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38B1 -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38B1
KR101111238B1 KR1020090075410A KR20090075410A KR101111238B1 KR 101111238 B1 KR101111238 B1 KR 101111238B1 KR 1020090075410 A KR1020090075410 A KR 1020090075410A KR 20090075410 A KR20090075410 A KR 20090075410A KR 101111238 B1 KR101111238 B1 KR 10111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hellfish
bottom portion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771A (ko
Inventor
정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버
Priority to KR102009007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류의 축양을 위한 박스를 일정단위로 정리 및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장치로서, 특히 기계에 의한 인양 및 운반에 편의를 줄 수 있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패류 축양용 박스가 층별 m×n(단, m,n은 0보다 큰 정수)의 행렬로 1층 이상 적재되는 수평면을 제공하도록 선형강재에 의한 사각의 틀 형상을 나타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하나 이상이 상향 돌출되어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 위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단에 고리형상의 인양링크가 마련된 지지부; 상기 바닥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놓이는 복수의 받침단;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pallet apparatus for shellfish preserve box}
본 발명은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pallet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旣) 수확된 패류의 축양(蓄養)을 위한 박스(box)를 일정단위로 정리 및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장치로서, 특히 기계에 의한 인양 및 운반에 편의를 줄 수 있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란 연체동물(mollusca) 가운데 석회질의 패각(貝殼)을 지닌 종류를 총칭하며, 여기에는 단판강(Monoplacophora), 다판강(Polyplacophora), 복족강(Gastropoda)의 전새아강(Prosobranchia)과 후새아강(Opisthobranchia)의 일부, 유폐아강(Pulmonata)의 대부분, 굴족강(Scaphopoda)과 이매패강(Bivalvia)의 대부분, 두족강(Cephalopoda)의 일부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이매패류(二枚貝類, Bivalvia)라 불리는 이매패강은 좌우 한 쌍의 패각을 지닌 종류로서 오래전부터 인류의 주요 식량원으로 이용되었는바, 호두 조개 등의 원새목(Protobranchia), 굴 등의 사새목(Filibranchia), 백합 등의 판새목(Lamellibranchia), 큰국자조개 등의 격새목(Septibranchia)이 대표적이다.
일례로 사새목의 굴과에 속하는 굴(oyster)은 좌우의 패각이 비대칭이며, 플랑크톤을 먹이 삼아 유생기에는 부유생활을 하다가 부화 후 20일 정도가 지나 치패(稚貝)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해서 부착생활을 한다. 참고로, 굴은 인류역사상 아주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온 가운데 최근 들어 그 놀라운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예컨대 '바다의 우유'라 불릴 정도로 맛과 향이 좋고 영양분이 높은 굴은 인체의 에너지원인 글리코겐과 성호르몬의 활성원인 아연(Zn)이 풍부하고 비타민 및 미네랄이 함유량이 높으며 칼슘흡수와 소화흡수가 빨라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에 부응하여 굴을 비롯한 이매패류의 양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인 패류의 양식은 채묘(採苗), 치패양성(稚貝養成), 수확의 과정을 거친다.
편의상 굴을 예로 들면, '채묘'란 종묘를 얻는 과정으로서 자연채묘와 인공채묘가 있다.
자연채묘란 참굴, 가리비, 국자가리비 껍질 등의 부착기질을 적절한 시기 및 장소의 해수에 담가 부착기에 접어든 성숙유생의 부착을 유도하고, 인공채묘는 육상수조에서 온도자극 등의 방법으로 모패(母貝)의 산란을 유도한 후 유생(幼生)을 양성하여 부착기에 접어들면 부착기질에 부착시킨다,
또한, '치패양성'은 인위적 관리가 가능한 자연환경에서 치패를 성장시키는 과정으로서 뗏목식, 로프식, 간이식과 같은 수하식 양성방법, 송지식과 같은 나무가지식 양성방법, 투석식 양성기법 등이 활용된다.
뗏목식은 뗏목인 뜸틀에 치패의 양성을 위한 수하연(垂下延)을 매달아 양성한다. 하지만, 해당 방식은 시설비가 많이 들고 취급이 불편하여 현재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반면, 로프식은 해면에 부자(浮子)를 띄워 로프로 연결한 후 양끝을 닻으로 고정한 다음 로프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성한다. 해당 방식은 상대적으로 양성 수면적이 넓고 성장이 빨라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간이식은 간조선 근처에서부터 수심 수m 까지 두 줄의 말목을 세운 후 종횡으로 엮인 잡목 등에 수하연을 매달고, 송지방식은 소조(浮子)와 대조(大潮)의 간출선 사이로 나뭇가지 등을 세워 양성하며, 투석식은 만조와 간조 사이의 노출바닥면에 돌을 놓아 양성한다.
그리고 '수확'은 상품성을 띤 굴 성패(成貝)를 수집 및 채취하는 과정으로서 손이나 기중기 등으로 수하연을 감아 올려 성패를 훑어 떼어낸다.
한편, 채묘, 치패양성, 수확을 통해 얻어진 성패는 별도의 '축양(蓄養, preserve)' 단계를 거쳐 포장 등의 최종출하 단계에 들어간다.
여기서 '축양'이란 어패류 등의 상품성을 높일 목적으로 수확 후 내만 또는 그물 등에서 일정기간 가둬 키우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굴을 포함한 패류는 물순환이 자유로운 패류 축양용 박스에 담아 해수 또는 해수와 담수가 적절히 혼합된 수중에 수일 동안 담가놓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축양의 완료 후 수중의 패류 축양용 박스를 인양하여 위생관리된 장소로 운반한 다음 성패를 꺼내 등급을 구분하고 포장하는 등의 출하준비를 한다.
이때, 패류 축양용 박스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성패를 담으면 축양을 비롯한 인양 및 운반의 과정 중에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폐사할 위험이 크다. 때문에 일반적인 축양용 박스는 일정규격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는 적정량의 성패가 투입되는데, 이로 인해 대규모 출하시 인양 및 운반되어야 할 패류 축양용 박스의 수량은 크게 늘어난다. 더욱이 패류가 담긴 패류 축양용 박스 각각의 무게 또한 상당하므로 사람이 일일이 작업하기에는 인력 및 비용의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패류 축양용 박스는 비록 규격화되었다 하더라도 인양 및 운반 시(侍) 가해지는 충격 등을 감안할 때 2층 이상 적재하면 자칫 무너질 염려가 크다. 때문에 축양 후 인양 및 운반의 과정 중에 패류 축양용 박스가 무너져 힘들여 양식한 수확물의 상품성이 떨어지거나 못쓰게 되는 경우가 빈번한바, 패류 축양용 박스를 효과적으로 인양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도가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류의 축양을 비롯한 인양 및 운반작업을 수월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패류 축양용 박스를 일정단위로 정리 및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장치로서,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진행은 물론 기계에 의한 인양 및 운반에 편 의를 주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의 패류 축양용 박스가 층별 m×n(단, m,n은 0보다 큰 정수)의 행렬로 1층 이상 적재되는 수평면을 제공하도록 선형강재에 의한 사각의 틀 형상을 나타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하나 이상이 상향 돌출되어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 위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단에 고리형상의 인양링크가 마련된 지지부; 상기 바닥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놓이는 복수의 받침단;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의 상면 또는 저면의 일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가로길이 a(단, a>0), 상면 또는 저면의 이웃한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세로길이 b(단, b>0), 측면의 수직길이를 높이 c(단, c>0)이라 할 때, 상기 바닥부의 면적은 ma×nb 또는 na×mb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m,n은 짝수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무게중심에서 돌출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단은 상기 바닥부의 4개 모서리에서 돌출된 4개의 제 1 가이드단; 및 상기 바닥부의 4개 변에서 돌출된 4개의 제 2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네 가장자리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된 아치형상의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단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는 패류 축양용 박스를 일정단위로 정리 및 적재할 수 있고, 따라서 축양을 위한 인양 및 운반 등의 작업에 편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는 일정 단위의 패류 축양용 박스를 안정적으로 정리 및 및 적재할 수 있으므로 패류 축양용 박스의 무너짐 없이 안정적인 인양 및 운반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는 해저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패류 축양용 박스를 지지하므로 갯벌이나 흙 등에 의한 불필요한 패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장치는 기(旣)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와 함께 수중에 침지되므로 축양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기계에 의한 인양 및 운반작업에 편리함을 준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패류 축양용 박스를 정리 및 적재하여 인양 및 운반 상의 편의를 추구하기 위한 팔레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패류 축양용 박스를 미리 살펴본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패류 축양용 박스(1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며, 전(全) 면적에 걸쳐서 다수의 홀(h)이 관통되어 내외부의 물순환이 자유롭다. 이때,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내부부피는 적당량의 패류를 담기에 충분하고, 홀(h)의 사이즈는 패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상 패류 보다 충분히 작다.
따라서, 패류는 패류 축양용 박스(10)와 함께 수중(水中)으로 침지되어 일정기간 동안 축양되고, 물순환이 자유로운 수중환경에서 맛과 향이 개선되는 등 상품성이 높아진다.
참고로,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적절한 위치에는 운반의 편의를 손잡이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하면에는 안정적인 적재를 위한 돌기와 홈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아도 당업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편의상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상면 또는 저면의 일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가로길이 a(단, a>0), 상면 또는 저면의 이웃한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세로길이 b(단, b>0), 측면의 수직길이를 높이 c(단, c>0)이라 할 때,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사이즈는 가로×세로×높이가 a×b×c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팔레트장치(이하, 간략하게 팔레트장치라 한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한편,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몇 가지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각각을 구분해서 살펴보며, 실시예 별 공통내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는 대신 그 밖의 실시예에서는 차이점을 주로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첨부된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는 패류 축양용 박스(10)가 안착되는 바닥부(32) 및 이로부터 상향 돌출된 지지부(42)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바닥부(32)는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안착을 위한 소정의 수평면(34)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선형강재에 의한 사각의 틀 형상을 나타낸다.
이때, 선형강재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ㄱ자' 또는 'ㄷ자' 형인 앵글, 철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용접이나 볼트/너트 등으로 고정되어 견고한 사각의 틀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바닥부(32)의 상면에는 직사각형의 수평면(34)이 정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평면(34)은 패류 축양용 박스(10)가 m×n(단, m, n>0의 정수)의 행렬로 놓이기 위한 사이즈, 다시 말해 가로×세로 길이가 ma×nb 또는 na×mb를 이루고,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m,n은 짝수로서 수평면(34)의 실질적인 무게중심이 정 중앙에 위치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 수평면(34)의 일 가장자리 가로길이 d(단, d>0), 이와 이웃한 다른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세로길이 e(단, e>0)라 할 때, 수평면(34)의 면적 d×e이고, 이는 ma×nb 또는 na×mb이다.
그리고 바닥부(32)의 저면에는 받침 역할을 위한 받침단(36)이 적절한 수의 돌기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안착되고, 바닥부(32)의 상면 으로부터는 모서리를 포함한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하나 이상의 가이드단(38)이 상향 돌출되어 해당 위치에 놓인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외면을 가이드한다.
참고로, 도면에서와 같이 바닥부(32)에 패류 축양용 박스(10)가 2×2 행렬로 안착되는 것을 전제로, 가이드단(38)은 바닥부(32)의 상면 4개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향 돌출되어 해당 위치에 놓인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최 외곽 모서리를 일대일 대응되게 감싸는 4개의 절곡판 형태인 제 1 가이드단(38a) 및 바닥부(32)의 상면 4개 변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해당 위치에 놓인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2개 외면을 함께 덮는 4개의 평판 형태인 제 2 가이드단(38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도면 및 설명에 따른 가이드단(38)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m×n 행렬을 이루도록 바닥부(32)에 안착된 패류 축양용 박스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한 세부적인 구성, 위치, 수량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가 축양을 위해 해저에 놓이거나 인양 후 지면에 놓인 모든 경우에 있어서 바닥부(32)에 안착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는 받침단(36)에 의해 해저 또는 지면으로부터 충분한 간격을 유지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갯벌 또는 흙 등의 유입으로 인한 패류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팔레트장치(30)의 침지, 인양, 운반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바닥부(32)에 안착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는 가이드단(38)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무너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닥부(32)에서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42)가 상향 돌출되어 패류 축양용 박스(10) 위로 노출되고, 패류 축양용 박스(10) 위로 노출된 지지부(42) 상단에는 고리형상의 인양링크(44)가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의 지지부(42)는 바닥부(32)의 무게중심인 정중앙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기둥 형상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높이 f(단, f>0)는 바닥부(32)에 두 개 층 이상의 패류 축양용 박스(10)가 적재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가급적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지지부(42)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 인양 또는 운반의 과정 중에 오히려 바닥부(32)의 흔들림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지지부(42)의 상단은 바닥부(32)에서부터 3c 내지 4c 내에 있는 것이 적절하고, 결국 도면에서와 같이 매 층별 2×2의 행렬로 패류 축양용 박스(10)가 적재되는 것을 전제로,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적절한 적재층수는 3층 이하라는 결론이 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므로 필요하다면 더 높은 층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지지부(42)의 상단에는 고리형상의 인양링크(44)가 마련되고, 이로써 기계에 의한 인양 및 운반 시 인양로프의 결박 등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를 이용한 축양의 과정을 간략히 살펴본다.
먼저, 기(旣) 수확된 패류의 성패를 패류 축양용 박스(10)에 담는다.
이때, 해당 작업은 불필요한 운반과정을 생략하기 위해서 가급적이면 축양지 근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패류 축양용 박스(10)에 지나치게 많은 수의 성패를 담으면 자칫 패사 또는 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수를 담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를 축양지 근처의 지면에 놓은 후 바닥부(32) 위로 패류가 담긴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적재한다.
이때, 앞서 살펴본 내용을 전제로 할 때 패류 축양용 박스(10)는 층별 2×2의 행렬을 이루도록 3층 이하로 적재하는 것이 적절하지만, 필요하다면 더 많은 수량을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팔레트장치(30)의 사이즈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리고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적재과정 중에 바닥부(32)는 받침단(36)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므로 흙 등이 패류 축양용 박스(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크레인 등의 기계로부터 인출된 인양로프를 지지부(42)의 인양링크(44)에 걸어 결속하고, 인양로프를 끌어올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 및 여기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공중으로 인양한다. 이어서 축양지 내 적당한 축양지점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 및 여기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함께 침지시킨다.
이 과정 중에 바닥부(32)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는 가이드단(3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무너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인양 및 침지될 수 있고, 침지 후 바닥부(32)는 받침단(36)에 의해 해저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므로 갯벌 등이 패류 축양용 박(10)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양로프를 푼 후 축양기간 동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 및 여기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함께 수중에 둔다.
그리고 패류의 축양이 완료되면 지지부(42)의 인양링크(44)에 인양로프를 결 속한 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 및 여기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공중으로 인양하여 지면에 내려놓는다.
이때, 바닥부(32)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는 가이드단(3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무너지는 현상 없이 안전하게 인양 및 착지될 수 있고, 착지 후 바닥부(32)는 받침단(36)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므로 흙 등이 패류 축양용 박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를 이용한 축양이 완료되고, 마지막으로 패류 축양용 박스(10)를 위생처리된 공간으로 운반한 후 등급분류 및 포장 등의 출하준비를 한다.
제 2 실시예
첨부된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는 사시도, 도 5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앞서 살펴본 내용과 동일역할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는 대신 차이점을 주로 살펴본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 역시 매 층별 m×n(단, m,n은 0보다 큰 짝수)의 행렬을 이루며 1층 이상의 패류 축양용 박스가 적재되는 수평면(34)을 제공하도록 선형강재에 의한 사각의 틀 형상을 나타내는 바닥부(32), 바닥부(32)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놓이는 복수의 받침단(36), 바닥부(32)에서 하나 이상이 상향 돌출되어 패류 축양용 박스(10) 위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단에 고리형상의 인양링크(44)가 마련된 지지부(4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는 바닥부(32)의 4개 가장자리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로부터 받침단(36)이 하향 돌출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는 바닥부(32)와 받침부(36)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컨대 철근 등의 선형강재를 가로세로로 교차 고정시켜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부(32)를 구현한 후 이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를 하향 절곡시켜 받침단(36)을 일체로 구현한 경우에 해당된다. 이때, 선형강재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ㄱ자' 또는 'ㄷ자' 형인 앵글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비교적 절곡이 쉬운 철근이 적절하며, 선형강재 각각은 앞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접이나 볼트/너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같은 받침단(36)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여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당업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는 바닥부(32)의 4개 가장자리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에서 한 쌍의 지지부(42)가 상향 돌출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지지부(42)는 바닥부(32)의 해당 가장자리 양 말단, 다시 말해 해당 가장자리의 두 모서리를 연결하는 아치 형상으로서 실질적인 길이의 중간에 해당되는 최정점 부분에 인양링크(44)가 마련된다.
이로써 한 쌍의 지지부(42)는 제 1 실시예의 가이드단(도 2 및 도 3의 38 참조, 이하 동일하다.) 역할을 겸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는 지지부(42)와 가이드 단(38)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컨대 철근 등의 선형강재로 이루어진 아치 형상의 지지부(42)를 바닥부(32)의 4개 가장자리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에 고정하되, 각각의 지지부(42) 양 말단이 바닥부(32)의 해당 가장자리 양 말단에 연결되도록 하면 결국 바닥부(32)에 적재된 패류 축양용 박스(10)의 무너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단(38)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의 지지부(42)를 대신해서 제 2 실시예의 그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에 제 1 실시예의 가이드단(38)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의 지지부(42)가 실질적으로 제 1 가이드단(38a)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제 2 가이드단(38b) 만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당업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30)는 인양링크(44)가 2개인 것이 상이하지만, 인양로프를 적절히 결속하면 앞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지만 이들 모든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패류 축양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류 축양용 박스 30 : 팔레트장치
32 : 바닥부 34 : 수평면
36 : 받침단 38 : 가이드단
42 : 지지부 44 : 인양링크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의 패류 축양용 박스가 층별 m×n(단, m,n은 0보다 큰 정수)의 행렬로 1층 이상 적재되는 수평면을 제공하도록 선형강재에 의한 사각의 틀 형상을 나타내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서 하나 이상이 상향 돌출되어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 위로 노출되고, 노출된 상단에 고리형상의 인양링크가 마련된 지지부;
    상기 바닥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바닥에 놓이는 복수의 받침단;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류 축양용 박스의 상면 또는 저면의 일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가로길이 a(단, a>0), 상면 또는 저면의 이웃한 가장자리 수평길이를 세로길이 b(단, b>0), 측면의 수직길이를 높이 c(단, c>0)이라 할 때, 상기 바닥부의 면적은 ma×nb 또는 na×mb인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3.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m,n은 짝수이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무게중심에서 돌출된 하나인 패류 축앙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단은,
    상기 바닥부의 4개 모서리에서 돌출된 4개의 제 1 가이드단; 및
    상기 바닥부의 4개 변에서 돌출된 4개의 제 2 가이드단을 포함하는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5.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의 네 가장자리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에서 상향 돌출된 아치형상의 한 쌍인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단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KR1020090075410A 2009-08-14 2009-08-14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KR10111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10A KR101111238B1 (ko) 2009-08-14 2009-08-14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10A KR101111238B1 (ko) 2009-08-14 2009-08-14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71A KR20110017771A (ko) 2011-02-22
KR101111238B1 true KR101111238B1 (ko) 2012-02-29

Family

ID=4377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10A KR101111238B1 (ko) 2009-08-14 2009-08-14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616U (ko) * 1988-05-19 1989-12-01
JPH1056912A (ja) 1996-08-21 1998-03-03 Shoichi Oshima 活魚イケス
US20020178973A1 (en) 2001-06-01 2002-12-05 Tan Hong Sin Pallet for shrinkwrapped packaging of block rubber
US20060198722A1 (en) 1998-06-08 2006-09-07 Coblentz W S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stacks of cartons of frozen animal products onto vessels using a carr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616U (ko) * 1988-05-19 1989-12-01
JPH1056912A (ja) 1996-08-21 1998-03-03 Shoichi Oshima 活魚イケス
US20060198722A1 (en) 1998-06-08 2006-09-07 Coblentz W S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stacks of cartons of frozen animal products onto vessels using a carrier
US20020178973A1 (en) 2001-06-01 2002-12-05 Tan Hong Sin Pallet for shrinkwrapped packaging of block rub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71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4431T3 (es) Sistema para el cultivo y almacenamiento de organismos benticos en un entorno acuatico.
JP6742614B2 (ja) 水産物養殖用トレー及びそれを積層した水産物養殖用トレー積層体
KR101419114B1 (ko) 가두리방식의 해삼양식장치
BR112017020109B1 (pt) Instalação para criação de inseto
CN102100203B (zh) 一种海参保活和运输的方法
US4554759A (en) Method and means for harvesting crayfish
KR100942767B1 (ko) 개체굴 양식용 수평망식 구조물
CA2553191A1 (en) A device for raising, transportation and releasing crustacea juveniles and use of the device
EP3909423A1 (en) Transportable container for the breeding of invertebrates with three-dimensional prismatic interior of gyroid structure
JP4849840B2 (ja) 多目的漁礁ブロック
Reid Handling of cut flowers for export
JP3157283U (ja) 魚介藻類育成用収容体
KR101111238B1 (ko) 패류 축양용 박스의 팔레트장치
Belema et al. Handling and packaging of ornamental fishes for successful transportation
KR101043046B1 (ko) 부착성 패류의 채묘용 박스장치
KR100902783B1 (ko) 어류 수정란 부화기
JP7416414B2 (ja) フジツボの養殖基板及びフジツボの養殖方法
US2611337A (en) Fish egg hatching device
EP3632204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hatching eggs on farm breeding
Barrento et al. Best Practice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Live Mussels
Peer Mohamed et al. Transportation of live finfishes and shellfishes
Ibrahim et al. Oyster Mussels (Crassostrea gigas) Transport System (Case Study in Kamashima Company) in Hyogo, Japan
CN101700005B (zh) 一种海蜇螅状体的运输方法
Le Anh et al. 2.4 Lobster seed fishing, handling and transport in Vietnam
TW469115B (en) Device for cultivating predatory m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