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475B1 -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475B1
KR101106475B1 KR1020087014498A KR20087014498A KR101106475B1 KR 101106475 B1 KR101106475 B1 KR 101106475B1 KR 1020087014498 A KR1020087014498 A KR 1020087014498A KR 20087014498 A KR20087014498 A KR 20087014498A KR 101106475 B1 KR101106475 B1 KR 10110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jamming
speed
detected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310A (ko
Inventor
홀거 프뤼셀
파비앙 바테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8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otor parameters, e.g. rotor time constant, flux, speed,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for motors actuating a movable member between two end positions, e.g. detecting an end position or obstruction by overload sign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1Force or torque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sure taken
    • H02H7/085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sure taken by reversing, cycling or reducing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9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increase beyond, or decrease below, a predetermined level of rotatio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토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끼임 방지를 위한 방법은, 얻어진 모터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모터를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 끼임 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끼임 상황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끼임 상황의 검출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끼임 상황을 검출하는 장치는 모터, 검출 유닛, 제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설치된다.
검출 유닛, 제어 유닛, 모니터링, 모터 속도, 센서 신호

Description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PINCH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FOR A MOTOR-DRIVEN CLOSING SYSTEM}
본 발명은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구동기를 포함하는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특히 윈도우 리프터 및 슬라이딩 루프 장치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모터 작동식 테일게이트 폐쇄 장치용으로도 모터 및 폐쇄 시스템이 사용된다. 인적 피해 및 물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끼임 방지 수단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끼임 상황이 확실하게 검출되어야 한다.
끼임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예컨대 구동 모터는 모터의 모니터링 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스위칭 소자들에 의해 제어된다. 이를 위해, 특정 정적 모터 전류 값으로부터 리세팅 신호가 유도되고 모터 전류의 적어도 일시적인 시간적 변화로부터 추가 리세팅 신호가 유도된다. 상기 장치에서 정적 및 동적 모터 전류 모니터링이 실시된다. 이로써, 윈도우에 장애물이 부딪칠 때, 신속한 모멘트 변화 또는 전류 상승이 나타나면, 모터가 차단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이 바뀐다. 이것은 또한, 순간 전류 값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일어난다. 또한, 전류가 단락 전류에 근사한 값으로 완만하게 상승할 때, 추가의 전류 급상승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모터가 차단된다. 정적 모터 전류 및 전류의 시간적 변화는 끼임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수 모니터링은, 차량 내 서보 구동기에서 힘 제한 및 끼임 방지를 위해서도 실시된다. 회전수 모니터링은, 완만하거나 또는 급격한 변화를 검출하고 필요한 모터 제어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예컨대 홀 센서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끼임 상황은 모터의 아마추어 내에 유도되는 전압으로부터 검출되고, 유도된 전압은 모터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및 모터 아마추어 내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결정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가지는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2 단계로 형성되고 이로써 특히 신속하고 신뢰 가능하고 확실하게 폐쇄 시스템 내에 끼임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제 1 단계에서 감소된 모터 속도가 즉시 검출된다. 이어서 모터가 스위치 오프되고, 이로써 모터 속도가 스위치 오프 과정 동안 더 감소한다. 그 후, 끼임 상황 검출을 위한 센서 신호가 분석된다. 이 경우 끼임 상황이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후속 단계에서 모터는 끼임 상황의 검출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방법에서는, 검출되는 모터 속도의 편차가 작은 경우에도, 모터가 즉시 스위칭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모터가 제동된다. 동시에 모터가 전달할 수 있는 모멘트 또는 힘이 작아진다. 다음 단계에서, 모터의 스위칭 오프 과정 동안 센서 신호가 끼임 상황을 신뢰 가능하게 검출하기 위해 평가된다. 상기 방법은 모터가 즉시 차단되기 때문에 특히 확실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써, 인적 보호가 확실하게 보장된다.
종속 청구항들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사전에 지정된 주기tdec 내에 끼임 상황이 검출되는 방법의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주기 내에 센서 신호가 분석되고 끼임 상황이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된다. 모터 제어는 주기tdec의 종료시에 실시된다.
바람직하게, 사전에 지정된 주기tdec는 모터가 정지하는 주기tstop보다 더 짧다. 모터는 끼임 상황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동안 아직 작동한다. 즉, 모터는 아직 제로 속도로 제동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주기tstop는 요구 조건과 국가 표준에 따라 약 5 내지 20 밀리세컨드이다. 추가로, 모터 잡음은 시간 제한 요소로서 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기tdec는 상응하게 더 작고, 주기tstop의 약 4분의 1, 즉 약 1.25 내지 5 밀리세컨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모터의 회전수가 검출되고 평가된다. 이로써, 한편으로는 모터 속도가 결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수가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평가되는 센서 신호로서 제공된다. 모터 회전수는 홀 센서에 의해 또는 모터 전류의 측정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콜렉터에서의 리플이 평가된다. 제 1 리플이 나타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단계에서, 감소한 모터 속도가 검출되고 모터가 차단된다.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모터의 전류 신호 또는 나타나는 리플이 분석되므로, 약 3 내지 8 리플들 후에 신뢰할만한 끼임 상황의 평가가 실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모니터링 센서의 센서 신호가 평가된다. 상기 센서는 유일한 기능으로서 끼임 상황의 모니터링 및 검출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폐쇄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에 배치되는 경우, 구동 모터의 속도, 전류, 힘, 모멘트, 전압이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다. 대안으로서, 센서는 예컨대 폐쇄하려는 윈도우 또는 슬라이딩 루프에도 배치될 수 있고, 윈도우 또는 슬라이딩 루프의 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외선 센서 또는 광학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 용량 센서 또는 접촉 스트립도 끼임 상황 검출을 위한 기초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바람직하게 끼임 상황이 검출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이 바뀌고 모터의 속도가 상승한다. 이 경우 모터의 스위치 오프 과정은, 모터 속도가 가능한 빠르게 제로로 감소되며, 그 후 반대 방향으로 작동 속도 또는 최대 속도로 제어되도록 가속된다. 이로써, 끼임 상황의 검출시 윈도우 또는 슬라이딩 루프가 다시 개방되므로, 끼인 사람의 부상 위험 또는 끼인 물체의 손상 위험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끼임 상황이 없다고 검출되면, 모터가 다시 스위치 온되고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작동된다. 폐쇄 시스탬 내에 물체가 끼어있지 않으면, 모터가 가속되므로, 슬라이딩 루프 또는 윈도우의 폐쇄 과정이 계속 진행된다. 예컨대 차량이 울퉁불퉁한 도로를 주행하여 충격이 나타나고 이 충격이 차체 및 폐쇄 시스템에 전달되면, 폐쇄 시스템의 구동 모터의 모터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모터 속도의 감소는 개별 충격으로 제한되므로, 센서 신호의 평가에 의해 끼임 상황이 없다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끼임 상황을 결정하는 시점에서 모터가 폐쇄 방향으로 여전히 운동하면, 폐쇄 과정은 실제로 지연 없이 계속 진행된다. 모터 속도의 감소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느끼지 못할 정도로 작다. 이로써, 울퉁불퉁한 도로에서도 윈도우 리프터 또는 슬라이딩 루프의 페쇄 과정이 안락하게 진행된다. 이로써, 충격이 도로로부터 차체에 전달되기 때문에, 예컨대 윈도우가 계속 위 아래로 움직이는 것은 확실히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끼임 상황이 없는 경우, 분석된 센서 신호가 필터링된다. 이로써 울퉁불퉁한 도로에서 여러 차례의 충격이 차체에 가해지는 경우, 이 간섭 신호들이 제거되므로, 끼임 상황의 판단을 위해 상기 신호들이 더 이상 관찰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끼임 상황이 더 신뢰할만하고 더 신속하게 검출된다. 승차자 또는 끼인 물체에 대한 안전성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끼임 상황이 검출된 경우 모터의 특성 곡선이 모터가 차단되는 동안 고려된다. 정상의 경우,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비교적 일정한 모터 속도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모터는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한 센서 신호들의 분석 동안 제동된다. 이로써, 모터 속도의 변화된 특성 곡선이 생긴다. 변화한 모터 특성 곡선은 모터의 작동 및 최대 속도로부터 모터의 정지 상태로 강하하는 곡선이다. 상기 특성 곡선은 센서 신호들의 평가시, 특히 모터 전류 또는 모터 내로 유도되는 전압이 기초가 되는 경우, 고려되어야 한다. 이로써 끼임 상황의 검출시 신뢰성이 더 향상된다. 사람, 특히 승차자를 위한 폐쇄 시스템의 안전성이 훨씬 더 향상된다.
끼임 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모터, 검출 유닛, 제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시된다. 센서는 장치를 구동하는 모터를 모니터링한다. 센서 신호는 검출 유닛에 의해 평가된다. 이 경우 모터 속도의 변화 및 끼임 상황은 센서 신호의 분석에 의해 검출된다. 끼임 상황의 검출 후, 또는 모터 속도의 감소가 결정되면, 제어 장치는 모터를 제동하거나 또는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그리고 모터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모터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계속 작동시킨다. 모터가 즉시 제동되기 때문에, 즉, 끼임 상황의 최종적 검출 전에도 제동되기 때문에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 또는 힘이 감소된다. 이 방식으로 엄격한 표준 요구 조건이 간단하고 저렴한 전자 부품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끼임 상황을 검출하는 장치의 모터는 차량 내에 윈도우 리프터- 또는 슬라이딩 루프- 또는 테일게이트 장치용 구동기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끼임 상황이 검출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용시 모터 속도가 다시 주어지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끼임 상황이 없는 경우 모터 속도의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하기에는 도 1과 관련해서, 윈도우 리프터의 모터 속도의 특성이 설명된다. 도 1에는 차량이 평편한 도로에 위치하거나 또는 평편한 도로 위를 이동하는 경우, 즉, 모터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다양한 상황들에서 모터 속도 또는 회전수가 도시된다.
도 1에 파선으로 도시된 곡선은, 시점T0(4)에서 모터가 정상 작동에서 스위치 오프되면, 모터 속도가 작동 또는 최대 속도로부터 시간에 따라 강하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경우 예컨대 윈도우 리프터는 최종 위치로 이동되거나 또는 차량 승차자에 의해 정지된다.
곡선 2는 윈도우 리프터에 물체가 끼임으로 인해, 시점T0에서 모터 속도의 감소가 검출되는 경우의 모터 속도의 특성을 나타낸다. 후속해서 모터가 차단된다. 상기 차단 과정이, 끼임 상황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을 위한 센서 신호의 분석 없이 진행된다면, 시점Tstop(6)에서 모터 속도가 제로로 감소할 것이다. 상기 시점에서 모터의 정지가 실시된다. 모터가 정상 작동에서보다, "끼임 방지" 작동 방식에서 윈도우와 윈도우 테두리 사이에 끼인 물체에 의해 더 강하게 제동되기 때문에, 곡선 2는 곡선 1 보다 더 큰 기울기로 연장한다.
도 1의 곡선 3은 끼임 상황이 검출되고 모터가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경우 모터 속도의 특성을 도시한다. 시점TO(4)에서 감소된 모터 속도가 검출되고 모터가 스위치 오프된다. 그 후, 모터의 속도는 곡선 2를 따른다. 시점 T0(4)로부터 주기tdec 내에서, 끼임 상황이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시점Tdec(5)에서 끼 임 상황이 있는 경우, 모터 회전 방향이 반대로 바뀌고 모터 회전은 다시 최대 속도로 증가한다. 이로써, 모터 속도는 곡선 3을 따른다. 이 경우, 모터가 시점Tu(7)에서 매우 짧은 시간 후에 이미 방향 전환되는 것이 확인된다.
도 2에도 외부로부터 모터에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 모터 속도의 시간에 따른 특성이 도시된다. 이 경우는 차량이 울퉁불퉁한 도로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예컨대 연석(curb) 위를 주행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곡선 1은, 차량이 시점 T0(4)에서 예컨대 연석 위로 주행하는 경우이다.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은 모터로 전달된다. 이로써, 모터의 속도 또는 회전수는 모터의 속도가 곡선 1에 상응하도록 영향을 준다. 끼임 상황은 없다.
도 2에는 시점 T0(4)에서 모터 속도의 감소가 검출되는 상황이 도시된다. 이어서 모터가 스위치 오프된다. 모터 속도는 곡선 2를 따른다. T0 내지 Tdec(5)내에서, 끼임 상황이 없다는 것이 검출된다. 이 경우, 모터 속도는 끼임 상황이 없다는 결정 후 즉시 다시 증가한다. 모터 속도는 검출 시점 TErk로부터 곡선 3에 일치하고 곡선 2에는 더 이상 일치하지 않는다. 그 후, 곡선 3은 곡선 2를 따르는데, 왜냐하면 나타나는 충격이 이러한 상황에서도 모터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모터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된다.
스위치 오프된 모터로부터 시작해서, 단계 S1에서, 폐쇄 시스템, 예컨대 윈도우 리프터가 폐쇄되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질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신호가 없다면 모터는 스위치 오프된 채로 유지된다.
폐쇄 시스템의 폐쇄에 대한 요구가 있다면, 단계 S2에서 모터가 작동되고 또 한 모터 속도가 모니터링된다. 동시에 모터가 스위치 온되고 회전을 시작한다. 단계 S3에서 모터 속도의 감소가 있는지의 여부, 특히 비정상 감소가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모터 속도의 감소가 검출되면, 단계 S2의 순서로 돌아가고 모터 속도가 더 모니터링된다.
모터 속도의 감소가 단계 S3에서 검출되면, 단계 S4에서 모터가 스위치 오프되고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센서 신호가 분석된다. 본 방법은 모터 속도 또는 회전수가 편차가 최소인 경우에도 반응할 수 있다. 모터가 즉시 스위치 오프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수 및 모멘트가 감소된다. 센서 신호를 기초로, 끼임 상황이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것은 주기 tdec 내에서 이루어진다.
다음 단계 S5에서 끼임 상황이 검출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끼임 상황이 있으면, 단계 S6에서 모터 회전 방향이 바뀌고 모터는 최대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대 회전 방향으로 가속된다. 사전에 규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즉 예컨대 윈도우 리프터가 윈도우를 사전에 규정된 구간만큼 아래로 이동시키면, 모터가 정지된다. 이를 위해 도 3의 순서도에 따라 "모터 오프" 위치로 복귀된다.
단계 S5에서는, 끼임 상황이 없으면, 또는 끼임 상황이 없다고 결정되면, 단계 S7에서 모터 속도가 다시 상승하고 모터가 동일 회전 방향으로 계속 진행한다. 추가로, 분석된 센서 신호가 저장되고 필터링되므로, 이러한 센서 신호가 다음 처리 단계에서 더 이상 관찰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특히, 필터링된 신호가 도로의 울퉁불퉁함 및 열악한 도로 포장에 의해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얻어지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어서 모터 속도의 모니터링이 단계 S2에 상응하게 진행된다.

Claims (11)

  1.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에 있어서,
    모터 속도의 감소를 검출하는 단계;
    감소된 모터 속도의 검출에 따라 모터를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
    모터의 스위치 오프 과정 동안,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센서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끼임 상황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끼임 상황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끼임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끼임 상황이, 사전에 지정된 주기(tdec) 내에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tdec)는, 상기 모터가 스위치 오프된 후 정지될 때까지의 주기(tstop)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검출되고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끼임 상황의 검출을 위해, 모니터링 센서의 센서 신호가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시스템 내에 물체가 끼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바뀌고, 상기 모터의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시스템 내에 물체가 끼어있지 않다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모터가 다시 스위치 온되고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분석된 센서 신호가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끼임 상황이 검출되면, 모터 차단의 특성 곡선이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방지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 검출 유닛, 제어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끼임 상황을 검출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차량 내에 윈도우 리프터-, 슬라이딩 루프-, 또는 테일게이트 장치용 구동기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 상황을 검출하는 장치.
KR1020087014498A 2005-12-16 2006-10-12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106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60325.4 2005-12-16
DE102005060325A DE102005060325A1 (de) 2005-12-16 2005-12-1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klemmschutz für ein motorbetriebenes Schließsystem
PCT/EP2006/067326 WO2007071471A1 (de) 2005-12-16 2006-10-1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KLEMMSCHUTZ FÜR EIN MOTORBETRIEBENES SCHLIEß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310A KR20080080310A (ko) 2008-09-03
KR101106475B1 true KR101106475B1 (ko) 2012-01-20

Family

ID=3745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498A KR101106475B1 (ko) 2005-12-16 2006-10-12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7902B2 (ko)
EP (1) EP1964229B1 (ko)
JP (1) JP2009519696A (ko)
KR (1) KR101106475B1 (ko)
DE (1) DE102005060325A1 (ko)
WO (1) WO2007071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4213A1 (de) * 2010-12-27 2012-06-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Bewegungsangabe, insbesondere für eine Blockiererkennung eines Schließsystems
CN104271376B (zh) * 2012-02-27 2017-11-2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控制机动车中的窗玻璃的移动的方法和电子控制单元
DE102012209073A1 (de) * 2012-05-30 2013-12-05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lektromechanischen Verstellvorrichtung
DE102012017273A1 (de) * 2012-08-31 2014-03-06 Leopold Kostal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des Schließvorgangs von Schließvorrichtungen mit einem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n, bewegten Element
US11512505B2 (en) 2016-03-31 2022-11-29 Trimark Corporation Motorized movable strike for a vehicle door
DE102016208946A1 (de) * 2016-05-24 2017-11-30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Bewegungsbeeinträchtigung in einer Antriebsvorrichtung
DE102016213761A1 (de) * 2016-07-27 2018-02-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Einklemmung und/oder Schließkraftbegrenzung eines durch einen elektrischen Motor bewegbaren Teils
US10030432B1 (en) 2017-06-20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window motion control
US11611297B2 (en) 2020-09-18 2023-03-21 Gentherm Inc. Anti-pinch motor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7265A1 (en) * 2002-01-21 2003-07-24 International Rectifier Corp. Anti-pinch window drive circuit
JP2005232753A (ja) * 2004-02-18 2005-09-02 Aisin Seiki Co Ltd 開閉体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7110A1 (de) * 1998-06-18 1999-12-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Schiebedaches
JP2001220948A (ja) * 2000-02-10 2001-08-17 Tokai Rika Co Ltd ウインドウガラスの挟持有無検出装置
US6936984B2 (en) * 2000-08-28 2005-08-30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power window of a vehicle
US6366042B1 (en) * 2001-02-14 2002-04-02 Motorola, Inc. Anti-pinch power window system and method
JP4287070B2 (ja) * 2001-04-02 2009-07-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パワーウインド挟み込み防止装置
JP4732628B2 (ja) * 2001-07-25 2011-07-27 アスモ株式会社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原点位置設定方法
US7127848B2 (en) 2001-07-25 2006-10-31 Asmo Co., Ltd. Controller for a moving member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DE102005006093A1 (de) * 2004-04-23 2005-11-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Nachrüstsatz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FR2876727B1 (fr) * 2004-10-15 2007-02-16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Procede d'activation d'un systeme anti-pincement
US7170244B2 (en) * 2005-03-18 2007-01-30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Power closure with anti-pin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7265A1 (en) * 2002-01-21 2003-07-24 International Rectifier Corp. Anti-pinch window drive circuit
JP2005232753A (ja) * 2004-02-18 2005-09-02 Aisin Seiki Co Ltd 開閉体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4229A1 (de) 2008-09-03
WO2007071471A1 (de) 2007-06-28
DE102005060325A1 (de) 2007-06-21
US20090237024A1 (en) 2009-09-24
KR20080080310A (ko) 2008-09-03
JP2009519696A (ja) 2009-05-14
US7977902B2 (en) 2011-07-12
EP1964229B1 (de)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475B1 (ko) 모터 작동식 폐쇄 시스템용 끼임 방지 방법 및 장치
JP3924548B2 (ja) ウィンドウガラスの挟み込み有無検出装置
US7411364B2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controller
JP3294121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728312B1 (ko) 리드 액추에이터 내 커플링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567194B2 (ja) 自動車の電気的に作動される集合体の動きを電気的に制御及び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002228A (en) Device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a motor vehicle displacement mechanism
US9617777B2 (en) Vehicle window opening device
JP2004506110A (ja) 非接触センサを有する乗物閉止はさみ防止組立体
JPH05268720A (ja) 電気モータにより駆動されるカバー部材を監視する回路装置
US20120191305A1 (en) Clos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4436971B2 (ja) スライドサンルーフの制御のための方法
JPH0776973A (ja) 回動的据え付け部分の位置、回転方向そして回転速度、或はその何れかを検出する方法
JP2000509344A (ja) 車載の調整駆動装置を電気的に監視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6877280B2 (en) Method of sliding a vehicle door by a powered sliding door
KR20180136510A (ko) 구동 장치의 움직임 장애를 인식하는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335616A1 (e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n Automatically Closing Hatch
KR100938134B1 (ko) 전기로 작동 가능한 장치에서 역전 과정을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방법
KR101141218B1 (ko) 끼임 방지가 감지되는 차량 개방부의 폐쇄 방법 및 장치
JPH09125815A (ja) パワーウィンドウ駆動制御装置
JP3304581B2 (ja) 車両用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CN107327243A (zh) 一种电动尾门控制方法
JPH0921273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JP4135706B2 (ja) 開閉制御装置
JP4018494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