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317B1 - 시린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린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317B1
KR101116317B1 KR1020090134086A KR20090134086A KR101116317B1 KR 101116317 B1 KR101116317 B1 KR 101116317B1 KR 1020090134086 A KR1020090134086 A KR 1020090134086A KR 20090134086 A KR20090134086 A KR 20090134086A KR 101116317 B1 KR101116317 B1 KR 10111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yringe
hinge
nozzle holder
hol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488A (ko
Inventor
최종권
최문기
황세한
정현성
Original Assignee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317B1/ko
Priority to TW099143750A priority patent/TWI447493B/zh
Priority to CN2010106119020A priority patent/CN102120203B/zh
Publication of KR2011007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린지를 고정하는 시린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린지가 삽입되는 노즐홀더블록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시린지의 노즐홀더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노즐홀더블록과, 상기 노즐홀더블록이 삽입되는 결합턱을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결합턱에 삽입된 노즐홀더블록의 외부면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노즐홀더블록을 상기 베이스에 밀착시키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도포, 페이스트, 시린지, 고정, 교체, 헤드

Description

시린지 고정장치{Apparatus for syringe adhesion}
본 발명은 시린지를 고정하는 시린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린지가 삽입되는 노즐홀더블록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과정에서 유리기판에 소정의 패턴으로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작업은 페이스트 도포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페이스트 도포장치는 기판이 장착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기판에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노즐이 장착된 디스펜스 헤드와, 상기 디스펜스 헤드가 장착되는 칼럼(column), 그리고 상기 칼럼과 디스펜스 헤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펜스 헤드에는 페이스트를 담고 있는 시린지(syringe)가 설치되고, 상기 시린지는 노즐과 연결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도포장치는 기판과 노즐의 상대위치 관계를 변화시켜 가면서 기판에 소정 형상의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즉, 페이스트가 토출될 때, 기판은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디스펜스 헤드는 상기 칼럼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의 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면서 이 동된다.
도 1은 종래의 시린지 고정장치가 적용된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디스펜스 헤드의 시린지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디스펜스 헤드(110)는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칼럼(미도시)에 설치되는 선형운동장치(미도시)에 장착되는 메인블록(120)과, 페이스트가 수납된 시린지(15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블록(140)과, 상기 헤드블록(140)을 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130)와, 상기 헤드블록(14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노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린지(150)는 헤드블록(140)의 하부에 설치된 시린지 고정장치(16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시린지 고정장치(160)는 헤드블록(140)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160a)와, 상기 각 고정부(160a)의 외측에 장착된 너트브라켓(160b)과, 상기 고정부(160a)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탈방지판(160c)으로 구성된다.
시린지(150)의 하단부의 노즐홀더에는 상기 시린지 고정장치(1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ㅜ'자형의 노즐홀더블록(150a)이 장착된다. 노즐홀더블록(150a)의 홀더에는 시린지가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판(160c)의 양단부는 볼트(160ca)에 의해 수평으로 가압하여 고정부(160a)에 노즐홀더블록(150a)을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 브라켓(160b)의 상부에는 레버(160ba)가 구비되어, 노즐홀더블록(150a)을 상 측에서 수직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디스펜스 헤드(110)에 노즐홀더블록(150a)을 고정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다.
이탈방지판(160c)의 일단이 해제되어 외측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시린지(150) 끝단의 노즐홀더블록(150a)이 상기 고정부(160a) 및 너트브라켓(160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시린지 고정장치(160)의 전방에서부터 밀어넣은 후 이탈방지판(160c)을 회전하여 고정부(160a)의 전방을 폐쇄한다. 그후, 볼트(160ca) 및 레버(160ba)를 통해 노즐홀더블록(150a)에 대해 수평 및 수직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이스트 도포장치는 상기 디스펜스 헤드(110)에 시린지(150)를 탈부착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워 시린지 교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의 볼트(160ca) 및 레버(160ba)에 있는 와셔의 분실 우려가 있다.
또한, 각각의 볼트(160ca) 및 레버(160ba)를 조일 시에 동시에 동일한 가압을 주어야 동일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즉, 4개의 볼트 및 레버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동일한 가압을 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교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서 노즐홀더블록(150a)의 고정상태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린지 교체 후 노즐홀더블록(150a)을 재장착하고 나서는 스팟 거리에 대한 재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디스펜스 헤드에 시린지를 교체할 때 빠른 시간내에 간편하게 교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체 작업자의 작업 특성과는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디스펜스 헤드에 시린지를 교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노즐홀더블록의 외부면을 복수 방향에서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가압 부재를 시린지 고정장치에 적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시린지의 노즐홀더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노즐홀더블록과, 상기 노즐홀더블록이 삽입되는 결합턱을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결합턱에 삽입된 노즐홀더블록의 외부면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노즐홀더블록을 상기 베이스에 밀착시키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부재는, 힌지를 통해 상기 노즐홀더블록의 외부면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블록과, 상기 힌지 블록을 나사 조임에 의해 지지하는 힌지블록 고정체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블록은 단일 주형물로서 복층의 베이스 구조를 가지며, 상기 힌지축이 돌출되어 있는 상부 힌지블록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 힌지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는, 상기 조임 볼트의 끝단이 삽입되어 나사 조임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나사홀과, 상기 베이스에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린지 교체에 있어 힌지 방식을 적용해 고정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시린지 교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 방식이 아닌 힌지 방식을 채택함으로서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일관된 상태의 시린지의 고정 상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가압으로 교체 가능함으로써, 노즐과 센서의 레이저 스팟 위치로 인한 에러를 감소시켜 공정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교체 시에 레버나 볼트의 와셔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고정장치에 노즐홀더블록이 결합된 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의 상세 도면이다.
디스펜스 헤드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메인블록(미도시)에 장착되는 플레 이트 형상의 헤드블록(140)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헤드블록(140)의 하부에는 시린지를 부착 및 이탈시킬수 있는 시린지 고정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시린지 고정장치(200)는 시린지의 노즐홀더가 삽입되는 노즐홀더블록(210), 헤드블록(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220),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수직 및 수평으로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노즐홀더블록(210)은 'ㅜ' 형태를 가지는데 바디체(210a)와 날개체(210b)를 구비한다. 노즐홀더블록(210)이 베이스(220)와 결합될 때 상기 날개체(210b)는 베이스(220)의 상부면에 놓이게 된다.
또한, 노즐홀더블록(210)의 상부면에는 삽입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홀(211)은 시린지의 노즐홀더가 삽입된다. 노즐홀더블록(210)에는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바(212)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바(212)는 노즐홀더블록(210)과 베이스(220)과 결합될 때 베이스(220)의 결합홈(221)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노즐 분사 및 노즐홀더블럭과 베이스간의 결합 정합성을 이룰수 있다.
베이스(220)는 디스펜스 헤드의 헤드블록(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헤드블록(140)이 상부 일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220)는 노즐홀더블록(210)이 삽입되는 결합턱이 형성되어 있는데, 예컨대, 전방이 파인 형태의 우물형의 결합턱이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ㅜ' 형태의 노즐홀더블록(210)이 Y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노즐홀더블록(210)의 우물형 결합턱에 삽입된다. 삽입된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는 베이스(220)의 상부면에서 지지된다.
가압 부재는, 상기 결합턱에 삽입된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매개체, 예컨대, 힌지(235)를 이용하여 수평인 Y축 및 수직인 Z축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을 상기 베이스(220)에 밀착시킨다. 즉, 힌지축(23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힌지(235)의 일측단이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의 전방측면을 Y축으로 방향으로 수평 가압하고, 힌지(235)의 다른 일측단이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의 상면을 Z축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220)에 밀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부재는 힌지블록 고정체(240)와 힌지블록(230)을 포함한다.
힌지블록 고정체(240)는 조임 볼트(231)의 끝단이 삽입되어 나사 조임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나사홀(242)을 구비한다. 하부 힌지블록(230b)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231)와 상기 나사홀(242)이 나사 조임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하부 힌지블록(230b)을 힌지블록 고정체(24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는 베이스(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힌지블록 고정체(24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고정볼트(241)를 두어서 상기 고정볼트(241)를 통해서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를 하부의 베이스(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힌지블록(230)은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수평 및 수직으로 가압하는 매개체인 힌지(235)를 지지하는 몸체이다. 상기 힌지블록(230)은 단일 주형물로서 상부 힌지블록(230a) 및 하부 힌지블록(230b)으로 이루어진 복층의 베이스 구조체 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블록(230a)은 힌지(235)의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는 힌지축(23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힌지(235)는 힌지축(23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ㄱ'자 구조를 가진다.
힌지(235)가 힌지축(236)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임볼트(231)의 조임 동작에 의해 힌지블록(230)이 힌지블록 고정체(240) 방향으로 밀착될 때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의 전방측면과 상면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블록(230)이 힌지블록 고정체(240) 방향으로 Y축을 따라 수평으로 조임볼트(231)에 의해 조여질 때, 힌지블록(230)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235)의 일측단이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의 전방측면을 Y축 방향을 따라 수평 가압하게 된다. 그 후, 힌지블록(230)이 힌지블록 고정체(240) 방향으로 Y축을 따라 수평으로 계속 조여지면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의 전방측면의 반발력으로 인해 힌지(235)의 일측단이 가압 반대편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력을 제공하여 힌지(235)의 타측단에 회전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힌지(235)의 타측단에 발생되는 회전가압력에 의해 노즐홀더블록(210)의 날개체(210b)의 전방측면에 Z축의 수직 가압이 이루어질수 있다.
하부 힌지블록(230b)은 베이스(220)의 상부면의 X축을 따라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며, 특정 지점에서 조임볼트(231)의 조임에 의해 힌지블록 고정체(2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힌지블록(230b)은,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이 삽입되는 방향축으로 슬롯 구조를 갖는 슬롯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홀(232)에 삽입된 조임 볼트(231)를 축으로 상기 베이스(220)의 상부면을 따라 X축을 따라 좌우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조임 볼트(231)는 상기 슬롯홀(232)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힌지블록(230b)를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에 조임 고정시킨다. 조임 볼트(231)는, 헤드(231a), 볼트바(231b), 나사선단(231c)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임볼트의 헤드(231a)는 상기 슬롯홀(232)보다 크도록 형성하고, 슬롯홀(232)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볼트바(231b)의 끝단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단(231c)이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바(231b)가 상기 슬롯홀(232)에 삽입되어 끝단의 나사선단(231c)이 힌지블록 고정체(240)에 형성된 나사홀(242)에 나사 조임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 힌지블록(230b)를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에 조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조임에 의한 힌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그림으로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홀더블록(210)이 삽입된 후 도 6(b)와 같이 힌지블록(230)을 오른쪽으로 X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힌지(235)의 일측단이 노즐홀더블록(210)의 전방측면에 닿게 하고, 힌지(235)의 타측단이 노즐홀더블록(210)의 상부면에 닿게 한다. 그 후, 조임볼트(231)에 의해 조여져 힌지블록(230)이 힌지블록 고정체 (240)의 Y축 방향으로 밀착되면, 힌지블록(230)에 구비된 힌지(235) 역시 힌지블록 고정체(240) 방향으로 동시 가압되어 노즐홀더블록(210)의 전방측면 및 상부면에 밀착된다.
즉, 힌지(235)의 일측단이 노즐홀더블록(210)의 전방측면에 밀착되는 Y축 방향의 수평 가압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Y축 방향의 수평 밀착에 의한 노즐홀더블록의 반발 작용력에 의해 힌지에 회전력이 발생되어, 힌지(235)의 타측단에서 Z축 방향의 수직 가압력이 노즐홀더블록(210)의 상면에 함께 제공되는 것이다. 결국, 하부 힌지블록(230b)이 조임볼트(231)에 의해 조여져서 힌지블록 고정체(240) 방향으로 밀착될 때, 힌지(235)를 통해 Y축 수평 및 Z축 수직의 가압을 노즐홀더블록(210)의 전방측면과 상면에 동시에 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동시에 제공되는 힌지(235)의 동시 가압력에 의해 노즐홀더블록(210)이 힌지블록 고정체(240) 방향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린지 고정장치에 노즐홀더블록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부 힌지블록 및 하부 힌지블록로 된 힌지블록이 슬라이딩 된 후 노즐홀더블록을 조임 결합하는 과정을 도 7, 도 8,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7은 노즐홀더블록(210)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로서, 힌지블록(230)이 가장자리로 최대한 슬라이딩 이동되어 노즐홀더블록(210)이 베이스(220)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이다.
도 8은 힌지블록(230)이 가장자리로 최대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에서 노즐 홀더블록(210)이 베이스(220)에 삽입된 모습이다.
노즐홀더블록(210)이 베이스(220)에 삽입되고 나면, 도 9와 같이 힌지블록(230)을 조임볼트(231)를 축으로 하여 안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힌지(235)가 노즐홀더블록(210)의 상면과 측면에 닿도록 한다. 즉, 왼쪽의 힌지블록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왼쪽의 힌지블록을 왼쪽으로 이동시켜, 두 개의 힌지블록을 안쪽으로 이동시켜, 힌지(235)가 노즐홀더블록(210)의 상면과 전방측면에 닿도록 한다. 그 후, 조임볼트(231)를 조임으로써 힌지(235)를 통해 노즐홀더블록(210)의 측면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가압을 동시에 제공하여, 노즐홀더블록(210)이 베이스(220)의 수평과 수직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조임볼트(231)의 조임은 두개의 조임볼트를 동시에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즐홀더블록(210)의 결합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도 7, 도 8, 도 9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결국, 기존의 시린지 고정장치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볼트(160ca) 및 레버(160ba)를 사용하여 노즐홀더블록에 대하여 Y축의 수평 및 Z축의 수직으로 각각 가압하여, 헤드블록(140)에 밀착 결합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각각의 볼트 및 레버를 동시에 조여서 동일한 가압을 주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서 노즐홀더블록의 고정상태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힌 지(235)를 통해서 노즐홀더블록(210)의 전방측면 및 상면을 동시에 Y축 수평 및 Z축 수직으로 가압하여 베이스(220)에 밀착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매개체의 예로서 'ㄱ'자 구조의 힌지 형태를 갖는 매개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노즐홀더블록의 외부면을 동시에 수평 및 수직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의 매개체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단수개로 구현되어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상면 및 전방측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는데, 나아가, 상기 가압부재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적어도 한부분 이상 가압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힌지(235)를 각각 두어서,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 양측을 각각 가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린지를 고정하는 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시린지 고정장치가 페이스트 담긴 시린지를 통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도포장치 이외에도 시린지를 통해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에도 상기 시린지 고정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 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린지 고정장치가 적용된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펜스 헤드의 시린지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고정장치에 노즐홀더블록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린지 고정장치에 노즐홀더블록이 결합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의 상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힌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노즐홀더블록이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노즐홀더블록이 삽입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노즐홀더블록이 힌지에 의해 수평 및 수직 가압을 받아 밀착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0: 헤드 블록 210: 노즐홀더블록
220: 베이스 230: 힌지블록
230a: 상부 힌지블록 230b: 하부 힌지블록
231: 조임 볼트 232: 슬롯홀
235: 힌지 236: 힌지축
240: 힌지블록 고정체 241: 고정볼트

Claims (11)

  1. 시린지의 노즐홀더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형성된 노즐홀더블록(210);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이 삽입되는 결합턱을 구비한 베이스(220); 및
    상기 결합턱에 삽입된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을 상기 베이스(220)에 밀착시키도록, 힌지(235)를 통해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수평 및 수직으로 동시에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블록(230)과, 상기 힌지 블록(230)을 나사 조임에 의해 지지하는 힌지블록 고정체(240)를 구비한 가압 부재
    를 포함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은 'ㅜ' 형태를 가지며, 시린지의 노즐홀더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상부면에 형성된 시린지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20)는, 전방을 향해 우물형 구조로 된 결합턱이 형성된 시린지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노즐홀더블록(210)의 외부면을 적어도 한 부분 이상 가압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블록(230)은, 힌지축(236)이 돌출되어 상기 힌지축(236)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ㄱ'자 구조의 힌지(235)를 구비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블록(230)은 단일 주형물로서 복층의 베이스 구조를 가지며,
    상기 힌지축(236)이 돌출되어 있는 상부 힌지블록(230a); 및
    상기 베이스(220)의 상부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 힌지블록(230b)
    을 포함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블록(230b)은, 슬롯 구조를 갖는 슬롯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롯홀(232)에 삽입되는 조임 볼트(231)를 슬라이딩 축으로 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임 볼트(231)는, 상기 슬롯홀(232)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힌지블록(230b)를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에 조임 고정시키는 시린지 고정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는,
    상기 조임 볼트(231)의 끝단이 삽입되어 나사 조임 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나사홀(242); 및
    상기 베이스(220)에 상기 힌지블록 고정체(24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41)
    를 포함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11. 청구항 1,2,3,4,6,7,8,9,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린지 고정장치는, 페이스트 도포장치에서 시린지를 고정하는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린지 고정장치.
KR1020090134086A 2009-12-30 2009-12-30 시린지 고정장치 KR10111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086A KR101116317B1 (ko) 2009-12-30 2009-12-30 시린지 고정장치
TW099143750A TWI447493B (zh) 2009-12-30 2010-12-14 用以固定注射器的設備
CN2010106119020A CN102120203B (zh) 2009-12-30 2010-12-17 用以固定注射器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086A KR101116317B1 (ko) 2009-12-30 2009-12-30 시린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488A KR20110077488A (ko) 2011-07-07
KR101116317B1 true KR101116317B1 (ko) 2012-03-09

Family

ID=4424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086A KR101116317B1 (ko) 2009-12-30 2009-12-30 시린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16317B1 (ko)
CN (1) CN102120203B (ko)
TW (1) TWI44749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01B1 (ko) 2013-04-29 2014-08-18 주식회사 신영 마찰교반점용접 성능 평가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80Y1 (ko) * 2012-08-10 2014-02-17 박석철 전자부품 조립용 디스펜서 고정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210B1 (ko) 2004-03-19 2005-12-06 주식회사 프로텍 레진 도포장치
KR100578693B1 (ko) 2004-11-29 2006-05-16 주식회사 프로텍 레진 도포장치
KR100696935B1 (ko) 2005-10-17 2007-03-2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시린지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4600A (ja) * 1996-03-02 1999-04-27 ジーパ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フェルパックング・ウント・セルビス カートリッジおよび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JP3594763B2 (ja) * 1997-04-26 2004-1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式噴霧器
TW543509U (en) * 2002-04-29 2003-07-21 Wen-Li Guo Improved structure for water sprinkle-nozzle
TW200930464A (en) * 2008-01-03 2009-07-16 Contrel Technology Co Ltd Glue dispensing device for glue dispen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210B1 (ko) 2004-03-19 2005-12-06 주식회사 프로텍 레진 도포장치
KR100578693B1 (ko) 2004-11-29 2006-05-16 주식회사 프로텍 레진 도포장치
KR100696935B1 (ko) 2005-10-17 2007-03-2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시린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01B1 (ko) 2013-04-29 2014-08-18 주식회사 신영 마찰교반점용접 성능 평가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20203A (zh) 2011-07-13
TWI447493B (zh) 2014-08-01
CN102120203B (zh) 2013-10-09
TW201122679A (en) 2011-07-01
KR20110077488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8622B2 (en) Alignment device
KR101116317B1 (ko) 시린지 고정장치
TW509628B (en) Detachable inking device for a flexographic printing machine, its embodiment, cleaning and use in such a machine
US20050274317A1 (en) Applicator head, applicator nozzle arrangement, adaptor plate and mounting plate
TWI693106B (zh) 液體材料吐出裝置
US20090185196A1 (en) Gap sensor enabling mounting of syringe and dispenser having the same
KR100696935B1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시린지 고정장치
JP5434263B2 (ja) 布接着装置
CN215806953U (zh) 一种夹持式刚性卡箍
CN113634447B (zh) 涂胶机构
KR100573412B1 (ko) 판재 절단장치
CN210266484U (zh) 一种云台快装快拆结构
KR0124848Y1 (ko)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CN114261204A (zh) 一种喷墨打印装置
JP2006248170A (ja) スクリーン印刷用サイドガード
KR20190120995A (ko) 디스펜싱 장치 및 방법
CN114290811B (zh) 一种打印喷头安装调整装置
KR101471355B1 (ko) 액정 공급장치
CN111332029B (zh) 手持式打印机
CN215390175U (zh) 一种方便使用的建筑工程装修用板材喷漆装置
KR101550522B1 (ko) 슬로팅 머신의 바이트 고정구조
CN218167582U (zh) 一种定位结构及使用该结构的点胶机
CN218223109U (zh) 胶阀清洁装置以及点胶机
JP7349140B2 (ja) クランプ装置
JP422138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