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538B1 - 안테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안테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538B1
KR101103538B1 KR1020110060025A KR20110060025A KR101103538B1 KR 101103538 B1 KR101103538 B1 KR 101103538B1 KR 1020110060025 A KR1020110060025 A KR 1020110060025A KR 20110060025 A KR20110060025 A KR 20110060025A KR 101103538 B1 KR101103538 B1 KR 10110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fixing ring
support structure
antenna support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교
최신영
김찬국
최득용
김태성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링크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링크,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링크
Priority to KR102011006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에 신축 가능한 안테나를 판스프링으로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슬림화에 적합하고, 판스프링을 안정되게 파지함과 아울러 판스프링의 탄성 변위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여서 판스프링을 보호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급전부에서, 상하가 개방되고 중간부분을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만곡시킨 만곡부(11)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12)가 형성되어 내부로 관통되는 안테나를 만곡부(11)의 탄성력으로 잡아주게 한 판스프링(10); 판스프링(10)에 외삽되는 고정링(20); 및 고정링(20)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만곡부(11)에만 외삽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안테나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ANTENNA}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에 신축 가능한 안테나를 판스프링으로 지지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슬림화에 적합하고, 판스프링을 안정되게 파지함과 아울러 판스프링의 탄성 변위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여서 판스프링을 보호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전파의 수신을 위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수신율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소형화를 위해서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고 단말기에 설치할 때에는 접은 상태에서 단말기 내부로 들어가게 하는 신축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단말기 내부에 전기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안테나의 신축을 원활하게 하는 지지구조에 의해서 단말기에 설치된다. 통상, 이러한 안테나 지지구조를 급전부(feeder)라고 불려지며, 원통형의 판스프링을 안테나에 관통시켜 안테나를 탄성적으로 파지하고 판스프링을 잡아주는 고정 부재를 단말기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테나 지지구조는,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소형화가 대세이고, 다양한 기능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단말기 내부에 설치하여야 할 전기전자부품도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최대한 작게 제작할 수 있어 단말기에서 차지할 설치공간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종래 안테나 지지구조(A)를 살펴보면, 안테나(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b)을 파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a)가 판스프링(b)을 내부에 삽입되게 구성되어서 판스프링(b)를 감싸는 부분의 두께만큼 커지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고, 이는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을 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한편, 안테나 지지구조(A)의 소형화를 위해서 판스프링(b)과 고정 부재(a)를 일체형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럴 경우에 무선통신용 단말기를 새로 개발할 때마다 그에 맞게 설계 제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수반한다. 따라서, 안테나 지지구조(A)는 판스프링(b)의 기본 형태를 사용하고 그러한 판스프링(b)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a)를 단말기에 맞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안테나 지지구조(A)는 필수 구성요소인 판스프링(b)을 파지하는 부분의 외경 크기를 판스프링(b)의 외경 크기로 제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면서도, 판스프링(b)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여 무리한 외부 힘이 가해져도 판스프링(b)을 보호하며 판스프링(b)을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스프링을 파지하는 부분이 최대 외경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크기로 제작가능한 안테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스프링을 안정되게 파지하면서, 판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안테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급전부에서, 상하가 개방되고 중간부분을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만곡시킨 만곡부(11)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12)가 형성되어 내부로 관통되는 안테나를 만곡부(11)의 탄성력으로 잡아주게 한 판스프링(10); 판스프링(10)에 외삽되는 고정링(20); 및 고정링(20)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만곡부(11)에만 외삽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링(20)은,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2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링(20) 및 판스프링(10) 중의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4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4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50)를 형성하여서, 판스프링(10)이 돌기부(40)와 끼움부(50) 간의 유격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고정링(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끼움부(50)는, 상기 판스프링(10)에서 상단 부분과 상기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진 부분 또는 하단 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진 부분을 상기 돌기부(40)의 위치에 맞게 관통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1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장형관통구(13)를 만곡부(11)에 형성한 것이고, 상기 끼움부(50)는, 상기 장형관통구(13)를 상기 단턱진 부분을 향해 연장하여 절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부분 및 상기 만곡부(11)를 감싸는 고정링(20)의 중간 부분 중에, 어느 하나에 상기 끼움부(5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부(40)를 구비하되, 상기 끼움부(50)는 관통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끼움부(5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끼움부(50)에 끼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10)의 절개부(12)와 상기 고정링(20)의 절개부(21)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링(20)의 내외면 간의 두께는, 상기 판스프링(10)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 외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만곡부(11)의 만곡된 깊이보다 작거나 같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판스프링(10)을 파지할 시에 판스프링(10)의 함몰된 만곡부(11)만 고정링(20)으로 파지하여서, 고정링(20)의 두께 조절로 최대 관경을 줄일 수 있으며, 고정링(20)에 판스프링(10)을 결합한 형태의 최대 관경을 판스프링(10)의 관경으로 할 수 있어서, 소형화 제작에 유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링(20)으로 판스프링(10)을 파지하게 형성할 시에, 돌기부(40)와 끼움부(50)의 결합에 의해서 판스프링(10)을 안정되게 파지함과 아울러, 돌기부(40)와 끼움부(50) 간의 유격 범위 내에서 판스프링(10)의 탄성 변형되게 하므로, 판스프링(1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 안테나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
도 7은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10)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형태로 구비되는 돌기부 및 끼움부를 추가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3,4,5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급전단자(32)를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기술에 의한 안테나 지지구조와 안테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1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안테나 지지구조의 부분 절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 안테나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는, 무선통신용 단말기(미도시)의 급전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안테나(1)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스토퍼(2)를 감싸도록 판스프링(10)을 구비하여 안테나(1)를 무선통신용 단말기(미도시)의 내부로부터 인출할 시에 부드럽게 작동하게 하며, 판스프링(10)에 외삽되는 고정링(20)과 고정링(20)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30)를 구비하여 고정부재(30)를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고정함에 따라 안테나(1)를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해 파지되는 안테나(1)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접철 가능한 로드 안테나는 물론이고 중간에 힌지를 구비하여 절곡할 수 있는 스위블 안테나일 수도 있다.
상기 판스프링(10)은 상하를 개구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12)를 형성하고 상단부분과 하단부분을 제외한 중간부분을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함몰시킨 만곡부(11)를 구비한다. 즉, 상기 만곡부(11)는 판스프링(10)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에 비해 관경을 작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10)은 내부를 관통하는 안테나(1)의 외주면을 만곡부(11)의 내주면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10)의 절개부(12)는 반드시 직선으로 절개할 필요는 없고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가 적절한 절개 형상을 결정하면 되고, 아울러, 절개폭도 탄성력을 발휘하는 최적조건으로 선택하면 된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판스프링(10)은 상하로 길게 관통시켜 형성되는 장형관통구(13)를 만곡부(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는 상기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10)만 한정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끼움부(50)를 상기 장형관통구(13)에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장형관통구(13)를 형성한 판스프링(10)을 사용하였다.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2,3,4,5 실시예에서 상기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하지 않는 판스프링을 사용한 것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에서도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고정링(20)은 상하를 개구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21)를 형성하고 절개부(21)의 반대측을 상기 고정부재(30)에 이어지게 하여 상기 고정부(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링(20)의 절개부(21) 간격을 벌려 내경을 약간 크게 한 후에 상기 판스프링(10)을 내부에 억지 끼움할 수 있고, 판스프링(10)을 끼운 후에는 상기 고정링(20)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인 원통형으로 복원되면서 판스프링(10)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므로 판스프링(10)을 강하게 파지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20)의 절개부(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절개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르는 중간에 지그재그로 꺾인 형태로 절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 따르면,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만곡부(11)의 상하 길이에 맞게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10)의 함몰된 만곡부(11)에만 외삽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링(20)은 만곡부(11)에 외삽식으로 끼워져서 상기 판스프링(10)과 고정링(20)의 결합된 형태가 갖는 최대 외경값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본 발명에서의 고정링(20)에 대응되는 링형 부재를 형성할 시에 판스프링(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여서 링형 부재의 두께만큼 외경값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은 판스프링(10)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을 감싸지 아니하고 만곡부(11)만 감싸므로 그만큼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의 외경값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링(20)은 판스프링(20)에 결합한 상태에서 판스프링(20)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 외주면보다 튀어나오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링(20)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판스프링(10)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 외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만곡부(11)의 함몰 깊이보다 작거나 같게 하면 된다. 즉, 상기 고정링(20)의 내외면 간 두께를 만곡부(11)의 외주면과 만곡부(11)를 제외한 외주면 사이의 단차(14) 높이보다 작거나 같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의 (c)에 도시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링(20)이 만곡부(11)에 외삽된 상태에서 고정링(20)의 외주면 직경이 판스프링(10)의 상단부분(또는 하단부분)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아서, 고정링(20)이 판스프링(10)의 중간을 파고 들어간 형태를 갖춘다. 이럴 경우에, 판스프링(10)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고정링(20)을 설치하더라도 판스프링(10)의 외경값에 해당되는 공간만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마련하면 되므로, 소형화에 중점을 두는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프레임 설계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링(20)은 절개부(21)를 구비하지 아니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절개부(21)를 구비하는 않는 고정링을 만드는 예로서, 판상의 몸체 중간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고정링으로 사용하고, 서로 접철되는 양단을 후술하는 고정부재(30)로 사용하며, 양단을 잡고 벌려 상기 판스프링(10)을 원통형의 내부에 끼운 후에 양단을 리벳 또는 볼트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양단 중에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급전단자(32)를 구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는, 상기 판스프링(20)과 고정링(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 상기 판스프링(20)의 탄성 변형량의 범위를 제한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하게 하는 돌기부(40) 및 끼움부(50)를 구비한다.
즉, 상기 고정링(20) 및 판스프링(1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4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부(50)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40)는 돌출된 형태, 아니면 요홈 또는 관통구에 걸리는 고리 형태 등이면 만족하고, 상기 끼움부(50)는 상기 돌기부(40)를 끼우거나 아니면 걸리게 되는 요홈 아니면 관통구이면 만족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돌기부(40)와 끼움부(50)의 결합으로 돌기부(4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성이면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서,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고정링(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고정링(2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지 아니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50)는 상기 돌기부(40)를 형성한 고정링(20)을 상기 판스프링(10)에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돌기부(40)의 위치에 맞게 판스프링(1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판스프링(10)의 상단 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14), 또는 판스프링(10)의 하단 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을 관통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만곡부(11)에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10)을 사용하므로, 장형관통구(13)를 단턱을 향해 연장 절개하여 상기 끼움부(50)를 형성하였다. 즉, 상기 끼움부(50)가 장형관통구(13)에 이어지게 한다. 한편, 장형관통구(13)가 단턱(14)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된 판스프링(10)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끼움부(50)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 1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끼움부(50)가 단턱(14)을 지나서 상단 또는 하단으로 약간 더 절개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돌기부(40)의 연장된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였고, 아울러, 단턱(14)의 높이가 상기 돌기부(40)의 두께에 비해 충분히 높지 아니하여서 상기 돌기부(40)가 끼움부(50)를 통한 판스프링(10)의 내부 방향으로 끼워지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40) 및 끼움부(50)의 크기를 정할 때에는, 상기 돌기부(40)를 상기 끼움부(50)에 여유있게 끼워질 정도로 유격을 갖게 크기를 정하여서, 안테나에 의한 힘이 판스프링(10)에 가해질 때에 상기 고정링(10)을 기준으로 하여 판스프링(10)의 변형이 가능하게 하며, 이때, 상기 돌기부(40)와 끼움부(50) 간의 유격은 판스프링(10)에 제한할 최대 변형의 범위를 넘지 아니하게 한다.
상기 판스프링(10)의 절개부(12)와 상기 고정링(21)의 절개부(21)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판스프링(10)의 절개부(12)와 상기 고정링(21)의 절개부(21)가 동일한 방향에 놓이면 두개의 절개부가 하나의 절개부처럼 되어서, 고정링(20)으로 판스프링(10)을 파지하는 힘이 약해지고, 더욱이, 상술한 돌기부(40) 및 끼움부(50)가 구비되더라도 판스프링(10)의 변형량을 제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링(20)의 절개부(21)를 고정부재(30)의 반대편에 형성하고, 판스프링(10)을 고정링(20)에 장착할 시에 판스프링(10)의 절개부(12)를 고정부재(30)에 근접하게 하였다. 한편, 절개부(21)를 구비하지 않는 고정링(21)을 사용할 경우에는 판스프링(10)의 절개부(12) 방향에 구애받지 아니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고정링(20)에 이어지게 형성되며,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끼워지거나 나사체결 또는 리벳체결과 같은 체결방식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공(31)을 구비하고, 아울러,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급전단자(32)도 구비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도면에서, 상기 급전단자(32)는 상기 고정부재(30)에 연장되게 형성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급전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시에 탄성력에 의해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필거 타입(finger-type)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급전수단(미도시) 및 상기 급전단자(32)는 상기 고정부재(30), 고정링(20) 및 판스프링(10)을 경유하여 안테나(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는, 제1 실시예의 변형된 형태로서, 앞서 언급하였듯이,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하지 않는 판스프링(13)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판스프링(13)에 형성되는 끼움부(50)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고정링(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장된 돌기부(40)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50)는, 판스프링(10)에서 상단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 또는 하단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돌기부(40) 및 끼움부(50)는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부분 및 상기 만곡부(11)를 감싸는 고정링(20)의 중간 부분 중에, 어느 하나에 상기 끼움부(5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부(40)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서로 마주하는 면인 만곡부(11) 부분 및 고정링(20)의 중간 부분에 상기 돌기부(40) 및 끼움부(50)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돌기부(40) 및 끼움부(50)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외주면에 돌기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20)에서 상기 돌기부(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를 관통 형성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돌기부 및 끼움부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돌기부(40) 및 끼움부(50)와 형태 및 형성위치가 상이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도면에 표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40)는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중간을 '
Figure 112011047010468-pat00001
'자를 그리도록 절개한 후에 절개한 '
Figure 112011047010468-pat00002
'자형 부분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외주면에 돌출시켜 형성되고, 끼움부(50)는 고정링(20)에서 만곡부(11)에 형성한 돌기부(40)에 대응되는 위치를 관통시켜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
Figure 112011047010468-pat00003
'자를 그리도록 절개한 부분을 절곡할 시에, 상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만곡부(11)의 외주면에 대해 직각(법선)을 이루도록 절곡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끼움부(50)에 끼울 수 있는 조건하에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은 각도로 절곡하여 기울어진 형태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링(20)의 내외면 두께는 매우 얇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부(50)에 끼워지는 상기 돌기부(40)의 높이도 매우 낮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는 '
Figure 112011047010468-pat00004
'자형 절개부의 크기를 매우 작게 한 후에 절곡해야하는 어려움을 갖게 되고, 아니면 충분히 큰 '
Figure 112011047010468-pat00005
'자형 절개부를 형성한 후에 절곡한 부분의 상단을 잘라내야 하는 어려움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충분히 큰 '
Figure 112011047010468-pat00006
'자를 그리도록 절개하고 외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절곡할 시에 기울인 각도를 갖게 절곡하여서 상기 돌기부(40)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고, 절곡한 부분을 잘라낼 필요도 없게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상기 돌기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11)의 외주면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를 갖게 되면 눌림에 대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판스프링(10)을 설치할 때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10)을 설치할 후에도 외부에서 눌려지는 힘에 대해서도 탄성특성을 갖게 되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를 다루는 데 있어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돌기부(40)는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중간을 'H'자를 그리도록 절개한 후에 절개한 'H'자형 부분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외측으로 절곡하여 외주면에 돌출시켜 평행한 두개의 돌기들로 형성되고, 끼움부(50)는 고정링(20)에서 만곡부(11)에 형성한 돌기부(40)에 대응되는 위치를 관통시켜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부(40)는 평행한 두개의 돌기들로 형성되므로, 끼움부(50)는 두개의 돌기들을 모두 끼울 수 있는 크기를 갖으며 'ㅁ'자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끼움부(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기가 끼워지고, 끼움부(50)의 중간부분은 판스프링(1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로가 되므로 판스프링(10)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로서의 역할도 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돌기부(40)를 형성하기 위해 'H'자형 부분을 절곡할 때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곡부(11)의 외주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절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a), 분리사시도(b), 수직단면도(c) 및 저면도(d)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끼움부(50)는 상술한 제3,4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링(50)을 형성하지만,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부(40)는 절개 및 절곡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를 형성할 시에 엠보싱(embossing) 공정에 의해 만곡부(11)의 중간 부분을 돌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엠보싱 공정에 의한 돌기부(40)는 상기 끼움홈(10)의 위치에 맞게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돌기부(40) 및 끼움부(5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실시예 도면에서는 2개씩 형성함),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듯이 유격을 두어서 돌기부(40)가 끼움부(50)와의 유격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를 갖게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에 따라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에 형성되는 돌기부(40)의 높이는 판스프링(10)을 고정링(20)에 파지시킨 상태에서 판스프링(10)의 상단부분 및 하단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하지 않는 판스프링(10)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보여주기 위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장형관통구(13)가 형성된 판스프링(10)을 사용할 수 있고(도 7의 a),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장형관통구(13)가 형성된 판스프링(10)을 사용할 수 있고(도 7의 b),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장형관통구(13)가 형성된 판스프링(10)을 사용할 수 있다(도 7의 c). 여기서, 만곡부(11)에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10)을 사용하되, 만곡부(11)의 외주면 중에서 장형관통구(13)가 형성되는 아니한 면에 돌기부(40)를 형성하였음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만곡부(11)의 외주면에 형성할 돌기부(40)를 장형관통구(13)를 피하여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3,4,5 실시예에서는 돌기부(40)를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외주면에 형성하고 끼움부(50)를 고정링(20)에 형성하였으나, 반대로 돌기부(40)를 고정링(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하고 끼움부(50)를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를 관통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돌기부(40)가 판스프링(10)을 관통하는 안테나(1)에 닿지 아니하도록 돌기부(40)의 돌출 높이를 정하는 것이 좋다.
다른 한편으로, 판프스링(10)의 만곡부(11) 외주면에 돌기부와 끼움부를 서로 이격을 두고 형성하고, 만곡부(11)에 형성된 돌기부의 위치에 맞는 끼움부와 만곡부(11)에 형성된 끼움부의 위치에 맞는 돌기부를 고정링(2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10)에 돌기부와 끼움부를 모두 형성하고 이에 각각 끼움결합하는 끼움부와 돌기부를 모두 고정링(20)에 형성하는 것은, 판스프링(10)과 고정링(20) 중의 어느 하나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봐야 할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만곡부(11)의 중간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돌기부 및 끼움부를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 추가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서로 끼움결합되는 돌기부 및 끼움부를 만곡부(11)의 상측 또는 하측에 해당되는 위치와 만곡부(11)의 중간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여서, 고정링(20)을 이용하여 판스프링(10)을 더욱 안정되게 파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돌기부(40a) 및 끼움부(50a)를 제3 실시예에 적용한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도 8의 a), 제4 실시예에 적용한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도 8의 b), 및 제5 실시예에 적용한 안테나 지지구조의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도 8의 c)이다.
즉,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고정링(20)에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복수개로 연장되는 돌기부(40a) 와 측면 중간 부분을 관통 형성한 끼움부(50b)를 구비하고, 판스프링(10)에는 단턱(14) 부분을 관통 형성한 끼움부(50a)를 구비하여서 고정링(20)의 돌기부(40a)와 끼움결합할 수 있게 하고,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돌기부(40b)를 구비하여서 고정링(20)의 끼움부(50b)와 끼움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장형관통구(13)를 구비한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제1 실시예에서의 돌기부 및 끼움부도 제3,4,5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3,4,5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급전단자(32)를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는,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테나(1)를 지지함과 아울러,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즉, 급전부(feeder) 역할)도 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제1,2,3,4,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에 급전단자(32)를 구비한다. 이러한 급전단자(32)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서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전수단(미도시)의 접촉단자(미도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급전단자는 탄성력에 의해 전기적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핑거타입(finger-type)으로 형성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단자는 판의 형태인 컨텍트타입(contact-ty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컨텍트타입의 급전단자라는 것은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접촉단자(미도시)가 급전단자를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될 경우에 사용되는 단자 형태를 말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지지구조에서 급전단자(32)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전용 접촉단자(미도시)의 형태에 맞게 형성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안테나
10 : 판스프링 11 : 만곡부 12 : 절개부
13 : 장형관통구 14 : 단턱
20 : 고정링 21 : 절개부
30 : 고정부재 31 : 결합공 32 : 급전단자
40 : 돌기부
50 : 끼움부

Claims (9)

  1.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급전부에서, 상하가 개방되고 중간부분을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만곡시킨 만곡부(11)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12)가 형성되어 내부로 관통되는 안테나를 만곡부(11)의 탄성력으로 잡아주게 한 판스프링(10); 판스프링(10)에 외삽되어 판스프링(10)을 파지하는 고정링(20); 및 고정링(20)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무선통신용 단말기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테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만곡부(11)에만 외삽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은,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단에 이르는 절개부(2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 및 판스프링(10) 중의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4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4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50)를 형성하여서, 판스프링(10)이 돌기부(40)와 끼움부(50) 간의 유격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고정링(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끼움부(50)는, 상기 판스프링(10)에서 상단 부분과 상기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진 부분 또는 하단 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진 부분을 상기 돌기부(40)의 위치에 맞게 관통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장형관통구(13)를 만곡부(11)에 형성한 것이고,
    상기 끼움부(50)는, 상기 장형관통구(13)를 상기 단턱진 부분을 향해 연장하여 절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0)의 만곡부(11) 부분 및 상기 만곡부(11)를 감싸는 고정링(20)의 중간 부분 중에, 어느 하나에 상기 끼움부(5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부(40)를 구비하되,
    상기 끼움부(50)는 관통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돌기부(40)는 상기 끼움부(5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끼움부(50)에 끼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와;
    상기 판스프링(10)에서 상단 부분 또는 하단 부분과 만곡부(11) 사이의 단턱진 부분을 상기 고정링(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의 위치에 맞게 관통시켜 형성되는 끼움부;
    를 더욱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지지구조.
  8. 삭제
  9. 삭제
KR1020110060025A 2011-06-21 2011-06-21 안테나 지지구조 KR10110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25A KR101103538B1 (ko) 2011-06-21 2011-06-21 안테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25A KR101103538B1 (ko) 2011-06-21 2011-06-21 안테나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538B1 true KR101103538B1 (ko) 2012-01-06

Family

ID=4561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25A KR101103538B1 (ko) 2011-06-21 2011-06-21 안테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11B1 (ko) * 2012-10-05 2014-11-20 주식회사 이노링크 안테나 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23A (ko) * 2009-07-02 2011-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의 동특성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723A (ko) * 2009-07-02 2011-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의 동특성 시뮬레이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11B1 (ko) * 2012-10-05 2014-11-20 주식회사 이노링크 안테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0983B2 (ja) 同軸コネクタ
JP4427564B2 (ja) コネクタプラグ
CN112290294B (zh) 带浮动机构的同轴连接器
JP5218490B2 (ja) 同軸コネクタプラグ
WO2012023533A1 (en) Connector
EP1770829A1 (en) Connector
TW201330406A (zh) 同軸連接器
US20160020541A1 (en) Terminal
CN108140974B (zh) 端子
KR101103538B1 (ko) 안테나 지지구조
US20110111643A1 (en) Audio Connector
US5588864A (en) Connection device of a computer connector
JP2013097914A (ja) 同軸コネクタ
US10790599B2 (en) Connector
JP201211398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232205B2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の組立体
JP2015015174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中心端子
KR20120140347A (ko) 슬림형 지지구조를 갖는 안테나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6502109B2 (ja) アンテナ装置
JP3994918B2 (ja) マイクロホン用コネクタ
KR200258799Y1 (ko)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JPS5936852Y2 (ja) 刃受ばねの変形防止構造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