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339B1 -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339B1
KR101106339B1 KR1020050037269A KR20050037269A KR101106339B1 KR 101106339 B1 KR101106339 B1 KR 101106339B1 KR 1020050037269 A KR1020050037269 A KR 1020050037269A KR 20050037269 A KR20050037269 A KR 20050037269A KR 101106339 B1 KR101106339 B1 KR 10110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ld air
coolant
door li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007A (ko
Inventor
강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33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요입 형성된 저장실을 밀폐하는 아웃도어와, 상기 아웃도어의 하측에 배열되는 도어라이너, 그리고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서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의 개폐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에는 상기 본체 저장실의 냉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냉기유입홀이 개구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열재의 발포에 의해 상기 도어라이너에 밀착되며 상기 복수의 냉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기를 흡수하는 축냉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폐도어의 개폐 시에 발포 형성된 단열재 하부에 배치된 축냉제가 흡수하고 있던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 내에 침투한 외부 열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KIMCHI-REFRIGERATOR DOOR INTO WHICH A COLD-AIR CONTAINING MATERIAL IS INSERTED}
도 1은 개폐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김치냉장고의 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폐도어에 대한 종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개폐도어의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개폐도어 23: 아웃도어
31: 도어라이너 32: 돌출부
33: 냉기유입홀 34: 축냉제
35: 외주경계벽 36: 내주경계벽
111: 본체 113: 저장실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도어의 개폐 시에 발포 형성된 단열재 하부에 배치된 축냉제가 흡수하고 있던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 내에 침투한 외부 열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보관되어 왔으나, 이는 일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즉, 일반 냉장고에 있어서, 잦은 냉장고 도어의 개폐에 의해 내부 온도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며,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러한 조건들은 발효식품인 김치의 보관에는 부적절하며 이에 따라 김치의 보존기간이 단축되며 적당한 숙성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김치냉장고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김치냉장고는 개폐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크게 뚜겅식(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회동하여 개폐됨), 서랍식(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전면부에 에 배치되며 슬라이딩되어 인출됨), 복합식(상부는 뚜껑식으로 하부는 서랍식으로 구성됨)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개폐도어가 김치냉장고의 상부에 배치된 뚜겅식 김치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뚜껑식 김치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김치냉장고는 일정한 볼륨을 가져서 김치 등을 담은 용기(미도시)가 수납되는 저장실(113)이 요입되어 형성된 본체(111)와, 본체(111)에 힌지부(117)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11)의 밀착외주면(115)에 밀착 결합되어 저장실 (113) 내의 냉기를 유지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도어(121), 그리고 본체(111) 내부에 설치되어서 저장실(113)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 조절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장실(113)은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 저장실(113)을 밀폐하는 개폐도어(121)도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개폐도어에 대한 종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개폐도어(121)는 외부에 배치되는 아웃도어(123)와, 아웃도어(123)의 하측에서 결합하는 도어라이너(125), 그리고 도어라이너(125)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된 요입부{돌출부(126)의 반대측}에 삽입되는 탈취제(미도시)를 감싸기 위하여 도어라이너(125)의 저면에 결합하는 탈취제커버(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저장실(113) 내의 열이 개폐도어(121)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웃도어(123)와 도어라이너(125)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발포된다. 이러한 단열재는 개폐도어(121)를 밑에 배치하고 도어라이너(125)를 그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도어라이너(125)의 돌출부(126)의 중앙에 형성된 주입구(129)를 통하여 단열재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액이 발포됨으로써 형성된다.
나아가, 도어라이너(125)의 요입부에는 탈취제와 함께 축냉제가 삽입되어 개페도어(121)의 개폐 시에 외부에서 저장실(113) 내로 침투하는 열기를 냉각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축냉제는 그 설치 공간이 제한적이여서, 개폐도어(121)의 개폐 시에 외부에서 침투한 열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는데 충분하 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개폐도어의 개폐 시에 발포 형성된 단열재 하부에 배치된 축냉제가 흡수하고 있던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 내에 침투한 외부 열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는 본체에 요입 형성된 저장실을 밀폐하는 아웃도어와, 상기 아웃도어의 하측에 배열되는 도어라이너, 그리고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서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의 개폐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에는 상기 본체 저장실의 냉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냉기유입홀이 개구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열재의 발포에 의해 상기 도어라이너에 밀착되며 상기 복수의 냉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기를 흡수하는 축냉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라이너의 상면부에는 상기 축냉제의 외주 경계를 한정짓는 외주경계벽과, 상기 축냉제의 내주 경계를 한정짓는 내주경계벽이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기유입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장홀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는 저장실이 요입되어 형성된 김치냉장고의 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및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뚜껑식 김치냉장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별도의 도시는 생략한 채로 원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개폐도어(21)는 본체(111)에 요입 형성된 저장실(113)을 밀폐하는 아웃도어(23)와, 아웃도어(23)의 하측에 배열되는 도어라이너(31)와, 도어라이너(31)의 저면에 형성된 요입부{돌출부(32)의 반대쪽}에 삽입되는 탈취제(미도시) 및 이를 감싸는 탈취제커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폐도어(21)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축냉제(34)를 개폐도어(21)의 보다 넓은 면적에 설치하고자, 아웃도어(23)의 저면과 도어라이너(31)의 상면 사이에 저장실(113)의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미도시)만이 발포 형성되는 구조와 달리, 발포 형성되는 단열재 하부에 축냉제(34)를 배치하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축냉제(34)는 저장실(113)의 냉기를 흡수하고 있다가 개폐도어(21)가 열렸다가 닫혔을 때 유입되는 뜨거운 외부 공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로써 저장실(113)의 온도가 보다 신속하게 설정 온도로 복귀하게 된다.
축냉제(34)가 저장실(113)로부터 냉기를 공급받기 위하여 축냉제(34)가 배치되는 도어라이너(31)에는 복수의 냉기유입홀(33)이 관통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냉기유입홀(33)은 도어라이너(31)를 관통하여 저장실(113)의 냉기를 도어라이너(31)의 상면에 놓이는 축냉제(34)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느 형태나 가능하다.
그러한 형태의 일 예로서 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유입홀(33)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개구된 장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최대한의 냉기를 관통시키면서도 축냉제(34)와 단열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축냉제(34)는 젤리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비닐과 같은 물질에 담겨서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축냉제(34)의 배치 면적을 한정하기 위하여, 도어라이너(31)의 상면부에는 축냉제(34)의 외주 경계를 한정짓는 외주경계벽(35)을 형성한다. 나아가, 돌출부(32)의 외주를 감싸며 축냉제(34)의 내주 경계를 한정짓는 내주경계벽(36)이 돌출 형성한다.
이제, 이러한 축냉제(34)의 설치 형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라이너(31)에 일정한 형상의 냉기유입홀(33)을 개구하여 형성한다. 도어라이너(31)의 상면부에는 축냉제(34)의 설치 면적을 한정하는 내주경계벽(36)과 외주경계벽(35)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냉기유입홀(33)과 내주경계벽(36), 그리고 외주경계벽(35)은 일체로 사출할 수도 있고, 도어라이너(31)의 제작 후에 별도로 가공할 수도 있으나, 통상은 전자가 가공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도어라이너(31) 위에 축냉제(34)를 배치한다. 축냉제(34)는 젤리 형태의 상태를 가져서 비닐 등에 담겨있는 채로 외주경계벽(35) 및 내주 경계벽(36)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놓이게 된다. 다음으로 아웃도어(23)를 축냉제(34) 위에 덮어서, 발포재가 내장되지 않은 채로 개폐도어(21)를 결합한다.
이러한 개폐도어(21)를 뒤집어서 도어라이너(31)의 돌출부(32) 중앙에 개구된 주입구(39)를 통해서 단열재의 발포액을 주입한다. 그러면 단열재 발포액이 발포되면서 단열재가 개폐도어(21)의 내부에 충진된다. 그에 따라 단열재는 축냉제(34)를 냉기유입홀(33)이 형성된 도어라이너(31)의 상면 측으로 압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축냉제(34)는 개폐도어(21)의 내부에서 발포재와 도어라이너(31) 사이에서 보다 폭 넓게 형성되어 도어라이너(31)에 형성된 냉기유입홀(33)을 통하여 저장실(113)의 냉기를 충분히 흡수했다가 개폐도어(21)가 열렸다가 닫힌 후에 배출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개폐도어(21)를 열었다가 닫음으로 인하여 저장실(113) 내부로 침투한 외부의 뜨거운 공기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어서, 김치냉장고의 전체적인 냉각 효율이 개선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는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21)는 저장실(113)이 요입되어 형성된 본체(111)의 상부에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형태로서, 전술한 뚜껑식 김치냉장고에 채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는 개폐도어의 개폐 시에 발포 형성된 단열재 하부에 배치된 축냉제가 흡 수하고 있던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실 내에 침투한 외부 열기를 보다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에 요입 형성된 저장실을 밀폐하는 아웃도어와, 상기 아웃도어의 하측에 배열되는 도어라이너, 그리고 상기 아웃도어와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서 발포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의 개폐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에는 상기 본체 저장실의 냉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냉기유입홀이 개구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도어라이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열재의 발포에 의해 상기 도어라이너에 밀착되며 상기 복수의 냉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냉기를 흡수하는 축냉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상면부에는 상기 축냉제의 외주 경계를 한정짓는 외주경계벽과, 상기 축냉제의 내주 경계를 한정짓는 내주경계벽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기유입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장홀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는 저장실이 요입되어 형성된 김치냉장고의 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KR1020050037269A 2005-05-03 2005-05-03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KR10110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69A KR101106339B1 (ko) 2005-05-03 2005-05-03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69A KR101106339B1 (ko) 2005-05-03 2005-05-03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07A KR20060115007A (ko) 2006-11-08
KR101106339B1 true KR101106339B1 (ko) 2012-01-18

Family

ID=3765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69A KR101106339B1 (ko) 2005-05-03 2005-05-03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3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284A (ja) * 1984-10-15 1986-05-14 東京瓦斯株式会社 地下敷設管の外面補修工法
JPS6196284U (ko) 1984-11-28 1986-06-20
JP2001201225A (ja) 2000-01-20 2001-07-27 Sanden Corp 保冷ボックス
JP2004251566A (ja) 2003-02-21 2004-09-09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KR100451710B1 (ko) 1997-08-2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냉실을갖는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284A (ja) * 1984-10-15 1986-05-14 東京瓦斯株式会社 地下敷設管の外面補修工法
JPS6196284U (ko) 1984-11-28 1986-06-20
KR100451710B1 (ko) 1997-08-2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냉실을갖는냉장고
JP2001201225A (ja) 2000-01-20 2001-07-27 Sanden Corp 保冷ボックス
JP2004251566A (ja) 2003-02-21 2004-09-09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07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517B1 (ko) 보조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및 보조도어 제조방법
US6619070B2 (en) Kimchi refrigerator
JP3649827B2 (ja) 冷蔵庫
KR101106339B1 (ko)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JPH10259986A (ja) 冷蔵庫
JP3243180B2 (ja) 断熱箱体
JP3389390B2 (ja) 冷蔵庫
KR102370091B1 (ko) 냉장고
KR100285044B1 (ko) 김치 저장고용 도어
KR100823232B1 (ko) 음식저장고용 서랍
JP3600579B2 (ja) 冷蔵庫
JPH10205998A (ja) 冷蔵庫
KR100666683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보존장치
JPH05164449A (ja) 冷凍冷蔵庫
KR100595721B1 (ko) 김치냉장고의 냉각장치
JP2004293990A (ja) 冷蔵庫
JP3896345B2 (ja) 冷蔵庫
KR19980027187U (ko) 냉장고의 냉기누출 방지장치
JPH10259985A (ja) 冷蔵庫
KR100823295B1 (ko) 직냉식 냉장고
KR101771593B1 (ko) 냉장고
KR0133348Y1 (ko) 냉장고의 특냉실 카바
KR101674525B1 (ko) 김치냉장고
KR100395968B1 (ko)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JP201404793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