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968B1 -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968B1
KR100395968B1 KR10-2001-0000953A KR20010000953A KR100395968B1 KR 100395968 B1 KR100395968 B1 KR 100395968B1 KR 20010000953 A KR20010000953 A KR 20010000953A KR 100395968 B1 KR100395968 B1 KR 100395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s hole
gas
outsid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525A (ko
Inventor
김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0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9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fillings for cavity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유출되는 발포액의 양을 더욱 적게하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단열 발포액이 충진되어 있는 도어(22)와, 상기 도어면의 일측에 요입 성형되어 힌지공의 역할을 하는 통형상부(34), 그리고, 상기 통형상부(34)에 성형되어, 상기 단열 발포액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하는 쐐기 형상의 가스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스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발포액의 유출이 극히 적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Structure of Forming Gas Hole in Refrigerator Do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단열 발포액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가스홀을 통해서 유출되는 발포액의 양을 더욱 미량으로 하기 위한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의 구동에 의해서 냉기를 형성하고, 상기 냉기를 저장공간으로 공급하여, 저장공간 내의 음식물을 일정온도로 유지 보관하기 위한 냉동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 내의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공간은 저온으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냉장고 저장공간의 냉기 유출을 막고 저장공간을 일정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단열재를 사용하여 저장공간과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한다.
상기 단열재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는 물론, 상기 저장공간의 냉기 유출을 막고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도 충진되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냉장고 도어의 내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2)의 외측은 아웃케이스(4)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4)는 통상 철판으로 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부터 내부를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내측은 도어라이너(6)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라이너(6)에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재질은 통상 ABS 수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상부에는 도어상부케이스(8)(이하에서는 ‘상부케이스’라 칭한다) 설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8)는 상기 아웃케이스(4)와 도어라이너(6)를 연결하며, 상기 도어(2)의 상면을 구성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2)의 하부에는 도어하부케이스(10)(이하에서는 ‘하부케이스’라고 칭한다)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상기 아웃케이스(4)와 도어라이너(6)를 연결하며, 상기 도어(2)의 하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4), 도어라이너(6), 상부케이스(8) 그리고, 하부케이스(10)에 의해서 형성되는 폐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된다. 상기 단열재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폼(foam) 등의 발포액(도시 생략)이 사용된다. 상기 발포액은 특정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면 고체로 되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이 고체로 경화하는 과정에서 프레온 등의 가스가 유리되기 때문에, 상기 발포액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셀로 구성된 발포 다공질이 된다.
상기 도어라이너(6)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가스홀(5)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가스홀(5)을 통해서 상기 발포액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유출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냉장고 도어 형성구조에 의한 발포액 주입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어(2)의 아웃케이스(4)에 상기 상부케이스(8)가 도어(2)의 상부에 자리 잡고, 상기 하부케이스(10)가 도어(2)의 하부에 자리잡은 상태에서, 발포액을 주입시킨다.
상기 발포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라이너(6)를 상기 상부케이스(8)와 하부케이스(10)에 맞추어서 도어(2)의 외관을 조립 완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 도어(2) 내부 공간에 충진된 발포액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한다. 상기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도어(2) 내부의 충진공간에 내버려 두면, 충진해야 할 공간에는 상기 가스의 존재 때문에 미충진 공간이 생긴다.
상기와 같이 도어(2) 내부에 미충진 공간이 생기면 단열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도어(2) 외부로 유출시켜야 하는데, 상기 가스홀(5)을 통해서 상기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유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스홀(5)을 통해서는, 상기 발포액이 발포되는 과정에서 소량의 발포액도 상기 가스와 함께 유출된다.
상기 도어라이너(6)의 표면에 성형되어 있는 상기 가스홀(5)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가스홀(5)을 통해서 유출된 발포액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발포액이 외부로 노출되면,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발포액을 제거할 경우,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가스홀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홀을 통해서 유출되는 발포액의 양을 더욱작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가스홀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홀이 성형되어 있는 냉동실 도어의 내측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스홀이 성형되어 있는 냉동실 도어의 설명도.
도 3은 도 2의 B부 상세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2 ....... 도어 4,24 ....... 아웃케이스
5,40 ....... 가스홀 6,26 ....... 도어라이너
8,28 ....... 도어상부케이스 10,30 ...... 도어하부케이스
31 ......... 도어손잡이 34,34′...... 통형상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가스홀 형성구조는,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단열 발포액이 충진되어 있는 도어, 상기 도어면의 일측에 요입 성형되어 있는 통상부, 그리고, 상기 통상부에 성형되어, 상기 단열 발포액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하는 가스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스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량의 발포액이 상기 가스홀을 통해서 유출되더라도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가스홀 형성구조는, 상기 가스홀이, 상기 통상부의 저면의 가장자리에 쐐기 형상으로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스홀을 통해서 유출되는 발포액은 상기 가스홀의 외벽과 접촉되어 유동하므로, 발포액의 유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가스홀은, 그 입구부에서 출구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가스홀 형성구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스홀을 통해서 유출되는 발포액의 양이 더욱 적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냉장고 가스홀 형성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 2 내지 도 4를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22)의 외측은 아웃케이스(24)에 의해서 구성되고, 도어(22)의 내측은 도어라이너(26)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2)의 상부에는 도어상부케이스(28)(이하에서는 ‘상부케이스’라고 칭한다)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8)는 상기 아웃케이스(24)와 도어라이너(26)를 연결하고, 도어 (22)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케이스(28)의 좌우 양단에는 소정 깊이를 가진 통형상부(34)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34)는 도어(22)의 개폐를 위한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도시생략)이 삽입되는 힌지공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22)의 하부에는 도어하부케이스(30)(이하에서는 ‘하부케이스’라 칭한다)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는, 상기 상부케이스(28)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22)의 하면을 형성하면서 아웃케이스(24)와 도어라이너(26)를 연결한다.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좌우 양측에도 힌지공의 역할을 하는 통형상부(34′)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22)를 개폐하는 경우 도어 파지를 위한 도어손잡이(31)가 상기 통형상부(34′) 사이에 성형되어 있다.
다음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서, 상기 통형상부(34,34′) 내부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4의 A부 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상부케이스(28)에 성형되어 있는 통형상부(34)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하부케이스(30)에 성형되어 있는 통형상부(34′)의 구성도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과 동일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형상부(34)에는 가스홀(40)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가스홀(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상부(34)의 저면 가장자리에 쐐기 형상으로 절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쐐기 형상의 가스홀(40)은 그 입구부가 넓고 출구부가 좁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스홀(40)이 성형되어 있는 곳은, 통형상부(34,34′) 내부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상기 도어(22)의 표면에 형성되어 가스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성,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형성이면 충분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24)에 상기 상부케이스(28) 및 하부케이스(30)를 위치시키고, 발포액을 주입한다. 상기 발포액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도어라이너(26)를 상부케이스(28)와 하부케이스(30)에 결합시켜서 도어(22)의 외관을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발포액이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통형상부(34,34′)에 성형된 가스홀(40)을 통해서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홀(40)을 통해서 가스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발포액도 함께 유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가스홀(4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스홀(40)을 통해서 유출되는 발포액은 극미량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스홀(40)을 통해서 발포액이 유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가스홀(40)은 통형상부(34) 저면의 가장자리를 쐐기모양으로 절제, 즉 따내어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가 유출되는 입구부는 넓게 형성되어 있고, 출구부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는 원활하게 유출되지만, 발포액의 유출은 어렵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홀(40)의 사면의 면적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포액이 통형상부(34)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스홀(40)의 유동저항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발포액은 극미량만 통형상부(34)로 유출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홀(40)의 구조인 쐐기형상(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인 경우에는 부채꼴 형상)의 중심각이 크면 클수록, 발포액이 유동하면서 가스홀(40)의 사면과 접촉하는 면이 넓어져서, 외부로 유출되는 발포액의 양은 줄어들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홀(40)을 상부케이스(28)에 성형되어 있는 기존의 통형상부(34)의 내부에 성형하는 구성으로 하여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가스홀 형성구조를 실현하고 있다. 물론, 상기 가스홀(40)이 성형되는 곳은 통형상부(34)에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단열 발포액의 경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유출하는 가스홀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곳에 성형함으로서, 발포액의 유출에 따른 미관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된다.
또한, 가스홀을 출구쪽으로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발포액은 극미량만이 유출된다. 그리고, 발포액이 가스홀의 사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음으로 인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발포액의 양은 극히 적다.

Claims (3)

  1.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 단열 발포액이 충진되어 있는 도어;
    상기 도어면의 일측에 요입 성형되어 있는 통형상부; 그리고,
    상기 통형상부에 성형되어, 상기 단열 발포액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외부로 유출하는 가스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홀은, 상기 통형상부의 저면의 가장자리에 쐐기 형상으로 절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홀은, 그 입구부에서 출구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가스홀 형성구조.
KR10-2001-0000953A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KR100395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53A KR100395968B1 (ko)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953A KR100395968B1 (ko)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25A KR20020059525A (ko) 2002-07-13
KR100395968B1 true KR100395968B1 (ko) 2003-08-27

Family

ID=19704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953A KR100395968B1 (ko) 2001-01-08 2001-01-08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9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525A (ko) 200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968B1 (ko) 냉장고 도어 가스홀 형성구조
JPWO2018066101A1 (ja) 冷蔵庫
JPH08152254A (ja) 冷凍冷蔵庫
JP3243180B2 (ja) 断熱箱体
KR200335672Y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의 지지구조
KR100441577B1 (ko) 냉장고
KR100366459B1 (ko) 냉장고 백플레이트 구조
KR101106339B1 (ko) 김치냉장고의 축냉제 내삽형 개폐도어
KR19990029526U (ko) 냉장고 도어의 에어벤트
KR200184618Y1 (ko) 냉장고의 밑판 결합구조
KR100534123B1 (ko) 김치냉장고
KR100618222B1 (ko) 냉장고의 캡 데코 구조
JP3896345B2 (ja) 冷蔵庫
KR101065531B1 (ko) 냉장고의 도어덕트구조
KR200169606Y1 (ko) 김치저장고
KR200340665Y1 (ko) 냉장고용 도어의 가스배출구조
KR100842386B1 (ko) 냉장고 인너케이스의 베리어부 실링구조
KR100585800B1 (ko) 개선된 방열 구조를 갖는 냉장고 캐비넷의 발포 성형 장치
KR200184619Y1 (ko) 냉장고의 중간벽
KR100745805B1 (ko) 냉장고용 물탱크
JPS5815827Y2 (ja) 冷凍冷蔵庫
KR200302804Y1 (ko) 냉장고 도어
KR100364997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KR200452216Y1 (ko) 단열패드를 구비한 김치냉장고
KR100199974B1 (ko) 냉장고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