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17B1 - 터치 윈도우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17B1
KR101104317B1 KR1020100085875A KR20100085875A KR101104317B1 KR 101104317 B1 KR101104317 B1 KR 101104317B1 KR 1020100085875 A KR1020100085875 A KR 1020100085875A KR 20100085875 A KR20100085875 A KR 20100085875A KR 101104317 B1 KR101104317 B1 KR 10110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upper electrode
insertion portio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윈도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외부로부터 터치 윈도우 장치 내부로의 염분등의 침투 가능성을 최소화 한 터치 윈도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로서, 판상의 하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판에 대응되는 상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필름 및, 상기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는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상기 상부 전극판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 및 돌출부를 수용하는 컷 아웃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장치{TOUCH WINDOW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윈도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외부로부터 터치 윈도우 장치 내부로의 염분등의 침투를 최소화 한 터치 윈도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터치 윈도우 장치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상부 전극판(10)과 하부 전극판(30)이 접착필름(20)에 의해 접착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전극판(10)과 하부 전극판(30)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40)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 하게 된다.
상기 상부 전극판(10)에는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이 삽입되기 위한 컷아웃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착필름(20)도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이 삽입되는 부분은 제거되어 있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상부 전극판(10)과 하부 전극판(30)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접착필름(20)은 OCA(Optical Clear Adhesives) 필름으로서, 합착(Lamination) 및 오토 클레이브(Auto clave) 공정을 거쳐 상기 상부 전극판(10) 및 하부 전극판(30)을 상호 접착시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해 볼 때, 상부 전극판(10)과 하부 전극판(30)의 일측 선단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이 삽입되는데,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접착필름(20)이 제거된 부분은 실제적으로 외부의 파티클 및 수분등의 이물질에 대해 노출된 상태이고, 확대도의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이물질이 쉽게 칩입하는 경로가 확보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베어(Bare) 상태, 즉 상부 전극판(10)과 하부 전극판(30), 그리고 연성인쇄회로기판(40)이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상태에서 염수의 침투에 대한 테스트를 거치는 바, 상기와 같은 연성인쇄회로기판(40)이 삽입되고 접착필름(20)이 제거된 부분의 경로를 통해 염수가 침투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상기와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투는 궁극적으로 터치 윈도우 장치의 불량을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그에 따라 수율이 하락하는 단점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전극판 및 하부 전극판에 삽입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의 형상 및 상부 전극판에 형성되는 컷아웃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 한 터치 윈도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로서, 판상의 하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판에 대응되는 상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필름 및, 상기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는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상기 상부 전극판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 및 돌출부를 수용하는 컷 아웃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상기 상부 전극판의 컷 아웃부는 레이져 커팅 공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가 수용되도록 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 및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돌출부는 복수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와 상부 전극판의 컷 아웃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로가 다소 길어지게 함으로서 최종적으로 삽입부 및 상부 전극판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금속패드에 상기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 하여 이물질 침투에 의한 불량품 발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윈도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터치 윈도우 장치의 이물질 침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이물질의 침투 최소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이물질의 침투 최소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터치 윈도우 장치에서 종래와 구분되는 사항은 연성인쇄회로기판(40)의 삽입부(41')의 형상을 개선한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1')의 측면에 돌출부(42')를 더 형성하여 외부 이물질의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더 길게 함으로써 외무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 전극판(10)에 형성되는 컷 아웃부 역시 상기 개선된 삽입부(4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레이저컷 공정을 통해 상기 삽입부(41') 및 돌출부(42')가 모두 수용되도록 홈으로 마련됨이 바람직 하다.
또한, 접착필름(20') 역시, 제거부(21')가 마련되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의 돌출부(42')가 상기 제거부(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42')는 연성인쇄회로기판(40')의 삽입부(41')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돌출방향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의 삽입부(41')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 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동일하게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40')의 삽입부(41')와 접착필름(20')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의 침투가 이루어지지만, 상기 돌출부(42')의 추가로 침투경로가 종래보다 더 덜어지게 되어 전기적 접촉을 위한 금속패드(미도시)에 상기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최소화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성인쇄회로기판(40')의 삽입부(41')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양측면으로 각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의 선단에 그 수직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침투하는 경로가 더 길어지도록 함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 의한 더 다양한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음은 당연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상부 전극판 20' : 접착필름
21' : 접착필름의 제거부 40' : 연성인쇄회로기판
41' : 삽입부 42' : 돌출부

Claims (6)

  1. 판상의 하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판에 대응되는 상부 전극판과,
    상기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필름 및,
    상기 하부 전극판과 상부 전극판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는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판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 및 돌출부를 수용하는 컷 아웃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판의 컷 아웃부는 레이져 커팅 공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를 수용하도록 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삽입부 및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윈도우 장치.
KR1020100085875A 2010-09-02 2010-09-02 터치 윈도우 장치 KR10110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875A KR101104317B1 (ko) 2010-09-02 2010-09-02 터치 윈도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875A KR101104317B1 (ko) 2010-09-02 2010-09-02 터치 윈도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317B1 true KR101104317B1 (ko) 2012-01-13

Family

ID=4561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875A KR101104317B1 (ko) 2010-09-02 2010-09-02 터치 윈도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3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79A (ko) * 2003-10-28 2005-05-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요철 형상의 fpcb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폰
KR20070103833A (ko) * 2006-04-20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080038920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용 필름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100048528A (ko) * 2008-10-31 2010-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79A (ko) * 2003-10-28 2005-05-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요철 형상의 fpcb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폰
KR20070103833A (ko) * 2006-04-20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080038920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용 필름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액정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100048528A (ko) * 2008-10-31 2010-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223016A (en) Connector apparatus
JP2009295537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7184276A (ja) 差し込み接続コネクタ
JP2012221592A (ja) コネクタ
WO2012080843A3 (en) High speed edge card connector
JP201006745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94357A1 (en) Connector
JP2007109499A (ja) コンタクト部材、コネクタ、基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5253016B2 (ja) 回路基板
US8721370B2 (en) USB connector
US20130115428A1 (en) Substrate gap suppor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104317B1 (ko) 터치 윈도우 장치
JP2008147192A (ja) プリント基板差込みコネクタにおける差込みエラーを防止するロック装置
JP6281698B2 (ja) コネクタ装置
TW201616734A (zh) 半導體記憶裝置
CN102349143A (zh) 用于测试膜封装的探测卡
JP6485207B2 (ja) 圧入部材付きプレスフィットピン及びコネクタ
KR20070104500A (ko) 프로브 블록
US7210944B1 (en) Connector
KR20180036407A (ko) 전자 장치의 접촉 소자 및 접촉 구조
JP2011210375A (ja) コネクタピン、プレスフイットコネクタおよびプレスフイットコネクタ実装方法
JP2008077916A (ja) コネクタ
JP4188942B2 (ja) コネクタ
JP2009123611A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材用コネクタ装置
JPS6187394A (ja) 電子部品リ−ド線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