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573B1 -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 Google Patents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573B1
KR101112573B1 KR1020090046931A KR20090046931A KR101112573B1 KR 101112573 B1 KR101112573 B1 KR 101112573B1 KR 1020090046931 A KR1020090046931 A KR 1020090046931A KR 20090046931 A KR20090046931 A KR 20090046931A KR 101112573 B1 KR101112573 B1 KR 10111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ablets
enteric
renal failure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508A (ko
Inventor
용 기 박
정 원 조
영 호 김
종 성 강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57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61K9/2846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부전 예방 및 치료 성분으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및 저령으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용 핵정과 그 위에 둘러쌓인 채 위장보호 및 강화 성분으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및 계지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용 외부정이 타정되어 있되, 상기 장용핵정과 위용 외부정 사이에는 장용피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을 복용하면 위에서 신남산을 비롯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의 성분이 용출되어 위장 운동이 보호 및 강화되고, 십이지장 및 소장을 거치면서 이카린을 비롯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의 성분이 용출되어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신부전, 이중핵정, 장용핵정, 위용 외부정

Description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Dual core tablets with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sease related to renal failure}
본 발명은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신부전 예방 및 치료 성분으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및 저령으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용 핵정과 그 위에 둘러쌓인 채 위장보호 및 강화 성분으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및 계지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용 외부정이 타정되어 있되, 상기 장용핵정과 위용 외부정 사이에는 장용피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장의 주된 기능은 노폐물을 걸러 소변을 만들면서 몸의 수분과 전해질, 산과 염기의 균형을 조절하여 몸의 체액 상태를 항상 적절하게 유지하며, 칼슘과 인을 조절하여 뼈를 튼튼한 상태로 유지하고, 조혈 호르몬을 만들어 빈혈을 방지하면서, 혈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압이 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런 신장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만성신부전 의 경우 신장의 배설기능이 정상의 25% 이하로 저하된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초기 증상이 요독증의 초기에 나타나는 메스꺼움, 식욕부진, 야뇨증, 수면장애, 피로, 소화불량 등과 같이 지나치기 쉬운 것이 대부분이어서 예방하거나 초기에 진단하기가 어렵고, 신부전이 심해지면 숨을 쉴 때 소변 냄새가 나고, 붓기, 가려움증, 기억력 감퇴 등을 보이다가 심하면 호흡곤란, 경련, 혼수 등의 증상이 발생된다.
만성신부전이 이렇게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이러한 신부전을 치료하기 위한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상태이다(Wesołowski P, Saracyn M, Nowak Z, Waʼnkowicz Z, Peritoneal dialysis and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due to nondiabetic nephropathy, Pol. Merkur. Lekarski., 24, 359-363, 2008).
만성신부전은 신장 세포의 섬유화 및 대식세포의 과도한 증가로 인해 염증반응이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염증을 억제하면 신장세포의 섬유화를 줄여줌으로써 계속해서 신장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Naiki Y, Maeda Y, Matsuo K, Yonekawa S, Sakaguchi M, Iwamoto I, Hasegawa H, Kanamaru A, Involvement of TGF-beta signal for peritoneal sclerosing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J. Nephrol., 16, 95-102, 2003), 따라서 현재 만성 신부전의 치료에는 주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치료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를 만성신부전의 치료로 사용할 경우 항염증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뿐만 아니라 부작용까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식세포가 염증반응 시 염증을 유발하도록 하기 위해 분비하는 염증 매개자들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한약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만삼,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저령 및 계지를 특정비율로 혼합한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방 신부전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발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방 만성신부전 치료제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동시에 용출 및 흡수되어질 수 있으나, 특히 위장 기능이 약한 신부전 환자의 경우에는 위장 기능의 활성화가 먼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먼저 한방 신부전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한약재의 기능을 살펴보고 이들 중 위장 기능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선별하였다. 이에 해당하는 한약재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만삼(생약명: Codonopsis pilosulae radix, 학명: Codonopsis pilosula FR. NANNF)은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 비위(脾胃)를 보하고 진액(津液)을 생기게 하며 구갈(口渴)을 멈추게 하는 일종의 강장제의 역할을 하여 비위허약, 식욕부진, 사지무력, 정신불안, 피로, 폐허해수(肺虛咳嗽), 번갈(煩渴) 등의 증상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엽(생약명: Perillae folium, 학명: Perilla frutescens L. BRITT.)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염증을 없애고 소화를 잘되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감초(생약명: Glycyrrhizae radix, 학명: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은 통상적으로 한약재로 사용되는 감초를 말하는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오장육부의 한열(寒熱)과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 코, 입 및 귀와 대소변의 생리 현상을 정상이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하면서,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조합된 한약재 간의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생약명: Artemisiae capillaris herba, 학명: 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한방에서 해열이습(解熱利濕), 퇴황달(退黃疸),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복만뇨황(服滿尿黃)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택사(생약명: Alismatis rhizome, 학명: Alisma plantago-aquatica var. orientale SAMUELS)은 무독성으로 주로 신과 방광 등에 작용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습을 배출하고 열을 내리는데 사용한다.
백복령(생약명: Poria, 학명: Poria cocos SCHW)은 한방에서 비장이나 위장이 허약하여 잘 붓거나 소화불량 또는 배뇨 곤란의 증상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출(생약명: 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e, 학명: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은 한방에서는 방향성 건위약으로 소화불량에 사용되거나, 몸 안에 있는 여분의 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효능이 있어 소화기관이나 피하에 수분이 정체되어 있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지(생약명: Cinnamomi ramulus, 학명: Cinnamomum cassia PRESL)는 방향 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하거나 한방에서는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질환, 급성열병 등의 증상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 등은 속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하는 건위약으로써 소화불량 및 위장 기능 향상에 사용될 수 있어, 위장 운동을 보호 및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의 용출 및 흡수를 유도하기 때문에 이들의 이러한 효과를 적절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각각 위와 장에서 따로 용출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방 만성신부전 치료제의 약제학적 조성물 중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 등이 1차로 위에서 용출 및 흡수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어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이 2차로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용출 및 흡수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중핵정 제형을 사용할 경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만삼,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저령, 계지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신 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위장 운동을 보호 및 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 성분은 위에서 나머지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의 성분은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용출되도록 하여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부전 예방 및 치료 성분으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및 저령으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용 핵정과 그 위에 둘러쌓인 채 위장보호 및 강화 성분으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및 계지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용 외부정이 타정되어 있되, 상기 장용핵정과 위용 외부정 사이에는 장용피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서, 상기 장용 핵정은 상기 장용 핵정과 상기 위용 외부정을 합한 것을 100%로 하였을 때, 단삼 6 내지 10 중량%, 반하 4 내지 8 중량%, 황련 3 내지 5 중량%, 오수유 3 내지 5 중량%, 음양곽 8 내지 12 중량%, 대황 4 내지 8 중량% 및 저령 4 내지 6 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서, 상기 위용 외부정은 상기 장용 핵정과 상기 위용 외부정을 합한 것을 100%로 하였을 때, 만삼 6 내지 10 중 량%, 소엽 4 내지 8 중량%, 감초 2 내지 4 중량%, 인진 15 내지 20 중량%, 택사 10 내지 14 중량%, 백복령 4 내지 6 중량%, 백출 4 내지 6 중량% 및 계지 2 내지 3 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한약재의 열수 추출액을 동결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 대해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만삼,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저령 및 계지로 이루어지는 15가지의 혼합 한약재의 추출물 중 위장 운동을 보호 및 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 추출물을 위용 외부정으로 하고, 나머지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 추출물을 장용 핵정으로 하여 하나의 이중핵정으로 제조함으로써 복용시 위에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의 성분이 용출되어 위장을 보호하고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하고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의 성분이 용출되어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한약재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미미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활성질소종, 염증 사이토카인과 조직의 섬유 화를 유도하는 TGF-β(tumor growth factor-β), Smad2(Sma and Mad-related protein2), α-SMA(α-smooth muscle actin) 및 PCNA(proliferative cell nuclear antigen)의 발현을 억제하면서 활성산소생성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신부전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한약재를 열수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은 보건부 기준하여 음용 기준에 적합한 물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과기나 정수기 등으로 여과시킨 정제수, 멸균수, 음이온수 등의 물이나 수돗물, 생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혼합 한약재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매는 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에 해롭지 않을 정도로 제거하는 장치를 사용한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만삼(생약명:Codonopsis pilosulae radix, 학명:Codonopsis pilosula FR. NANNF )은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독성이 전혀 없으면서 비위(脾胃)를 보하고 진액(津液)을 생기게 하며 구갈(口渴)을 멈추게 하는 일종의 강장제의 역할을 하여 비위허약, 식욕부진, 사지무력, 정신불안, 피로, 폐허해수(肺虛咳嗽), 번갈(煩渴) 등의 증상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능 이외에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만삼을 밀자(蜜炙)로 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삼(생약명:Salviae miltiorrhizae radix, 학명: Salvia miltiorrhiza BGE)은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한방에서 강장약, 통경약, 진통약, 항염 약, 지혈약으로 월경불순, 복통, 폐경, 산후통, 류마치스 증상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능 이외에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단삼을 주자(酒炙)로 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하(생약명: Pinelliae rhizome, 학명: Pinellia ternata THUNB. BREIT.)는 구토약, 진경약 및 가래 삭히는 약으로써 위하수, 임신구토, 구토, 기침, 어지러움증, 두통, 급성위염, 인후통 증상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통상적으로 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생강으로 법제한 반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백복령과 함께 거담제의 역할을 한다.
황련(생약명: Coptis rhizome, 학명: Coptis chinensis FRANCH)은 소염제, 진정제로써 신경불안, 충혈 및 염증 등에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술에 담궜다가 말려서 법제한 황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부전 유래의 염증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오수유[생약명: Evodiae fructus, 학명: Evodia rutaecarpa (Juss.) Benth.]는 동의보감에서 속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하는 약으로 건위약, 음식에 체해 몸 안에 지나친 물을 내 보내며, 머리와 배가 아프고 답답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른 한약재들과 어울려 신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음양곽(생약명: Epimedii herba, 학명: Epimedium koreanum NAKAI)은 강정, 소염, 진통, 이뇨작용이 있으며 기를 보하고 신, 뼈, 힘살을 튼튼하게 하는 한편, 성기능을 높히거나(향약집성방), 음위증, 불임증, 냉병, 풍병, 허약증, 건망증에 개선효과(동의보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부전에 의해 쇠약해진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대황(생약명: Rhei radix et rhizoma, 학명:Rheum palmatum L.)은 한방에서 건위약으로 소화불량, 만성위장염, 고창, 기무력증과 설사약으로 반성변비, 습관성변비 증상에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능 이외에 해열제의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는 잿불에 묻어 구워서 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엽(생약명: Perillae folium, 학명: Perilla frutescens L. BRITT.)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염증을 없애고 소화를 잘되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황, 황련 등과 함께 신장 내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감초(생약명: Glycyrrhizae radix, 학명: Glycyrrhiza uralensis FISCH)은 통상적으로 한약재로 사용되는 감초를 말하는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오장육부의 한열(寒熱)과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 코, 입 및 귀와 대소변의 생리 현상을 정상이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하면서,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조합된 한약재 간의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황, 소엽, 인진 등의 효능이 잘 나타나게 해 주면서 지속적으로 복용해도 큰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인진(생약명: Artemisiae capillaris herba, 학명: 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한방에서 해열이습(解熱利濕), 퇴황달(退黃疸),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복만뇨황(服滿尿黃)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황과 더불어 해열제와 배설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택사(생약명: Alismatis rhizome, 학명: Alisma plantago-aquatica var. orientale SAMUELS)은 무독성으로 주로 신과 방광 등에 작용하여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습을 배출하고 열을 내리는데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신장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원활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식초로 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복령(생약명: Poria, 학명: Poria cocos SCHW.)은 한방에서 비장이나 위장이 허약하여 잘 붓거나 소화불량 또는 배뇨 곤란의 증상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인진, 택사, 백출 및 저령과 함께 배뇨에 상승효과를 제공하고 신장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백복령은 반하와 함께 거담(祛痰)의 효과를 제공한다.
백출(생약명: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e, 학명: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은 한방에서는 방향성 건위약으로 소화불량에 사용되거나, 몸 안에 있는 여분의 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효능이 있어 소화기관이나 피하에 수분이 정체되어 있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인진, 택사, 백봉령 및 저령과 함께 신장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저령(생약명: Polyporus, 학명:Polyporus umbellatus PERS. FRIES)은 이뇨, 항균, 항종양, 해열, 급성요도염 등의 비뇨기 계통의 소변 장애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외의 한약재들과 함께 신장이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계지(생약명: Cinnamomi ramulus, 학명: Cinnamomum cassia PRESL)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하거나 한방에서는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 급성열병 등의 증상에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다른 한약재들과 함께 먹기 불편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들은 상기 법제된 약재로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부작용이 최소화시키는 선에서 다른 방법으로 법제화된 약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중 핵정 중 장용 핵정의 한약재 추출물로 상기 장용 핵정과 상기 위용 외부정을 합한 것을 100%로 하였을 때, 단삼 6 내지 10 중량%, 반하 4 내지 8 중량%, 황련 3 내지 5 중량%, 오수유 3 내지 5 중량%, 음양곽 8 내지 12 중량%, 대황 4 내지 8 중량% 및 저령 4 내지 6 중량%를 사용하고, 위용 외부정의 한약재 추출물로 만삼 6 내지 10 중량%, 소엽 4 내지 8 중량%, 감초 2 내지 4 중량%, 인진 15 내지 20 중량%, 택사 10 내지 14 중량%, 백복령 4 내지 6 중량%, 백출 4 내지 6 중량% 및 계지 2 내지 3 중량%를 사용하는데, 이는 각 한약재당 상술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다른 필요 성분을 충분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최소 사용량 미만을 사용하면 각 한약재의 유효 효과가 저감되고, 상술한 각 한약재당 사용 범위가 신부전에 대한 최대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바람직하기 때문이 다. 이때, 구체적으로 더 바람직하게는 장용 핵정 한약재 추출물로 단삼 150g, 반하 100g, 황련 60g, 오수유 60g, 음양곽 160g, 대황 100g, 저령 80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한약재 및 위용 외부정 한약재 추출물로 만삼 150g, 소엽 100g, 감초 50g, 인진 300g, 택사 200g, 백복령 80g, 백출 80g, 계지 40g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한약재와 물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 이외에도 신부전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상기 한약재의 유효 성분을 충분히 추출하면서 인체에 전혀 무해하다면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중핵정은 장용 핵정 내부에 있는 성분이 위에서 용출되지 않고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용출될 수 있도록 장용핵정과 위용 외부정 사이에 장용피를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은데, 이 때 사용되는 코팅제로는 위액의 강산에 견딜 수 있고 이후 십이지장 및 소장의 조건에서 분해되어 장용 핵정의 성분이 용출되게 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그 어떤 코팅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유드라짓 L100 또는 유드라짓 S1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 또는 유드라짓 L100과 유드라짓 S100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형화 기준에 허용이 가능한 부형제, 예를 들어 미결정셀룰로오즈,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옥수수전분 및 붕해제,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크로스포비돈, 전젤라틴화전분 및 활택제, 예를 들어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및 제피제, 예를 들어 오파드라이 등과 함께 제형화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추출물의 제조
가. 재료
만삼 150g, 단삼 150g, 반하 100 g, 황련 60g, 오수유 60g, 음양곽 160g, 대황 100g, 소엽 100g, 감초 50g, 인진 300g, 택사 200g, 백복령 80g, 백출 80g, 저령 80g, 계지 40g
나. 추출물 제조
상기 준비된 혼합 한약재 1,710g에 물을 한약재 부피의 두 배 정도 넣고, 5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거어즈로 여과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만성 신부전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수율은 18.5%였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을 WHW 추출물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를 4℃에 보관하면서 효과 검증을 위한 약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임상 실험 효과
신부전 환자 지원자 8명(모두 남자)에게 조성물을 하루에 171g을 다려서 3개 월 간 마시게 하였다(1인/171g/day/3개월 동안 복용).
그런 다음, 지원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복용 전과 복용 후의 혈중 크레아틴과 BUN(Blood Urea Nitrogen)을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BUN은 미도시),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크레아틴(Creatine)이 1.4 이상, BUN이 24 이상으로 나타나는데,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을 복용하면 정상으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세포주 및 동물 실험을 통한 효과
가. 항염증 효과
① 활성질소종 억제 효과
활성질소종(nitric oxide; NO)은 병원균 감염 후 활성화되는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로서 적정양의 활성질소종의 생성은 혈관 내 항상성을 유지시키고 항암효과를 나타내지만, 과도한 양의 활성질소종의 생성은 오히려 세포와 조직에 강력한 독성을 나타내어 염증반응을 매개함으로써 급성 및 만성 염증성질환의 병 발달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쥐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와 복강으로부터 직접 분리한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WHW 추출물을 처리한 후 대식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활성질소종의 양이 감소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RAW264.7 세포와 복강대식세포를 24시간 배양한 다음 WHW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처리하여 30분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lipopolysaccharide(LPS)를 처리하 여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활성질소종 분비를 유도하였다. 다시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수거하여 세포로부터 분비된 활성질소종의 농도를 Griess 반응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처리한 약물이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염증을 유발물질인 활성질소종의 생산을 얼마나 억제시킬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의 결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과도하게 분비되는 활성질소종의 생산을 대식세포주 및 쥐의 복강으로부터 직접 분리한 대식세포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② 염증사이토카인 분비의 억제효과
일반적으로 외부 병원균에 노출되면 대식세포로부터 TNF-α나 IL-1β와 같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이 다량 분비되어 염증반응이 가속화되기 때문에, 사이토카인의 다량 분비는 신장염, 대장염, 폐혈증, 류마티스 관절염 및 퇴행성뇌질환과 같은 다양한 염증질환의 발병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TNF-α와 같은 염증사이토카인의 증가는 암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악액질, 당뇨, 비만 등의 대사성 질환에서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함으로써 병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쥐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와 복강으로부터 직접 분리한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WHW 추출물을 처리한 후, 외부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과도하게 분비되는 TNF-α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지와 대식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TNF-α와 IL-1β의 양이 감소되는 지의 여 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RAW264.7 세포와 복강대식세포를 24시간 배양한 다음 WHW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처리하여 30분간 배양한 후 LPS를 처리하여 세포를 24시간 동안 활성화시켰다. 그리고, 세포 배양액을 수거하여 세포로부터 분비된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효소결합반응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은 각 사이토카인을 검출할 수 있는 ELISA kit를 eBioscience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내 사이토카인 농도(pg/ml)는 각 사이토카인의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 protein)을 이용하여 표준정량곡선(standard curve)을 제작한 후 이를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이의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은 투여량과 비례하여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과도하게 분비되는 염증사이토카인의 생산을 강력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만성 신부전증의 신장섬유화 억제효과
일반적으로 신장의 섬유화(progressive interstitial fibrosis)는 세뇨관과 모세관의 파괴를 유발하여 불안정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이나 신장비대(hypertension), 신장동맥협착(renal artery stenosis), 신장기형(abnormalities) 및 요관폐쇄(ureteral obstruction) 등을 유발시키는데, 특히 혈관의 생장과 분화를 촉진하는 성장인자인 TGF(tumor growth factor)-β이 다량 분비되면 조직의 섬유화(renal fibrotic events)를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그리고, 만성신부전증의 경우, 신장세포의 파괴와 섬유화가 동반되며 발생하고, 결국에는 신장실질(腎臟實質)에 비가역성 변화를 초래하여 미오피브로블라스트와 같은 형태(myofibroblast-like phenotype)로 세포가 변해가면서 TGF-β1 mRNA의 발현 및 α-SMA 발현이 평행하게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TGF-β1 mRNA의 발현 및 α-SMA의 발현을 유도하는 신호전달자(signal transducer)로 Smad2 (Sma- and Mad-related protein 2)가 공지되어 있다.
① TGF-β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섬유세포주인 MDCK 세포(근위세뇨관세포 기원)에 TGF-β를 처리하여 섬유화를 유도하고, 여기에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여 WHW 추출물이 신장세포의 섬유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MDCK 세포에 TGF-β(2.5 ng/ml)을 처리하여 신장세포의 섬유화를 유도하였으며, 여기에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0.2% trypan blue 염색 방법에 의해 세포생존도(cell viability)를 측정함으로써 추출물에 의한 신장세포 섬유화 억제정도를 조사하였다.
이의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CK 신장세포에 본 발명의 WHW 추출물 1㎎/㎖을 처리하였을 때, TGF-β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세포의 파괴(cell viability)를 억제함으로써 신장섬유화를 막아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Smad2(Sma- and Mad-related protein 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WHW 추출물 처리에 의해 α-SMA와 TGF-β의 신호전달자인 Smad2의 세포내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MDCK 세포에 TGF-β(2.5 ng/ml)와 WHW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만 수거하였다. 그리고, 수거된 세포에 1 mM PMSF 및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첨가된 RIPA buffer (50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NP-40, 0.5% deoxycholic acid, 0.1% SDS)를 넣어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용출시켰다. 추출된 단백질 30ug을 SDS-PAGE로 분리한 후 니트로셀룰로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에 전이(transfer)하였다. 여기에 Smad-2 항체 (anti-Smad-2 monoclonal antibody; mAb) 및 alkaline phosphataseconjugated mAb를 반응시킨 후 Chemiluminescence 방법을 이용하여 Smas-2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그림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GF-β로 세포를 자극하면 MDCK 세포에서 α-SMA와 Smad의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데 여기에 WHW 추출물을 처리하면 이들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신장세포의 섬유화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결과를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TGF-β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독성 및 섬유화를 억제함으로써 신장세포를 보호할 수 있으며, 섬유화를 가속화시키는 인자인 α-SMA와 Smad의 유전자 발현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신장세포 섬유화를 막음으로 써 신장염을 치료할 수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다. 허혈성 급성신부전증(renal ischemia) 치료 효과
일반적으로 반응성산소기들(유해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신장에서 허혈성 급성신부전, 항생제나 독성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신부전 및 사구체신염 등과 같은 여러 급성 및 만성 신장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정상적인 조건에서 산소를 소모하는 모든 세포는 미토콘드리아에서 대사과정 중에 대사되는 산소의 2~5%를 슈퍼옥사이드(superoxide)나 과산화수소(H2O2)같은 반응성 산소기들로 전환되는데, 세포들은 이들을 분해하는 효소나 물질들을 가지고 있어서 그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세포가 정상적인 보호 기작을 수행하지 못하면, 세포에 남은 반응성산소기들은 지질, 단백질, DNA 등 세포의 여러 구성성분을 공격하게 되는데, 특히 세포의 생체막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반응성산소기들의 공격을 쉽게 받아서 지질의 과산화(lipid peroxidation)가 발생되면서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세포 기능 저해로 인하여 결국 세포는 사망하게 된다.
또한, 반응성산소기들은 세포 내 다량의 염증사이토카인 및 섬유세포 생장인자들을 분비하도록 자극하여 세포섬유화를 통해 신장염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허혈성 급성신부전을 유발한 쥐(renal ischemia/ reperfusion mouse model)에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을 먹인 후, 반응성산소기들의 활성억제 정도 및 신장염 치료효과를 검증하였다.
① 크레아티닌 생성 억제효과
먼저, 신장염 쥐(Balb/c male mice, 8 week old)에 본 발명의 WHW 추출물 10, 50, 100 mg/kg 양을 수술 후 30분 및 1일 간격으로 14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신장염 쥐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다음, 상기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한 후 크레아티닌(creatinine) 수치를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신장염이 유발되면 혈장 내 크레아티닌의 수치가 올라가게 되는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쥐의 경우 혈장 내 크레아티닌 수치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② 신장염에 의한 신장조직변형에 대한 억제 효과
일반적으로, 신장염이 유발되면 세뇨관(tubules)은 위축되고 세포 외 부분인 간질(interstitum)이 확장되어 신장을 차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상기 신장의 비정상적인 변화를 경감시켜 줄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 조직에서의 형태변화는 조직염색법으로, 신장 조직 내 세뇨관의 수축 정도는 Masson trichrom staining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쥐로부터 적출한 신장을 생리식염수로 잘 세척한 후 PLP(2% paraformaldehyde, 75mM L-lysine, 10mM sodium periodate) 용액으로 하룻 동안 고정하였다. 이를 다시 paraffin 액으로 embedding한 후 4㎛ 두께로 절단하여 슬라이드에 붙임으로써 염색을 위한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조직표본은 periodic acid Shift (PAS) 염색 kit (DAKO)를 이용하여 염색함으로써 신장의 형태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신장 조직 내 세뇨관의 수축정도는 신장 수질(outer medular) 부위에 있는 세뇨관 수를 다음과 같은 Masson trichrom staining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손상이 없는 경우는 0 등급, 약한 손상(내피세포의 원형화, 확장된 세뇨 내관; dilated tubular lumen)이 1 등급, 납작해진 내피세포와 확장된 세포 및 세뇨관 등의 중간정도 손상이 2 등급 및 핵이 파괴되고 확장된 세뇨관끼리 접합하며 납작해진 내피세포가 특징인 심한 손상을 3 등급으로 나누는 조직학적 점수(histological score)를 이용하였다.
이의 결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쥐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을 먹이지 않은 쥐에 비해 신장 조직의 형태변형이나 간질부분의 팽창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뇨관 수축이나 손상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도 7 A는 신장 조직의 형태 변화를 염색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7 B는 신장 조직 내 세뇨관의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③ 신장염 쥐의 신장에서의 활성산소효소들의 활성억제 효과
일반적으로, 반응성산소기들의 생성은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신장의 섬유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신장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신장염 쥐의 신장을 ROS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신장세포의 세포질(cytosol)과 미토콘드리아 분획하여 활성산소종 생산에 대중요한 효소인 카탈라제(catalase), CuZnSOD(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 MuSOD(manganase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장염 쥐에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을 먹인 경우(ischemia/reperfusion), 본 발명의 WHW 추출물에 의해 카탈라제(A), CuZnSOD(B) 및 MnSOD(C) 활성이 모두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WHW 추출물은 활성산소생성에 관여하는 활성산소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결과적으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신장세포 섬유화로부터 신장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④ 과산화(hydrogen peroxide) 및 지방산화(lipid peroxidation)에 대한 억제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세포 내 반응성산소기들의 생성이 증가하면 과산화작용이나 지질산화작용에 의한 세포막 구조의 파괴, 수산기(OH-)에 의한 DNA 손상 및 DNA 이중결합구조나 SH를 포함하는 산화반응에 의한 단백질의 변성 등을 통해 신장세포 고사(apoptosis)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염 쥐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후, 활성산소 생성으로 인한 과산화작용이나 지질산화작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쥐로부터 적출된 신장을 sucrose buffer (0.32M sucrose, 10mM Tris-HCl, pH 7.4)를 넣어 균질기(homogenizer)로 마쇄한 후 1,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회수하였다. 상청액을 다시 15,0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cytosolic fraction을 수집한 후 catalase의 활성 및 copper-zinc superoxide dismutase(CuZnSOD)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청액을 회수하고 남은 침전물을 회수하여 얻어진 미토콘드리아 분획을 0.1% Triton X-100이 첨가된 PBS로 부유한 다음 sonicator에서 마쇄하였다. 이를 15,000g에서 다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청액으로부터 CuZnSOD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catalase 및 CuZnSOD의 활성도를 미토콘드리아 및 세포질 분획(cytosolic fraction)에서 240nm 파장으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의 분해(decomposition)에 의한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으며, SOD 활성도는 pyrogallol assay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신장 내 과산화 수소(hydrogen peroxide)의 양은 철 민감 염색약인 자일레놀 오린지(xylenol oran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과산화 수소는 iron (II)와 iron (III)에 의해 소르비톨(sorbitol) 존재 하에 산화되는데 결과는 iron (III)의 자일레놀 오린지와 복합 형태(complex form)로 나타나게 된다.
신장에서의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 정도는 TNARS(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를 이용하여 MDA(malodialdehyde)의 생성양을 스펙트로포토메타 어세이(spectrophotometric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의 결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쥐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 여부에 상관없이 신장세포에서의 과산화작용 및 지질 산화작용 정도에 변화가 없었지만, 신장염 쥐의 경우 지방산화와 과산화작용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열 충격 단백질의 발현 효과
또한, 과산화 수소 손상(hydrogen peroxide injury)나 포도당 부족(glucose deprivation)과 같은 산화적스트레스나, 글루탐산(glutamate)에 의한 세포독성에 은 열 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 HSP-70)의 발현에 의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염 쥐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고 신장 세포에서 발현된 HSP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쥐로부터 적출된 신장을 균질기(homogenizer)로 마쇄한 후 Western blot analysis 방법에 의해 HSP-70의 발현정도를 조사하였다. 즉, 마쇄한 신장조직으로부터 얻어진 단백질을 SDS-PAGE 방법으로 분리한 후 니트로셀룰로스막(nitrocellulose membrance)에 옮기고 상기 막을 anti-HSP-27과 anti-HSP-72 항체 및 alkaline phosphatase-conjugated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염색하였다. 이를 ELC kit로 반응시키고 X-ray film에 감광시킴으로써 신장세포에서의 HSP-70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이의 결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장염이 유발된 쥐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HSP의 발현량이 증가하면서 과산화작용 및 지방산화작용과 같은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장용부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확인된 한약재 추출물 중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용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한약재를 선별하여 장용부 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가. 재료
단삼 150g, 반하 100g, 황련 60g, 오수유 60g, 음양곽 160g, 대황 100g, 저령 80g
나. 추출 과정
상기 준비된 장용부 혼합 한약재에 총 한약재 부피 10배의 물을 넣고, 3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거어즈로 여과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입구온도 120℃, 추출액 유입속도 2㎖/min, 분무공기압(atomizing air pressure) 10kPa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장용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위용부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확인된 한약재 추출물 중 위에서 용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한약재를 선별하여 장용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가. 재료
만삼 150g, 소엽 100g, 감초 50g, 인진 300g, 택사 200g, 백복령 80g, 백출 80g, 계지 40g
나. 추출 과정
상기 준비된 위용부 혼합 한약재에 총 한약재 부피 10배의 물을 넣고, 3시간 동안 10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을 거어즈로 여과하여 수 득한 추출액을 입구온도 120℃, 추출액 유입속도 2㎖/min, 분무공기압(atomizing air pressure) 10kPa의 조건으로 분무 건조하여 본 발명의 장용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이중 핵정 제조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장용부 및 위용부 추출물을 이용하여 장용부 추출물은 십이지장 및 소장에서 위용부 추출물은 위에서 용출되도록 하나의 이중핵정으로 제조하였다.
가. 조성
- 이중핵정(정 당 810mg 중) : 장용부 핵정 210mg, 위용부 핵정 600mg
- 장용부 핵정(정 당 210mg 중) : 장용부 추출물 123.5mg, 미결정셀룰로오스102 30mg,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2.1mg, 옥수수전분 12.4mg, 크로스포비돈 6.2mg, 전젤라틴화전분 15.2mg, 글리세릴베헤네이트 10.3mg, 유드라짓 L100 6.3mg, 트리에틸시트레이트 0.6mg, 탈크 3.1mg
- 위용부 외부정(정 당 600mg 중) : 위용부 추출물 176.0mg, 미결정셀룰로오스102 312.0mg,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5.0mg, 옥수수전분 30.0mg, 크로스포비돈 15.0mg, 전젤라틴화전분 37.0mg, 글리세릴베헤네이트 25.0mg
나. 제조 과정
상기 장용부 핵정 조성 비율로 혼합, 타정(직경 8mm, 경도 4kp) 한 후 5% 장용 피복하였다. 장용 피복된 핵정과 위용 외부정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타정(직경 12.5mm, 경도 8kp)하여 총 중량 810mg의 이중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장용 핵정 제조
가. 조성
장용부 핵정(정 당 210 mg 중) : 장용부 추출물 123.5mg, 미결정셀룰로오스102 30mg,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2.1mg, 옥수수전분 12.4mg, 크로스포비돈 6.2mg, 전젤라틴화전분 15.2mg, 글리세릴베헤네이트 10.3mg, 유드라짓 L100 6.3mg, 트리에틸시트레이트 0.6mg, 탈크 3.1mg
나. 제조 과정
상기 비율로 칭량한 물질을 혼합 한 후 타정 과정(직경 8mm, 경도 8kp)을 거친 다음 유드라짓 L100으로 5% 피복하여 총 중량 210mg의 장용부 핵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위용 외부정 제조
가. 조성
위용 외부정(정 당 600 mg 중) : 위용부 추출물 176.0mg, 미결정셀룰로오스102 312.0mg,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5.0mg, 옥수수전분 30.0mg, 크로스포비돈 15.0mg, 전젤라틴화전분 37.0mg, 글리세릴베헤네이트 25.0mg
나. 제조 과정
상기 비율로 칭량한 물질을 혼합 한 후 타정(직경 11mm, 경도 8kp)하여 총 중량 600mg의 위용 외부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용출 실험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각 정제를 대상으로, 실제 사람이 복용하였을 때 거치게 되는 위액, 십이지장 및 소장과 유사한 pH를 갖는 용액을 이용하여 pH 및 시간에 따른 용출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제 사람의 소화과정과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먼저 pH 1.2의 인공 위액에서 2시간 동안 1차 용출을 하였고, 이어서 pH 6.8의 인공 십이지장액에서 2시간 및 pH 7.4의 인공 소장액에서 6시간 동안 2차 용출을 하였다. 장용부 물질 중 음양곽의 성분인 이카린 및 위용부 물질 중 계지의 성분인 신남산을 용출 확인을 위한 대상물질로 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이카린 분석조건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214 nm)
칼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0 mm, 옥타데실실리카겔
칼럼온도 : 상온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 물 혼합액(35.2 : 64.8)
유량 : 1.0 mL/분
- 신남산 분석조건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280 nm)
칼럼 : 안지름 4.6 mm, 길이 150 mm, 옥타데실실리카겔
칼럼온도 : 실온
이동상 : 아세트산액(1→15),아세토니트릴혼합액(56.4:43.6)
유량 : 1.0 mL/분
이의 결과,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위용 외부정의 경우 pH 1.2의 인공위액에서 위용부 물질 중 하나인 신남산이 90분에 걸쳐 모든 양이 용출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비교예 1의 장용 핵정의 경우 장용부 물질 중 하나인 이카린이 pH 1.2의 인공위액에서 60분을 기점으로 소량이 용출되기 시작하여 pH 6.8의 인공 십이지장액에서 2시간 동안 80% 가량이 용출되었으며 pH 7.4의 인공 소장액에서 5시간 동안 나머지 모든 양이 용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6의 이중핵정은 pH 1.2의 인공위액에서는 90분에 걸쳐 신남산이 용출되었고, 60분을 기점으로 이카린이 용출되기 시작하여 pH 7.4의 인공 소장액에서 5시간이 지날 때까지 용출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을 실제로 사람이 복용하게 되면 위에서 신남산을 비롯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의 성분이 용출되어 위장 운동이 보호 및 강화되고, 십이지장 및 소장을 거치면서 이카린을 비롯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의 성분이 용출되어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을 복용하면 위에서 신남산을 비롯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계지의 성분이 용출되어 위장 운동이 보호 및 강화되고, 십이지장 및 소장을 거치면서 이카린을 비롯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저령의 성분이 용출되어 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신부전 환자에게 복용하게 한 다음 크레아틴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 후, 대식세포주 RAW264.7 세포(A)와 복강 내 대식세포주(B)로부터 활성질소종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 후, 대식세포주 RAW264.7 세포(A, B)와 복강 내 대식세포주(C, D)로부터 TNF-α(A, C)와 IL-1β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MDCK 신장세포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처리에 대한 TNF-β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TNF-β로 자극한 MDCK 신장세포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후, α-SMA(A)와 Smad(B)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혈장 내 크레아티닌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신장염이 유발된 신장 조직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후, 신장 조직의 형태변화(A)와 세뇨관 수축 정도(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장염 쥐의 신장세포에서 활성산소효소들의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장염 쥐의 신장에서 과산화 작용(A)과 지질산화작용(B)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장염 쥐의 신장세포에서 과산화 작용(A)과 지질산화작용(B)에 대하여 열 충격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장용핵정, 위용 외부정 및 이중핵정의 용출 후 90분 또는 9시간 경과함에 따른 이카린 또는 신남산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12는 장용핵정, 위용외부정 및 이중핵정의 용출 후 시간에 따른 이카린 또는 신남산의 용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신부전 예방 및 치료 성분으로 단삼, 반하, 황련, 오수유, 음양곽, 대황 및 저령으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용 핵정과 그 위에 둘러쌓인 채 위장보호 및 강화 성분으로 만삼, 소엽, 감초, 인진, 택사, 백복령, 백출 및 계지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용 외부정이 타정되어 있되, 상기 장용핵정과 위용 외부정 사이에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기제의 장용피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 핵정은, 상기 장용 핵정과 상기 위용 외부정을 합한 것을 100%로 하였을 때, 단삼 6 내지 10 중량%, 반하 4 내지 8 중량%, 황련 3 내지 5 중량%, 오수유 3 내지 5 중량%, 음양곽 8 내지 12 중량%, 대황 4 내지 8 중량% 및 저령 4 내지 6 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용 외부정은, 상기 장용 핵정과 상기 위용 외부정을 합한 것을 100%로 하였을 때, 만삼 6 내지 10 중량%, 소엽 4 내지 8 중량%, 감초 2 내지 4 중량%, 인진 15 내지 20 중량%, 택사 10 내지 14 중량%, 백복령 4 내지 6 중량%, 백출 4 내지 6 중량% 및 계지 2 내지 3 중량%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한약재의 열수 추출액을 동결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KR1020090046931A 2009-05-28 2009-05-28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KR10111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931A KR101112573B1 (ko) 2009-05-28 2009-05-28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931A KR101112573B1 (ko) 2009-05-28 2009-05-28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508A KR20100128508A (ko) 2010-12-08
KR101112573B1 true KR101112573B1 (ko) 2012-02-15

Family

ID=4350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931A KR101112573B1 (ko) 2009-05-28 2009-05-28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2431A (zh) * 2012-02-17 2012-07-11 上海市中医医院 一种治疗造影剂肾病的组合药物
CN102920834A (zh) * 2012-11-23 2013-02-13 深圳市佳泰药业股份有限公司 绿茸益血胶囊及其制备方法
CN104096201A (zh) * 2014-07-17 2014-10-15 谢桂斌 一种治疗体虚体寒的中药组合物
CN117442677B (zh) * 2023-12-21 2024-03-01 四川省中医药科学院 一种用于肾损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111A (ko) * 2002-06-25 2004-01-13 주식회사 서울제약 코팅층을 갖는 제피정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111A (ko) * 2002-06-25 2004-01-13 주식회사 서울제약 코팅층을 갖는 제피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508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054B1 (ko) 단삼, 백출, 저령, 백복령, 반하, 황련 및 대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20084723A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3099959B (zh) 一种治疗溃疡性结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38062A (zh) 一种治疗腹痛、腹泻的中药制剂
TW201221135A (en) Treatment of female diseases, menstrual pain composition of herbal extract concentrated
KR101112573B1 (ko)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이중핵정
CN102106941A (zh) 治疗痔疮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988675B (zh) 一种治疗慢性前列腺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306498B (zh) 一种治疗妇女肾虚寒湿型带下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041262B (zh) 一种治疗慢性前列腺炎的中药灌肠剂及其制备方法
KR100770634B1 (ko)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04208545A (zh) 一种用于外阴瘙痒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215118A (zh) 抗肿瘤的保健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412697A (zh) 一种清热除湿、保肝利胆的佩兰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2727648A (zh)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组合物
CN100431578C (zh) 一种治疗前列腺增生的中药制剂
CN1331509C (zh) 一种治疗便秘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0348241C (zh) 治疗慢性前列腺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656090B (zh) 一种治疗溃疡性结肠炎的灌肠液及其应用
Jiang et al. Therapeutic effects of Chinese herbal medicines for treatment of urolithiasis: A review
CN108324920B (zh) 一种治疗便秘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4825991A (zh) 一种用于酒精中毒性精神障碍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3041263B (zh) 一种治疗慢性前列腺炎的中药直肠给药栓剂及其制备方法
CN105106696A (zh) 一种治疗慢性前列腺炎的中药组合物
CN1814148B (zh) 一种治疗前列腺炎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