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486B1 -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 Google Patents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486B1
KR101108486B1 KR1020110107443A KR20110107443A KR101108486B1 KR 101108486 B1 KR101108486 B1 KR 101108486B1 KR 1020110107443 A KR1020110107443 A KR 1020110107443A KR 20110107443 A KR20110107443 A KR 20110107443A KR 101108486 B1 KR101108486 B1 KR 10110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leather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세화레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레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레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14B1/56Ornamenting, producing designs, embo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7/00Pasting processes (chemical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나멜층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RP, release paper)의 상단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제층의 상단에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늬층의 상단에 가죽의 베이스 색상을 띄는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베이스칼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이 가죽을 마주보도록 합지하여 권취시키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가죽의 접착제층이 경화되도록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가죽으로부터 박리지를 박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다양한 무늬를 가죽원단에 형성하는 동시에 에나멜 코팅까지 가능한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칼라의 무늬와 에나멜 코팅 처리가 된 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METHOD OF TRANSFERRING PATTERN TO LEATHER USING ENAMEL RELEASE PAPER AND LEATHER TRANSFER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나멜이 코팅되어 있는 에나멜 박리지(Release Paper, RP)에 금형롤 등을 이용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공정으로 이형제를 도포함으로써, 선명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가죽에 합지하는 공정을 한번만 거쳐도 다양한 칼라의 무늬와 함께 에나멜 코팅까지 가죽원단에 형성할 수 있는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에 관한 것이다.
가죽은 크게 바깥 부분인 표피층(Full Grain Leather)과 내측 부분인 진피층(Split Leather)로 나누어지며, 진피층은 다시 2~3겹으로 나누어 사용하여 제품화한다. 상기 표피층은 염색을 하여 염색된 그 자체로 상품화가 가능하며, 상기 진피층은 그 표면에 박리지(Release paper)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레진(poly urethane resin)을 코팅(coating)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죽원단은 의복, 신발 또는 가방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가죽은 물에 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품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가죽제품이 비를 맞는 경우, 건조된 상태에서도 물이 흐른 자국 등이 얼룩으로 남게 되어 제품의 가치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타 물질에 의한 오염도 쉽게 발생하며, 가죽결의 표면이 타 물체와 접촉될 때 표면결의 쏠림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어 원래의 질감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천연가죽의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색상의 유지와 방수성, 통기성, 촉감 및 재질의 탄력도를 양호하게 하고, 가죽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가죽원단 및 가죽제품은 가죽에 수용성 바인더나 에나멜 등과 같은 약품을 직접 처리하여 롤러 칼라나 패드질을 하거나 칼라 또는 기타 나염 방법으로 작업을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약품을 직접 가죽에 처리하는 경우, 가죽에 약품이 스며들어서 가죽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죽이 경화되고, 인장력 등에 의하여 가죽이 갈라지는 크랙현상이 나타나며, 오랜 시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곰팡이가 발생하고, 방수가 되지 않아 눈이나 비가 가죽에 스며들어 가죽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가죽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죽제품에 고급스런 느낌을 부여하기 위하여 투명 광택을 내는 에나멜 코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죽원단 제조방법들은 상기 에나멜 코팅을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먼지, 이물질 등 오염이 자주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으며, 적용 가능한 가죽원단 사이즈에 한계가 있으며, 매달아서 건조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낮고 가격이 비싸며, 코팅된 가죽원단이 쉽게 딱딱해지는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부터 박리지(RP)의 표면에 에나멜 코팅이 되어 있는 에나멜 박리지(RP)를 이용하는 공정이 있는데, 이러한 공정은 다양한 무늬를 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칼라의 안료 조성물을 금형롤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에나멜 박리지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을 만큼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하며, 대신 에나멜 박리지의 표면에 접착성이 있는 단색의 칼라 안료를 도포하여 1톤의 단색 칼라의 가죽원단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다양한 무늬를 가죽원단에 형성하는 동시에 에나멜 코팅까지 가능한 가죽원단에 무늬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의한 다양한 칼라의 무늬와 에나멜 코팅 처리가 된 가죽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에나멜층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RP, release paper)의 상단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제층의 상단에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늬층의 상단에 가죽의 베이스 색상을 띄는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베이스칼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이 가죽을 마주보도록 합지하여 권취시키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가죽의 접착제층이 경화되도록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가죽으로부터 박리지를 박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형제를 도포한 후 70 ~ 13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제는 아크릴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대전방지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형제에 포함되는 성분 각각의 함량은 아크릴 수지 40 ~ 60중량%, 비닐 수지 3 ~ 8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5 ~ 7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3 ~ 8중량%, 대전방지제 0.1 ~ 1중량%이며, 희석제는 나머지 잔여 함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 수지는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loride)와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희석제는 메틸에틸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칼라층은 폴리우레탄 레진 20 내지 40 중량%, 디메틸포름아마이드 30 내지 5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35 내지 80 중량부, 안료 1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칼라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레진 50 내지 80 중량%, 디메틸포름아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메틸에틸케톤 0.1 내지 20 중량% 및 톨루엔 1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15 내지 55 중량부, 촉진제 5 내지 13 중량부 및 가교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제층의 상단에 금형롤을 이용하여 무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무늬 형성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다양한 무늬를 가죽원단에 형성하는 동시에 에나멜 코팅까지 가능한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칼라의 무늬와 에나멜 코팅 처리가 된 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에나멜층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RP, release paper)의 상단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제층의 상단에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늬층의 상단에 가죽의 베이스 색상을 띄는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베이스칼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이 가죽을 마주보도록 합지하여 권취시키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가죽의 접착제층이 경화되도록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가죽으로부터 박리지를 박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에나멜 박리지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0).
상기 에나멜 박리지를 사용함으로써 최종적인 공정이 완료된 가죽원단의 최외부에 에나멜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단계 후에 에나멜 박리지의 상단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S20).
상기 이형제는 아크릴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대전방지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각각의 성분은 아크릴 수지 40~60중량%, 비닐수지 3~8중량%, Polyester수지 5~7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3 ~ 8중량%, 대전방지제 0.1 ~ 1중량%, 희석제(MEK)는 나머지 잔여 함량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이형제는 하기에 설명하는 무늬층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에나멜 박리지의 상단에 도포하는 층이다. 에나멜 박리지는 보통의 박리지의 일면에 에나멜층이 코팅되어 있는 것으로, 종래의 공정에서는 코팅되어 있는 에나멜의 면에는 안료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접착성을 가지고 있는 단색의 안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다양한 칼라나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금형롤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 때 사용되는 안료 조성물은 에나멜 박리지의 면에의 접착성이 떨어지므로, 금형롤을 사용하여 무늬를 도포하면 얻고자 하는 정확한 무늬를 표현할 수가 없다.
상기 이형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나멜 박리지의 상단에 상기의 조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한 후, 금형롤 등을 이용한 무늬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를 명확하게 프린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이형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온도는 70 ~ 13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건조 속도가 느려서 생산성이 저하되며, 높은 경우에는 건조가 너무 많이 진행되어 후속 공정의 무늬층의 형성이 잘 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로 사용되는 것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가 바람직하고, 상기 비닐 수지로 사용되는 것은 폴리염화비닐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loride)와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상기 희석제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상기의 이형제층의 상단에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무늬층은 프린트하고자 하는 무늬의 형상으로 된 금형롤을 이용하여, 다양한 칼라 및 무늬를 인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안료 조성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안료 조성물의 일실시예로는 베이스 수지, 안료, 분산제, 침전방지제, 대전방지제, 브로킹방지제 및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로는 나일론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비닐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안료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안료 및 유기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안료 조성물을 금형롤을 이용하여 프린트한 후, 건조온도 30~120℃의 범위에서 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상기 무늬층의 상단에 베이스칼라층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칼라층은 폴리우레탄 레진 20 내지 40 중량%, 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30 내지 5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35 내지 80 중량부, 안료 1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칼라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베이스칼라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희석제는 40 중량부, 안료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칼라층에 나타나는 색상이 바탕층을 이루는 색상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은 물성이 강해 러빙(rubbing)에 강하고 커버링이 뛰어나 우수한 내수 및 내유성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칼라 조성물 내 폴리우레탄 레진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 러빙이나 커버링이 약화하여 고형분이 떨어져 원하는 색상을 얻기 어렵게 된다.
상기 범위 내로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층에 포깅(fogging)이나 핀홀(pin-hole)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희석제는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되는 용제(solvent)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로는 체질안료 및/또는 착색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토너(ton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토너는 천연피혁의 자연스러운 맛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며, 표면에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제공하며, 유성 안료로서 컬러링(coloring)이 좋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범위보다 낮은 경우 천연피혁의 자연스러운 칼라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내스크래치성도 저하되고, 반대로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층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도포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도포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희석제는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되는 용제(solvent)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칼라층을 도포하는 공정은 충분한 코팅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도포하여야 하며, 0.1 내지 0.3㎜ 정도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보다 얇은 경우 코팅 능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색상 가죽 원단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진다.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건조 공정 역시 사용하는 칼라의 특성 및 공정 속도에 따라 달라지나, 70℃ 내지 140℃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다 낮은 경우 건조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상기 보다 높은 경우 수지 조성물이 지나치게 가열되어 색상이 손상되거나 코팅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레진 50 내지 80 중량%, 디메틸포름아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0.1 내지 20 중량% 및 톨루엔 1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15 내지 55 중량부, 촉진제 5 내지 13 중량부 및 가교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희석제 20 중량부, 촉진제 8 중량부, 가교제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희석제는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되는 용제(solvent)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진제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로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우레탄 수지층의 강도가 너무 소프트하거나 하드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은 충분한 접착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도포하여야 하며, 0.3 내지 0.7㎜ 정도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보다 얇은 경우 접착 능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경우 색상 가죽 원단의 두께가 두껍거나 탄력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접착제를 건조하는 공정은 50℃ 내지 135℃ 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다 낮은 경우 건조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상기 보다 높은 경우 접착제가 가열되어 접착력을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S50) 후에 상기 접착제층과 가죽을 마주보게 하여 박리지와 가죽을 합지하여 권취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상기 박리지와 가죽을 합지하여 권취시키는 단계(S60) 후에 상기 박리지와 가죽을 숙성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합지된 가죽 위에 얇은 비닐을 덮은 뒤 이를 둥근 봉에 권취하여 숙성과정 동안 먼지가 묻거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숙성시키는 공정의 온도와 시간은 제품 특성에 따라 달라지나 60℃ 내지 105℃ 에서 약 8시간 내지 48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다 온도가 낮거나 시간이 짧은 경우 접착이나 코팅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상기 보다 온도가 높거나 시간이 긴 경우 색상이 변색되거나 가죽이 손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은 상기 숙성된 가죽에서 박리지를 분리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상기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무늬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무늬가 형성된 가죽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가죽원단은 다양한 색상의 무늬가 형성된 가죽원단에 에나멜 코팅까지 한번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공정인 에나멜 코팅을 위한 별도의 스프레이 공정을 요하지 않아 공정 소요 시간이 약 1일로서 1/3 이상 줄어들어 작업 효율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가죽원단이 종래의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가죽원단보다 가죽 원단의 코팅면의 두께가 고르게 도포되고, 건조과정에서 먼지 오염이나 황변 등의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 등, 뛰어난 품질을 가지며, 오염 발생에 의한 불량률도 현저히 줄어드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에나멜층이 형성되어 있는 박리지(RP, release paper)의 상단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제층의 상단에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무늬층의 상단에 가죽의 베이스 색상을 띄는 안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베이스칼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칼라층의 상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이 가죽을 마주보도록 합지하여 권취시키는 단계;
    상기 권취된 가죽의 접착제층이 경화되도록 숙성시키는 단계;및
    상기 숙성된 가죽으로부터 박리지를 박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이형제를 도포한 후 70 ~ 13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아크릴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대전방지제 및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에 포함되는 성분 각각의 함량은 아크릴 수지 40 ~ 60중량%, 비닐 수지 3 ~ 8중량%, 폴리에스테르 수지 5 ~ 7중량%,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3 ~ 8중량%, 대전방지제 0.1 ~ 1중량%이며, 희석제는 나머지 잔여 함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수지는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loride)와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메틸에틸케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층과 코팅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칼라층은
    폴리우레탄 레진 20 내지 40 중량%, 디메틸포름아마이드 30 내지 5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2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35 내지 80 중량부, 안료 15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칼라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레진 50 내지 80 중량%, 디메틸포름아마이드 0.1 내지 10 중량%, 메틸에틸케톤 0.1 내지 20 중량% 및 톨루엔 1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희석제 15 내지 55 중량부, 촉진제 5 내지 13 중량부 및 가교제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형제층의 상단에 금형롤을 이용하여 무늬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무늬 형성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 원단.
KR1020110107443A 2011-10-20 2011-10-20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KR10110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43A KR101108486B1 (ko) 2011-10-20 2011-10-20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43A KR101108486B1 (ko) 2011-10-20 2011-10-20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486B1 true KR101108486B1 (ko) 2012-01-31

Family

ID=4561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443A KR101108486B1 (ko) 2011-10-20 2011-10-20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4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85B1 (ko) 2013-05-07 2013-08-14 세화레더 주식회사 칼라 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가죽원단기
KR101862071B1 (ko) 2017-09-21 2018-07-05 서재원 친환경적으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된 가죽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KR101944268B1 (ko) * 2016-06-23 2019-02-07 이경림 원단의 장식무늬 전사방법
KR102636577B1 (ko) 2023-09-25 2024-02-14 동민산업 협동조합 Pvc 인조가죽 탈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07A (ko) * 2000-12-26 2001-05-07 김정열 인쇄층과 보호코팅층을 일체로 대상물 표면에 접착인쇄시키는 인쇄방법
KR100478954B1 (ko) 2002-09-17 2005-03-28 주식회사 에이팩드롬 피혁의 표면에 다양한 칼라 이미지를 전사하는 방법 및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혁
KR100908577B1 (ko) 2008-12-29 2009-07-22 (주)하나무역 에나멜 투명층이 코팅된 가죽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107A (ko) * 2000-12-26 2001-05-07 김정열 인쇄층과 보호코팅층을 일체로 대상물 표면에 접착인쇄시키는 인쇄방법
KR100478954B1 (ko) 2002-09-17 2005-03-28 주식회사 에이팩드롬 피혁의 표면에 다양한 칼라 이미지를 전사하는 방법 및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혁
KR100908577B1 (ko) 2008-12-29 2009-07-22 (주)하나무역 에나멜 투명층이 코팅된 가죽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85B1 (ko) 2013-05-07 2013-08-14 세화레더 주식회사 칼라 조성물 스프레이장치를 갖춘 가죽원단기
KR101944268B1 (ko) * 2016-06-23 2019-02-07 이경림 원단의 장식무늬 전사방법
KR101862071B1 (ko) 2017-09-21 2018-07-05 서재원 친환경적으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된 가죽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KR102636577B1 (ko) 2023-09-25 2024-02-14 동민산업 협동조합 Pvc 인조가죽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666B1 (ko) 칼라층과 코팅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가죽 원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KR100908577B1 (ko) 에나멜 투명층이 코팅된 가죽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EP0880613B1 (en) A transfer for decorating textiles with coloured patterns
KR101108486B1 (ko) 에나멜 박리지를 이용한 가죽원단의 무늬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가죽원단
JPH06509394A (ja) 高度に耐久性がある印画、とくに特殊な光反射性および着色領域の組み合わせを含む印画で表面を装飾する転写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195544A1 (en) Method for Upgrading and Embossing Leather
KR101395815B1 (ko) 물리적 응력에 의한 변색성 라미네이트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ITMI20080688A1 (it) Rivestimento decorativo per oggetti e relativo metodo per decorare
KR100348096B1 (ko) 가죽원단에의 폴리우레탄막 형성방법
US2012005831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textile complex including decorative patterns, and complex thus produced
PL190115B1 (pl) Kalkomania odbłyskowa, sitodrukowa oraz sposób wytwarzania kalkomanii odbłyskowej, sitodrukowej i jej zastosowanie
KR101862071B1 (ko) 친환경적으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된 가죽원단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US2029377A (en) Decorative patent leath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686894B1 (ko) 디지털 실사출력 다이렉트 접착 열전사지
CN1820105A (zh) 天然皮革的染色方法及使用该方法染色的天然皮革
KR100670025B1 (ko) 천(原緞)이나 가죽(皮革)에 폴리우레탄을 코팅하는 방법
CN202156086U (zh) 一种具有收缩花纹的水晶感合成革
KR20160109639A (ko) 입체감이 우수한 무늬 형성방법
KR101638951B1 (ko) 현대적으로 재현된 능화판을 이용한 고서 표지의 복제 방법
KR20010035107A (ko) 인쇄층과 보호코팅층을 일체로 대상물 표면에 접착인쇄시키는 인쇄방법
KR101388954B1 (ko) 가죽 또는 섬유 제품의 코팅 방법
CN102407637A (zh) 一种具有收缩花纹的水晶感合成革
US10477931B2 (en) Sunshade and method of preparing a canopy
JPH11286878A (ja) 積層プリント合成皮革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101492787B1 (ko) 에나멜 가죽의 염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