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44B1 -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 Google Patents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44B1
KR101115344B1 KR1020067003502A KR20067003502A KR101115344B1 KR 101115344 B1 KR101115344 B1 KR 101115344B1 KR 1020067003502 A KR1020067003502 A KR 1020067003502A KR 20067003502 A KR20067003502 A KR 20067003502A KR 101115344 B1 KR101115344 B1 KR 10111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assembly
delete delete
handle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597A (ko
Inventor
존 엘. 잔센
Original Assignee
비쎌 홈케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쎌 홈케어, 인크. filed Critical 비쎌 홈케어,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120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28Security means, e.g. float valves or level switches for preventing ove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42Gaskets;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4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 A47L9/065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with mechanical actuation, e.g. using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습식 및 건식 맨 바닥면용 맨 바닥면 청소기는 습식 및 건식 흡입 노즐을 갖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을 포함한다. 회수 탱크로 각각의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사이에서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된 전환기는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각각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유동을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사이에서 핸들의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Figure 112006012504507-pct00001
베이스, 핸들, 회수 시스템, 회수 탱크, 습식 흡입 노즐, 건식 흡입 노즐, 전환기, 액츄에이터, 습건식 맨바닥 청소기.

Description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WET/DRY BARE FLOOR CLEANER}
본 발명은 맨 바닥면을 습식 또는 건식 청소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습식 및 건식 픽업을 실행할 맨 바닥면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핸들을 조정하는 편리한 이동으로써 습식 및 건식 바닥 청소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맨 바닥면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습식 노즐 개구와 건식 노즐 개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전환기를 갖춘 맨 바닥면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환기는 핸들 조립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된다.
타일, 리놀륨, 및 경재의 바닥과 같은 맨 바닥면 면을 청소하기 위한 통상적인 절차는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건식 또는 산개한 먼지, 오물, 및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이어서 액체 세정액을 상기 면에 직접 또는 에지테이터(agitator)에 의해서 적용시킨다. 맨 바닥면 면에 대한 에지테이터의 운동은 남아있는 먼지를 산개시키도록 작용시킨다. 에지테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고정 브러시 또는 천일 수 있거나, 또는 모터에 의해 베이스 지지부에 대해 이동되는 모터 구동식 브러시일 수 있다. 에지테이터가 흡수성이 있으면, 먼지가 제거될 것이고 바닥으로부터 더러워진 세정액의 일부분을 모을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먼지 및 더러 워진 세정액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결국, 바닥면에 남아있는 더러워진 세정액은 통상적으로 공기로 건조되게 방치되고, 맨 바닥면을 완전 건조하는데 필요한 지속 시간은 바닥면에 남아있는 세정액의 양에 따르게 된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먼지 및 부스러기가 습식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이 영역을 밟지않고 지나가는게 최선이다.
통상적으로 복합 청소 공구로써 맨 바닥면을 닦는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먼지 입자를 제거하는 첫번째 단계는 통상적인 비와 쓰레받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먼지 더미의 먼지를 쓰레받이로 쓸 때, 전체 더미를 옮기기 어렵고, 이 결과, 먼지 더미의 일부분이 바닥면에 남아있게 되곤 한다. 부가적으로, 먼지 더미를 모으는 동안에 제 위치에 쓰레받이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굽히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불편하고, 어렵고, 어떤 사용자에게는 고통스러운 것이다. 걸레 또한 사용될 수 있으나, 큰 먼지 입자는 거기에 충분히 부착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옵션으로서 건식 먼지를 진공 청소하거나, 또는 대부분의 가정은 카펫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고 맨 바닥면을 손상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를 구비하고 있다.
세정액을 사용하고 및/또는 교반하기(agitating) 위한 공구는 유사한 결함을 갖고 있다. 이들 단계에 대한 가장 통상적인 청소 도구는 전통적으로 스폰지 또는 긴 자루가 달린 걸레이다. 긴 자루가 달린 걸레는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산개시킬 수 있고 흡수성이 뛰어나지만, 일단 긴 자루가 달린 걸레는 세정액을 더 많이 필요로 하고, 따뜻한 세정액을 흡수하도록 버킷에 위치되고 바닥으로 다시 놓인다. 매번, 긴 자루가 달린 걸레는 통상적으로 동일한 버킷에 놓이고, 여러 번 반복한 이후에, 세정액은 더럽고 차갑게 된다. 이 결과, 맨 바닥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는데 많은 세정액을 사용하게 된다. 더욱이, 긴 자루가 달린 걸레를 이동시키는데 물리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고, 긴 자루가 달린 걸레 헤드는 사용되여 마모되고 주기적으로 교체된다. 직물의 천이 에지테이터로써 사용되나, 이들도 또한 물리적인 노력과 주기적인 교체를 필요로 한다. 부가적으로, 천은 긴 자루가 달린 걸레 만한 흡수제가 아니어서, 바닥면상에 더러워진 세정액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다.
맨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복합 청소 도구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하여 그리고 각각의 도구와 관련된 상술한 여러 문제점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정용 청소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가정용 청소 장치는 세정액을 사용하기 전에 건식 먼지 및 부스러기를 진공청소하거나 쓸기 위해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세정액을 교반하여 적용하고, 이어서 더러워진 세정액을 진공청소하여, 맨 바닥면에는 소량의 세정액 만이 남게 된다. 통상적인 에지테이터는 브러시를 회전시키고, 긴 자루가 달린 천을 회전시키고, 스폰지 걸레를 고정시키거나 진동시킨다. 복합기능 청소 장치의 일부분이 건식 및 습식 청소 모드 사이에서 변환되도록 기기에 부착된 악세서리를 사용한다. 다른 부분은 악세서리 없이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나 작동하는데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복합 설계와 특징을 갖는다.
복합 기능 맨 바닥면 청소기의 실시예는 미국특허 제2,622,254호 및 제6,101,668호, 그리고 미국출원번호 제2003/0051301호, 제2003/0051306호, 제2003/0051308호, 제2003/0051309호, 및 제2003/00513010호에 개시되었다.
미국특허 제2,622,254호는 흡입 파이프, 솔 롤(scrubbing roll), 및 청소 롤에 부착된 고무걸레와 같은 수개의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한 청소 도구를 포함한다. 이 도구는 흡입 파이프를 통한 습식 픽업 및, 솔 롤에 의한 습식 솔 및 스위핑 롤에 인접하여 배치된 먼지 수집 노즐에 의한 건식 픽업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특허 문헌은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한 노즐과 브러시 조립체를 갖춘 맨 바닥면 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노즐 조립체는 오버몰드된(overmolded) 고무걸레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습식 및 건식 먼지가 들어가 통과하는 단일 노즐 개구를 포함한다. 청소기는 노즐 조립체가 청소될 면과 접촉한 상태로 습식 픽업 모드에서 작동한다. 노즐 조립체는 건식 픽업 모드에서 작동하기 위해서 청소될 면 위의 위치로 상승된다.
미국특허 제6,101,668호는 부착부의 도움으로 맨 바닥면을 청소하는데 필요한 모든 단계를 달성할 수 있는 청소기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청소기는 전방과 후방에 고무걸레를 갖춘 노즐을 설치한 청소 헤드와, 세정액이 통하여 분배될 수 있는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솔 패드를 구비한 청소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가 청소 헤드의 바닥부에 부착될 때, 고무걸레, 노즐 및 패드를 포함한 총 청소 헤드는 바닥으로부터 건식 픽업으로 상승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회수 시스템; 및 개량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수 시스템은 습식 흡입 노즐, 건식 흡입 노즐, 습식 및 건식 부스러기를 수용하기 위한 회수 탱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각각으로부터 회수 탱크로 뻗어있는 작동 공기 도관, 핸들과 베이스 중 하나에 장착되고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도관에서 작동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게 하는 모터/팬 조립체, 및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되어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작동 공기 유동을 각각 적어도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개량부는 핸들에 장착되고,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전환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환기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는 핸들과 전환기 사이의 연결기를 포함하여 상기 전환기는 핸들이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이 건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은 습식 흡입 노즐 쪽으로 피벗된다. 핸들이 습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은 건식 흡입 노즐 쪽으로 피벗된다. 베이스는 양 단부를 구비하며,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이 습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의 일단부에 놓이고, 핸들이 건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의 다른 단부에 놓인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기는 한 측벽부에는 입구를 다른 측벽부에는 출구를 갖춘 원통형 배럴을 포함한다. 전환기는 원통형 배럴의 출구를 형성하는 도관을 포함하고, 핸들은 상기 도관에 장착된다. 도관은 핸들과 전환기 사이의 연결기를 형성한다. 원통형 배럴은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청소될 면을 선택적으로 교반하기 위하여 청소될 면과 접촉하는 하부 위치와 청소될 면 위의 상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 이동을 위한 베이스에 장착된 에지테이터를 더 포함한다.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전환기가 습식 흡입 위치와 건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에지테이터를 하부 위치와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에지테이터와 전환기 사이에 연결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지테이터는 청소될 면을 스크러빙 하기 위해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브러시이다. 상기 브러시는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브러시의 회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제 1 세트의 브리스틀(bristle)과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브리스틀은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길고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연질이다. 제 1 및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은 브러시 교호로 나란하게 배치된 열에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유체 탱크; 청소될 면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 및 유체 탱크와 유체 분배기 사이의 유체 분배 도관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회수 시스템; 및 개량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수 시스템은 습식 흡입 노즐, 건식 흡입 노즐, 습식 및 건식 부스러기를 수용하기 위한 회수 탱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각각으로부터 회수 탱크로 뻗어있는 작동 공기 도관, 핸들과 베이스 중 하나에 장착되고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도관에서 작동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게 하는 모터/팬 조립체; 및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되어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회수 탱크로 각각 작동 공기 유동을 적어도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환기를 포함하고, 및 상기 개량부는 청소될 면을 선택적으로 교반하기 위하여 청소될 면과 접촉하는 하부 위치와 청소될 면 위의 상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 이동하기 위해 베이스에 장착된 에지테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하부 위치와 상부 위치 사이에서 에지테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에지테이터와 전환기 사이에 연결기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청소될 면을 교반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브러시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제 1 세트의 브리스틀과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을 포함한 브러시이며 상기 제 1 브리스틀은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길고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연질이다. 제 1 및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은 브러시에서 교호의 나란하게 배치된 열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회수 시스템; 및 개량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수 시스템은 습식 흡입 노즐, 건식 흡입 노즐, 습식 및 건식 부스러기를 수용하기 위한 회수 탱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각각으로부터 회수 탱크로 뻗어있는 작동 공기 도관,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되어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회수 탱크로 각각 작동 공기 유동을 적어도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환기; 및 핸들과 베이스 중 하나에 장착되고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도관에서 작동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게 하는 모터/팬 조립체를 포함하고, 및 상기 개량부는 회수 탱크에 장착되고 핸들이 수직 위치 전방의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제 1 소정량과, 핸들이 수직 위치 후방의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소정량과 다른 제 2 소정량으로 회수 탱크에 있는 액체량이 도달할 때 모터/팬 조립체와 회수 탱크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방지하는 차단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수 탱크는 출구를 포함하고, 차단 밸브는 핸들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제 1 소정량과 핸들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제 2 소정량으로 회수 탱크에 있는 액체량이 도달할 때 출구를 폐쇄하게 하는 플로오트(float)를 포함한다. 플로오트는 회수 탱크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상기 플로오트는 상기 핸들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길이방향 축선 아래에 상기 핸들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길이방향 축선 상부에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핸들과 전환기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각각 전환기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액체량은 제 2 액체량보다 적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유체 탱크; 청소될 면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 및 유체 탱크와 유체 분배기 사이의 유체 분배 도관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베이스;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회수 시스템; 및 개량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수 시스템은 습식 흡입 노즐, 건식 흡입 노즐, 습식 및 건식 부스러기를 수용하기 위한 회수 탱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각각으로부터 회수 탱크로 뻗어있는 작동 공기 도관,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되어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회수 탱크로 각각 작동 공기 유동을 적어도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환기, 및 핸들과 베이스 중 하나에 장착되고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도관에서 작동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게 하는 모터/팬 조립체를 포함하고, 및 상기 개량부는 핸들이 건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손에 의해 편리하게 파지되는 제 1 부와, 핸들이 습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관련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편리하게 파지되는 제 2 부를 갖춘 핸들 상의 양방향 파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부는 핸들로부터 멀리 한 방향으로 뻗어있고, 제 2 부는 핸들로부터 멀리 반대 방향으로 뻗어있다. 상기 제 1 부 및 제 2 부는 좌우 대칭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유체 탱크; 청소될 면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 및 유체 탱크와 유체 분배기 사이에 유체 분배 도관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는 제 1 및 제 2 부 중 하나에 장착되고, 청소될 면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유체 분배 시스템에 연결된 트리거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대향한 단부를 구비하고,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은 베이스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핸들이 습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의 일단부에 놓이고, 핸들이 건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의 대향 단부에 놓인다.
도 1A는 풋 조립체와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맨 바닥면 청소기의 전방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맨 바닥면 청소기의 후방 사시도,
도 2A는 풋 조립체에 대해 제 1 위치로 피벗된, 도 1A에 도시된 맨 바닥면 청소기의 후방 사시도,
도 2B는 풋 조립체에 대해 제 2 위치로 피벗된, 도 1A에 도시된 맨 바닥면 청소기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맨 바닥면 청소기의 핸들 조립체의 분해도,
도 4는 파지부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파지부의 절반부가 제거된, 도 3에 도시된 핸들 조립체의 파지부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핸들 조립체로부터 세정액 탱크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핸들 조립체로부터의 회수 탱크 조립체의 바닥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수 탱크 조립체의 분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수 탱크 조립체의 단면도,
도 8A는 회수 탱크 조립체가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이며 도 8과 유사한 단면도,
도 8B는 회수 탱크 조립체가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이며 도 8과 유사한 단면도,
도 9는 습식 및 건식 노즐 조립체를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맨 바닥면 청소기의 풋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풋 조립체의 분해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풋 조립체로부터의 핸들 피벗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3은 최상부 폐쇄부가 제거된 상태이며, 도 9에 도시된 풋 조립체의 사시 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풋 조립체로부터의 캠 조립체의 측면도,
도 15는 도 9의 선 15-15를 따라 취해진 풋 조립체의 단면도,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풋 조립체로부터의 에지테이터 조립체의 분해도,
도 16A는 도 16에 도시된 에지테이터 조립체로부터의 솔 지지부의 사시도,
도 17은 도 9에 도시된 습식 노즐 조립체의 분해도,
도 18은 도 9의 선 18-18을 따라 취해진 풋 조립체의 단면도,
도 19는 맨 바닥면 청소기가 건식 모드에 있으며, 도 9의 선 19-19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20은 맨 바닥면 청소기가 습식 모드에 있으며, 도 19와 유사한 단면도,
도 21은 선택적인 에지테이터 조립체와 도 10에 도시된 풋 조립체로부터의 프레임의 분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선택적인 에지테이터 조립체의 분해도,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맨 바닥면 청소기용 선택적인 풋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 및
도 24는 최상부 폐쇄부가 제거된 상태이며, 도 23에 도시된 선택적인 풋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
도 1A, 1B,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10)는 베이스 또는 풋 조립체(14)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핸들 조립체(12)를 포함한 다. 핸들 조립체(12)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한 수직 위치로부터 피벗되며, 핸들은 청소될 면에 대해서, 풋 조립체(14)에 대해 어느 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특히, 핸들 조립체(1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 전방의 제 1 위치로,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위치 후방의 제 2 위치로 피벗된다.
더욱이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핸들 조립체(12)는 상부 핸들(16)과 하부 핸들(18)을 포함하며, 상부 핸들(16)은 상단부(20A)와 하단부(20B)를 갖춘 중공의 튜브(20)를 포함한다. 양방향 파지부(22)는 튜브(20)의 상단부(20A)에 고정되게 부착되나; 그러나, 직립의 진공 청소기 및 추출기(extraction machines)에 공통으로 설치된 다른 파지부를 사용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1 위치나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10)를 조정하기 위하여 파지부(22)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된다. 특히, 파지부(22)가 튜브(20)로부터 대향된 방향으로 멀리 뻗어있는 제 1 부(22A)와 제 2 부(22B)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22A, 22B)는 좌우 대칭이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19)으로 파지부(22)의 제 1 부(22A)를 파지하여, 맨 바닥면 청소기(10)를 청소될 면에 대해 이동시킨다. 이와 반대로,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19)으로 파지부(22)의 제 2 부(22B)를 파지한다. 파지부(22)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핸들 조립체(12)가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부(22A, 22B)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관련 위 치에서 파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손(19)에서의 파지부(19)의 느낌은 일반적으로 핸들 조립체(12)의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파지부(22)는 바람직하게 2개로 된 절반부를 포함하며 이 절반부는 그들 사이에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맞춰진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2)의 하나의 절반부가 설명을 위해 제거되었으며, 트리거(24)가 파지부(22)의 제 2 부(22B)에 장착되며 트리거(24)의 한 부분이 파지부(22)의 제 2 부(22B) 쪽 내부로 돌출한다. 트리거(24)의 나머지부는 파지부(22)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에 놓여지고 튜브(20)의 중공의 내부를 통과하는 푸시 로드(25)와 상호작용한다. 파지부(22)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주조된 코드 랩(26A)은 (도시되지 않은) 파워 코드를 보관하기 위해 튜브(20)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향한 못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튜브(20)의 하단부(20B)는 하부 핸들(18)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하부 핸들(18)은 대체로 길게 뻗은 후방 폐쇄부(28)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는 하부가 보여지는 개구(84)를 포함하고 거기에 포함된 구성요소용 구조 지지부를 제공한다. 전방 폐쇄부(29)는 후방 폐쇄부(28)와 짝지워져서 그들 사이에 중앙 공동(36)을 형성하고, 전방 폐쇄부(29) 위에 제 1 리세스(32)가 있고 전방 폐쇄부(29) 아래에 제 2 리세스(34)가 있다. 하부 핸들(18)은 상단부(18A) 및 하단부(18B), 및 상단부(18A)에 이송 핸들(30)을 포함한다. 이송 핸들(30)은 튜브(20)에 대해 각도져서 배치되고 청소될 면으로부터 맨 바닥면 청소기(10)를 손으로 용이하게 들 수 있다. 제 2 코드 랩(26B)은 이송 핸들(30) 근처의 후방 폐쇄부(28)의 상부면에 위치된다. 상기 파워 코드는 청소기(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파워 코드를 편리하게 보관하도록 상부 핸들(16)과 하부 핸들(18)에 있는 코드 랩(26A, 26B) 주위를 랩할 수 있다. 하부 핸들(18)의 하단부(18B)는 작동 공기 입구를 형성하는 대체로 사각형의 도관(31)을 포함하며, 이 입구는 핸들 조립체(12)와 풋 조립체(14)를 유체적으로 상호연통시킨다.
모터/팬 조립체(33)는 공동(36)에 장착되고, 상기 공동은 하방 폐쇄부(28)와 전방 폐쇄부(29)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리세스(32)와 제 2 리세스(34) 사이에 위치된다. 모터/팬 조립체(33)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고, 이 유동은 부스러기와 액체 재료를 청소될 면으로부터 청소기(10)를 통하여 이동시킨다. 파워 코드는 후방 폐쇄부(28), 전방 폐쇄부(29) 중의 어느 하나에,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된 전기 온/오프 스위치(38)를 통하는 모터/팬 조립체(33)에 연결된다.
도 1A, 3 및 5를 참조하면, 세정액 탱크 조립체(40)가 하부 핸들(18)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방 폐쇄부(29)에 부분적으로 놓이고 제 1 리세스(32)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세정액 탱크 조립체(40)는 물, 클리닝 세제, 또는 이들 혼합물과 같은 소정량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41)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손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파지되는 탱크 파지부(42)는 탱크(41)의 양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된다. 세정액 탱크 조립체(40)는 미국특허 제6,467,122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탱크 밸브 조립체(43)를 더 포함한다. 탱크 밸브(43)는 후방 폐쇄부(28)에 장착되고 모터/팬 조립체(33) 상에 위치된 리시버 밸브 조립체(45)와 짝지워진다. 가요성 도관(49)은 리시버 밸브 조립체(45)의 아웃풋에 유체 연통되고 하부 핸들(18)을 통하여 풋 조립체(14)로 나아간다. 리시버 밸브 조립체(45)는 사용 자가 트리거(24)를 디프레스할 때 작동되고 개방되어 푸시 로드(25)를 가압하여 소정의 거리로 이송하고 리시버 밸브 조립체(45)를 개방시킨다. 일단 리시버 밸브 조립체(45)가 개방되면, 세정액은 중력의 영향으로 세정액 탱크 조립체(40)로부터 리시버 밸브 조립체(45)를 통하여, 그리고 도관(49)을 통하여 풋 조립체(14)로 이동한다.
도 1A, 1B, 3, 및 6 내지 8B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 재료로 구성된 회수 탱크 조립체(50)는 제 2 공동(34)에 탈착가능하게 수용된다. 회수 탱크(5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 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폐쇄부(28)에 있는 개구(84)를 통해 볼 수 있는 회수 탱크 조립체(50)에 있는 액체, 오물, 부스러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회수 탱크 조립체(50)는 회수 탱크(52)를 포함하며 일체형 중공의 스탠드파이프(54)가 거기에 형성된다. 스탠드파이프(54)는 회수 탱크(52)의 길이방향 축선과 대체로 동축으로 향해진다. 스탠드파이프(54)는 회수 탱크(52)의 하단부에 형성된 입구(56)와 회수 탱크(52)의 내부의 출구(58) 사이에서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회수 탱크 조립체(50)가 핸들 조립체(12)에 장착될 때, 입구(56)는 사각형 도관(31)과 정렬되어 풋 조립체(14)와 회수 탱크(52) 사이에서 유체연통된다. 대기로부터 액체와 부스러기의 분리를 돕는 플레어 형상(flared)의 디퓨져(76)는 스탠드파이프(54)의 상부에 장착된다. 회수 탱크(52)에 수용되도록 크기화된 리드(60)는 리드(60)의 바닥 벽부(66)와 리드(60)에 장착된 필터 챔버 최상부(64) 사이에 형성된 필터 챔버(67)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플리티트(pleated) 필터(62)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플리티드 필터(62)는 습식인 경우 다공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리드(60)는 바닥 벽부(66)를 통해 형성된 입구 개구(68)를 포함하고, 필터 챔버 최상부(64)는 출구 개구(70)를 포함한다. 리드(60)와 회수 탱크(52)가 짝지워지는 면 사이에 위치되는 개스킷(78)은 그들 사이에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을 생성한다. 더욱이, 회수 탱크 조립체(50)는 플리티드 필터(62)가 필터 챔버(67)에 없으면 습식 및 건식 흡입 노즐 개구(145, 152) 중 어느 하나에서 열려지지(lift) 않도록 설계된다. 플리티드 필터(62)가 없는 경우, 잠재적인 큰 누출은 부스러기가 회수 탱크(52) 및 모터/팬 조립체(33)내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팬 조립체(33)가 조급히 이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가동 플로오트(74)를 둘러싼 플로오트 케이지(float cage, 72)를 포함한 차단 밸브는 리드(60)의 바닥 벽부(66)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입구 개구(68)와 유체 연통한다. 회수 탱크에 있는 유체가 소정의 레벨에 도달할 때 플로오트(74)의 최상부가 선택적으로 입구 개구(68)를 시일하도록 플로오트(74)는 탄성이 있고 향해진다. 플로오트 케이지(72)는 스탠드파이프(54)로부터 오프셋된 위치로 회수 탱크(52)에 있게 된다. 플로오트 케이지(72)는 트리거(25)와 같이 스탠드파이프(54)의 전방과 맨 바닥면 청소기(10)의 동일측에 위치되는게 바람직하다. 결국,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가 제 2 위치로 피벗될 때 플로오트 케이지(72)가 스탠드파이프(54) 위에 있을 때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2)가 제 1 위치로 피벗될 때 플로오트 케이지(72)가 스탠드파이프(54) 아래에 있을 때, 입구 개구(68)를 시일하도록 플로오트(74)에 필요한 회수 탱크에 있는 액체(51)의 양은 더 적다.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2)의 제 1 및 제 2 위치는 건식 및 습식 작동 모드에 각각 대응한다.
래치(80)는 리드(60)의 상부 전방부에 위치되고, 회수 탱크 조립체(50)를 핸들 조립체(12)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전방 폐쇄부(29)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한다. 핸드 파지부(82)는 회수 탱크(52)에 일체로 형성되고 래치(80) 아래에 위치되고, 회수 탱크 조립체(50)를 핸들 조립체(12)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거할 때 사용자에 의한 회수 탱크 조립체(50)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에 도시된 화살표는 모터/팬 조립체(33)에 의해 형성된 작동 공기가 회수 탱크 조립체(50)를 통하는 유동을 나타낸다. 풋(14)으로부터의 작동 공기는 입구(56)에서 회수 탱크 조립체(50)로 들어가고, 스탠드파이프(54)를 통하여, 디퓨져(76)의 최상부 위로, 플로오트 케이지(72)를 통하여, 입구 개구(68)를 통하여, 필터(62)를 통하여, 그리고 출구 개구(70)를 통하여 모터/팬 조립체(33) 상의 입구로 이동한다. 보다 무거운 부스러기 및 액체는 작동 공기가 디퓨져(76) 위를 통과할 때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고 리드(60)의 바닥부(66)를 치게 된다.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된 부스러기 및 액체는 탱크(52)의 하부에 떨어지게 되며, 여기서 이들은 사용자에 의해 회수 탱크(52)가 비워질 때까지 저장되게 된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풋 조립체(14)는 프레임(88)에 장착된 최상부의 폐쇄부(86)를 포함하여 풋 조립체(14)의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프레임(88)은 풋 조립체의 여러 구성요소, 예를 들면 핸들 조립체(12)를 풋 조립체 (14)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핸들 피벗(98), 청소될 면으로부터 습식 및 건식 부스러기를 각각 흡입하기 위하여 풋 조립체(14)의 대향측 상의 습식 및 건식 노즐 조립체(90, 92),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휠 캐리지 조리체(94), 및 에지테이터(agitator) 조립체(96)용 구조적 지지부를 제공한다.
도 11 내지 13을 더욱 참조하면, 핸들 피벗(98)은 배럴(100)을 포함하며, 상기 배럴은 그 측벽에 형성된 길이방향 입구 개구(102)를 구비한다. 대체로 사각형의 도관(104)은 개구(102)로부터 배럴(100)을 통하여 직경방향으로 뻗어있고 배럴(100)의 또 다른 측벽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핸들 피벗(98)과 그 출구를 통하여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프레임(88)과 짝지워질 경우, 핸들 피벗(98)은 최상부 폐쇄부(86)에 의해 피벗 크레이들(108)에 유지된다. 도관(104)은 최상부 폐쇄부(86)를 통하여 돌출하고 시일(35)로써 그 사이에서 도관(31)에 의해 수용되어 핸들 조립체(12)를 핸들 피벗(98)에 연결한다. 따라서, 공기 유동 경로는 핸들 피벗(98)으로부터 도관(31)을 통하여 회수 탱크 조립체(50)로 뻗어있다. 풋 조립체(14)에 있어서, 핸들 피벗(98)은 프레임(88)에 장착된 피벗 크레이들(108)에 놓이며 그 위에서 회전한다. 피벗 크레이들(88)은 2개의 개구(107A, 107B) 사이에 위치된 중앙 길이방향 플러그(109)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개구(102)와 짝지워지도록 크기화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한다. 하부 핸들(18)의 도관(31)이 핸들 피벗(98)의 도관(104)을 수용하기 때문에, 핸들 피벗(98)은 핸들 조립체(12)가 풋 조립체(14)에 대하여 피벗할 때 피벗 크레이들(108) 내에서 회전한다.
도 10 및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캠 조립체(112)는 회전하도록 핸들 피벗(98)의 배럴(100)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캠 조립체(112)는 휠 캐리지 조립체(94)와 상호작용하는 휠 캐지리 로브(114)와, 에지테이터 조립체(96)와 상호작용하는 에지테이터 로브(116)를 포함한다. 휠 캐리지 로브(114)는 대체로 원형이고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부(114A)와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부(114B)를 포함한다. 에지테이터 로브(116)는 대체로 사각형의 반경방향 돌출부(117)를 갖춘 원형 샤프트(115)를 포함한다. 더욱이, 디텐트 플런저(122)는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캠 조립체(112)의 외주부를 통하여 뻗어있다. 각각의 플런저(122)는 캠 조립체(112)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향하고 디텐트 스프링(121)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된다. 캠 조립체(112)를 넘어 돌출한 플런저(122)의 단부는 최상부 폐쇄부(86)에 있는 디텐트 리세스(도시 생략)와 대응하도록 경사진다. 디텐트 플런저(122)는 직립, 또는 저장 위치(즉, 도 15에서 ③으로 지시된 핸들 위치)에서 핸들 조립체(12)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디텐트 리세스와 있게된다. 핸들 조립체(12)가 직립 위치로부터 피벗 크레이들(108)로 회전할 때, 경사진 단부와 최상부 폐쇄부(86)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프링(21) 힘보다 커서 디텐트 플런저(122)를 캠 조립체(112)로 가압하여 핸들 조립체(12)가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 중 어느 한 위치로 피벗된다.
휠 캐리지 조립체(94)는 길다란 휠 지지부(126)에 의해 형성된 대체로 U형상의 프레임과 한쌍의 이격된 L형상의 아암(127)을 포함한다. 지지부(126)는 하측에서 복수의 휠(130)을 지지하고, 전체 프레임은 지지부(126)에 대향한 단부에서 아 암(127)을 통하여 뻗어있는 피벗 핀(128)을 중심으로 피벗한다. 프레임이 피벗 핀(128)을 중심으로 피벗될 때, 지지부(126)는 상승되고 풋 조립체(14)에 대한 휠(130)을 하강시킨다. 휠 캐리지 조립체(94)는 프레임(88)에 장착되어 아암(127)의 상부면은 캠 조립체(112)의 휠 캐리지 로브(114)와 맞닿아서 상기 언급한 상호작용을 형성한다.
특히, 도 15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의 핸들 조립체(12)의 회전은 핸들 피벗(98) 및 이에 따른 캠 조립체(12)의 회전을 유도한다. 휠 캐리지 로브(114)의 제 1 부(114A)가 휠 캐리지 피벗(98)의 아암(127)과 맞닿도록 캠 조립체(12)가 위치될 때, 휠 캐리지 로브(114)는 하향힘을 휠 캐리지 조립체(94)에 적용하여 휠(130)을 하향시키고 청소될 면에서 떨어지도록 습식 노즐 조립체(90)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맨 바닥면 청소기(10)용 건식 작동 모드에 대응하고, 핸들 피벗(98)에 연결된 핸들 조립체(12)가 습식 노즐 조립체(90) 쪽으로 회전할 때 제 1 위치(즉, 도 15에서 ①로 지시된 핸들 위치)로 된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건식 노즐 조립체(92)는 습식 노즐 조립체(90)의 전방부에 있고, 입구 개구(102)는 개구(107A)와 정렬된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즉, 도 15에서 ②로 지시된 핸들 위치)에 대향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휠 캐리지 로브(114)의 제 2 부(114B)는 휠 캐리지 조립체(94)와 맞닿는다. 제 2 부(114B)의 반경이 제 1 부(114A)의 반경보다 작기 때문에, 휠 캐리지 조립체(94)는 풋 조립체(14)내에서 상승하고 청소될 면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결과, 습식 노즐 조립체(92)는 효율적으로 하강하고 청소될 면과 접촉한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습식 노즐 조립체(90)는 건식 노즐 조립체(92)의 전방부에 있고, 입구 개구(102)는 개구(107B)와 정렬된다. 이러한 구성은 맨 바닥면 청소기(10)의 습식 모드에 대응한다.
도 10, 13, 16, 16A를 참조하면,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솔 플레이트(scrubbing plate, 160), 솔 지지부(162), 및 유체 분배 바(164)를 포함한다. 솔 지지부(162)는 풋 조립체 프레임(88)에 있는 복수의 정렬 핀 개구(168) 및 결합 블록 개구(172)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정렬 핀(166) 및 결합 블록(170)을 포함한다. 결합 블록(170)과 결합 블록 개구(172) 사이의 치수 간격은 청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청소될 면의 교반을 강화하기 위한 솔 플레이트(160)의 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솔 지지부(162)는 핀(166)에 위치된 리테이너(120)에 의해 풋 조립체 프레임(88)과 결합된다. 스프링(118)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20)와 프레임(88) 사이의 핀(116)을 둘러싸서, 프레임(88)의 아래면에 대해 솔 지지부(162)를 가압한다.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프레임(88)에 장착되어 결합 블록(170)의 상부면은 에지테이터 로브(116)와 맞닿고, 이 로브는 핸들 피벗(98)을 에지테이터 조립체(96)와 기계적으로 연결시킨다. 더욱이, 솔 지지부(162)는 솔 플레이트(160)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174)을 통합한다.
솔 플레이트(160)는 슬라이드 레일(174) 사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고, 복수의 아래로 향한 교반 브리스틀(agitation bristles, 182), 유체 바 리세스(184), 및 손가락 파지부(180)를 포함한다. 손가락 파지부(180)는 솔 플레이트 (160)의 측면 에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솔 지지부(162)로부터 솔 플레이트(16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유체 바 리세스(184)는 유체 바(164)를 지지하고, 이것은 유체를 세정액 탱크 조립체(40)로부터 수용하는 가요성 도관(49)과 유체연통하는 피팅(165)을 구비한다. 가요성 도관(49)으로부터의 유체는 피팅(165)을 통하여 유체 분배기 바(164)로 들어가고, 유체는 솔 플레이트(160)에 있는 개구(183)를 통하여 청소될 면에 분배된다.
마찰포(abrasive cloth)와 같은 스폰지 패드 또는 여러 적합한 교반 장치는 브리스틀(182)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솔 플레이트(160)에 부착될 수 있다. 브리스틀(182)은 크기, 형태, 및 가요성이 일정하거나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짧고, 강성의 브리스틀은 길고, 가요성의 브리스틀 사이에 배치되어 주의를 요하는 면에는 연질의 브러시를, 보다 청결을 원하는 곳은 강성의 브러시를 제공한다. 딱딱한 브리스틀과 연질의 브리스틀은 교대로 나란한 열로 배치된다. 하향 힘이 맨 바닥면 청소기(10)에 적용될 때 딱딱한 브리스틀은 청소될 면과 접촉한다. 다양한 교반 장치가 사용되고 청소될 면의 형태 및 청소될 면의 작동에 따라 교체된다.
특히 도 13, 19, 및 20을 참조하면, 핸들 조립체(12)가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캠 조립체(12) 상의 에지테이터 로브(116)는 에지테이터 조립체(96)를 수직으로 배치시키도록 회전시킨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여기서 건식 노즐 조립체(92)는 습식 노즐 조립체(90)의 전방에 있고, 에지테이터 로브(116)의 샤프트(115)는 에지테이터 조립체(96)의 결합 블록(170)과 맞 닿는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스프링(118)은 솔 지지부(162)를 풋 조립체 프레임(88)과 맞닿음 접촉시켜 청소될 면으로부터 에지테이터 조립체(96)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에지테이터 조립체는 상승 위치로 가압되고, 브리스틀(82)은 청소될 면 위에 위치된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로 회전할 때, 습식 노즐 조립체(90)는 건식 노즐 조립체(92)의 전방에 있고, 에지테이터 로브(116)의 돌출부(117)는 에지테이터 조립체(96)의 결합 블록(170)과 맞닿아 스프링(118)의 가압력에 대해 하향으로 에지테이터 조립체(96)를 아래 위치로 가압하고, 브리스틀(182)은 청소될 면과 접촉한다.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핸들 피벗(96) 바로 아래 위치되고 치수화되어 맨 바닥면 청소기(10)의 총 무게는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에 있고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습식 모드일 경우 에지테이터 조립체(96)에 의해 지지된다. 사용자는 핸들 조립체(12)에 하향의 힘을 적용함으로써 에지테이터 조립체(96)에 또 다른 힘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0 및 17을 참조하면, 습식 노즐 조립체(90)는 습식 노즐 조립체(90)를 풋 조립체(14)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습식 노즐 하우징(132) 상의 래치 리세스(146)에 배치된 습식 노즐 하우징(132)과 래치 기구(134)를 포함한다. 습식 노즐 하우징(132)은 흡입 도관을 형성하며, 이 도관은 습식 노즐 하우징(132)의 하단부에 있는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로부터 습식 노즐 하우징(132)의 상단부에 있는 출구까지 뻗어있는 작동 공기 경로를 형성한다. 습식 노즐 조립체(90)를 풋 조립체(14)에 부착 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습식 노즐 하우징(132)은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 위에 있는 습식 노즐 하우징(132)의 후방부 면에 위치된 복수의 돌출한 훅(도시 생략)을 더 포함한다. 훅은 풋 조립체(14)에 있는 대응하는 슬롯(도시 생략)에 의해 수용되도록 크기화된다. 습식 노즐 조립체(90)가 풋 조립체(14)에 장착될 때, 출구는 피벗 크레이들(108)에 있는 개구(107B)와 정렬된다. 습식 노즐 하우징(132)과 피벗 크레이들(108) 사이에 위치된 개스킷(138)은 그 사이의 연결부에서 작동 공기 경로를 시일한다.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는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습식 모드일 때 청소될 면과 접촉하는 이중 고무걸레 조립체(136)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중 고무걸레 조립체(136)는 일체형 범퍼(150)와 한쌍의 평행 고무걸레(142)를 포함하며 이것은 습식 노즐 하우징(132)으로부터 아래로 뻗어있다. 고무걸레(142)는 그 외부면에 있는 복수의 혹부(147)를 포함하며 그 내부면에서 평평하다. 사용 동안에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아래로 이동하므로, 전방 고무걸레(142)는 후방으로 가압되어, 청소될 면에 혹부(147)를 위치시키고 혹부(147) 사이에 공기층을 생성한다. 후방 고무걸레(142)는 또한 후방으로 가압되어 그 평평한 내부면은 면과 접촉하여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의 후방에서 그 사이에 시일을 생성한다.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고무걸레(142)는 전방으로 굽혀진다. 이 결과, 후방 고무걸레(142)는 그 혹부(147)에 놓이는 한편 전방 고무걸레(142)의 평평한 내부면은 면과 접촉하여 그 사이에서 시일을 생성한다. 이중 고무걸레 조립체(136)는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를 통해 높은 이동을 유지하는 동안에 면 액체가 혹부(147)를 통과하게 하고 습식 흡입이 완료될 때 상대적으로 건식 면과 떨어진다.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청소될 면을 가로질러 이동되므로 고무걸레 조립체(136) 상의 범퍼 (140)는 가구 및 다른 물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습식 노즐 조립체(90)는 바람직하게 청소 또는 교체를 위하여 풋 조립체(14)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습식 노즐 조립체(90)는 래치 기구(134)에 의해 풋 조립체 프레임(88)에 부착되며, 이것은 래치 스프링(144)에 의해 가압되어 이격된 한쌍의 대향된 래치(141)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그 사이에 위치된다. 래치(141)와 래치 스프링(144)은 래치 리세스(146)에 수용되고 한쌍의 래치 개구(150)를 갖춘 래치 커버(148)로써 제위치에 유지되며 사용자는 거기를 통해 래치(141)에 접근한다. 각각의 래치(141)는 습식 노즐 하우징(132)에 대해 미끄럼가능하고 래치 스프링(144)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습식 노즐 하우징(132)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 및 풋 조립체(14)의 최상부 폐쇄부(86)에 있는 대응하는 디텐트(131)를 통과한다. 돌출부(143) 및 디텐트(131)의 상호작용은 풋 조립체(14) 상의 습식 노즐 조립체(90)를 수용한다. 래치(141)를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스프링(144)의 가압력에 대하여 서로를 향해 래치(141)를 이동시켜 디텐트(131)로부터 돌출부(143)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습식 노즐 하우징(90)은 습식 노즐 하우징(132)의 후방면 상의 훅에 대하여 최상부 폐쇄부(86)로부터 멀리 회전되어 풋 조립체 최상부 폐쇄부(86) 및 프레임(88)으로부터 습식 노즐 하우징(90)을 제거한다. 습식 노즐 조립체(90)가 제거될 때, 사용자는 핸들 피벗(98)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0, 13, 및 18을 참조하면, 건식 노즐 조립체(92)는 습식 노즐 조립체(90) 대향측에서 풋 조립체 프레임(88)에 형성된 건식 흡입 도관(91)을 포함한다. 건식 흡입 도관(91)은 길다란 횡단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와 건식 흡입 도관(91)의 상단부 사이에 작동 공기 경로를 형성하며, 이것은 피벗 크레이들(108)에 있는 개구(107A)와 정렬된다. 풋 조립체(14)는 건식 노즐 조립체(92)에 인접한 최상부 폐쇄부(86)에 고정된 건식 노즐 범퍼(154),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에 인접한 건식 스크레이퍼(155), 및 건식 노즐 범퍼(154)와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 사이의 풋 조립체 프레임(88)에 장착된 한쌍의 고정된 휠(156)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복수의 테이퍼진 리드인(lead-in) 홈(도시 생략)은 건식 노즐 조립체(92)의 바닥면에 주조되어 만들어져 있고, 홈이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쪽으로 테이퍼져 먼지 및 부스러기를 거기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많은 부스러기가 건식 흡입 도관(91)을 통과하는 동안 홈의 형상 및 위치는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에서 최대 이동을 향상시킨다.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핸들 조립체(1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직립 위치에 있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피벗 크레이들(108)에 있는 플러그(109)가 핸들 피벗(98)의 배럴(100)에 있는 개구(102)와 맞닿아 거기를 통한 공기 유동을 차단하도록 핸들 피벗(98)이 위치된다. 이 결과, 습식 노즐 조립체(90) 또는 건식 노즐 조립체(92)는 회수 탱크 조립체(50) 및 이에 따른 모터/팬 조립체(33)와 유체연통하지 않는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맨 바닥면 청소기(10)는 적어도 2개의 작동 모드(건식 모드(도 19) 및 습식 모드(도 20))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핸들 조립체(12)를 회전시킴으로써 양 모드 사이에서 스위치한다. 핸들 조립체(12)가 회전함으로서, 핸들 피벗(98)은 또한 회전하고, 회수 탱크 조립체(50)와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 및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 중 하나와의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선택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핸들 피벗(98)의 배럴(100)은 핸들 조립체(12)를 피벗함으로써 작동되는 전환 밸브로서 작동한다. 더욱이, 핸들 피벗(98)의 도관(104)은 작동 공기 도관의 부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핸들 조립체(12)와 배럴(100)을 연결하여 핸들 조립체(12)의 이동이 전환기 밸브의 이동으로 전환된다.
건식 모드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12)는 습식 노즐 조립체(90) 위의 제 1 위치에 있어서 건식 노즐 조립체(92)가 습식 노즐 조립체(90)에 대해 전방 위치에 있게 된다. 핸들 조립체(12)가 도 2A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노즐 조립체(90) 위에 위치될 때, 핸들 피벗(98)의 입구 개구(102)는 피벗 크레이들(108)에 있는 개구(107A)와 정렬되고, 배럴(100)은 습식 노즐 조립체(90)와 유체연통하는 개구(107B)를 차단한다. 이 결과, 화살표로 지시된 작동 공기 도관은 건식 노즐 개구(152)로부터 건식 노즐 조립체(92)를 통하여, 풋 조립체 프레임(88)과 최상부 폐쇄부(86)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개구(107A)를 통하여, 입구 개구(102)를 통하여, 피벗 배럴(100)로부터 돌출한 사각형 도관(104)을 통하여, 그리고 도관(31)을 통하여 회수 탱크(52)의 입구(56)로 뻗어있다.
건식 모드에 있어서, 휠 캐리지 로브(114)의 제 1 부(114A)가 휠 캐리지 프레임(126)의 아암(127)과 동시에 결합하여 휠 캐리지 프레임(126)을 풋 조립체 프레임(88)으로부터 멀리 청소될 면쪽으로 가압하도록 핸들 피벗 캠 조립체(112)가 향해진다. 이 결과, 습식 노즐 조립체(90) 상의 고무걸레 조립체(136)를 포함한 풋 조립체 프레임(88)은 청소될 면으로부터 상승된다. 동시에, 에지테이터 로브(116)의 샤프트(115)는 에지테이터 조립체(96)의 결합 블록(170)과 맞닿아서 스프링(118)은 청소될 면으로부터 솔 플레이트(162)를 상승시킨다.
제 1 위치에 있는 핸들 조립체(12)로써, 사용자는 파지부(22)의 제 1 부(22A)를 파지하고 청소될 면을 가로질러 맨 바닥면 청소기(10)를 이동시킨다. 건식 흡입 노즐 개구(152) 근처의 먼지 및 부스러기는 건식 노즐 조립체(92)를 통해 들어가고 작동 공기 도관을 통하여 회수 탱크(52)로 유동하며, 여기서 작동 공기로 분리되고 회수 탱크(52)에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 공기는 모터/팬 조립체(33)로 들어가기 전에, 플로오트 케이지(72), 입구 개구(68), 및 필터(62)를 통하여 계속 유동한다.
도 2A, 및 20을 참조하면, 습식 모드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12)는 건식 노즐 조립체(92) 상의 제 2 위치에 있어서 습식 노즐 조립체(90)는 건식 노즐 조립체(92)의 전방에 있게 된다. 핸들 조립체(12)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핸들 피벗(98)의 입구 개구(102)는 피벗 크레이들(108)에 있는 개구(107B)와 정렬되며, 배럴(100)은 건식 노즐 조립체(92)와 유체 연통하는 개구(107A)를 차단한다. 이 결과, 도 20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작동 공기 도관은 고무걸레 조립체(136)의 고무걸레(142) 사이의 습식 노즐 흡입 개구(145)로부터, 습식 흡입 노즐 조립체(90)를 통하여, 핸들 피벗 개구(102)까지 피벗 크레이들에 있는 개구(107B)를 통하여, 핸들 피벗 배럴(100)로부터 뻗어있는 사각형 도관(104)을 통하여, 그리고 회수 탱크(52)의 입구(56)까지 도관(31)을 통하여 뻗어있다.
습식 모드에 있어서, 휠 캐리지 로브(114)의 제 2 부(114B)가 휠 캐리지 프레임(126)과 동시에 결합하여 청소될 면으로부터 풋 조립체 프레임(88) 쪽으로 휠 캐리지(126)를 후퇴시키도록 핸들 피벗 캠 조립체(112)가 향해진다. 이 결과, 습식 노즐 조립체(90)와 고무걸레 조립체(136)를 포함한 풋 조립체 프레임(88)은 청소될 면으로 내려간다. 또한, 에지테이터 로브(116)의 돌출부(117)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에지테이터 조립체(96)의 결합 블록(170)과 맞닿음 접촉으로 회전하여 솔 플레이트(160)를 하향시킨다.
부가적으로,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습식 모드에 있을 때 클리닝 유체는 청소될 면에 분배된다. 클리닝 유체는 리시버 밸브 조립체(45)를 개방시키는 트리거(24)를 통해 세정액 탱크(4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된다. 이어서, 클리닝 유체는 유체 도관(49), 유체 피팅(165), 및 솔 지지부(162)에 부착된 유체 바(164)를 통하여 중력에 의해 유동한다. 결국, 세정액은 솔 플레이트(160) 상의 유체 바 리세스(184)에 있는 개구(183)를 통하여 유체 바(164)로부터 청소될 면으로 이동한다.
제 2 위치에 있는 핸들 조립체(12)로써, 사용자는 파지부(22)의 제 2 부(22B)를 파지하고 바 플로어 청소기(10)를 청소될 면으로 이동시킨다. 습식 흡입 노즐 개구(145) 근처의 고무걸레 조립체(136)에 의해 모아진 더럽혀진 클리닝 유체와 습식 먼지 및 부스러기는 습식 노즐 조립체(90)로 들어가고 작동 공기 도관을 통하여 회수 탱크(52)로 유동하며, 여기서 작동 공기로 분리되고 회수 탱크(52)에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 공기는 모터/팬 조립체(33)로 들어가기 전에 플로 오트 케이지(72), 입구 개구(68), 및 필터(62)를 통하여 계속 유동한다. 플로오트 케이지(72) 및 입구 개구(67)가 스탠드파이프(54)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차단 밸브를 폐쇄하는데 필요한 액체량은 맨 바닥면 청소기(10)가 건식 모드일 때 보다 더 크게 된다.
선택적인 에지테이터 조립체(96')가 도 21 및 22에 도시되었고, 여기서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가 동일 부재번호에 ' 기호를 붙여서 표시되었다.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풋 조립체(14)의 프레임(88)에 연결된 솔 지지부(16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솔 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각각의 솔 플레이트(160')는 청소될 면을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브리스틀(182')을 지지하고 3개의 활형상 로브(206')를 포함하며, 여기서 로브(206')의 중심점은 정삼각형 형상에 배치된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솔 플레이트(160')는 수직 축선을 형성하는 직립의 샤프트(200')를 포함하며 중앙의 키이(keyed)된 길이방향 채널(202')과 횡단 핀홀(204')을 포함한다. 솔 플레이트(160')는 서로로부터 회전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하나의 솔 플레이트(160')의 하나의 로브(206')는 솔 플레이트(160') 사이의 구역에 있는 다른 솔 플레이트(160')의 2개의 인접한 로브(206') 사이에 수용된다. 이러한 배치는 브리스틀(182')이 에지테이터 조립체(96')를 연속적으로 교차하는 것을 보장하게 한다.
제 1 실시예의 에지테이터 조립체(96)에 있어서, 솔 지지부(162')는 유체 바(164)를 수용하도록 크기화된 유체 바 리세스(184')를 포함하고, 솔 지지부(162')를 통하여 청소될 면 상에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183')를 포함한다. 더욱이, 솔 지지부(162')의 상부면 상의 모터 하우징(192')은 구동 샤프트(188')를 갖춘 에지테이터 모터(186')를 지지한다. 솔 지지부(162')는 또한 기어 하우징(19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솔 지지부(162')에 있는 개구를 둘러싸는 한쌍의 제 1 베어링(194')과 제 1 베어링(194') 사이의 한쌍의 제 2, 보다 작은 베어링(196')을 갖추고 있다.
기어 하우징(190')은 솔 플레이트(160')를 에지테이터 모터(186')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어 조립체를 지지한다. 기어 조립체는 제 1 베어링(194')에 놓이며 길이방향으로 키이된 개구(212')와 핀 오목부(214')를 갖춘 한쌍의 에지테이터 스퍼 기어(2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에지테이터 스퍼 기어(210')의 이빨부는 제 2 베어링(196') 중 하나에 놓이는 하부 스퍼 기어(218')의 이빨부와 짝지워진다. 각각의 하부 스퍼 기어(218')는 회전을 위하여 상부 스퍼 기어(216')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모터 구동 샤프트(188')는 칼라(224')에 의해 구동 로드(220')에 연결된다. 구동 로드(220')는 구동 샤프트(188')를 회전시키고, 상부 스퍼 기어(216') 사이에 놓인 워엄 기어(222')가 설치된다. 종래의 워엄 기어 장치로써, 구동 로드(220')와 모터 하우징(192') 사이에 위치된 종래 공지된 스러스트 베어링(도시 생략)은 워엄 기어(222')에 의해 적용된 측방향 하중을 에지테이터 모터(186')에 흡수시킨다.
각각의 솔 플레이트(160')는 솔 지지부(162')에 장착되고 상부 및 하부(232', 234')를 갖는 축(230')에 의해 그들 각각의 에지테이터 스퍼 기어(2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및 하부 (232', 234') 양자는 에지테이터 스퍼 기어 (210')에 있는 키이된 개구(212')와 솔 플레이트 샤프트(200')의 키이된 길이방향 채널(202') 내에 각각 수용되도록 크기화된 정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상부(232')는 키이된 길이방향 채널(202')보다 더 크다. 솔 플레이트(160')를 솔 지지부(162')에 장착하기 위하여, 하부(234')가 키이된 길이방향 채널(202')에 의하여 수용될 때까지 축(230')은 제 1 베어링(194')에 의하여 둘러싸인 개구를 통해 키이된 개구(212')로 삽입된다. 더욱이 축(230')의 이동은 키이된 길이방향 채널(202')에 대한 상부(232')의 상대 크기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축(230')은 상부(232')를 통하여 뻗어있고 핀 오목부(214')에 놓이는 제 1 핀(236')과, 하부(234')와 핀홀(204')을 통하여 뻗어있는 제 2 핀(238')에 의해 제 위치에 결합된다.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기어 하우징(19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240')를 더 포함한다. 커버(240')는 그 하부면에서, 상부 스퍼 기어(216')용 제 2 베어링(196')에 대응하는 한 세트의 베어링(도시 생략), 및 그 상부면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정렬 핀(166') 및 결합 블록(170')을 포함한다. 정렬 핀(166') 및 결합 블록(170')은 제 1 실시예의 에지테이터 조립체(96)에 대해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렬 핀 개구(168)와 결합 블록 개구(172)에 의해 수용된다. 부가적으로,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상기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청소될 면으로부터 멀리 가압되고 수직으로 조정가능하다.
작동중에,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맨 바닥면 청소기(10)의 습식 모드 중에 사용되고 제 1 실시예에 대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위치로 핸들 조립체(12)의 회전에 의해 청소될 면으로 하강한다. 핸들 조립체(12)의 회전시 자동으 로, 또는 핸들 조립체(12) 또는 풋 조립체(12)에 위치된 스위치를 통해 수동으로, 전원이 에지테이터 모터(186')에 적용될 때, 모터 샤프트(188')는 회전하고, 이것은 칼라(224') 및 구동 로드(220')의 회전을 유도한다. 구동 로드(220')가 회전함으로써, 워엄 기어(222')는 상부 스퍼 기어(21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하부 스퍼 기어(218')는 상부 스퍼 기어(216')와 회전하고 반대방향으로 에지테이터 스퍼 기어(210')의 회전을 유도한다. 축(230')이 키이되기 때문에, 에지테이터 스퍼 기어(210')는 솔 플레이트(160')를 구동시켜서 솔 플레이트(160')는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청소될 면을 교반시킨다.
선택적으로,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솔 플레이트(160')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솔 플레이트(160')는 그 자신의 에지테이터 모터(186')를 구비하거나, 에지테이터 모터(186')는 솔 지지부(162')의 한측으로 오프셋되어 솔 플레이트(160') 중 하나를 구동시키고, 이 결과, 이것은 일련의 기어 또는 벨트를 통하여 다른 솔 플레이트(160')를 구동시킨다. 부가적으로,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단지 하나의 솔 플레이트(160') 또는 복수의 솔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솔 플레이트(160')는 솔 플레이트(160')에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각각의 로브에서 개별적인 순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개별 순환 플레이트는 유성 기어 방식으로 솔 플레이트(160')에 기어연결되어 이들은 솔 플레이트(160')가 회전할 때 구동된다. 선택적으로, 개별 원형 플레이트는 솔 플레이트(160')에 핀결합되고 솔 플레이트(160')가 회전하는 식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더욱이, 솔 플레이트(160')는 임의의 적합한 갯수의 로브를 포함하고 도 20 및 21에 도시된 3개의 로브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에지테이터 조립체(96')에 대한 여러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솔 플레이트(160')를 에지테이터 기어(210') 또는 구동 샤프트에 장착하기 위해, 솔 플레이트(160')는 에지테이터 기어(210') 또는 구동 샤프트에 연결된 칼라에 스냅끼워맞춤되어, 비터(beater)와 종래의 핸드 믹서 사이의 연결과 상당히 유사한 연결을 형성한다. 이러한 기구는 에지테이터 기어(200') 또는 구동 샤프트의 수용부에 있는 스프링 링 또는 그와 유사한 구성요소와 결합하는 직립의 샤프트(200') 상의 홈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솔 플레이트(160')는 수동으로 제어된 피벗팅 기구에 의해 또는 핸들 조립체(12)의 회전에 의해 풋 조립체(14')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더욱이, 에지테이터 조립체(96')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수직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브러시를 포함하여 설명되는 경우, 수평으로 향한 브러시 롤, 왕복 패드, 또는 선회 운동 장치와 같은 공지된 가동 브러시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다.
맨 바닥면 청소기에 대한 선택적인 풋 조립체(14")는 도 23 및 24에 도시되었고, 여기서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부재번호에 이중 프라임(") 기호를 붙였다. 풋 조립체(14")는 제 1 실시예의 풋 조립체(14)와 유사하나, 상이점은 본 실시예는 고정된 습식 노즐 조립체(90")를 포함하고, 에지테이터 조립체(96")의 수직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정가능하며 수동 작동식 페달(250")은 최상부 폐쇄부(86")를 통하여 뻗어있다는 점이다.
페달(250")은 캠 아암(254")을 갖춘 샤프트(252")에 고정되게 부착되며, 상 기 아암은 그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다. 샤프트(252")는 핸들 피벗(98")을 통하여 뻗어있고 그에 독립적이고 그에 대해 회전한다. 샤프트(252")는 풋 조립체 프레임(88")의 상부면에 위치된 한쌍의 샤프트 지지부(256")에 놓이며, 캠 아암(254")은 프레임(88")에 있는 결합 블록 개구(172")를 통하여 돌출한 결합 블록(170")과 맞닿는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에지테이터 조립체(96")는 리테이너(120")와 프레임(88") 사이의 종렬 핀(166")을 둘러싸는 스프링(118")에 의하여 프레임(88") 쪽으로 가압된다.
사용자가 다리나 손으로 페달(250")을 가압할 때, 페달(250")은 피벗하여 샤프트(252") 및 캠 아암(254")을 프레임(88") 쪽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과, 캠 아암(254")은 하향 힘을 결합 블록(170")에 적용시켜 에지테이터 조립체(96")를 청소될 면쪽으로 이동시킨다. 풋 조립체(14")는 사용자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가압된 상태에서 페달을 유지시키기 위해 디텐트 시스템(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상이한 타입의 에지테이터를 갖춘 맨 바닥면 청소기에 대해 개시하였다. 용어 "에지테이터"는 여기서 맨 바닥을 스크럽(scrub)하고 그리고 베이스, 섬유 또는 천 패드, 스폰지와 같은 것에 대해 고정 또는 가동될 수 있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는 실시형태의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었다.

Claims (3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
    회수 시스템;
    청소될 면을 선택적으로 교반하기 위하여 청소될 면과 접촉하는 하부 위치와 청소될 면 위의 상부 위치 사이에서 수직 이동하기 위해 베이스에 장착된 에지테이터; 및
    하부 위치와 상부 위치 사이에서 에지테이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에지테이터와 전환기 사이의 연결기;를 구비하며,
    회수 시스템은
    습식 흡입 노즐;
    건식 흡입 노즐;
    습식 및 건식 부스러기를 수용하기 위한 회수 탱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각각으로부터 회수 탱크로 뻗어있는 작동 공기 도관;
    핸들과 베이스 중 하나에 장착되고,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도관에서 작동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게 하는 모터 및 팬의 조립체; 및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되어,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회수 탱크로 각각 작동 공기 유동을 적어도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위치와 습식 흡입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전환기가 건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에 상부 위치에 있으며, 전환기가 습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에 하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청소될 면을 교반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제 1 세트의 브리스틀과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을 포함한 브러시이며,
    제 1 브리스틀은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길고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연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은 브러시에서 교호의 나란하게 배치된 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 탱크;
    청소될 면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 및
    유체 탱크와 유체 분배기 사이의 유체 분배 도관을 포함하는 유체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은, 핸들이 건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손에 의해 편리하게 파지되는 제 1 부와, 핸들이 습식 흡입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손에 의해 편리하게 파지되는 제 2 부를 가지는 양방향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부는 핸들로부터 멀리 한 방향으로 뻗어있고, 제 2 부는 핸들로부터 멀리 반대 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부 및 제 2 부는 좌우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부 중 하나에 장착되고, 청소될 면에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유체 분배 시스템에 연결된 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청소될 면을 교반하기 위하여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브러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에지테이터는 제 1 세트의 브리스틀과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을 포함한 브러시이며,
    제 1 브리스틀은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길고 제 2 브리스틀보다 더 연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세트의 브리스틀은 브러시에서 교호의 나란하게 배치된 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067003502A 2003-08-22 2004-08-20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KR101115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127703P 2003-08-22 2003-08-22
US60/481,277 2003-08-22
US52125304P 2004-03-19 2004-03-19
US60/521,253 2004-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597A KR20060120597A (ko) 2006-11-27
KR101115344B1 true KR101115344B1 (ko) 2012-03-06

Family

ID=3422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502A KR101115344B1 (ko) 2003-08-22 2004-08-20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85671B2 (ko)
EP (2) EP1658003B1 (ko)
JP (1) JP4711436B2 (ko)
KR (1) KR101115344B1 (ko)
AU (1) AU2004266708B2 (ko)
RU (1) RU2352240C2 (ko)
WO (1) WO20050184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47B1 (ko) 2021-10-14 2022-01-04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습건식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2389B2 (en) * 2005-01-11 2007-05-29 The Hoover Company Recovery tank for a floor cleaning device
KR101191494B1 (ko) * 2005-12-07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
GB2471972B (en) * 2006-03-10 2011-04-13 Bissell Homecare Inc Bare floor cleaner
US9125540B2 (en) 2006-03-10 2015-09-08 Bissell Homecare, Inc. Bare floor cleaner
GB2435817A (en) * 2006-03-11 2007-09-12 Vax Ltd Upright-type cleaning appliances
CN101657135B (zh) 2006-12-13 2012-08-08 伊莱克斯公司 干湿两用地板清洁装置
US7779505B2 (en) * 2007-03-09 2010-08-24 Bissell Homecare, Inc. Wet/dry vacuum cleaner
KR100947016B1 (ko) * 2008-03-26 2010-03-10 한경희 스팀청소기
NL2001502C2 (nl) * 2008-04-21 2009-10-22 A A C Reerink Holding B V Inrichting voor het opzuigen van vast vuil en vloeistof.
US8789234B2 (en) 2009-04-07 2014-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iverting fluid flow path
KR100956737B1 (ko) * 2009-07-08 2010-05-06 정철화 회전식걸레 청소기
CN102639044B (zh) * 2009-08-11 2014-12-24 碧洁家庭护理有限公司 具有辅助手持工具的直立式蒸汽拖把
GB2474473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0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5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2B (en) 2009-10-15 2013-12-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domed-shaped wheels
GB2474469B (en)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3B (en)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2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8027D0 (en) 2009-10-15 2009-12-02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ating appliance
GB2474475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4B (en) 2009-10-15 2013-11-20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DE112011100896T5 (de) * 2010-03-12 2012-12-27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td. Integrierte Beutelklappe und Tragegriff für einen Staubsauger
CN103188983B (zh) * 2010-09-01 2016-06-08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用于抽吸式清洗机的回收罐组件
AU2011343024B2 (en) * 2010-12-14 2015-03-19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er head
CN102309290A (zh) * 2011-08-22 2012-01-11 丁柏忠 一种地面清洗打蜡一体机
US9282862B2 (en) * 2011-10-14 2016-03-1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AU2012244292B2 (en) 2011-11-04 2015-03-05 Bissell Inc. Enzyme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EP2814370B1 (en) * 2012-02-16 2017-01-11 Tennant Company Surface maintenance vehicle with quick release squeegee assembly
CA2889490A1 (en) * 2012-10-30 2014-05-08 Wetrok Ag Floor cleaning apparatus
US8869347B2 (en) * 2012-12-28 2014-10-28 Tebbens Steel Llc Extended pneumatic cleaning device
CN105686763A (zh) * 2014-11-26 2016-06-2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地毯清洗机的吸水刷
JP1542460S (ko) * 2015-02-24 2016-01-25
AU2016101525A4 (en) * 2015-09-14 2016-09-2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6101847B4 (en) 2015-10-28 2022-02-17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4B2 (en) *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78117B2 (en) 2016-08-29 2022-10-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D828667S1 (en) * 2017-06-22 2018-09-11 Wessol LLC Power mop
US11426038B2 (en) 2017-09-11 2022-08-30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KR102409247B1 (ko) 2017-09-11 2022-06-14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청소 장치
US10512383B2 (en) * 2017-11-30 2019-12-24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656270B1 (en) 2018-03-05 2021-05-26 Bissell Inc. Extraction cleaner
WO2019210074A2 (en) * 2018-04-25 2019-10-31 Tennant Company High performance handheld liquid suction device
EP3787464B1 (en) * 2018-08-27 2023-05-0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US10820762B2 (en) 2018-08-27 2020-11-03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Floor cleaner
CN112312812B (zh) * 2018-08-27 2023-09-22 创科地板护理技术有限公司 地面清洁器
US11284767B2 (en) 2018-08-29 2022-03-2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9370468A1 (en) 2018-11-01 2021-05-20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20200187737A1 (en) 2018-12-18 2020-06-18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11426044B1 (en) 2018-12-18 2022-08-30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FR3092981B1 (fr) * 2019-02-21 2021-02-19 Seb Sa Aspirateur balai pourvu d’un corps principal formé à partir d’une première et d’une deuxième demi-coquilles
EP3721776B1 (de) * 2019-04-09 2024-05-29 Hilti Aktiengesellschaft Nass-sauger und anordnung von komponenten in einem solchen nass-sauger
CN110393473B (zh) * 2019-07-24 2024-05-03 宁波海际电器有限公司 一种干湿两用手持式吸尘器
EP4027850A1 (en) * 2019-09-11 2022-07-20 Techtronic Cordless GP Floor cleaner
US10959584B1 (en) 2019-10-31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11266283B2 (en) 2019-10-31 2022-03-08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11219345B2 (en) 2019-10-31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CN114599259B (zh) * 2019-10-31 2023-05-16 创科无线普通合伙 地板清洁器
US11452414B2 (en) 2019-10-31 2022-09-27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11497371B2 (en) 2019-12-19 2022-11-1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EP3841939A1 (en) * 2019-12-23 2021-06-30 Koninklijke Philips N.V. A wet and dry vacuum cleaner
USD946842S1 (en) 2020-02-14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11471019B2 (en) 2020-02-14 2022-10-18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with lights
USD946226S1 (en) 2020-02-14 2022-03-15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D946223S1 (en) 2020-02-14 2022-03-15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D946843S1 (en) 2020-02-14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10952580B1 (en) 2020-02-19 2021-03-23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with rotatable head
US11179014B2 (en) 2020-02-19 2021-11-23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use
US11744426B2 (en) 2020-04-08 2023-09-0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CN111904343B (zh) * 2020-07-03 2022-08-19 宁波富佳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湿拖装置
CN113017468A (zh) * 2021-03-23 2021-06-25 安徽持家汉家居工艺品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家具用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441027B1 (ko) * 2021-04-29 2022-09-06 주식회사 제우스로보틱스 Ai 기반 환경 인지 기능으로 적응적 구동하는 자율 청소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USD1017156S1 (en) 2022-05-09 2024-03-05 Dupray Ventures Inc. Cleaner
CN116849558A (zh) * 2022-08-29 2023-10-10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桩体及清洁系统
DE202022002747U1 (de) 2022-09-14 2024-01-18 Wessel-Werk Gmbh Staubsaugerdüse und Reinigungsanordnung
US11779182B1 (en) 2022-12-14 2023-10-10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726A (en) * 1993-01-04 1996-01-16 Bissell Inc.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JPH0975277A (ja) * 1995-09-13 1997-03-25 Fujitsu General Ltd 無人清掃車の制御方法
GB2322065A (en) * 1997-02-13 1998-08-19 Vax Ltd Wet or dry vacuum cleaner
JP2003038402A (ja) * 2001-08-02 2003-02-12 Toshiba Tec Corp 掃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2254A (en) * 1947-11-18 1952-12-23 Mendelson Charles Portable and manually operable apparatus for the cleaning and/or finishing of carpeted or uncarpeted floors
US3663985A (en) * 1970-07-15 1972-05-23 Scott & Fetzer Co Floor scrubbing machine
JPS55163032A (en) * 1979-06-06 1980-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ppright shaped electric cleaner
US4557013A (en) * 1984-06-18 1985-12-10 Lee Belmont Vacuum coupled squeegee attachment
CA1323146C (en) * 1987-06-02 1993-10-19 Carl Salmon Cleaning attachment
US5347678A (en) * 1993-10-14 1994-09-20 Williams William H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ing apparatus having dual-individually floating heads
GB9603250D0 (en) * 1996-02-16 1996-04-17 Vax Ltd Cleaning heads and adaptors for the use therewith
US5983442A (en) * 1997-06-06 1999-11-16 The Hoover Company Carpet extractor with automatic conversion
DE29714910U1 (de) 1997-08-20 1997-11-06 Vorwerk Co Interholding Elektro-Staubsauger
US6467122B2 (en) 2000-01-14 2002-10-22 Bissell Homecare, Inc. Deep cleaner with tool mount
US6629332B2 (en) * 2001-09-18 2003-10-07 The Hoover Company Floor cleaning device with a recovery tank
US6647578B2 (en) * 2001-09-18 2003-11-18 The Hoover Company Brush assembly removal device
US6842942B2 (en) * 2001-09-18 2005-01-18 The Hoover Company Nozzle assembly removal arrangement
US6832409B2 (en) * 2001-09-18 2004-12-21 The Hoover Company Wet/dry floor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US6640386B2 (en) * 2001-09-18 2003-11-04 The Hoover Company Floor cleaning unit with a brush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3726A (en) * 1993-01-04 1996-01-16 Bissell Inc. Combination vacuum cleaner and water extractor power foot
JPH0975277A (ja) * 1995-09-13 1997-03-25 Fujitsu General Ltd 無人清掃車の制御方法
GB2322065A (en) * 1997-02-13 1998-08-19 Vax Ltd Wet or dry vacuum cleaner
JP2003038402A (ja) * 2001-08-02 2003-02-12 Toshiba Tec Corp 掃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547B1 (ko) 2021-10-14 2022-01-04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습건식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597A (ko) 2006-11-27
WO2005018402A3 (en) 2005-05-19
EP1658003B1 (en) 2011-07-13
US20090151112A1 (en) 2009-06-18
US7685671B2 (en) 2010-03-30
US7836544B2 (en) 2010-11-23
US20080189901A1 (en) 2008-08-14
EP1658003A2 (en) 2006-05-24
EP2359729B1 (en) 2013-07-24
EP2359729A2 (en) 2011-08-24
RU2352240C2 (ru) 2009-04-20
WO2005018402A2 (en) 2005-03-03
EP2359729A3 (en) 2012-06-06
JP4711436B2 (ja) 2011-06-29
AU2004266708B2 (en) 2009-11-12
JP2007503258A (ja) 2007-02-22
AU2004266708A1 (en) 2005-03-03
RU2006105115A (ru)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344B1 (ko)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US7725984B2 (en) Bare floor cleaner with shut off valve
US11202546B2 (en) Bare floor cleaner
US10702119B2 (en) Bare floor cleaner
US7908705B2 (en) Bare floor cleaner
KR20210073460A (ko) 표면 청소 장치
GB2471972A (en) Bare floo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