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800B1 -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800B1
KR101113800B1 KR1020090118673A KR20090118673A KR101113800B1 KR 101113800 B1 KR101113800 B1 KR 101113800B1 KR 1020090118673 A KR1020090118673 A KR 1020090118673A KR 20090118673 A KR20090118673 A KR 20090118673A KR 101113800 B1 KR101113800 B1 KR 10111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rail
circular
rail
welding devic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086A (ko
Inventor
김인주
강봉용
손준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모재 자동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에 있어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따라 2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 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면, 대형 원통 외주면의 자동용접 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이 분리조각되어 체결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관리와 체결 및 설치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서로 다른 일정범위의 원통형 모재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원형레일을 제공하고, 외부의 진동이나 이송캐리지 자체의 진동 등에 영향 없이 안정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미세한 용접작업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용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용접장치, 원형레일, 캐터필러, 관로, 주입공

Description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CIRCULAR RAIL AND AUTO WELDING MACHINE FOR CYLENDR CIRCUMFERENCE USING THIS RAIL }
본 발명은 관로와 같은 대형 원통의 외부를 용접함에 있어서, 용접기가 대형 원통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기 위한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용접을 수행할 수 있는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면과 같은 일반적인 용접에 있어서는, 로봇에 의한 용접 자동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형 원통의 외주의 용접작업에 있어서는, 용접부위를 따라 용접장치가 360℃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로봇에 의한 자동용접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대형 원통의 외주면 용접은 매번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의 위험성이 매우 높았을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의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용접기 이송캐리지 및 이를 위한 원형 궤도 또는 레일을 제안하였다.
이하, 종래의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발명의 용접기 이송캐리지를 안내하는 원형 궤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발명의 이송캐리지 및 궤도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행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용접 실행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에 있어서의 용접기 이송캐리지를 가이드 하는 원형 궤도(100)는 용접하고자 하는 원통 관로(A,B)(도 2 및 도 3 참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요홈(1a)(2a)이 각각 형성된 2개의 원형 레일(1)(2)을 지지대(3)의 양단에 고정함으로써 양 레일(1)(2)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3)는 2개로 이루어진 원형 레일(1)(2)이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용접기 이송캐리지(Carriage)(200)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형 레일(1)(2)은 2등분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그 상부 및 하부에는 제 1 체결부(20) 및 제 2 체결부(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 레일(1)(2)의 분리된 단면형상은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형 레일(1)(2)의 상호 결합되는 각 단부에는 제1 연결바(5) 및 제2 연결바(6)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연결바(5) 및 상기 제2 연결바(6)는 H자 형상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되, 체결력의 조절을 통하여 원형 레일(1)(2)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연결바(5)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측 연결고리(7)와 제2 연결바(6)의 내부에 삽입된 개폐측 연결고리(8) 사이에 압축 스프링(10)을 게재하여 체 결봉(9) 및 체결나사(11)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분할된 원형 레일(1)(2)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체결부를 반대쪽에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용접하고자 하는 원통(A,B)(도 2 및 도 3 참조)의 직경에 맞춰 상기 원형 레일(1)(2)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상기 원형 궤도(100)에 센서 및 인공지능 용접 토오치 및 용접기를 장착한 본 발명에 의한 이송캐리지(200)를 탑재하고, 상기 용접기와 컨트롤박스(52)에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대형 원통(A,B) 용접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정확하고 능률적인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1 내지 도 3에 예시된 종래 발명의 원형레일은 양분된 상태에서 서로 체결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체결부(20)와 제2 체결부(21)에서 각각의 요철 형탱의 홈에 체결하고 체결바에 의해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각각의 원형레일 조각을 관리하는 것도 쉽지않고, 체결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아 사용에 있어서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재 원통의 크기에 따라 원형레일을 따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원형레일의 직격을 조절하는 것이 종래 발명에서 체결부의 나사조임을 한계가 있고, 체결부의 조절은 원형레일의 모양 왜곡으로 이어져 모재원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대형 원통 외주면의 자용용접 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이 분리조각되어 체결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관리와 체결 및 설치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는 원형레일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직격이 서로 다른 일정범위의 원통형 모재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원형레일을 제공하고, 외부의 진동이나 이송캐리지 자체의 진동 등에 영향 없이 안정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미세한 용접작업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용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수단은 원통형 모재 자동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에 있어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따라 2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 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레일은 2개의 조각으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된 연결부위의 상기 가이드 레일 외측 어느 하나의 단면이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타단 조각이 외부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띠면에 일정한 간격으 로 2줄로 이루어진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체결되어 모재 원통의 직경에 따라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레일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두개의 평행한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내부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하나의 주입공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 입구를 감싸는 연질의 고무 패킹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형 원통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를 용접하는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용접기가 고정 설치되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 양면에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펜밸트로 연결된 캐터필러를 형성하는 이송캐리지와; 용접하고자 하는 원통 관로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상기 캐터필러와 접촉되어 상기 이송캐리지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측면 양단에 가이드가 형성된 원형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원형레일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2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 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레일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두개의 평행한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내부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 성되고,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하나의 주입공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 입구를 감싸는 연질의 고무 패킹이 부착되어 상기 주입공에 공기의 주입으로 상기 고무 패킹이 팽창하여 상기 원통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면, 대형 원통 외주면의 자용용접 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이 분리조각되어 체결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관리와 체결 및 설치의 불편함을 제거하고, 용이하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서로 다른 일정범위의 원통형 모재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원형레일을 제공하고, 외부의 진동이나 이송캐리지 자체의 진동 등에 영향 없이 안정되게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미세한 용접작업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용접 장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원통 외주면의 용접에 있어서, 로봇에 의한 자동화가 불가능하였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사람의 수작업에 의존하던 작업방식을 자동화함으로써, 용접작업의 능률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센서 및 인공지능 용접 토오치 및 용접기를 장착한 이송캐리지를 대형 원통의 주위로 안정적으로 이송하게 함으로써 용접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능률적인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을 용접하는 자동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의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레일(450)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서 상기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따라 2개의 가이드홈(453)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 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에는 원형레일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서로 나사 또는 체결바에 의해 모두 체결해야 하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가 2곳인 2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서, 체결부의 한 부위는 체결고정되어 있는 구조이고, 다른 부위는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체결이 쉽고 원형레일을 하나의 단위체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리 및 설치가 훨씬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레일을 일정부분 접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려면, 고정된 체결부위에 가이드 홈 외측에 있는 어느 하나의 단면(451)은 수직의 직각 단부가 아니라,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하여 일단의 원형레일 조각이 접히는 경우 충분한 회동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원형레일을 형성하면, 원통관을 용접하기 위해 모재 원통관의 외주면에 장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개폐 가능한 체결부위를 한번만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체결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레일의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레일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서 상기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따라 2개의 가이드 홈(553)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 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개폐가 가능한 것으로서, 2개의 조각으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된 연결부위의 상기 가이드 레일 외측 어느 하나의 단면(551)이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타단 조각이 외부로 접힐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 홈은 원형레일 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홈으로서, 레일의 중심부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용접장치가 원형레일을 회동하면서 모재 원통관을 용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중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지지되어 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팬벨트 형상의 용접장치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5에 예시된 발명은 도 4에서 예시된 발명과 달리, 원형 띠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555)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555)에 볼트(556)가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원통 모재를 지지하는 체결 지지바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공(555) 내부면에 나사산이 되어 있어 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모재 원통관의 직경이 다양하게 맞추어 나사를 조여 모재 원통과 원형레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특정범위 안에서 모재 원통관의 직경이 다른 다양한 원통관에 맞추어 원형레일을 장착하여 상기 볼트(551)로 조여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원형레일에 하나의 직경을 갖는 모재 원통관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뿐 아니라, 직경이 다른 다양한 모재원통관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재 원통의 지지부가 설치된 원형레일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레일(650)의 내부면에는 관로(655)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관로와 연결되어 레일의 내면을 관통하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된 관통공(657), 관통공(657)을 덮는 연질의 고무패킹(659) 및 상기 관로에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주입공(656)으로 이루어진 모재원통 지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즉, 도 6에 예시된 발명의 원형레일은 주입공(656)에 콤프레서 또는 펌프 등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관로(657)를 따라 공기가 삽입되면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관통공(657)에 공기압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공기압으로 인하여 상기 관통공(657)을 덮는 연질의 고무패킹(659)을 팽창시켜 모재원통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고무패킹의 팽창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특정범위 안에 서 직경이 다른 다양한 모재원통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고무패킹과 직접접촉 하므로 모재원통을 스크래칭 하거나 손상시킬 염려가 없으며, 충분한 마찰력으로 모재원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모재원통을 원형레일과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지지하려면 복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간격을 일정하게 맞추기 힘들 뿐만 아니라, 지지바가 원형레일 외면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용접장치의 장착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번에 공기 주입으로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격거리의 조절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형레일 외면에 돌출된 구조가 없어서 다른 장치의 장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원형레일을 이용하는 원통 자동 용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용접장치는 용접기가 고정 설치되는 몸체판(610)과, 상기 몸체판(610) 양면에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펜밸트로 연결된 캐터필러(620)를 형성하는 이송캐리지(600)와; 용접하고자 하는 원통 관로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상기 캐터필러(620)와 접촉되어 상기 이송캐리지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측면 양단에 가이드가 형성된 원형레일(650)을 포함하되, 상기 원형레일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2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 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위에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원형레일은 도 6에 예시된 원형레일을 나타낸 것으로,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두개의 평행한 관로(655)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655)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내부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공(657)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하나의 주입공(656)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657) 입구를 감싸는 연질의 고무 패킹(659)이 부착되어 상기 주입공에 공기의 주입으로 상기 고무 패킹(659)이 팽창하여 상기 원통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6 참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용접장치는 용접기가 설치되어 원통 외연을 따라 회동하는 이송캐리지(6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송캐리지(600)는 용접기가 고정 설치되는 캐리지 몸체판(610)과, 캐리지 몸체판 양면에 복수개의 바퀴(611)가 펜밸트로 연결된 캐터필러(620)를 형성하여 원통 외연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되는 원형레일은 용접하고자하는 모재 원통(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용접부위에 모재 원통(A)의 외부에 둘러싸여 장착되고, 이송캐리지(600)의 캐터필러(620)와 대응되는 가이드(655)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캐리지(600)의 캐터필러(620)가 원형레일의 가이드(655)를 따라 이송캐리지(600)를 회동시키면서 용접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7에 나타난 이송캐리지(600) 내부에 모터와 같은 구동부(613)에 의해 회동시키고, 이 회전운동은 펜밸트에 의해 양측 바퀴의 축에 전달되어 캐터필러(620)를 형성하는 바퀴 중 어느 하나의 바퀴(611)를 구동시켜 이송캐리지(600) 전체가 캐터필러의 회전에 의한 회동을 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캐터필러(620) 방식을 통한 회동은 종래의 단순한 바퀴보다 접촉면적이 넓어 외부의 진동 또는 이송캐리지(600) 및 용접기의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앞 또는 뒤로 미끄러질 염려가 적고, 펜밸트에 의한 동력 전달로 더욱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용접을 수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캐터필러(613)는 보통 강판제(鋼板製)의 판을 체인 모양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앞?뒤바퀴에 벨트처럼 걸어 동력으로 회전시켜서 주행하게 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무한궤도(無限軌道)라고도 한다. 보통의 바퀴에 비해 접지면적이 크고 지면과의 마찰도 크므로 일반 바퀴보다 슬림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훨씬 적다. 또한, 캐터필러(620)는 펜밸트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므로 바퀴 직경의 차이 또는 바퀴와 구동 모터의 직경의 차이에 의해 이동속도를 더욱 세밀하게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바퀴를 이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수개의 바퀴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퀴의 개수는 캐터필러(620)의 상대적 접촉면적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A)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적용 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용접 장치는 모재 원통(A)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모재 원통(A)을 더욱 정밀하고 안정되게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원형레일은 도 6에 예시된 원형레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면에는 관로(655)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레일의 내면을 관통하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된 관통공(657), 관통공(657)을 덮는 연질의 고무패킹 및 상기 관로(655)에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하나의 주입공으로 이루어진 모재원통(A) 지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즉, 주입공에 콤프레서 또는 펌프 등을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관로(655)를 따라 공기가 삽입되면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관통공에 공기압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공기압으로 인하여 상기 관통공(657)을 덮는 연질의 고무패킹(659)을 팽창시켜 모재원통(A)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고무패킹(659)의 팽창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특정범위 안에서 직경이 다른 다양한 모재원통(A)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고무패킹(659)과 직접 접촉하므로 모재원통(A)을 스크래칭 하거나 손상시킬 염려가 없으며, 충분한 마찰력으로 모재원통(A)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용접기 이송캐리지를 안내하는 원형 궤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송캐리지 및 궤도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행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이송캐리지 및 궤도를 이용하여 용접을 실행하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관을 용접하는 자동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의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레일의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모재 원통의 지지부가 설치된 원형레일의 단면도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원형레일을 이용하는 원통 자동 용접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모재 원통
450,550,650: 원형레일, 453,553: 가이드 홈, 455,555,657: 관통공
556: 볼트, 600 : 이송캐리지, 610 : 몸체판, 611 : 바퀴, 620: 캐터필러,
655: 가이드 레일, 656: 주입공, 659: 고무패킹

Claims (6)

  1. 원통형 모재 자동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원형레일에 있어서,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따라 2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부위에서 개폐가 가능하되,
    상기 띠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2줄로 이루어진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 내부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체결되어 모재 원통의 직경에 따라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레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레일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두개의 평행한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내부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하나의 주입공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 입구를 감싸는 연질의 고무 패킹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레일.
  5. 대형 원통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를 용접하는 자동용접장치에 있어서,
    용접기가 고정 설치되는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 양면에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어 펜밸트로 연결된 캐터필러를 형성하는 이송캐리지와;
    용접하고자 하는 원통 관로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상기 캐터필러와 접촉되어 상기 이송캐리지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측면 양단에 가이드가 형성된 원형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원형레일은 복수개의 조각으로 연결된 원형띠 구조로 띠면 중심부에 외주면을 2개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조각의 연결부위의 단면은 계단형 구조로 체결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부위에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레일 내부에 내주면을 따라 두개의 평행한 관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내부면에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관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하나의 주입공과,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 입구를 감싸는 연질의 고무 패킹이 부착되어 상기 주입공에 공기의 주입으로 상기 고무 패킹이 팽창하여 상기 원통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KR1020090118673A 2009-12-02 2009-12-02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KR10111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73A KR101113800B1 (ko) 2009-12-02 2009-12-02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73A KR101113800B1 (ko) 2009-12-02 2009-12-02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086A KR20110062086A (ko) 2011-06-10
KR101113800B1 true KR101113800B1 (ko) 2012-03-13

Family

ID=4439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673A KR101113800B1 (ko) 2009-12-02 2009-12-02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595B1 (ko) * 2011-12-20 2014-06-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WO2013094956A1 (ko) * 2011-12-20 2013-06-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60B1 (ko) * 2005-09-27 2006-12-20 노재원 파티션 겸용 책상
KR100857177B1 (ko) * 2008-05-23 2008-09-08 (주)에스엔피월드 액상 화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60B1 (ko) * 2005-09-27 2006-12-20 노재원 파티션 겸용 책상
KR100857177B1 (ko) * 2008-05-23 2008-09-08 (주)에스엔피월드 액상 화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086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398B2 (en) Trenchless rehabilitation system for deformation of large diameter HDPE pipelines and method thereof
CN102300762B (zh) 用于履带型车辆的减声分段惰轮
KR101037773B1 (ko) 궤도형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KR101508813B1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WO2011013636A1 (ja) 製管機及び製管方法
KR101113800B1 (ko) 원형레일 및 이를 이용한 원통 외주면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장치
CN104309617B (zh) 能够方便快捷调整压力钢管安装位置并实现其运输台车
CN204136996U (zh) 能够方便快捷调整压力钢管安装位置并实现其运输台车
KR20160044941A (ko) 연장 파이프의 가용접을 위한 고정장치
JP2011052408A (ja) テーパー杭のガイド装置
JP2010249227A (ja) 配管遮断装置および配管遮断方法
JPH0363609B2 (ko)
CN214054131U (zh) 一种自动管道焊接设备
JP5854808B2 (ja) 既設管路の更生方法
CN210034761U (zh) 一种管道修复气囊
KR20120108241A (ko) 원통형 모재 자동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레일
JP5926661B2 (ja) 製管装置
KR20150001689U (ko) 산업용 수직펌프의 틈새조절장치
JP4884582B2 (ja) 既設流体管の伸縮可撓化方法及び装置
KR102638244B1 (ko) 상수도관 연결 조인트 및 이를 활용한 누수 측정 시스템
JP4548641B2 (ja) 既設流体管の切断方法及び装置
CN211649271U (zh) 隧道管状工件运输装置
CN220128646U (zh) 一种压力管道便捷顶起装置
JP6358695B2 (ja) 内張り材の誘導治具、及び内張り材の誘導方法
JP2013194455A (ja) 斜杭の振れ止め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