8 9 10 11 12 13
저해효과 (%) 43.2 64.6 32.3 51.3 46.7 69.2 22.7 57.5 83.0 69.7 39.9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1개 화합물 중 10개의 화합물이 추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화학식 3, 8, 11 및 12의 화합물의 경우, 60% 이상의 매우 강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TAZ와 PPARγ 간의 결합을 통하여 PPARγ의 지방세포 분화 활성을 저해하므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RUNX2 기능을 촉진하는 TAZ 활성에 미치는 영향 검증
RUNX2 기능을 촉진하는 TAZ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93T 세포에 RUNX2 및 TAZ 발현 벡터와 함께 6×OSE-luc(osteocalcin-specific element linked to luciferase, six copies of RUNX2-binding site in the osteocalcin promoter linked to luciferase)를 도입하였다(Hong et al., Science 2005;309:1074-8, 참조). RUNX2 단백질이 발현됨에 따라 OSE 프로모터에 결합이 증가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이 증가함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TAZ 발현에 따른 추가적인 활성 촉진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24 시간 후, 상기 세포에 화학식 2 내지 12의 화합물들을 각각 10 μ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단백질을 추출한 후, 리포터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TAZ의 RUNX2 촉진 기능에 대한 화합물들의 영향을 정량화 하였다. 이때 형질전환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293T 세포에 β-갈락토시다제를 발현하는 pCMVβ 벡터를 도입한 후 β-갈락토시다제 활성을 측정하여 보정하였다. RUNX2에 의한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프로모터 활성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수치를 100%로 정하였다. TAZ 단백질의 추가 발현에 의하여 평균 570%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상회하는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들의 경우, 추가 활성 촉진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RUNX2 기능 촉진에 대한 TAZ 활성 (570%)에 대한 화합물의 영향
화합물
(화학식)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472.6 259.4 463.2 468.2 483.4 476.4 688.0 675.8 671.6 753.6 296.1 568.8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2개의 화합물 중 화학식 8, 9, 10 및 11의 화합물에서 추가 촉진 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TAZ와 전사인자인 RUNX2 간의 결합을 통하여 RUNX2의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지방세포 혹은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지방세포 혹은 조골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3T3-L1 세포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고, C3H10T1/2 세포를 이용하여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4-1> 3 T3 - L1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3T3-L1 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3T3-L1 지방 전구세포(ATCC CL-173)를 10% 송아지 혈청(Calf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 현탁하고 나서, 24-웰 플레이트(3×104 세포/웰)의 바닥에 컨플루언트(confluent)하게 자라도록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10% 우태아혈청(FBS)이 첨가된 배지에 2 μM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5 μg/mL 인슐린 및 1 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첨가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48 시간 후, 배지를 5 μg/mL 인슐린 및 10% 우태아혈청을 포함한 DMEM 배지로 교환하였으며, 다시 48 시간 후, 10% 우태아혈청을 포함한 DMEM 배지로 교환하였고, 48시간마다 배지를 새롭게 교환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배지를 교환할 때 추가 공급하였다. 분화 유도 8일 후, 세포를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 Oil-red O 염색을 수행하여 세포에서 생성된 지방을 확인하였다.
측정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화학식 3, 4 및 12의 화합물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경우, 화학식 7의 화합물에 의해 추가적인 지방세포 억제 효과가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도 2).
<4-2> C3H10T1 /2 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C3H10T1/2 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C3H10T1/2 세포 (ATCC CCL 226)를 10% 우태아혈청을 포함한 α-MEM 배지로 희석하고, 96-웰 플레이트 (1×104 세포/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48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교환하면서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분화 개시일에 10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분화 유도 20일 후, 골 세포내 생성이 증가된 칼슘과 반응하는 알리자린 레드 염색(Alizarin red staining)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분화된 세포를 70% 에탄올로 고정한 후, 알리자린 레드 S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조골세포로의 분화가 잘 될수록 붉은 빛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염색 정도를 통해 분화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측정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한 10개 화합물들이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어느 정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특히 화학식 3 (A2) 및 화학식 5 (A4)의 화합물이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현저히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바, 비만 억제 또는 골다골증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1 내지 A-12는 각각 화학식 2 내지 13의 화합물을 나타냄).
도 2는 선정된 화합물(화학식 3, 4, 7, 11 및 12)의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1 내지 A-12는 각각 화학식 2 내지 13의 화합물을 나타냄).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75777668-pat00040
    상기 식에서,
    A는 에틸 또는 n-부틸이고;
    R1은 메틸, CH2OH, CO2Me, CH2F, CH(OMe)2, CH2OAc, CH2OCH2SMe 또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41
    이며;
    R2는 수소, 브롬, CO2Me,
    Figure 112009075777668-pat00042
    ,
    Figure 112009075777668-pat00043
    또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44
    이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X는 CH 또는 질소이고;
    P는 수소 또는
    Figure 112009075777668-pat00045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 {2-에틸-7-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
    (2) 2-부틸-5-메틸-6-피리딘-3-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3) 2-부틸-6-피리딘-2-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4) {2-부틸-7-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
    (5) 2-부틸-5-플루오로메틸-6-(1-옥시-피리딘-2-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6) (2-부틸-5-디메톡시메틸-3-{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일)-페닐-메탄올;
    (7) {2-부틸-5-디메톡시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일}-페닐-메탄올:
    (8)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 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
    (9)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
    (10) 2-부틸-7-메틸-5-메틸설파닐메톡시메틸-6-페닐-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11) 2-부틸-6-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및
    (12) 2-부틸-5-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6-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60717186-pat00046
    상기 식에서,
    A는 에틸 또는 n-부틸이고;
    R1은 메틸, CH2OH, CO2Me, CH2F, CH(OMe)2, CH2OAc, CH2OCH2SMe 또는
    Figure 112011060717186-pat00047
    이며;
    R2는 수소, 브롬, CO2Me,
    Figure 112011060717186-pat00048
    ,
    Figure 112011060717186-pat00049
    , 또는
    Figure 112011060717186-pat00050
    이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X는 CH 또는 질소이고;
    P는 수소 또는
    Figure 112011060717186-pat00051
    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 {2-에틸-7-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
    (2) 2-부틸-5-메틸-6-피리딘-3-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3) 2-부틸-6-피리딘-2-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4) {2-부틸-7-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탄올;
    (5) 2-부틸-5-플루오로메틸-6-(1-옥시-피리딘-2-일)-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6) (2-부틸-5-디메톡시메틸-3-{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일)-페닐-메탄올;
    (7) {2-부틸-5-디메톡시메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6-일}-페닐-메탄올:
    (8)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2'-[1-(1-에톡시-에틸)-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
    (9) 아세트산 6-브로모-2-부틸-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5-일메틸 에스테르;
    (10) 2-부틸-7-메틸-5-메틸설파닐메톡시메틸-6-페닐-3-[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
    (11) 2-부틸-6-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5-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및
    (12) 2-부틸-5-스티릴-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1H-벤조이미다졸-6-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121291A 2009-06-02 2009-12-08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1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5,363 US8372862B2 (en) 2009-06-02 2010-04-22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or obesity comprising phenyltetrazole derivative
CN2010101908152A CN101904844B (zh) 2009-06-02 2010-06-02 用于预防或治疗骨质疏松或肥胖的含有苯基四唑衍生物的药物组合物
JP2010126866A JP5538071B2 (ja) 2009-06-02 2010-06-02 フェニルテトラゾール誘導体を含む骨粗鬆症または肥満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
US13/734,348 US9090608B2 (en) 2009-06-02 2013-01-04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or obesity comprising phenyltetrazole derivat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8640 2009-06-02
KR1020090048640 2009-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139A KR20100130139A (ko) 2010-12-10
KR101117128B1 true KR101117128B1 (ko) 2012-03-14

Family

ID=4350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291A KR101117128B1 (ko) 2009-06-02 2009-12-08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38071B2 (ko)
KR (1) KR101117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1932A1 (ja) * 2011-07-15 2013-01-24 塩野義製薬株式会社 Ampk活性化作用を有するアザ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
JP6616190B2 (ja) * 2014-02-07 2019-12-04 国立大学法人 東京医科歯科大学 筋形成促進剤、筋萎縮抑制剤、医薬組成物及びtaz活性化剤
KR102240763B1 (ko) * 2018-04-19 2021-04-1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Taz의 pdx1 활성 조절을 통한 혈당 조절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386A (ko) * 2001-09-12 2003-04-03 한국화학연구원 페닐테트라졸 유도체로 치환된 β-아미노알코올 화합물
EP1555260A1 (en) * 2003-11-28 2005-07-20 Dipharma S.p.A. Phenyltetrazol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4390A (en) * 1989-05-30 1996-03-31 Merck & Co Inc The 6-membered trans-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s are compressed with imidazo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US5223499A (en) * 1989-05-30 1993-06-29 Merck & Co., Inc. 6-amino substituted imidazo[4,5-bipyridines as angiotensin II antagonists
KR0151816B1 (ko) * 1994-02-08 1998-10-15 강박광 신규의 치환된 피리딜 이미다졸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386A (ko) * 2001-09-12 2003-04-03 한국화학연구원 페닐테트라졸 유도체로 치환된 β-아미노알코올 화합물
EP1555260A1 (en) * 2003-11-28 2005-07-20 Dipharma S.p.A. Phenyltetrazole compounds
US7345072B2 (en) 2003-11-28 2008-03-18 Dipharma S.P.A. Phenyltetrazole compounds
US20080119657A1 (en) 2003-11-28 2008-05-22 Dipharma S. P. A. Phenyltetrazol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38071B2 (ja) 2014-07-02
JP2010280658A (ja) 2010-12-16
KR20100130139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056B1 (ko) 과증식성 질환 치료시 Bub1 키나제 저해제로 사용하기 위한 치환된 벤질인다졸
JP6425724B2 (ja) Cftr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チエノ[2,3−c]ピラン
JP6293068B2 (ja) ピリジン誘導体
ES2777123T3 (es) Pirazol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autoinmunes
US20050245520A1 (en) 2-Phenylpyridin-4-yl derivatives as alk5 inhibitors
CN102143962B (zh) 具有抗病毒特性的化合物
BR112012033334B1 (pt) Composto de fórmula (i)
EP3307715A1 (en) Aromatic sulfonamide derivatives
US909060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or obesity comprising phenyltetrazole derivative
JP2018522863A (ja) Nadphオキシダーゼ4阻害剤
KR20160095114A (ko) 이소프로필 트리아졸로 피리딘 화합물
KR101117128B1 (ko)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35559B1 (ko) 클로로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4144923A (zh) 氨基杂芳基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29719A (ko) 에스트로겐-관련 수용체 알파 조절제
KR101069166B1 (ko) 이미다조 페닐테트라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8815167B (zh) 一种化合物在制备治疗肿瘤的药物中的用途
BR112021015588A2 (pt) Novos derivados de n-benzil-2-fenoxibenzamida como moduladores de receptores de prostaglandina e2 (pge2)
JP2005538997A (ja) Tgf−ベータシグナル伝達経路の阻害剤としてのピリジニル置換(1,2,3)トリアゾール
WO2017126635A1 (ja) 複素環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CA3169000A1 (en) Crystal of imidazopyridinone compound or salt thereof
CN117136051A (zh) Adamts抑制剂的前药、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CN115260156A (zh) 作为jak2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CN116891472A (zh) 一种含咪唑结构的酰胺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8027068A (zh) 一种含桥环的化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