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547B1 - 습건식 청소기 - Google Patents

습건식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547B1
KR102346547B1 KR1020210136313A KR20210136313A KR102346547B1 KR 102346547 B1 KR102346547 B1 KR 102346547B1 KR 1020210136313 A KR1020210136313 A KR 1020210136313A KR 20210136313 A KR20210136313 A KR 20210136313A KR 102346547 B1 KR102346547 B1 KR 10234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er
cleaner head
head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46B13/006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formed by winding a strip tuft in a helix about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통과 수집통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청소기헤드,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스틱, 상기 스틱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급수통의 물을 상기 청소기헤드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 상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청소기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구동수단, 그리고 상기 펌프 및 상기 헤드구동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를 기립된 상태로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에 상기 청소기본체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본체의 청소기헤드를 청소하기 위한 제1클리닝유닛 또는 제2클리닝유닛;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스탠드에 청소기본체 거치 시 청소기헤드에 남아있는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자연 또는 강제 건조까지 가능한 습건식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건식 청소기{WET-DRY CLEANER}
본 발명은 충전 등을 위해 스탠드에 청소기본체 거치 시 청소기본체의 청소기헤드를 클리닝할 수 있도록 한 습건식 청소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가전제품이다.
특히 물을 이용해 바닥면을 물걸레질 할 수 있도록 하는 습건식 청소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5344호 (2012.02.0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1은 습식 및 건식 흡입 노즐을 갖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고, 회수 탱크로 각각의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사이에서 작동 공기 도관에 장착된 전환기는 습식 흡입 노즐과 건식 흡입 노즐로부터 각각 회수 탱크로 작동 공기 유동을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건식 흡입 노즐과 습식 흡입 노즐 사이에서 핸들의 이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습식 및 건식 바닥 청소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맨 바닥면 청소기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77177호 (2007.07.25.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습건식 진공청소기』가 제시되어 있는 바,
문헌 2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장치, 상기 진공발생장치가 하부 일측에 장착되며, 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노즐이 연결되는 흡입구 및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물,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오물분리 수거수단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기 위하여 청소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및 상기 오물분리수거수단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오물분리 수거수단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배기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진공발생장치가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커버를 단순하게(개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어, 오물분리수거수단에 수거된 먼지, 물, 오물 등을 매우 쉽게 버릴 수 있는 습건식 진공청소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5344호 (2012.02.06.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77177호 (2007.07.25.공개)
본 발명은 청소기헤드에 달라붙어 있는 각종 이물질은 물론, 머금은 물기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습건식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건식 청소기는,
급수통과 수집통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결되는 청소기헤드,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연결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스틱, 상기 스틱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급수통의 물을 상기 청소기헤드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 상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청소기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구동수단, 그리고 상기 펌프 및 상기 헤드구동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를 기립된 상태로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에 상기 청소기본체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본체의 청소기헤드를 청소하기 위한 제1클리닝유닛 또는 제2클리닝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건식 청소기는,
스탠드에 청소기본체 거치 시 청소기헤드에 남아있는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자연 또는 강제 건조까지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건식 청소기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일예의 스탠드 및 제1클리닝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3은 다른 예의 스탠드 및 제1클리닝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4는 청소기본체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5는 제2클리닝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 구성도,
도 6은 접속해제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배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접속해제수단에 의한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배면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제2클리닝유닛의 변형예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 구성도,
도 11은 메인클리닝롤러와 서브클리닝롤러의 브러시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12는 드라이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청소기헤드 측을 하부 또는 하방, 손잡이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건식 청소기는,
크게 청소기본체(10), 스탠드(20) 및, 제1클리닝유닛(30) 또는 제2클리닝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청소기본체(1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면서 피청소 구역을 물걸레질로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통(111)과 수집통(112)을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연결되는 청소기헤드(12),
상기 하우징(11)에 일단이 연결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스틱(13),
상기 스틱(13)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4),
상기 급수통(111)의 물을 상기 청소기헤드(12)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15),
상기 공급라인(15) 상에 배치되는 펌프(16),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구동수단, 그리고
상기 펌프(16) 및 상기 헤드구동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청소기헤드(12)는 원통형의 롤러 구조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축이 있어 이 축이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감싸면서 하부 측에 개방된 헤드챔버(121)의 양 내벽에 회전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청소기헤드(12)가 회전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청소기헤드(12)는 외주면에 직물 형태의 피복이 더 구비되어 있어 물을 머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걸레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4)에는 각종 버튼이 구비되는데, 일예로 동작 및 정지를 위한 버튼과, 상기 하우징(11)에 내장된 수집용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접속해제수단(44)의 진퇴구동부(443)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구동수단은 상기 청소기헤드(12)를 회전 구동케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에 상기 배터리(17)가 착탈되고,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에는 상기 배터리(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충전단자(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급수통(111)과 수집통(112) 각각은 상기 하우징(11)에 착탈되도록 구비되며,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의 전면(前面) 영역에는 디스플레이(114)가 구비되어 있어, 이 디스플레이(114)에 흡입력, 작동여부, 작동시간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트(114)를 감싸는 외부 라인을 따라 별도의 조명부를 두어 이 조명부의 발현 색상에 따라 쉽게 야간에도 여러 정보(예 : 급수통의 수위 등)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스탠드(2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기본체(10)를 기립된 상태로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 측을 받치게 되는 탑서포트(21),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 측을 받치게 되는 바텀서포트(22), 그리고
상기 탑서포트(21)에 구비되어 상기 각 충전단자(113)가 접속되는 한 쌍의 충전소켓(2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스탠드(20)에 상기 탑서포트(21)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구조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탑서포트(21)에는 기립되게 거치되는 상기 청소기본체(10)가 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홀더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홀더는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 양단을 지지하면서 하우징(11)이 상하로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텀서포트(22)는 대략 사각의 함체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면이 평탄한 면을 이루되 경우에 따라 경사진 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서포트(21) 및 상기 바텀서포트(22) 각각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포장박스 등에 수납하기 용이하면서 수납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충전소켓(23)은 전원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스탠드(20)에는 상기 바텀서포트(22)에서 상기 탑서포트(21)를 사이에 둔 양측 영역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부속용 액세서리 수납홈(24)이 더 구비됨으로써, 여러 청소용 부속 액세서리를 끼워 세운 형태로 수납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닝유닛(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20)에 상기 청소기본체(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를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 상부면에서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가 안착되는 영역에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는 반원형 홈 구조의 수용부(31), 그리고
상기 수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클리닝돌기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후술할 접속해제수단(44)에 의해 충전단자(113)와 충전소켓(23) 간의 접속이 차단, 즉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헤드(12)가 회전하게 될 때에 상기 청소기헤드(12)가 상기 각 클리닝돌기부(32)와 접촉되면서 상기 청소기헤드(12)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은 물론, 물기 등이 분리되며, 평상 시 거치만으로 상기 각 수용부(31)에서 상기 각 클리닝돌기부(32) 사이로의 외기 순환이 가능하여 상기 청소기헤드(12)에 대한 자연 건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제1클리닝유닛(30)과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클리닝유닛(40)은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 상면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헤드(12)의 외주면 일부가 수용되는 리세스(41),
상기 리세스(4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헤드(12)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메인클리닝롤러(42),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에 내장되며 상기 청소기헤드(12)로부터 분리된 먼지 및 물을 수집하기 위한 클리닝수집수단(43), 그리고
상기 각 충전단자(113)와 상기 각 충전소켓(23)의 접속을 해제시키기 위한 접속해제수단(4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는 상기 청소기헤드(12)의 외주면과 선 접촉하게 되는 원통형의 롤러 구조로서, 특히 비(非) 회전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회전이 되더라도 회전 속도를 제한하는 별도의 추가 구성을 마련하여 서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청소기헤드(12) 보다 느린 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아예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청소기헤드(12) 회전 시 이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 물기 등이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에 의해 분리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에는 이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브러시(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청소기헤드(12)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 물기 등을 좀 더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나선형의 브러시(B) 사이공간은 상기 클리닝수집수단(43) 측으로 먼지나 이물질, 물기 등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클리닝수집수단(43)은 상기 리세스(41)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텀서포트(22) 내에 형성되는 수집라인(431)과, 상기 수집라인(431) 출구 측에 구비되는 클리닝수집통(432)과, 상기 클리닝수집통(432) 내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팬(43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클리닝수집통(432)은 상기 바텀서포트(22)에 착탈되도록 하여 먼지, 물 등을 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해제수단(44)은 상기 스탠드(20)의 탑서포트(21)에서 상기 각 충전단자(113)와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개구(開口)된 내부 공간부(441)와, 상기 공간부(441)의 개구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각 충전소켓(23)을 갖는 플레이트(442)와, 상기 플레이트(442)를 상하로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진퇴구동부(4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진퇴구동부(443)는 상기 플레이트(442)에 연결되는 피스톤(443a) 및 상기 피스톤(443a)이 내장되며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피스톤(443a)을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본체(443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접속해제수단(44)이 구비되어야 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습건식 청소기는 스탠드에 거치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버튼을 이용한 조작이 안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에 청소기본체(10)에 별도로 상기 진퇴구동부(443)의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마련하고, 이 버튼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442)를 하강시켜 상기 충전단자(113)와 상기 충전소켓(23) 간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시킨 이후에 청소기본체(10)에 있는 동작 버튼을 통해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구동시켜 클리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해제수단(44)에 의해 상기 배터리(17)에 대한 충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4)에 구비된 동작 버튼을 조작해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에 접하여 회전하는 상기 청소기헤드(12)의 먼지 및 물 등을 분리 제거하는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클리닝유닛(40)에는
상기 리세스(41)에서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의 전방 측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바(45)와,
상기 중계바(45)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의 축에 타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1링크(46)와,
상기 리세스(41)에서 상기 중계바(45)의 전방 상부 측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클리닝롤러(47)와,
상기 중계바(45)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의 축에 타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2링크(48)와,
상기 리세스(41)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바(45)의 양단이 회전케 장착되는 한 쌍의 브래킷(49)
이 더 구비된다.
이때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는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브러시(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청소기헤드(12)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 물기 등을 좀 더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나선형의 브러시(B) 사이공간은 상기 클리닝수집수단(43) 측으로 먼지나 이물질, 물기 등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20)에 상기 청소기본체(10) 거치 시 상기 청소기헤드(12)의 자중에 의해 상기 중계바(45)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가 회동하여 상기 청소기헤드(12)와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함께 상기 청소기헤드(12)에 대한 청소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49)에는 상방 개구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U자형의 홈에 상기 중계바(45) 양단이 안착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상기 브래킷(49)으로부터 상기 중계바(45)를 분리하여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서브클리닝롤러(47)에 대한 물세척 및 건조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서브클리닝롤러(47)는 상기 중계바(45)를 기준으로 평상시에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서로 간의 중량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중계바(45)에 별도의 코일스프링을 마련하여 이 코일스프링의 압축 및 해제를 통해서 구현할 수도 있다. 결국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서브클리닝롤러(47)는 상기 청소기헤드(12)의 자중에 의해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가 눌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중계바(45)를 기준으로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가 회동되어 상기 청소기헤드(12)에 접하고, 상기 스탠드(20)로부터 상기 청소기본체(10) 분리 시 언급한 중량이나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 등에 의해서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서브클리닝롤러(47)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습건식 청소기는 드라이유닛(5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드라이유닛(5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41)에 내장되어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 측으로 온열 공기를 급기하여 청소기헤드(12)를 건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 전방 측에 전후 관통되어 상기 리세스(41)와 연통되는 흡기구(51),
상기 리세스(41)에서 상기 흡기구(51) 후방 측에 배치되는 송풍팬(52), 그리고
상기 리세스(41)에서 상기 송풍팬(52) 후방 측에 배치되는 히팅선(5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송풍팬(52) 및 히팅선(53)은 상기 스탠드(2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상기 손잡이(14)에 별도로 마련된 버튼을 이용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센서(예 : 습도센서)를 두어 센싱값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52) 구동 시 상기 흡기구(51)를 통해 흡기된 후 상기 히팅선(53)을 통과한 고온의 외기가 상기 청소기헤드(12) 측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고온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습건식 청소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청소기본체
11 : 하우징
111 : 급수통
112 : 수집통
113 : 충전단자
114 : 디스플레이
12 : 청소기헤드
121 : 헤드챔버
13 : 스틱
14 : 손잡이
15 : 공급라인
16 : 펌프
17 : 배터리
20 : 스탠드
21 : 탑서포트
22 : 바텀서포트
23 : 충전소켓
24 : 수납홈
30 : 제1클리닝유닛
31 : 수용부
32 : 클리닝돌기부
40 : 제2클리닝유닛
41 : 리세스
42 : 메인클리닝롤러
43 : 클리닝수집수단
431 : 수집라인
432 : 클리닝수집통
433 : 흡입팬
44 : 접속해제수단
441 : 공간부
442 : 플레이트
443 : 진퇴구동부
443a : 피스톤
443b : 공압실린더본체
45 : 중계바
46 : 제1링크
47 : 서브클리닝롤러
48 : 제2링크
49 : 브래킷
50 : 드라이유닛
51 : 흡기구
52 : 송풍팬
53 : 히팅선

Claims (7)

  1. 급수통(111)과 수집통(112)을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연결되는 청소기헤드(12), 상기 하우징(11)에 일단이 연결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스틱(13), 그리고 상기 스틱(13)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4), 상기 급수통(111)의 물을 상기 청소기헤드(12)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15), 상기 공급라인(15) 상에 배치되는 펌프(16),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구동시키기 위한 헤드구동수단, 그리고 상기 펌프(16) 및 상기 헤드구동수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7)로 이루어진 청소기본체(10);
    상기 청소기본체(10)를 기립된 상태로 거치하기 위한 스탠드(20); 및
    상기 스탠드(20)에 상기 청소기본체(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를 청소하기 위한 제1클리닝유닛(30) 또는 제2클리닝유닛(40);
    을 포함하되,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에 상기 배터리(17)가 착탈되고,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에는 상기 배터리(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충전단자(113)가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20)는 상기 청소기본체(10)의 하우징(11) 측을 받치게 되는 탑서포트(21)와,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 측을 받치게 되는 바텀서포트(22)와, 상기 탑서포트(21)에 구비되어 상기 각 충전단자(113)가 접속되는 한 쌍의 충전소켓(23)과, 상기 바텀서포트(22)에서 상기 탑서포트(21)를 사이에 둔 양측 영역에 형성되는 둘 이상의 부속용 액세서리 수납홈(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청소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리닝유닛(30)은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 상부면에서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가 안착되는 영역에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는 반원형 홈 구조의 수용부(31)와, 상기 수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클리닝돌기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리닝유닛(40)은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 상면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청소기헤드(12)의 외주면 일부가 수용되는 리세스(41)와,
    상기 리세스(4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청소기헤드(12)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메인클리닝롤러(42)와,
    상기 스탠드(20)의 바텀서포트(22)에 내장되며 상기 청소기헤드(12)로부터 분리된 먼지 및 물을 수집하기 위한 클리닝수집수단(43)과,
    상기 각 충전단자(113)와 상기 각 충전소켓(23)의 접속을 해제시키기 위한 접속해제수단(44)
    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속해제수단(44)에 의해 상기 배터리(17)에 대한 충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4)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해 상기 청소기헤드(12)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에 접하여 회전하는 상기 청소기헤드(12)의 먼지 및 물을 분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리닝유닛(40)에는
    상기 리세스(41)에서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의 전방 측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바(45)와,
    상기 중계바(45)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의 축에 타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1링크(46)와,
    상기 리세스(41)에서 상기 중계바(45)의 전방 상부 측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클리닝롤러(47)와,
    상기 중계바(45)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의 축에 타단이 고정 연결되는 제2링크(48)와,
    상기 리세스(41)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바(45)의 양단이 회전케 장착되는 한 쌍의 브래킷(49)
    이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청소기헤드(12)의 자중에 의해 상기 중계바(45)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가 회동하여 상기 청소기헤드(12)와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클리닝롤러(42)와 상기 서브클리닝롤러(47) 각각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브러시(B)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해제수단(44)은 상기 스탠드(20)의 탑서포트(21)에서 상기 각 충전단자(113)와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 개구(開口)된 내부 공간부(441)와, 상기 공간부(441)의 개구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각 충전소켓(23)을 갖는 플레이트(442)와, 상기 플레이트(442)를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진퇴구동부(4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청소기.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1)에 내장되어 상기 청소기본체(10)의 청소기헤드(12) 측으로 온열 공기를 급기하여 청소기헤드(12)를 건조시키기 위한 드라이유닛(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건식 청소기.
KR1020210136313A 2021-10-14 2021-10-14 습건식 청소기 KR10234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13A KR102346547B1 (ko) 2021-10-14 2021-10-14 습건식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13A KR102346547B1 (ko) 2021-10-14 2021-10-14 습건식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547B1 true KR102346547B1 (ko) 2022-01-04

Family

ID=7934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313A KR102346547B1 (ko) 2021-10-14 2021-10-14 습건식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177A (ko) 2007-06-28 2007-07-25 이기훈 습건식 진공청소기
KR101115344B1 (ko) 2003-08-22 2012-03-06 비쎌 홈케어, 인크.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JP2019528148A (ja) * 2017-05-19 2019-10-10 シェンジェン ノー ダウト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No Doubt Technolgy Co.,Ltd. セルフクリーニング可能なローラモップ
KR20210076840A (ko) * 2019-12-13 2021-06-24 닝보 솅예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바닥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44B1 (ko) 2003-08-22 2012-03-06 비쎌 홈케어, 인크.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KR20070077177A (ko) 2007-06-28 2007-07-25 이기훈 습건식 진공청소기
JP2019528148A (ja) * 2017-05-19 2019-10-10 シェンジェン ノー ダウト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No Doubt Technolgy Co.,Ltd. セルフクリーニング可能なローラモップ
KR20210076840A (ko) * 2019-12-13 2021-06-24 닝보 솅예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바닥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544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tray
KR20200001951U (ko) 건조 사이클이 있는 표면 청소 장치
JP4891263B2 (ja) 電気掃除機のためのクリーナヘッド
KR200402524Y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20120103956A (ko)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
CN215937239U (zh) 真空清洁器及表面清洁系统
KR102346547B1 (ko) 습건식 청소기
KR100676283B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KR102357919B1 (ko)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KR200410348Y1 (ko) 진공 겸용 스팀 청소기
JP4421339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5046230A (ja) 回転清掃体およびこの回転清掃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20210125284A (ko)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