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048B1 -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048B1
KR101109048B1 KR1020090075167A KR20090075167A KR101109048B1 KR 101109048 B1 KR101109048 B1 KR 101109048B1 KR 1020090075167 A KR1020090075167 A KR 1020090075167A KR 20090075167 A KR20090075167 A KR 20090075167A KR 101109048 B1 KR101109048 B1 KR 10110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older
ocr function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615A (ko
Inventor
안종길
윤재은
Original Assignee
유니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챌(주) filed Critical 유니챌(주)
Priority to KR102009007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0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화면표시창과 카메라 조작부가 마련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 촬영을 위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간의 전환을 자동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가 가능하며,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모바일, 기기, 카메라, 위치, 조절, 촬영, 촬영 모드, 변경

Description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Mobile device having OCR function}
본 발명은,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이 종래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Mobile device)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개인 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이하,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폰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은 전화를 걸거나 받는 단순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PDA와 같이 전문적으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휴대폰, 바코드 기능이 내장된 휴대폰 등이 현재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한편, 휴대폰과는 별개의 장치로서 광학식 문자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Recognition))라는 장치가 존재한다. 이는 문서에 새겨진 문자를 빛을 이용하여 판독하는 장치이다. 현재 손 글씨로 쓴 것을 판독하는 장치는 드물고, 주로 특정 형태의 타이핑된 문자를 판독하는 것이 많은데, 흔히 OCR이라고 칭한다. 보통은 스캐너에 하나의 장치로서 탑재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휴대용 별개 제품으로서 출시되기도 한다.
물론, 현재 출시되는 다양한 휴대폰 중에서 카메라를 내장하며 OCR 기능을 갖는 휴대폰이 개시된 바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OCR 기능을 갖는 휴대폰은, 구조상 텍스트 문자(text word)를 촬영하기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텍스트 문자를 촬영했다 하더라도 키(key)로 다시 입력한다거나 아니면 컴퓨터에 연결하여 그 사전적인 의미를 판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OCR 기능을 갖는 휴대폰으로 OCR 기능을 실행하려면 별도의 OCR용 근접 촬영 모드가 없기 때문에 일반 촬영 모드에서 어림잡아 OCR 판독을 원하는 문자를 촬영하고, 키 조작 등 2차 조작으로 원하는 문자를 가려낸 후 OCR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만약에,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이 별도의 키(key) 조작 없이 카메라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된다면 카메라 활용의 효율이 높아지고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가능하며,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이 별도의 키(key) 조작 없이 카메라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카메라 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에 화면표시창과 카메라 조작부가 마련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 촬영을 위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간의 전환을 자동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 의한 상기 근접 촬영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평행하게 위치된 후에 진행될 수 있 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문자에 대한 상기 렌즈의 오토 포커싱을 조절하는 오토 포커싱 조절부; 상기 텍스트 문자에 대한 촬영 정보를 문자 판독 알고리즘을 거쳐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판독하는 판독부; 및 판독된 결과를 상기 화면표시창으로 자동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카메라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상기 카메라를 틸팅(tilting) 구동시키는 틸팅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틸팅 홀더; 상기 틸팅 홀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 일단부는 상기 틸팅 홀더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는 네크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와 치형 맞물림되게 상기 네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틸팅 홀더를 상기 네크부에 대해 틸팅 구동시키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네크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돌기; 및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네크부 중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나란하도록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카메라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상기 카메라를 스위블(swivel) 구동시키는 스위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며,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스토퍼가 마련되는 회전판; 및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 배치되고, 상기 탄성스토퍼가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는 비원형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회전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돌기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회전판의 둘레 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을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하며,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이 별도의 키(key) 조작 없이 카메라 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카메라 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는 통상적인 휴대폰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외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20)와, 촬영을 위한 렌즈(31)를 구비하며 카메라 홀더(20)에 결합되어 카메라 홀더(20)에 대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30)와, 카메라(30)에 의한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우선 단말기 본체(10)는 통화 기능, 문자 기능, 다양한 웹 서핑 기능 등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말기 본체(10)가 막대 형상의 바아 타입(bar type)으로 도시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단말기 본체(10)는 슬라이드 타입이나 폴더 타입이 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단말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전화번호나 문자 등의 패턴이 표시되는 화면표시창(11)이 형성된다. 화면표시창(11)은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화면표시창(11)에는 터치 패널 기능이 구현될 수도있다.
화면표시창(11)의 주변에는 카메라 조작부(12)가 마련된다. 카메라 조작부(12)는 버튼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터치 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조작부(12)를 누를 경우,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는 카메라(30)의 촬영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30)는,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도 1 참조),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도 3 참조),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도 4 참조)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들 모드들은 카메라 조작부(12)에 구비되는 해당 버튼의 동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카메라 조작부(12)를 온(on)시킨 후 카메라(30)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자동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더욱 편리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촬영 모드 중에서도 특히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는 별도의 OCR용 근접 촬영 모드를 이용하면 OCR 기능을 실행할 때,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2차 조작이 불필요하며, 이에 대해 집중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CR 기능은 앞서 기술한 데로 광학식 문자 판독 기능에 해당된다.
이러한 OCR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즉 도 1의 근접 촬영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카메라 제어부(40)는 사용자가 카메라 조작부(12)를 조작한 후, 카메라(30)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근접 촬영 모드가 진행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카메라(30)는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 예컨대 프린트물이나 책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조작되어야 하며, 이 상태가 진행된 후에 카메라 제어부(40)는 자동으로 근접 촬영 모드가 진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카메라 제어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문자에 대한 렌즈(31)의 오토 포커싱을 조절하는 오토 포커싱 조절부(41)와, 텍스트 문자에 대한 촬영 정보를 문자 판독 알고리즘을 거쳐 단말기 본체(10)에 내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판독하는 판독부(42)와, 판독된 결과를 화면표시창(11)으로 자동 출력하는 출력부(43)를 포함한다.
이에, 카메라 조작부(12)를 온(on)시킨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를 회전시켜 카메라(30)의 렌즈(31)가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 예컨대 프린트물이나 책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조작하면, 카메라 제어부(40)가 근접 촬영 모드로의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그리고는, 그 즉시 텍스트 문자에 대한 렌즈(31)의 오토 포커싱을 조절한 후, 텍스트 문자에 대한 촬영 정보를 문자 판독 알고리즘을 거쳐 단말기 본체(10) 에 내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판독한 다음 이를 화면표시창(11)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보다 훨씬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OCR 기능이 종래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카메라(30)의 렌즈(31)가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조작되어야 한다. 자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수동 조작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카메라(30)의 렌즈(31)가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이격된 위치에서 카메라(30)의 렌즈(31)가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나란하게 위치되기 위해서는 단말기 본체(10)에 대해 카메라 홀더(20)가 상대 회전되어야 하고, 또한 카메라 홀더(20)에 대해 렌즈(31)를 구비한 카메라(30)가 상대 회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0)와 카메라 홀더(20)에는 힌지(50)가 마련되고, 카메라 홀더(20)와 카메라(30)에는 틸팅 구동부(60)가 마련된다.
힌지(50)는 통상의 구조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틸팅 구동부(60)는 카메라 홀더(20)에 대해 카메라(30)를 틸팅(tilting) 구동,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홀더(20)와 카메라(30)가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홀더(20)에 대해 카메라(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틸팅 구동부(60)는 카메라(30)와 결합되는 틸팅 홀더(61)와, 틸팅 홀더(61)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62)와, 일단부는 틸팅 홀더(61)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카메라 홀더(20)에 결합되는 네크부(63)와, 제1 기어 부(62)와 치형 맞물림되게 네크부(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시 제1 기어부(62)와 상호 작용하여 틸팅 홀더(61)를 네크부(63)에 대해 틸팅 구동시키는 제2 기어부(64)를 구비한다.
제1 기어부(62)는 원판 형상의 판 기어로 될 수 있고, 제2 기어부(64)는 스크루 기어로 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2 기어부(64)의 일단부(헤드 영역)는 카메라 홀더(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카메라 홀더(2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의 일반 촬영 모드의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를 비롯하여 카메라 홀더(20) 전체를 회전시킨 후에, 제2 기어부(64)를 독립적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2 기어부(64)와 기어 맞물림된 제1 기어부(62)가 회전되면서 카메라(30)와 결합된 틸팅 홀더(61)를 네크부(63)에 대해 틸팅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30)는 틸팅 홀더(61)와 함께 원하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OCR 기능을 위해서는 카메라(30)의 렌즈(31)는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만 OCR 기능이 종래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틸팅 구동부(60)는 회전돌기(65)와 스토퍼(66)를 더 포함하고 있다.
회전돌기(65)는 제2 기어부(64)와 결합되어 제2 기어부(64)와 함께 회전되는 구성이고, 스토퍼(66)는 네크부(63)에 마련되어 회전돌기(65)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성이다.
이에, 제2 기어부(64)를 회전시키면 제2 기어부(64)와 함께 회전돌기(65)가 회전되다가 스토퍼(66)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제2 기어부(64)의 회전은 구속되는데, 이 때는 카메라(30)의 렌즈(31)가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OCR 기능이 종래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틸팅 구동부(60)는 힌지(50)와 같은 구조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혹은 플랙시블한 벨로우즈 네크(미도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 조작부(12)를 온(on)시킨 다음, 틸팅 구동부(60)를 통해 카메라(30)를 틸팅 구동시켜 카메라(30)의 렌즈(31)가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 예컨대 프린트물이나 책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조작하면, 카메라 제어부(40)가 근접 촬영 모드로의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카메라 조작부(12)를 누르면, 텍스트 문자에 대한 렌즈(31)의 오토 포커싱을 조절한 후, 텍스트 문자에 대한 촬영 정보를 문자 판독 알고리즘을 거쳐 단말기 본체(10)에 내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판독한 다음 이를 화면표시창(11)으로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OCR 기능이 종래보다 훨씬 편리하게 정확하게 수행된다.
만약,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싶으면 틸팅 구동부(60)의 조작 없이 힌지(50)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1)가 화면표시창(11)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카메라(30)를 단말기 본체(10)에 폴딩하면 카메라 제어부(40)에 의해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셀프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싶으면 역시 힌지(50)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1)를 화면표시창(11)이 배치된 측으로 위치시키면 카메라 제어부(40)에 의해 셀프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가 가능하며,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OCR용 근접 촬영 모드를 이용하면 OCR 기능을 실행할 때,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2차 조작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이 별도의 키(key) 조작 없이 카메라(30)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카메라(30) 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참조부호를 그대로 인용하되, 형태가 약간 상이한 단말기 본체(10)에 대해서만 참조부호 10a로 구별하였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 역시, 도 6의 OC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도 7의 일반 촬영 모드, 그리고 도 8의 셀프 촬영 모드로 구현이 모두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틸팅 구동부(60)만이 구비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카메라(30)를 스위블(swivel)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위블 구동부(7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구조상 편의를 위해 스위블 구동부(70)는 틸팅 구동부(60)의 후방에 마련되면서 틸팅 구동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블 구동부(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홀더(20)에 결합되며, 외면에 탄성스토퍼(71)가 마련되는 회전판(72)과, 카메라(30)와 연결된 네크부(63)의 내벽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 배치되고, 탄성스토퍼(71)가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홈(73)을 구비한다.
카메라 홀더(20)에 결합되는 회전판(72)은 카메라 홀더(20)에 대해 회전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카메라 홀더(20)에는 비원형 결합돌기(20a)가 형성되고, 회전판(72)에는 비원형 결합돌기(20a)가 결합되는 역시 비원형의 돌기결합부(72a)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판(72)에 비원형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카메라 홀더(20)에 비원형의 돌기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판(72)에 형성되는 탄성스토퍼(71)는 회전판(72)에 한 개 마련되어도 좋으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탄성스토퍼(71)가 회전판(72)에 형성되고 있다. 즉 2개의 탄성스토퍼(71)는 회전판(72)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회전판(72)의 둘레 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 형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일측 개방형 고리 형상을 갖는다. 물론, 이러한 구조 외의 다른 구조로서 스위블 구동부(7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OC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싶으면 전술한 제1 실시예처럼 힌지(50)와 틸팅 구동부(60)만을 이용하여 카메라(30)의 위치를 도 6과 같이 배치하면 된다.
그리고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싶으면 힌지(50) 및 스위블 구동부(70)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31)가 화면표시창(11)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카메라(30)를 단말기 본체(10)에 폴딩하면 카메라 제어부(40)에 의해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되고, 셀프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싶으면 역시 힌지(50) 및 스위블 구동부(70)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의 렌즈(31)를 화면표시창(11)이 배치된 측으로 위치시키면 카메라 제어부(40)에 의해 셀프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휴대가 가능하며,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OCR용 근접 촬영 모드를 이용하면 OCR 기능을 실행할 때,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2차 조작이 불필요하다.
또한,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이 별도의 키(key) 조작 없이 카메라(30)의 위치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카메라(30) 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단말기 본체에는 셀프 촬영을 위한 별도의 셀프 촬영용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 모드 및 셀프 촬영 모드는 카메라 조작부에 구비되는 해당 버튼의 동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카메라 조작부를 온(on)시킨 후 카메라의 위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만으로 자 동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가 더욱 편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회전돌기가 제2 기어부에 마련되고 스토퍼가 네크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회전돌기는 네크부에 마련되고 스토퍼는 제2 기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근접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근접 촬영 모드의 상태로의 전환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반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셀프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근접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반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셀프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된 스위블 구동부를 나타내기 위한 카메라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본체 20 : 카메라 홀더
30 : 카메라 31 : 렌즈
40 : 카메라 제어부 50 : 힌지
60 : 틸팅 구동부 70 : 스위블 구동부

Claims (12)

  1. 일측에 화면표시창과 카메라 조작부가 마련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홀더;
    촬영을 위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텍스트 문자(text word)의 판독을 위한 OCR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근접 촬영 모드, 일반 촬영을 위한 일반 촬영 모드 간의 전환을 자동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 의한 상기 근접 촬영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평행하게 위치된 후에 진행되고, 상기 일반 촬영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화면표시창의 반대측에 위치된 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문자에 대한 상기 렌즈의 오토 포커싱을 조절하는 오토 포커싱 조절부;
    상기 텍스트 문자에 대한 촬영 정보를 문자 판독 알고리즘을 거쳐 상기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베이스(DB)를 통해 판독하는 판독부; 및
    판독된 결과를 상기 화면표시창으로 자동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카메라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상기 카메라를 틸팅(tilting) 구동시키는 틸팅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틸팅 홀더;
    상기 틸팅 홀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부;
    일단부는 상기 틸팅 홀더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는 네크부; 및
    상기 제1 기어부와 치형 맞물림되게 상기 네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틸팅 홀더를 상기 네크부에 대해 틸팅 구동시키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네크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돌기; 및
    상기 제2 기어부와 상기 네크부 중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텍스트 문자가 기록된 매체와 나란하도록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카메라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홀더에 대해 상기 카메라를 스위블(swivel) 구동시키는 스위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홀더에 결합되며,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스토퍼가 마련되는 회전판; 및
    상기 카메라와 연결된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간 이격 배치되고, 상기 탄성스토퍼가 탄성적으로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회전판 중 어느 하나에는 비원형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홀더와 상기 회전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돌기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토퍼는 상기 회전판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회전판의 둘레 방향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의 위치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기초하여, 자기 자신의 촬영을 위한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을 자동 제어하며, 상기 카메라 제어부에 의한 상기 셀프 촬영 모드로의 전환은 상기 카메라의 렌즈가 상기 화면표시창이 배치된 측에 위치된 후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090075167A 2009-08-14 2009-08-14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KR10110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167A KR101109048B1 (ko) 2009-08-14 2009-08-14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167A KR101109048B1 (ko) 2009-08-14 2009-08-14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15A KR20110017615A (ko) 2011-02-22
KR101109048B1 true KR101109048B1 (ko) 2012-01-31

Family

ID=4377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167A KR101109048B1 (ko) 2009-08-14 2009-08-14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542B1 (ko) 2013-08-30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284A (ko) * 2003-12-27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카메라모드 전환 방법
KR20060105930A (ko) * 2005-04-01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폰에서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284A (ko) * 2003-12-27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카메라모드 전환 방법
KR20060105930A (ko) * 2005-04-01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폰에서의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15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33222A1 (ja) 電子機器
US7626630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EP1788788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projector
US809831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tunable sensor auto focus
KR100870274B1 (ko)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8236501A (ja)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JP4867243B2 (ja) プロジェクタ付き携帯電話機
JP4488088B2 (ja) スチルカメラ
US6415106B2 (en) Portable apparatus
KR20100120163A (ko) 휴대정보처리장치
KR101109048B1 (ko)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JP4113565B2 (ja) 携帯電話機
US2008005800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functions
JP4775040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810938B2 (ja)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機器
KR20030063726A (ko) 카메라 뷰파인더의 자동반전기능을 갖는 휴대폰
JP4519066B2 (ja) 通信装置
JP2005241814A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JP4583275B2 (ja) カメラ付通信装置
JP2004199141A (ja) 記号認識装置及び記号認識方法
JP3717919B2 (ja) 携帯電話機
KR100640350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가진 카메라 폰 및 그 방법
JP4054843B2 (ja) 携帯電話機
JP2005107290A (ja) 撮像装置と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