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462B1 - 광섬유 증폭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5462B1 KR101115462B1 KR1020090119657A KR20090119657A KR101115462B1 KR 101115462 B1 KR101115462 B1 KR 101115462B1 KR 1020090119657 A KR1020090119657 A KR 1020090119657A KR 20090119657 A KR20090119657 A KR 20090119657A KR 101115462 B1 KR101115462 B1 KR 101115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control
- electrical signal
- input
- input electr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003—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the pumped medium being a fib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001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by monitoring or controlling, e.g. attenuating, the input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04B10/2942—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using automatic gain control [AG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sers (AREA)
Abstract
입력 신호의 일부를 입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증폭수단, 상기 출력 신호의 일부를 출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감지부, 상기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펌핑광의 양을 상기 입력 전기 신호 또는 출력 전기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피드 포워드 제어를 실행시키는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증폭기를 제공한다.
광섬유, EDF, 피드 포워드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섬유 증폭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초고속 광전송 시스템은 광대역 대용량화되고 있으며, 광섬유 증폭기는 이러한 광전송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광섬유 증폭기는 전송되는 광신호를 광섬유와 같은 증폭수단을 통해 증폭하는 장치로서, 광신호를 광전 변환하지 않고 광신호 자체를 증폭하므로, 광전 변환에 따른 광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등 구성이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이와 같은 광섬유에 의한 광증폭은 실리카 광섬유에 희토류 원소인 어븀(erbium: Er[68]), 프라세오디뮴(praseodymium: Pr[59]) 또는 이트븀(ytterbium: Yb[70]) 등을 첨가한 활성 광섬유의 유도 방출(stimulated emission)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현재 광전송 시스템에서 널리 채용되고 있는 파장분할다중 방식에서는 신호대역으로 1550nm 파장대역(약1530nm~1560nm)을 주로 사용하며, 이에 따라 광증폭을 위하여 그 특성상 1550nm 대역의 광신호를 증폭하기에 적절한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Erbium Doped Fiber Amplifier: 이하 EDFA)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 증폭기는 입력신호의 갑작스러운 변화 또는 채널의 추가/감소 등 여러 원인에서 발생하는 이득 변화를 해소하기 위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 또는 피드백 제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어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해 고성능의 프로세서를 구비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제어부로 사용되는 프로세서의 처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성의 광섬유 증폭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입력 신호의 일부를 입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증폭수단, 상기 출력 신호의 일부를 출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감지부, 상기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펌핑광의 양을 상기 입력 전기 신호 또는 출력 전기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피드 포워드 제어를 실행시키는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증폭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입력 신호를 기초로 변환된 입력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전기 신호와 비교 대상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활성화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된 입력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섬유 증폭기 증폭수단에 공급되는 펌핑광의 양을 제어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 하는 광섬유 증폭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섬유 증폭기의 피드 포워드 제어가 입력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직전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었던 시점의 입력 신호를 저장시키고, 현재 시점의 입력 신호와 비교시켜 피드 포워드 제어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피드 포워드 제어를 지속시킴에 따라 소요되는 프로세서의 자원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섬유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섬유 증폭기(100)는 펌핑광에 따라 광증폭을 수행하는 증폭 수단(116), 증폭 수단(116)에 펌핑광을 제공하는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122),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된 펌핑광을 증폭수단(116)으로 전달하는 커플러(114), 제어부(126)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122)에서 출력되는 펌핑광을 제어하는 펌프 드라이버(124)를 포함한다. 이때, 증폭 수단(116)으로는 통상적으로 어븀이 첨가된 광섬유가 많이 사용된다. 제어부(126)는 입력단에서 탭핑된 입력신호와 출력단에서 탭핑된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펌핑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 1 탭(110)을 통해 탭핑된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입력신호의 변화에 따라 펌핑광의 크기를 제어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탭(118)을 통해 탭핑된 출력신호를 감지하고, 출력신호와 기준값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PI 제어 또는 PID 제어를 수행하는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와 관련한 상세 내용은 선행문헌(Fast gain control for optical amplifiers, US 6,366,393)을 참조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제어와 관련한 상세 내용은 선행문헌(Optical fiber amplificatier control, US 6,522,460; Variable gain optical amplifiers, US 7,317,570)을 참조한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어부(224)로서 동작하는 프로세서의 처리 량이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피드 포워드 제어, 피드백 제어 외에도 TEC(Thermo Electric Cooler) 제어, 기타 증폭기와 관련한 각종 모니터링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고속의 고성능 프로세서를 사용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러나, 피드 포워드 제어는 입력신호 추가 또는 감소 등 갑작스러운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출력단의 과도 현상(transient)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제어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프로세서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섬유 증폭기(200)는 제 1 및 제 2 탭(210, 218), 제 1 및 제 2 감지부(212, 226), 커플러(214), 증폭수단(216),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220), 펌프 드라이버(222), 제어부(224),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 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먼저, 제 1 탭(210)은 입력 신호의 일부는 증폭수단(216)으로 전달하고, 나머지 일부는 탭핑하여, 제 1 감지부(212)로 전송한다. 커플러(214)는 제 1 탭(210)을 통해 전송된 입력 신호를 증폭 수단으로 전송한다. 또한, 커플러(214)는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220)에 의하여 공급되는 펌핑광을 증폭수단(216)에 공급하여 입력 신호에 대한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증폭수단(216)은 펌핑광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출력신호로서 출력하고, 제 2 탭(218)은 출력신호를 출력단으로 출력시킨다. 또한, 제 2 탭(218)은 출력신호의 일부를 탭핑하여, 제 2 감지부(226)로 전송한다. 제 1 감지부(212)와 제 2 감지부(226)는 각각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24)로 전달한다. 제어부(224)는 전달된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펌프 드라이버(222)에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제 1 감지부(212)와 제어부(224) 사이에 접속된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230)는 입력 신호의 변화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입력 신호의 변화 정도가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에만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면을 통해 상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의 동작시에 발생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230)는 비교부(232), 신호 저장부(234) 및 스위칭부(236)를 포함한다.
비교부(232)는 제 1 감지부(212)에 의하여 감지된 입력 전기 신호(Pa)가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 값(ref)과 임계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하고, 그에 따라 제어신호(FF_CON)를 출력한다. 이때, 비교부(232)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된 제어신호(FF_CON)를 출력하여, 일정 시간 동안만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입력 전기 신호(Pa)가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 값(ref) 보다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뿐만 아니라,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 값(ref)이 입력 전기 신호(Pa) 보다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에도 제어신호(FF_CON)를 출력시킨다. 즉, 입력 전기 신호(Pa)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어신호(FF_CON)의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신호 저장부(234)는 피드 포워드 제어가 구동된 직전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Pa)를 저장한다. 또한, 최초 동작시에는 초기값으로서 0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비교부(232)는 입력 전기 신호(Pa)와 저장된 신호값(ref)의 차이를 산출하고, 그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24)가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신호(FF_CON)를 생성한다.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시키는 제어신호(FF_CON)는 스위칭부(236)를 활성화시켜,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어부(224)에 전달되도록 한다. 스위칭부(236)가 활성화되기 전에는 입력 전기 신호(Pa)를 접지로 바이패스시킨다.
제어부(224)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시키는 제어신호(FF_CON)에 응답하여, 입력 전기 신호(Pa)에 기초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신호(FF_CON)는 프로세서에서 피드 포워드 동작을 수행시키는 인터럽트 신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어부(224)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제어신호(FF_CON)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동안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피드 포워드 제어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기초로 산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 1 레벨(a1)이고,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 신호값(ref)과의 차이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신호(FF_CON)가 로우 레벨, 즉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지 않는다.
이때, 채널의 추가 등으로 인해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 2 레벨(a2)로 증가하고, 저장된 신호값(ref)과의 차이(a2-0=a2)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신호(FF_CON)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그에 따라 스위칭부(236)가 동작하여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어부(224)로 전달되고, 제어부(224)는 그에 기초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구동된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Pa)의 값(a2)이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다(T1). 이때,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되는 동안 약간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제어신호(FF_CON)의 인가가 중단되어, 피드 포워드 제어가 중단된다(T2).
다음으로, 채널의 감소 등으로 인해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 3 레벨(a3)로 감소한 경우, 저장된 신호값(ref)과의 차이(a2-a3)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신호(FF_CON)가 활성화되지 않는다(T3).
다음으로, 채널의 추가 등으로 인해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 4 레벨(a4)로 증가하고, 저장된 신호값(ref)과의 차이(a4-a2)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신호(FF_CON)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그에 따라 스위칭부(236)가 동작하여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어부(224)로 전달되고, 제어부(224)는 그에 기초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구동된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Pa)의 값(a4)이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다(T4).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제어신호(FF_CON)의 인가가 중단되어, 피드 포워드 제어가 중단된다(T5).
다음으로, 채널의 감소 등으로 인해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 1 레벨(a1)로 감소하고, 저장된 신호값(ref)과의 차이(a4-a1)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신호(FF_CON)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그에 따라 스위칭부(236)가 동작하여 입력 전기 신호(Pa)가 제어부(224)로 전달되고, 제어부(224)는 그에 기초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구동된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Pa)의 값(a1)이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다(T6).
이와 같이, 입력 신호(Pin)에 따라 변경되는 입력 전기 신호(Pa)값과 직전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 시점의 신호 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한다. 피드 포워드 제어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므로, 제어부(224)로 사 용되는 프로세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광섬유 증폭기(200)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일부를 변환시키는 입력 전기 신호(Pa)를 수신한다(S510).
다음으로, 입력 전기 신호(Pa)와 비교 대상 값의 차이를 산출한다(S520). 이때, 비교 대상 값은 신호 저장부(234)에 저장된 값으로서, 초기값인 0 이거나, 직전 시점에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동시킨 입력 전기 신호의 값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산출된 차이가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비교한다(S514). 임계값은 제어부(224)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의 처리능력과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해야 하는 입력신호의 변화정도를 판단하여, 실시자가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차이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 피드 포워드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차이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어신호를 활성화시켜(S516), 피드 포워드 제어가 구동되도록 한다(S518). 즉, 제어신호를 통해 입력 전기 신호가 제어부(224)로 전송되도록 하고, 제어부(224) 또한 피드 포워드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피드 포워드 제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신호의 활성화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섬유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의 동작시에 발생되는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0: 광섬유 증폭기 210, 218: 탭
212, 226: 감지부 214: 커플러
216: 증폭수단 220: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222: 펌프 드라이버 224: 제어부
230: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
232: 비교부 234: 신호 저장부
236: 스위칭부
Claims (9)
- 광섬유 증폭기에 있어서,입력 신호의 일부를 입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감지부,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를 출력시키는 증폭수단,상기 출력 신호의 일부를 출력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감지부,상기 증폭 수단에 공급되는 펌핑광의 양을 상기 입력 전기 신호 또는 출력 전기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 및상기 입력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판단한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해 피드 포워드 제어를 실행시키는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를 포함하되,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량은 상기 제 1 감지부를 통해 변환된 입력 전기 신호와 직전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산출되고,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는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를 실행시키는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출력하는 광섬유 증폭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 구동부는,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가 구동된 직전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의 값을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상기 입력 전기 신호와 상기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직전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및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증폭기.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 1 감지부에 의하여 변환된 입력 전기 신호가 상기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직전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 보다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 또는 상기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직전 시점의 입력 전기 신호가 상기 제 1 감지부에 의하여 변환된 입력 전기 신호 보다 상기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인 광섬유 증폭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펌핑광의 양을 제어하는 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광섬유 증폭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증폭수단은 어븀첨가 광섬유(Erbium Doped Fiber)인 것인 광섬유 증폭기.
- 광섬유 증폭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입력 신호를 기초로 변환된 입력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입력 전기 신호와 비교 대상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상기 산출된 차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활성화된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전기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된 입력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섬유 증폭기 증폭수단에 공급되는 펌핑광의 양을 제어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출력시키는 것인 광섬유 증폭기의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비교 대상 값은 0 또는 직전 시점에 상기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동시킨 입력 전기 신호의 값인 광섬유 증폭기의 제어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9657A KR101115462B1 (ko) | 2009-12-04 | 2009-12-04 | 광섬유 증폭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9657A KR101115462B1 (ko) | 2009-12-04 | 2009-12-04 | 광섬유 증폭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2817A KR20110062817A (ko) | 2011-06-10 |
KR101115462B1 true KR101115462B1 (ko) | 2012-02-24 |
Family
ID=4439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9657A KR101115462B1 (ko) | 2009-12-04 | 2009-12-04 | 광섬유 증폭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546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0890A (ja) * | 1998-07-17 | 2002-07-09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改良型光ファイバ増幅器制御 |
KR20040102547A (ko) * | 2003-05-28 | 2004-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섬유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
-
2009
- 2009-12-04 KR KR1020090119657A patent/KR1011154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20890A (ja) * | 1998-07-17 | 2002-07-09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改良型光ファイバ増幅器制御 |
KR20040102547A (ko) * | 2003-05-28 | 2004-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섬유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2817A (ko) | 2011-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019995A1 (en) | Optical transmission receiver and method for the same | |
JP4941017B2 (ja) | 光アンプ、その制御装置、制御回路、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光通信ネットワーク | |
US8472110B2 (en) | Optical amplifi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amplifier | |
JP2007081405A (ja) | チャンネル出力平坦化機能を有する光増幅装置 | |
AU2985901A (en) | Optical attenuator including dual control loops | |
JP6079066B2 (ja) |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 |
JP2007150471A (ja) | 光伝送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115462B1 (ko) | 광섬유 증폭기 | |
US10177522B2 (en) | Pump power modulation in a feed-forward control for suppressing power transients | |
JP4633548B2 (ja) | 光受信装置 | |
US8427739B2 (en) | Optical amplifier | |
EP2975705A1 (en) | Optical ampl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US8164826B2 (en) | Multi-stage optical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2005175272A (ja) | 光増幅用励起光源の特性モニタ方法および光増幅器 | |
JP3628206B2 (ja) | 光ファイバー増幅器 | |
JP2016201679A (ja) | 伝送装置 | |
KR101095370B1 (ko) | 광섬유 증폭기 | |
KR101892196B1 (ko) | 소형화된 광섬유 증폭기 | |
JP3933514B2 (ja) | 光増幅器およびその光増幅器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 |
JP3033515B2 (ja) | 光ファイバ増幅器及びその駆動方法 | |
JP2940194B2 (ja) | 光直接増幅方式 | |
CN112583488B (zh) | 光放大器及光放大器的增益调节方法 | |
JP4133951B2 (ja) | 光増幅装置の入力光強度推定方法及び光増幅装置 | |
JP4783090B2 (ja) | 光増幅器 | |
JP4783475B2 (ja) | 光増幅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