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55B1 -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55B1
KR101106855B1 KR1020090053726A KR20090053726A KR101106855B1 KR 101106855 B1 KR101106855 B1 KR 101106855B1 KR 1020090053726 A KR1020090053726 A KR 1020090053726A KR 20090053726 A KR20090053726 A KR 20090053726A KR 101106855 B1 KR101106855 B1 KR 10110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charging
electric wire
s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388A (ko
Inventor
손성근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11)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 잭(30)을 이용하여 차량에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폰 충전을 위한 별도의 소모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며, 앞좌석 탑승자뿐만 아니라 뒷좌석 탑승자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시트, 휴대폰, 충전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Cellular phone charging device with a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에서 휴대폰을 충전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차량에 구비된 시거 잭(cigar jack) 단자에 휴대폰 충전 잭과 연결된 전원 잭을 꽂고, 상기 휴대폰 충전 잭을 휴대폰의 전원단자에 꽂아서 충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휴대폰 충전방식은 휴대폰 충전 잭과 전원 잭이 있는 소모품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부 고급 차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차량은 시거 잭 단자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뒷좌석 시트의 착석자는 휴대폰을 충전하기가 곤란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휴대폰 충전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토록 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휴대폰 충전장치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폰 충전 잭과; 상기 휴대폰 충전 잭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백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 잭을 이용하여 차량에서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폰 충전을 위한 별도의 소모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며, 앞좌석 탑승자뿐만 아니라 뒷좌석 탑승자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10)에 구비된 구성이다.
차량용 시트(10)는 크게 시트백(11)과 시트쿠션(13) 및 헤드레스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백(11)의 측면에는 일정 크기의 보관함(15)이 구비되고, 상기 보관함(15)은 회전하는 도어(17)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배터리(20)와 전기선(31)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시트백(11)의 보관함(15)속으로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는 휴대폰 충전 잭(30)과, 상기 휴대폰 충전 잭(30)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는 스위치부재(40)와, 상기 휴대폰 충전 잭(30)의 전기선(31)을 자동으로 감아서 보관할 수 전기선 릴(reel)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재(40)는 사용자의 조작이 쉽도록 상기 시트백(1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기선 릴 장치(50)는 상기 보관함(15)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시트백(11)속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휴대폰 충전 잭(30)은 상기 전기선(31)이 상기 전기선 릴 장치(50)에 감겨진 상태일 때 상기 보관함(15)속으로 수납되어 보관되고, 상기 전기선(31)이 상기 전기선 릴 장치(50)에서 풀려질 때 상기 보관함(15)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기선 릴 장치(50)는, 상기 보관함(15)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시트백(11)속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부재(51)와, 상기 케이스부재(51)의 고정축(53)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깥 둘레면에 상기 전기선(31)이 감겨지는 롤러부재(55)와, 상기 고정축(53)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55)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롤러부재(55)의 회전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5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재(55)에 감겨진 상기 전기선(31)의 한쪽 끝은 상기 차량용 배터리(20)와 연결된 구성을 갖으며, 상기 스프링부재(57)는 주로 태엽 스프 링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탑승자 특히 뒷좌석 탑승자가 휴대폰을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어(17)를 회전시켜 보관함(15)을 개방시키고, 휴대폰 충전 잭(30)을 필요한 만큼 당겨서 상기 보관함(15)으로부터 인출시킨다.
사용자가 휴대폰 충전 잭(30)을 당기면 전기선 릴 장치(50)의 롤러부재(55)가 회전(일례로 도 3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롤러부재(55)에 감겨져 있던 전기선(31)은 풀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보관함(15)속에 수납된 상태로 존재하던 휴대폰 충전 잭(30)은 상기 보관함(15)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이 된다.
여기서, 전기선 릴 장치(50)는 사용자가 휴대폰 충전 잭(30)을 한번 당긴 후 놓아주었을 때 롤러부재(55)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관함(15)속에 수납된 상태로 존재하던 휴대폰 충전 잭(30)을 필요한 만큼 당긴 후 놓아주더라도 상기 롤러부재(55)로부터 풀려진 전기선(31)은 상기 롤러부재(55)에 다시 감겨지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폰 충전 잭(30)을 필요한 만큼 당긴 다음 스위치부재(40)를 온(ON) 상태로 조작하여 배터리(20)로부터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휴대폰 충전 잭(30)을 휴대폰의 전원단자에 꽂아주면 휴대폰의 충전이 시작된다.
그리고, 휴대폰의 충전이 종료되고 나면 사용자는 휴대폰의 전원단자에 꽂혀진 휴대폰 충전 잭(30)을 분리시키고, 스위치부재(40)를 오프(OFF) 상태로 조작하 여 배터리(2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 휴대폰 충전 잭(30)을 한번 더 당겨준다.
그러면, 회전이 멈춰져 있던 롤러부재(55)는 스프링부재(40)의 복원력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풀려져 있던 전기선(31)은 상기 롤러부재(55)에 다시 감겨지게 되며, 보관함(15)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던 휴대폰 충전 잭(30)은 상기 보관함(15)속으로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가 된다.
휴대폰 충전 잭(30)이 시트백(11)의 보관함(15)속에 수납되면, 개방된 도어(17)를 닫아서 다음 번에 사용에 대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에서 휴대폰 충전을 위한 별도의 소모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며, 앞좌석 탑승자뿐만 아니라 뒷좌석 탑승자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충전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충전장치를 구성하는 전기선 릴 장치의 분해 시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시트백 15 - 보관함
17 - 도어 20 - 배터리
30 - 휴대폰 충전 잭 31 - 전기선
40 - 스위치부재 50 - 전기선 릴 장치
51 - 케이스부재 53 - 고정축
55 - 롤러부재 57 - 스프링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트백(10)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힌지 결합된 도어(17)로 개폐되는 보관함(15)과;
    상기 보관함(15)에 고정 설치된 케이스부재(51)의 고정축(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선(31)이 감겨지고 풀려지며, 회전시 스프링부재(57)로부터 탄력적인 복원력을 제공받는 롤러부재(55)로 이루어진 전기선릴장치(50)와;
    상기 전기선(31)에 연결된 휴대폰 충전 잭(30)과;
    차량의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전기선(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시트백(10) 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충전 잭(30)으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부재(40);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5. 삭제
KR1020090053726A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KR10110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726A KR101106855B1 (ko)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726A KR101106855B1 (ko)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388A KR20100135388A (ko) 2010-12-27
KR101106855B1 true KR101106855B1 (ko) 2012-01-19

Family

ID=4350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726A KR101106855B1 (ko) 2009-06-17 2009-06-17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0993A (zh) * 2018-07-10 2018-11-13 吴洪 一种新能源汽车用车内充电系统及其工作方法
CN114194081A (zh) * 2021-12-24 2022-03-18 上海哈隆汽车标准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电动滑轨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507A (ja) * 1989-08-17 1991-03-29 Hitachi Ltd パターン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90033881U (ko) * 1998-01-05 1999-08-16 김무 차량의 셀률라폰거취대
KR20030082335A (ko) * 2002-04-17 2003-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뎀퍼를 이용한 후드의 충격흡수방법
KR20030091482A (ko) * 2002-05-28 2003-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382335Y1 (ko) * 2005-02-03 2005-04-19 주식회사 위너스 휴대폰 충전 장치가 구비된 멀티탭
KR200391482Y1 (ko) * 2005-05-10 2005-08-04 임기영 충전용 커넥터의 코드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507A (ja) * 1989-08-17 1991-03-29 Hitachi Ltd パターン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9990033881U (ko) * 1998-01-05 1999-08-16 김무 차량의 셀률라폰거취대
KR20030082335A (ko) * 2002-04-17 2003-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뎀퍼를 이용한 후드의 충격흡수방법
KR20030091482A (ko) * 2002-05-28 2003-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382335Y1 (ko) * 2005-02-03 2005-04-19 주식회사 위너스 휴대폰 충전 장치가 구비된 멀티탭
KR200391482Y1 (ko) * 2005-05-10 2005-08-04 임기영 충전용 커넥터의 코드길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388A (ko) 201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51B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US9902339B2 (en) Retractable storage apparatus
CN204761522U (zh) 一种双拉卷线器合并手机支撑架
JP6056651B2 (ja) 携帯端末アダプタ
GB2403942A (en) Device for recharging a mobile telephone in a vehicle or like public place
EP2814128A1 (en) Apparatus for housing charging cable
KR101097520B1 (ko)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202917607U (zh) 带有自动收线充电装置的电池
KR101106855B1 (ko) 차량용 시트에 구비된 휴대폰 충전장치
JP5299537B1 (ja) 車載用携帯電話充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CN103918148A (zh) 线收装装置
AU709949B1 (en)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JP2016107686A (ja) アームレスト
JP5609698B2 (ja) 充電装置および充電設備
WO2012147146A1 (ja) ケーブル格納装置、電源装置および車両
FR3057862A1 (fr) Dispositif de devidage d&#39;un cable electrique, notamment un cable de charge pour un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CN216015844U (zh) 双头可伸缩数据线
JP2015017412A (ja) 機械式駐車装置
JP3142461U (ja) 携帯電話機内蔵電池の充電器
CN210178064U (zh) 一种基于提高停车管理的智能停车锁
CN205992909U (zh) 车载路由器
KR100680379B1 (ko) 자동차용 카고스크린장치
CN218228670U (zh) 一种新能源汽车便携式充电连接头
CN214396613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FR2938474A1 (fr) Planche de bord de vehicule comportant un espace de rangement et une facade de commande pouvant fermer l&#39;espace de comm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