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523B1 - 벽면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523B1
KR101110523B1 KR1020090012404A KR20090012404A KR101110523B1 KR 101110523 B1 KR101110523 B1 KR 101110523B1 KR 1020090012404 A KR1020090012404 A KR 1020090012404A KR 20090012404 A KR20090012404 A KR 20090012404A KR 101110523 B1 KR101110523 B1 KR 101110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rtical wall
greening
vegetation
vegetation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284A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102009001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5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수직 벽면을 식물로 피복하여 녹화하는 시스템으로, 수직 벽면 상에 상하 이격되어 서로 평행되도록 각기 수평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수직 벽면에 고정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용 형강과, 상하로 구비되는 고정용 형강 사이 마다에 다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이어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수직 벽면을 피복하며 연이어지도록 펼쳐진 하나 이상의 식생 매트를 전?후면 양측에서 단위 격자형 금속망으로 밀착하고 양측의 단위 격자형 금속망을 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연결 클립으로 연결하여 선조립된 상태로 끼워져 장착되며 식생 매트의 전면 상에는 사방으로 반복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식혈이 일체로 형성되어 식혈에 녹화용 식물이 꽂아져 식재되는 단위 녹화 블록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떠한 식물 품종도 식재하여 녹화 가능하므로, 다양함을 연출할 수 있고, 식물 식재 및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줄이고 시공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12404
벽면, 녹화, 시공, 식생 매트, 야생화

Description

벽면 녹화 시스템{WALL GREENING SYSTEM}
본 발명은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식물종으로 벽면을 반영구적으로 녹화할 수 있고, 그 벽면에의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시공 즉시 녹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겨울철에도 상록성을 유지 가능하여 4계절 내내 녹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식생 매트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국민 소득(GNI)이 2만불을 넘어서면서 소비자들은 단순한 주거 용도에서 나아가 인테리어성도 좋고 자연 친화적인 집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이렇듯 국민 정서가 고급화됨에 따라 차가운 콘크리트나 철재 건물들로 이루어진 도심 속에서 자연을 꿈꾸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는 극히 한정된 유효공간 속에서 뒤돌아 볼 틈도 없이 산업화의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 결과로서, 차가운 느낌을 연출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공 구조물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면서 한정된 공간에서의 녹지 확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996년 이후 본격적으로 옥상 녹화와 벽면 녹화와 같은 특수 녹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고층의 콘크리트 빌딩 숲,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는 지표에 도달하는 복사열을 스폰지처럼 흡수하며 대기 순환을 억제하고 지구 복사열의 방출을 억제하여 열섬 현상을 유발한다. 지난 100년간 지구 온도는 0.7℃ 상승하였으며, 도심 속의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은 이 시대 최고의 발열 기기이다.
이 방열 기기에 벽면 녹화와 옥상 녹화를 실시하는 경우, 겨울철 난방비가 연간 16.6% 절감되고, 여름철에는 30℃ 기준으로 주변보다 7℃의 기온이 낮아지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100㎡의 면적을 녹화하면,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황산물, 납, 미세 먼지 등의 대기 오염물질이 2㎏ 저감되고, 외부 소음도 20dB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지구 환경의 복원과 녹화는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인류 생존의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는 근래 몇 년 사이 청계천 복원, 서울숲 조성, 난지도 공원 조성 등을 경험하였고, 그 외에도 각 지차제 별로 생태공원 등 녹지 공간 확보에 애를 쓰고 있으나, 아직도 녹지 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시민들이 좀더 가까이서 푸르름과 쾌적한 환경, 휴식을 느끼면서 즐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특수 녹화의 필요성이 더욱더 절실하다.
관련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상업용지, 공업용지, 주거용지에 따라 건축물의 총 연면적의 10% 또는 5% 이상을 녹지 공간으로 조성해야 하는 규정이 있으며, 관련 정부 기관은 벽면 녹화, 옥상 녹화 등을 이용하여 도심 속 녹지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 여러 규정을 고시하고 있다.
그 예로, 지표면에서 2미터 이상의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벽면을 식물로 피복할 경우, 피복 면적의 1/2에 해당하는 면적을 녹지 공간으로 인정해주는 조경 기준이 있다. 이것은 건축물이 세워질 때 수직 벽면이나 사면 등의 면적을 녹지로 조성하는 것에 의해 실제 사용되는 실사용 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각 지자체에서는 특수 녹화의 시공 시 정책 자금 50%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해당 규정은 점점 더 확대되고 구체화되고 있다.
그러나, 벽면, 옥상, 콘크리트 구조물 등과 같이 식물이 식생하기에 부적합한 장소에 녹화하는 작업이 쉽지는 않으며, 그와 관련된 선행 기술들이 이미 이전부터 존재하였다.
그 예로서, 벽면용 플라스틱 컨테이너를 만들어 벽면에 부착하는 기술, 와이어 줄을 이용하여 덩굴성 식물로 지피하는 기술, 벽면과 경사면을 목재로 제작하여 덩굴성 식물로 피복하는 기술, 꽃탑, 가로수 화분과 같이 별도 구조물을 이용하여 녹화하는 기술, 인공 토양을 천연 섬유인 코이어(coir)로 포장하여 벽면에 부착하는 기술 등이 있으며, 지금도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들은 수년 동안 침체에 머물고 있을 뿐, 더 이상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와이어 줄을 이어 덩굴성 식물을 피복하는 녹화 방법은 기본적으로 식물종이 덩굴성 식물에 한정되므로 다양한 연출을 구현할 수 없고, 그 녹화 피복에 너무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덩굴성 식물의 특성상 일년 중 녹화 기간보다 와이어 줄이 그대로 노출되어 흉물스럽게 느껴지는 기간이 길어 일시적인 효과만을 제공할 수 있 다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다.
또한, 꽃탑, 가로수 화분과 같이 별도 구조물을 이용하는 녹화 방법은 단순히 도시 미관을 꾸미기 위한 것으로, 이것 역시 제한적이면서 일시적인 경관 연출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래도, 선행 기술 중에서 식생 기반체의 일종인 식생 매트(plant mat, 즉 식생 블록(plant block))를 이용하여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이 가장 발전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관련하여, 대부분의 식물은 수직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다. 산에 가보면 절벽에서 자라는 나무와 꽃을 볼 수 있으며, 경사가 심한 법면에서도 식물이 잘 자라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바람과 비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쓰러졌던 식물들이 다시 위를 보며 잘 자라고 꽃을 피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식물들은 그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다만, 지금까지는 벽에 적용할 수 있는 식생 기반체가 없었기 때문에 보통 인공적인 벽에서는 식물이 살 수 없다고 인식되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런 사고가 변화될 것이다.
식생 매트는 식물이 발아, 발근 및 생육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인공 토양으로 만든 매트인데, 통상적으로 인공 토양을 사각체로 압축 성형하여 제작된다. 인공 토양은 옥상 등과 같은 인공적 지반의 녹화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당해 인공 토양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식생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생 매트는 인공 지반을 인공 토양을 이용하여 녹화 시에 단열, 방수 및 배수 처리 후에 인공 토양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공 비용의 절감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산을 절개하는 도로 공사에서 생기는 경사지나 하천 공사 후의 경사면 등에서 토사 유출을 막기 위한 식생 기반을 간편한 시공으로 빠른 시간 내에 형성하는데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식생 매트에 대해 고려하여야 할 주요 사항은 우선 최소한의 형태를 유지하여 다루기 쉬워야 하며, 식물 생장에 적합한 통기성, 흡수성, 배수성 및 양분 흡착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시공 시의 편의를 위해 중량이 가벼워야 하며, 재시공을 방지하기 위해 수명이 길어야 한다.
인공 토양은 크게 육묘에 필요한 인공 토양인 상토와 성장에 필요한 인공 토양인 배양토로 나누어지는데, 식생 매트에는 주로 상토가 이용된다. 인공 토양으로 사용되는 상토는 여러 회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데 각 회사에 따라 조성 비율에 차이가 있으나 통상 주성분으로 퍼라이트(perlite)를 함유하며, 그 외에 코코피트(cocopeat, coir), 피트모스(peat moss), 질석(vermiculite), 제오라이트, 퍼라이트(perlite), 수용성 비료, 항균 물질 및 습윤제 등을 포함한다. 식생 매트의 기본 원료인 상토가 가져야 할 특성으로는 ① 적당한 보수력과 보비력, ② 뿌리 호흡을 위한 통기성, ③ 무균, 무충 및 종자를 포함하지 않음, ④ 약산성~중성의 산도 유지, ⑤ 균일한 물리 화학성, ⑥ 적당하고 균일한 입자 크기, ⑦ 취급 용이성 및 ⑧ 블록 형성성(뿌리 엉킴성) 등이 있다.
종래의 식생 매트의 제조는 인공 토양에 화학성 접착제를 첨가한 후 압축 성형하는 방식, 코코넛 천연 섬유인 코이어로 인공 토양을 감싸 포장하는 방식 등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인공 토양에 화학성 접착제를 첨가한 후 압축 성형하는 방식을 살펴 보면, 화학성 접착제로 요소 수지를 많이 이용하는데 해당 접착제에는 페놀과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이들 성분이 식물 생장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인공 토양을 고형화시키기 위해 성형 시에 높은 압력을 가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토양 내의 공극을 없애 식물 생장을 방해한다. 공극은 토양의 물리적 성질 가운데 하나로 토양 입자 사이의 틈을 말하는데 입자의 크기가 크고 고를수록 입자 사이에 틈이 많아 공극이 커지며, 좋은 흙이란 물의 흡수와 공기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결국 공극이 적어지면 식물 생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한편, 코코스 야자의 과실에서 채취한 천연 섬유인 코이어 네트로 인공 토양의 외측을 감싸고 압착 성형하는 방식은 인공 토양 자체에는 접착력이 없기 때문에 식생 매트를 성형하기 위해 상당한 압력을 가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인공 토양 내의 공극을 감소시켜 식물 생장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 인공 토양의 이탈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천연 섬유 네트는 천연 섬유의 한계로 인해 태양광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와 같은 외부 환경에 노출 시 수명이 매우 짧아 시공 후 오래 지나지 않아 내부의 인공 토양이 이탈되면서 식물의 불균형적인 성장을 유도하여 주변 경관을 해치고 천연 섬유의 부식으로 침하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재시공의 번거로움을 야기할 수 있다. 즉, 설치 후 1년 이상 경과되면 식생 매트 자체가 썩어 반으로 줄어들고 흘러내려 원래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녹화 기반체를 사용하고도 기본 토양에 담쟁이, 인동과 같은 덩굴 식물을 식재해야 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궁극적으로 옥상 혹은 벽면 녹화의 좋은 취지를 무색하게 할 정도로 식물 생육이 불량하여 좋은 효과를 거두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식생 매트의 외측을 네트로 감싸는 것은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결국 제조 원가의 상승을 유발하고, 외측 네트로 사용되는 코이어의 기름 유분막 때문에 식물의 수분 및 영양분 흡수가 저해되는 단점도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0963호에서는 이면측 천연 섬유 네트와 그 표면층에 적층되는 인공토층과 인공토층에 뿌려져 압착되는 세덤류 영양체와 인공 토층의 표면측에 복착되는 표면측 천연 섬유 네트로 되는 세덤류 식생 매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식재되는 식물종이 덩굴성, 세덤류로 국한되는 기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0564호에서는 격자망 구조를 구비하는 강성 그리드를 갖고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발아발근촉진제 및 나머지 물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접착제로 결합되는 식생 매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접착제가 친환경이라 하더라도 접착제 성분이 식생 매트 내의 공극 형성을 저해할 수 있고, 식생 매트 이외에 강성 그리드 같은 별개 구조를 갖는 것은 제조 단가의 상승 원인이 된다.
한편, 식생 매트에 대해 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으로는 종자를 혼합하거나 표면에 도포하는 방식과 묘종의 경우 식생 매트를 절개 후 내용물을 파내 식재 구멍을 만들어 심는 방식이 있다.
이 중, 식생 매트에 종자를 혼합하거나 도포하는 방식은 종자가 발아, 발근 하고 적절하게 성장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녹화 피복에 너무 오랜 기간이 필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생 매트의 여러 부분에 식재 구멍을 뚫고 식재하는 방식은 해당 식생 매트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식재 구멍으로부터 내용물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덩굴성 식물에서 나아가 각종 초화류, 숙근초, 관목까지 다양한 식물 품종들을 원활히 식재하여 육성할 수 있고, 식물 생장에 적합할 수 있으며, 그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매우 길 수 있는 양질의 식생 기반체가 필요되고 있다.
아울러, 양질의 식생 매트가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건물 벽면과 같은 수직 벽면에 대한 그 부착 시공이 난이하면 안 되는데, 그 부착 시공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이렇다할 기술이 전혀 없는 실정이므로, 그에 대한 기술 개발도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상황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용되는 식생 매트가 용이하게 성형 가능하고, 적절한 공극 함유로 식물 생장에 적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식물 품종을 생육 가능하여 우수한 연출 다양성과 현장 적용성을 제공할 수 있고,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재시공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 매트에의 식물 식재가 매우 용이할 수 있고, 식생 매트 상에서 식물 성장이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벽면에의 시공이 가능하여 녹화 피복에 소요되는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상록성을 유지 가능하여 겨울철에 흉물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수직 벽면에 타일을 연이어 붙이는 식으로 간단히 시공 가능하므로 시공 비용과 공사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용하다가 간단히 식생 매트를 교체하여 경관 변화를 연출할 수도 있는 벽면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면 녹화 시스템은, 건축물의 수직 벽면을 식물로 피복하여 녹화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수직 벽면 상에 상하 이격되어 서로 평행되도록 각기 수평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앵커 볼트를 이용하 여 상기 수직 벽면에 고정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용 형강; 및 상하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용 형강 사이 마다에 다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이어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직 벽면을 피복하며 연이어지도록 펼쳐진 하나 이상의 식생 매트를 전?후면 양측에서 단위 격자형 금속망으로 밀착하고 양측의 상기 단위 격자형 금속망을 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연결 클립으로 연결하여 선조립된 상태로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식생 매트의 전면 상에는 사방으로 반복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식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식혈에 녹화용 식물이 꽂아져 식재되는 단위 녹화 블록체;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용 형강의 하면과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면 사이에 개입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길이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미세 토출공을 통해 상기 식생 매트로 수분을 점적 형태로 하향되게 투하하는 관수 라인;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 매트는, 인공 토양 100 중량부에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4~30 중량부가 혼합되어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녹도록 저온 열처리되면서 사각 블록 형태로 압축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 매트는, 5~10 용적비의 벤토나이트, 0.1~10 용적비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잔여량의 인공 토양으로 혼합되어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녹도록 저온 열처리되면서 사각 블록 형태로 압축 성형되어 전면 상에 다수개의 상기 식혈을 갖도록 제조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용 형강은, 상기 수직 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앵커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부분인 후방측 수직부;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수평부; 및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전면을 막아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방측 수직부; 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단부와 상기 고정용 형강을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여 결합하며 "L" 형태로 수직부가 상부측의 상기 고정용 형강의 상기 전방측 수직부에 고정되고 수평부가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 클립;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앵커 볼트가 상기 수직 벽면에 직접 체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수직 벽면 앞에 격자 형태 구조로 지중에 박혀 수직되게 입설되거나 상기 건물에 매달려 수직되게 구비되어 그에 대해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가 밀착되고 상기 앵커 볼트가 체결되는 가벽 프레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녹화용 식물은, 겨울 상록성을 갖는 상록 잔디 패랭이, 맥문동, 줄사철, 바위솔, 금계국, 꽃잔디, 눈구슬갓냉이, 니포피아, 달개비, 돌꽃잔디, 돌장미, 마삭줄, 백두산애기세덤, 블루솔세덤, 블루애기세덤, 백리향, 비단너도부추, 빈카, 사사, 사포나리아, 상록달맞이, 상록애기기린초, 상록인동, 붉은 인동, 펜스테몬 상록홍엽, 서양매발톱, 섬기린초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식물 품종도 식재하여 녹화 가능하므로, 다양함을 연출할 수 있고, 식물 식재 및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줄이고 시공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 매트에 미리 식물을 성장시킨 상태에서 벽면에 부착 가능하므로, 시공 즉시 녹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 시점에서 간단히 식생 매트를 교체하여 경관 변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겨울 상록성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하므로, 식물의 잎이 모두 제거되는 겨울철에도 흉물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자동 관수 및 양분 공급도 가능하여 관리 비용을 줄이고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종국적인 효과로서 용이하면서 효과적인 벽면 녹화를 통해, 환경 미화, 심리적 안정 및 정신적 건강 제고, 냉?난방비 절감, 소음 공해 감소, 대기 정화 및 열섬 현상 예방을 제공하여 인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식생 매트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식생 매트의 제조를 위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은 그 식생 매트 내에 형성되는 스펀지형 그물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그 실제 제조된 식생 매트 내에서의 왕성한 식물 생장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100)은 식생 매트(즉, 식생 블록)(132)를 이용한다.
식생 매트(132)는 사각 블록 형태의 것으로, 그 넓은 일 측면 상에는 사방으로 일정 간격씩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식혈(132a)이 일체로 형성되며, 해당 식혈(132a)은 함몰되는 작은 구멍 형태의 것으로 그에 대해 각기 녹화용 식물(140)이 꽂아져 식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생 매트(132)는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인공 토양 입자들(24) 간에 직접적으로 결합력을 부여하며, 구체적으로 합성 섬유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를 이용한다. 익히 주지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중량이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특성이 있다. 상세하게, 녹는점이 다소 낮은 70~150℃ 정도여서 낮은 온도에서도 접착제의 이용없이 서로 녹아 붙을 수 있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2)가 코팅된 2~20㎜ 길이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를 인공 토양에 적정 비율로 섞어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70~250℃로 가열하는 열처리를 통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2)를 녹여 잔류되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 및 인공 토양 입자(24)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스펀지형의 그물 구조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충분하고도 강한 결합력을 부여하여 별도 네트와 같은 부가적인 구조 없이도 형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제조된다.
그에 따르면, 낮은 압력을 통한 성형이 가능하여 내부에 충분한 공극 형성으로 수분, 유기물 및 양분을 원활히 함유할 수 있어 식물 생장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고, 내부의 그물 구조로 인해 식물(140)이 자라면서 뿌리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가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간단히 성형 형틀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얼마든지 원하는 형태로의 제조가 가능하고, 식물(140)을 간단히 꽂아 식재 가능하도록 하는 식혈(132a)을 압축 성형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며,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찢어지거나 변형되어도 인공 토양의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강도 및 내후성으로 인해 수직으로 위치되더라도 그 형태가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 수명이 전천후(全天候)로 반영구적일 수 있고, 중량도 가벼워 우수한 시공 작업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식생 매트(132)의 제조에 이용되는 인공 토양으로는 종래와 같이 상토를 이용하며, 해당 상토는 각 회사에 따라 조성 비율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통상 주성분으로 토지 개량제인 퍼라이트를 함유하고, 그 외에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제오라이트, 수용성 비료, 항균 물질 및 습윤제 등을 함유한다. 따라서, 인공 토양은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것 중에서 적정한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인공 토양 100 중량부에 대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2)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 4~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생 매트(132)를 제조한다. 만약,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가 4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식생 매트(132)에 충분한 결합력을 줄 수 없고, 반면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가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 리에스테르 단섬유(20)가 서로 엉킬 수 있고 결합력이 너무 강하며 인공 토양의 비율이 너무 낮아져 식물 생장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식생 매트(132)의 제조는 인공 토양과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2)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혼합된 조성물을 성형 형틀에 적재한 후, 적재된 조성물을 70℃~250℃ 내의 적정 온도로 가열하면서 압축 성형하고, 성형된 성형품을 건조하는 과정으로 실시된다. 이때, 식생 매트(132)의 일 측면 상에 다수개의 식혈(132a)을 형성하기 위해 상하 한쌍의 성형 형틀 중에서 어느 일측의 성형 형틀 상에 가압 돌기들이 형성된다.
나아가, 식생 매트(132)는 폴리에스테르 합성 섬유를 이용함에 따라 쉽게 건조되어 식물 생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너무 빈번한 관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분 흡수성 및 유지성이 매우 우수한 일정량의 벤토나이트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벤토나이트를 함유 시, 식생 매트(132)의 조성 비율은 0.5~10 용적비의 벤토나이트, 0.1~10 용적비의 섬유성 물질 및 잔여량의 상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벤토나이트의 함유 용적비가 0.5 미만이면, 수분 흡수성이 부족하게 되고, 반면 10 용적비를 초과하면, 오히려 배수성이 나빠져 뿌리 생육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제조된 식생 매트(132)에 식재된 식물(140)의 잔뿌리가 매우 번성하게 잘 자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만큼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매트(132)는 매우 이상적인 식생 조건을 제공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잔뿌리가 번성하면, 식생 매트(132)는 잔뿌리에 의해 점점 더 강한 결속력을 갖게 된다.
이하, 이상과 같은 식생 매트(132)를 이용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그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7은 그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100)은, 건축물의 수직 벽면(10) 상에 상하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서로 평행되도록 각기 수평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수직 벽면(10)에 밀착된 상태로 다수개의 앵커 볼트(즉, 앵커 핀)(1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용 형강(110)과, 상하로 구비되는 고정용 형강(110) 사이 마다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이어지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연이어지도록 펼쳐진 하나 이상의 식생 매트(132)를 전?후면 양측에서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으로 밀착되게 감싸고 양측의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을 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연결 클립(136)으로 연결하여 일체화되도록 선조립된 상태로 끼워져 장착되며 식생 매트(132) 상에 사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혈(132a)에 각기 녹화용 식물(140)이 식재되는 단위 녹화 블록체(130)와,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면과 고정용 형강(110)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길이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미세 토출공(미도시)을 통해 관수용 물을 점적 형태로 투하하여 식생 매트(132)를 젖게 하는 관수 라인(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용 형강(110)은 도 10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
Figure 112009009381565-pat00001
"와 "
Figure 112009009381565-pat00002
"의 두가지 형태의 것일 수 있는데, 그들은 공히 수직 벽면(10)에 밀착되어 앵커 볼트(120)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부분인 후방측 수직부(110a)와,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수평부(110b)와,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전면을 막아 단위 녹화 블록체(13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방측 수직부(110c)를 갖는 형태이다.
단위 녹화 블록체(130)는 하나 이상의 식생 매트(132)와, 하나 이상의 것이 연이어지도록 펼치된 상태의 식생 매트(132)를 전면과 후면 측에서 각기 밀착하여 지지하는 전?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과, 전?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을 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
Figure 112009009381565-pat00003
"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연결 클립(136)으로 구성되며, 미리 선조립되어 추후 수직 벽면(10) 상에 부착된 고정용 형강(11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의 상하 방향 길이는 수직 벽면(10) 상에 상하로 부착되는 고정용 형강(110) 사이의 길이에 상응된다. 이와 같이, 2장 이상의 식생 매트(132)를 1장에 해당하는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으로 선조립하면, 그 선조립 작업성이 양호해질 수 있다. 이때, 너무 많은 장 수의 식생 매트(132)를 1장에 해당하는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으로 결합하면, 추후 수직 벽면(10)에 시공된 상태에서 관수 라인(150)으로부터 토출되는 수분이 맨 하부 측의 식생 매트(132)까지 도달하지 않을 수 있어 안 된다.
단위 녹화 블록체(130)는 상하로 구비되는 고정용 형강(110) 사이 마다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이어지도록 반복적으로 끼움 장착되어 수직 벽면(10)의 전면을 전반적으로 피복한다.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은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수직 방향 금속선과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수평 방향 금속선이 서로 교차 연결되어 격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수직 방향 금속선과 수평 방향 금속선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단위 녹화 블록체(130)를 형성하였을 때,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의 수직 방향 금속선과 수평 방향 금속선에 의해 둘러 싸여지는 빈 면적부의 중심에 식생 매트(132) 상의 식혈(132a)이 각기 위치된다.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으로는 저가인 철망을 단순히 이용할 수도 있으나, 녹스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우수한 내구성, 외관 미려성 및 식생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재질의 망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기능은 식생 매트(132)를 감싸 지지하는 것에 의해 식생 매트(132)의 형태가 장기간 유지되고 식생 매트(132)가 물을 먹었을 때 허물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므로, 그 외의 적절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 클립(136)은 "
Figure 112009009381565-pat00004
" 형태를 갖는 금속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장의 식생 매트(132)를 양측의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으로 감싼 후 양측의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을 그 단부를 따라 연결 클립(136)으로 간단히 연결하여 단위 녹화 블록체(130)를 선조립하므로, 그 선조립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다.
관수 라인(150)은 관정, 수도관과 같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내부 이송하면서 그 길이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미세 토출공을 통해 하향되게 토출함으로써 식생 매트(132)에 관수하는 것으로,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면과 각 고정용 형강(11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수원과는 별도의 배관이나 튜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단부와 고정용 형강(110) 사이가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L" 형태를 갖는 고정 클립(138)을 다수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고정 클립(138)은 "L" 형태임에 따라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데 그 수직부는 고정용 형강(110)의 전방측 수직부(110c)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팅 등을 통해 고정되고 그 수평부는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 134-b)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단부와 고정용 형강(11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해당 이격 공간 내에 관수 라인(150)이 위치되어 눌림 없이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그 내부를 통한 관수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면서, 고정 클립(138)에 의해 장착된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단부가 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다 견고한 장착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수직 벽면(10)에 대해 직접 앵커 볼트(120)를 박으면 건축물을 손상시킬 수 있고 식생 매트(132)가 수직 벽면(10)에 밀착되므로 수직 벽면(10)이 관수되는 수분에 항 시 젖어 건물 안전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벽면(10)의 근소 거리 앞에 별도의 가벽 프레임(160)을 세워 해당 가벽 프레임(160)에 대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가벽 프레임(160)은 방부목 또는 H빔 등을 이용하는 격자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중에 박혀 입설되도록 설치되거나 아니면 건물에 대해 적절히 매달려 수직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공 방법에 대해 도 11의 순서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공장 등에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2)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20)와 인공 토양 및 벤토나이트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가열, 압축 성형하는 것에 의해 일정 규격의 식생 매트(132)를 대량 생산하며(S200), 각 식생 매트(132) 상에는 사방으로 다수개의 식혈(132a)이 일체로 형성된다. 참고로, 식생 매트(132)의 규격은 33×33㎝, 39×39㎝, 50×50㎝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1장의 식생 매트(132) 상에는 5×5의 총 25개의 식혈(132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식혈(132a)의 개수 및 그들 간의 이격 거리는 식재되는 녹화용 식물(140)의 종류나 성장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그런 후에, 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b)을 깔아 놓고 그 위에 2장 이상의 식생 매트(132)를 연이어 배치되도록 놓은 후에 그 위에 다시 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을 놓고, 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과 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b)의 단부를 일정 간격마다 연결 클립(136)으로 연결하여 단위 녹 화 블록체(130)를 다수개 만든다(S202)(도 12의 (a) 참조).
이어서, 선조립된 단위 녹화 블록체(130) 내의 식생 매트(132) 전면 상에 형성된 다수개 식혈(132a)에 대해 각기 녹화용 식물(140)을 꽂아 식재하며(S204), 이후 농장 등에서 적절히 관리하여 식재된 녹화용 식물(140)이 활착, 성장되어 전면을 완전하게 피복하거나 꽃을 피우도록 한다(도 12의 (b) 참조). 이때, 식재되는 녹화용 식물(140)은 삽목, 트레이 묘종, 포트 묘종의 형태일 수 있으며, 삽목용 나무나 묘종을 단순히 식생 매트(132) 상의 식혈(132a)에 꽂으면 식재가 간단히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떠한 형태로 육성된 식물이든지 간단히 꽂아 식재할 수 있으므로 식재되는 식물 품종에 한계가 없으며, 식재 작업도 매우 용이하면서 빠르게 실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3의 사진은 트레이 묘종을 트레이로부터 꺼내 식생 매트(132)에 꽂아 식재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건축물의 수직 벽면(10)에 대한 부착 시공 시에는 먼저 준비된 단위 녹화 블록체(130)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여 준비한 다음, 시공 대상의 수직 벽면(10) 상에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상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 만큼씩 상하로 이격하여 서로 평행되게 다수개의 고정용 형강(110)을 앵커 볼트(1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S206). 이때, 앵커 볼트(120)를 통한 건물 균열 또는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혹은 방수 본드 등을 투입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부측 고정용 형강(110) 사이 마다에 미리 준비된 단위 녹화 블록체들(130)을 길이 방향으로 계속 이어지도록 반복적으로 끼워 넣어 수직 벽면(10)의 전면을 피복한다(S208). 이때,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식생 매트(132) 는 어느 정도 가요성이 있으므로 약간 굽혀 끼워 넣고 끼워 넣어진 후 형상이 복원되도록 한다. 물론, 이렇게 끼워 넣어진 단위 녹화 블록체(130)는 고정용 형강(110)의 전방측 수직부(110c)와 수직 벽면(10)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그 이탈이 이후 방지된다. 필요하면, 별도의 클립을 고정하여 더욱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상부측 고정용 형강(110)과 끼워진 단위 녹화 블록체(130)의 사이 마다에 관수 라인(150)을 끼워 넣는다(S210).
이로써, 이미 녹화용 식물(140)이 성장된 상태로 시공되므로, 시공 즉시 녹화 효과를 볼 수 있다.
덧붙여, 이상에서는 단위 녹화 블록체(130)를 선조립한 후에 녹화용 식물(140)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단위 녹화 블록체(130)를 수직 벽면(10)에 부착한 후에 녹화용 식물(140)을 식재할 수도 있고, 식생 매트(132)에 녹화용 식물(140)을 성장시킨 후에 단위 녹화 블록체(130)를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관수 라인(150)은 타이머가 부착된 자동 물공급 장치와 연결되어 일정 주기로 식생 매트(132)에 관수하거나 사용자의 조작 시점에서 관수할 수 있다. 관수 라인(150)은 일부 현장에서는 생략 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물을 뿌려 주거나, 자연 강우 등에 의존해야 한다. 그러나, 식생 매트(132)는 그 두께가 다소 얇아 쉽게 건조될 수 있는 바, 관수 라인(150)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관수 관리에서 나아가 양분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수에 양액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양분 관리까지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혀 관리가 불필요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덧붙여, 가벽 프레임(160)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공 현장에서 먼저 수직 벽면(10) 앞에 가벽 프레임(160)을 설치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공 방법은 전 과정이 매우 쉬운 식재, 쉬운 선조립, 타일처럼 연이어 붙이기만 하면 완성되는 것으로, 매우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100)에 식재되는 녹화용 식물(14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되는 녹화용 식물(140)은 종래와 같이 덩굴성 식물로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식물종도 식재되어 원활히 생육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직 벽면(10)을 다양하게 연출 가능하고, 특히 초화류를 심어 꽃을 피우도록 함으로써 보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즉, 야생화, 숙근 다년생 식물, 관목, 일년생 초화류 등 그 식재 가능한 식물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 번의 시공으로 매년 식물의 아름다움을 두고두고 감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겨울철에도 상록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식물의 잎이 모두 떨어져 제거되는 겨울철에도 단위 격자형 금속망(134-f)과 식생 매트(132) 및 고정용 형강(110)이 그대로 드러나 흉물스럽게 느끼지게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록성 식물인 상록 잔디 패랭이, 맥문동, 줄사철, 바위솔, 금계국, 꽃잔디, 눈구슬갓냉이, 니포피아, 달개비, 돌꽃잔디, 돌장미, 마삭줄, 백두산애기세덤, 블루솔세덤, 블루애기세덤, 백리향, 비단너도부추, 빈카, 사사, 사포나리아, 상록달맞이, 상록애기기린초, 상록인동, 붉은 인동, 펜스테몬 상록홍엽, 서양매발톱, 섬기린초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건축물의 수직 벽면(10)은 그 위치 등에 따라 일조량이 차별화될 수 있으므로, 일조량을 중심으로 설치 장소 여건을 감안하여 적용 가능한 식물군을 3분류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 햇빛이 잘 들어오는 수직 벽면(10)에 적용 가능한 양지용 식물군 : 실은쑥, 은쑥, 구름너도부추, 비단너도부추, 알키밀라, 왜성아스타, 상록 갈사초, 상록청사초, 홍자단, 숙근 코스모스, 지피 숙근 코스모스, 가우라, 하늘용담, 돌장미, 홍띠, 로니세라, 후룩스, 물싸리 카펫, 숙근 사루비아, 조팝, 클로버, 꼬리풀
- 일조량이 많지 않은 수직 벽면(10)에 적용 가능한 음지용 식물군 : 무늬 엔젤리카, 무늬 좀비비추, 리시마키아, 바위취, 빈카
- 일조량에 관계없이 음지, 양지 모두의 수직 벽면(10)에 적용 가능한 음지?양지용 식물군 : 돌단풍, 무늬염주 그리스, 애기아주가, 왕아주가, 대사초, 골드밴드, 스노우라인, 에버골드, 음지황국, 줄사철, 사철, 무늬피막이, 에버그린 아이비, 눈향, 맥문동, 카펫주름잎, 수호초, 달개비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100)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고사리류, 아스파라커스, 헤테라, 심비디움, 난류, 선인장류, 드라세나류, 고무나무류 등의 각종 관엽식물을 식재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100)을 컨테이너 박스에 예시적으로 구현해 본 것으로, 노란 숙근 코스모스, 꼬리풀 블루드롭, 무늬줄사철, 카펫주 름잎, 빨강 가우라 등의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100)은 장착된 식생 매트(132)를 간단히 탈부착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손쉽게 식생 교체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식생 매트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식생 매트의 제조를 위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식생 매트 내에 형성되는 스펀지형 그물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구비되도록 실제 제조된 식생 매트 내에서의 왕성한 식물 생장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두가지 형태의 고정용 형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공 과정 중의 주요 단계 상태들을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공 과정에서 육묘 트레이로부터 녹화용 식물을 뽑아 식생 매트에 식재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녹화 시스템을 컨테이너 박스에 구현한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 벽면 20 :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22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22' :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섬유가 녹아서 형성된 구조
24 : 인공 토양 입자 100 : 벽면 녹화 시스템
110 : 고정용 형강 110a : 후방측 수직부
110b : 지지 수평부 110c : 전방측 수직부
120 : 앵커 볼트 130 : 단위 녹화 블록체
132 : 식생 매트 132a : 식혈
134-f : 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 134-b : 후방측 단위 격자형 금속망
136 : 연결 클립 138 : 고정 클립
140 : 녹화용 식물 150 : 관수 라인
160 : 가벽 프레임

Claims (8)

  1. 건축물의 수직 벽면을 식물로 피복하여 녹화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수직 벽면 상에 상하 이격되어 서로 평행되도록 각기 수평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다수개의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 벽면에 고정 부착되는 다수개의 고정용 형강; 상하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용 형강 사이 마다에 다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이어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직 벽면을 피복하며 연이어지도록 펼쳐진 하나 이상의 식생 매트를 전?후면 양측에서 단위 격자형 금속망으로 밀착하고 양측의 상기 단위 격자형 금속망을 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연결 클립으로 연결하여 선조립된 상태로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식생 매트의 전면 상에는 사방으로 반복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식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식혈에 녹화용 식물이 꽂아져 식재되는 단위 녹화 블록체; 상기 고정용 형강의 하면과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면 사이에 개입되도 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길이 방향에 따른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미세 토출공을 통해 상기 식생 매트로 수분을 점적 형태로 하향되게 투하하는 관수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용 형강은, 상기 수직 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앵커 볼트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부분인 후방측 수직부;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수평부; 및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전면을 막아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방측 수직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벽면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단부와 상기 고정용 형강을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여 결합하며 "L" 형태로 수직부가 상부측의 상기 고정용 형강의 상기 전방측 수직부에 고정되고 수평부가 상기 단위 녹화 블록체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 클립; 을 더 포함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12404A 2009-02-16 2009-02-16 벽면 녹화 시스템 KR101110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04A KR101110523B1 (ko) 2009-02-16 2009-02-16 벽면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04A KR101110523B1 (ko) 2009-02-16 2009-02-16 벽면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84A KR20100093284A (ko) 2010-08-25
KR101110523B1 true KR101110523B1 (ko) 2012-02-06

Family

ID=4275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04A KR101110523B1 (ko) 2009-02-16 2009-02-16 벽면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5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5806A (zh) * 2015-05-06 2015-09-09 苏州翔天装饰设计有限公司 可调节的网状植物墙
KR20150136371A (ko) *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습지식물용 식생매트
KR20160109206A (ko) 2015-03-09 2016-09-21 곽선경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2640446B1 (ko) 2022-11-09 2024-02-29 박공영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451B1 (ko) * 2012-09-25 2014-06-17 벽화수주식회사 건축물의 식생 외장 구조물 및 그 식생 외장 시공방법
CN104686235A (zh) * 2015-02-10 2015-06-10 苏州翔天装饰设计有限公司 一种墙体植物培育架
KR102004827B1 (ko) * 2018-09-03 2019-07-29 주식회사 그린텍 벽면 녹화 구조물
KR102077247B1 (ko) * 2019-04-09 2020-04-07 김제현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US20220330501A1 (en) * 2021-04-19 2022-10-20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KR102497302B1 (ko) 2021-11-08 2023-02-07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재활용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을 활용한 지능형 iot 벽면정원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467A (ja) * 1993-08-25 1995-03-07 Nasu Tooa Kk 建造物壁面等の緑化装置
JP2002315436A (ja) * 2001-04-23 2002-10-29 Dokoo:Kk ユニット式壁面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工法
JP2003319719A (ja) * 2002-05-02 2003-11-11 Ryozo Takano 層建築壁面のメッシュ金網ブロックによる緑化工法。
KR100807285B1 (ko) * 2007-09-14 2008-02-28 박공영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한 식생기반체 및 그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467A (ja) * 1993-08-25 1995-03-07 Nasu Tooa Kk 建造物壁面等の緑化装置
JP2002315436A (ja) * 2001-04-23 2002-10-29 Dokoo:Kk ユニット式壁面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工法
JP2003319719A (ja) * 2002-05-02 2003-11-11 Ryozo Takano 層建築壁面のメッシュ金網ブロックによる緑化工法。
KR100807285B1 (ko) * 2007-09-14 2008-02-28 박공영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한 식생기반체 및 그 생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71A (ko) *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습지식물용 식생매트
KR101598351B1 (ko) 2014-05-27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습지식물용 식생매트
KR20160109206A (ko) 2015-03-09 2016-09-21 곽선경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CN104885806A (zh) * 2015-05-06 2015-09-09 苏州翔天装饰设计有限公司 可调节的网状植物墙
KR102640446B1 (ko) 2022-11-09 2024-02-29 박공영 수직정원의 식물 식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84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523B1 (ko) 벽면 녹화 시스템
JPH10506693A (ja) 多層植生素子
CN1844611A (zh) 盆式生态庭院及其建造方法
KR101077332B1 (ko) 녹화 담장
KR101012028B1 (ko)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KR100874448B1 (ko) 강화 바이오 환경 식생매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2330631A (ja) 立体プランター
CN205357219U (zh) 一种带储水功能的免维护建筑生态草皮
CN209931114U (zh) 一种屋顶绿化结构
KR20200042230A (ko) 비탈면 녹화 구조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JP3421848B2 (ja) 水位調節装置、水位調節可能な水受け器および水位調節可能なプランター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JPH1033053A (ja) 橋桁の緑化工法
JP3285201B2 (ja) 自生型屋上緑化施工方法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JP4343048B2 (ja) 屋上の緑化方法および装置
JP2012060888A (ja) 遷移極相屋上造園軽量システム
JP2002017161A (ja) 緑化装置と建築物における屋上用緑化装置の形成方法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CN218933202U (zh) 一种园林绿化景观挡土墙系统
JP2002125452A (ja) 緑化構造物
KR20130000703U (ko) 빗물을 활용하는 저관리형 실외용 수직상 조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