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799Y1 -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 Google Patents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799Y1
KR200258799Y1 KR2020010029281U KR20010029281U KR200258799Y1 KR 200258799 Y1 KR200258799 Y1 KR 200258799Y1 KR 2020010029281 U KR2020010029281 U KR 2020010029281U KR 20010029281 U KR20010029281 U KR 20010029281U KR 200258799 Y1 KR200258799 Y1 KR 200258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pring member
pole
fee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권
Original Assignee
김철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권 filed Critical 김철권
Priority to KR2020010029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799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화시 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단형식으로 보다 길게 인출되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의 말단에 설치되는 금속재 안테나 폴(22, pole), 상기 폴의 외주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기다란 원통 형상의 급전부 외통(18), 상기 폴과 상기 급전부 외통 사이에 부시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과 상기 급전부 외통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28',28') 및 상기 스프링부재와 상기 폴 사이에 매개되어 안테나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재를 고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캡(26')을 포함하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금속 박판을 원통형으로 벤딩(bending)한 형태로서, 그렇게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 1곳 이상에는 탄성부를 형성하도록 절개 및/또는 판금 성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의해; 조립작업이 수월하게 되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작동감이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 구조{Structure of electric connecter portion of antenna for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시 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단형식으로 보다 길게 인출되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점차 소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폰 또는 무선이동전화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가느다란 폴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안테나의 길이는 적정한 수준이 되어야 하므로 근래에는 다단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형식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다단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휴대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폴대의 슬라이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안테나는 휴대폰의 몸체(4)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휴대폰 상부 일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된 홀더(6)가 일정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휴대폰 몸체(4)에 나사 결합된다. 홀더의 몰딩 성형된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체(8)와, 휴대폰 내부의 송수신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재질의 커넥터(10)로 구성된다. 커넥터는 안테나가 통과될 수 있도록 원통형이며, 그의 외벽 하부에는 홀더를 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의 내부에는 인출된 안테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또한 안테나 말단의 급전부(14)로부터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향 지지되는 탄성수단(16)이 제공된다.
안테나의 말단에 설치되는 급전부(14)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기다란 원통형의 급전부 외통(1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하단에는 안테나가 홀더의 커넥터(10)에 걸려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스토퍼(20)가 압착 또는 본딩 등에 의해 그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보통은 휩(whip)안테나라고도 불리는 휴대폰 안테나는 보통 휨에 대하여 복원력이 뛰어난 탄소강 등의 폴(22, pole)과 보호 및 미관을 위하여 그 외주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튜브(24)로 구성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다단식 안테나는 기다란 급전부 외통(18) 내부에서 안테나가 한층 더 슬라이딩되며 인출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 폴(22)의 하단에는 튜브(24)와 유사한 두께의 외벽을 가지는 원통형 캡(26)이 삽입 결합되며, 급전부 외통(18)과 폴(22)이 상호 통전 가능하도록 부시형 스프링부재(28)가 개입된다. 스프링부재는 보통 연성, 전성 및 도전성이 뛰어난 동(Cu) 계열로서, 폴(22)이 급전부 외통(18) 내부에서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스토퍼(20)가 커넥터(10)의 하면에 걸린후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더라도(도 1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 안테나(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부 외통을 제외한 안테나 부분)는 급전부 외통 내부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더 올라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길이는 대략적으로 급전부 외통의 길이에서 스프링부재의 길이를 뺀 정도일 것이다.
판스프링 형태의 스프링부재(28)가 캡의 외주면의 일정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수단은, 캡의 하부 일정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스프링 고정홀(30)을 관통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로 스프링부재(28)의 내면을 향해 작은 크기로 돌기(32)를 돌출 형성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부재(2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두 개의 만곡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판스프링은 작업자의 손으로 정확히 잡고서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곤란할 만큼 그 크기가 작다.
그러므로, 종래에 안테나의 급전부 즉, 폴(22, 캡(26)을 포함한다), 급전부 외통(18) 및 스프링부재(28)를 조립하는데 있어 그 작업이 까다로웠으며 비효율적이었다. 그러므로 이에 소요되는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은 목적은, 다단 방식으로 인출되는 안테나 급전부 내부의 스프링부재를 개선함으로써, 해당 부분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추게 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인출시키는데 있어 그 작동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다단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휴대폰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폴대의 슬라이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프링부재와 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b는 스프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부재와 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b는 스프링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안테나 4 ; 휴대폰 몸체
6 ; 홀더 14 ; 급전부
18 ; 급전부 외통 20 ; 스토퍼
22 ; 폴(pole) 24 ; 튜브
26,26' ; 캡 28,28',28' ; 스프링부재
40 ; 탄성판재 46 ; 슬롯
위와 같은 목적은, 안테나와 휴대폰 내부의 송수신회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안테나의 말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에는 튜브가 씌워지며 휨에 대해 복원성을 가지는 안테나 폴, 상기 폴의 외주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기다란 원통 형상의 급전부 외통, 상기 폴과 상기 급전부 외통 사이에 부시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과 상기 급전부 외통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스프링부재와 상기 폴 사이에 매개되어 안테나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재를 고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캡을 포함하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금속 박판을 원통형으로 벤딩(bending)한 형태로서, 그렇게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 1곳 이상에는 탄성부를 형성하도록 절개 및/또는 판금 성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는 U자 형태의 절개부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 또는, 원통형의 스프링부재의 원주를 따라 2곳 이상에 슬롯 또는 기다란 타원형으로 커팅하고, 스프링부재의 중심부가 불룩하게 돌출되도록 판금 성형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스프링부재와 폴의 결합은, 폴의 말단에 끼워진후 압착함으로써 고정되는 캡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골(또는 그루브(groove))와 스프링부재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내향 돌출턱의 암수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프링부재와 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3b는 스프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부재와 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b는 스프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부재(28',28', 이하 스프링부재라 한다)는 연성 및 전성이 양호한 동(Cu) 계열의 직사각형 박판을 프레스 등으로 부분적으로 커팅한 후 벤딩함으로써 성형된다. 커팅작업은 탄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커팅부는 도 3a와 같은 U자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도 4a와 같은 슬롯과 같은 기다란 타원형(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 3a,b에 도시된 바는 U자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U자 형으로 탄성판재(40)를 형성한 것으로서 그의 외부로의 휨 정도에 따라 탄성력이 결정될 것이다. 탄성판재는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나, 이는 선택적인 사항이다. 스프링부재(28')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향 돌출턱(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폴(22)과 결합되어 있는 캡(26')의 하부 원주방향을 따라 패여진 골(44)과 암수결합을 하게 된다.
도 4a,b는 커팅부를 슬롯(46)의 형태로 한 것으로서, 항아리 형태로 가운데 부분(48)이 불룩하도록 성형된다. 슬롯 부분은 역시 2개 정도가 바람직할 것이나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부재 역시 조립된 상태에서 폴(정확하게는 폴에 결합되는 캡)과의 요철결합을 위해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턱(42)이 내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폴과 스프링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할 수 있다. 가장 쉽게는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형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본딩 또는압착 등에 의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 안테나를 다단식으로 함으로써 보다 길게 인출할 수 있는 구조의 급전부를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있어서는 안테나를 인출시키는 작동감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장기간 지속될 수 있어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안테나의 기능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Claims (4)

  1. 안테나와 휴대폰 내부의 송수신회로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안테나의 말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에는 튜브(24)가 씌워지며 휨에 대해 복원성을 가지는 안테나 폴(22, pole), 상기 폴의 외주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기다란 원통 형상의 급전부 외통(18), 상기 폴과 상기 급전부 외통 사이에 부시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폴과 상기 급전부 외통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재(28',28') 및 상기 스프링부재와 상기 폴 사이에 매개되어 안테나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재를 고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캡(26')을 포함하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금속 박판을 원통형으로 벤딩(bending)한 형태로서, 그렇게 형성된 원통의 외주면 1곳 이상에는 탄성부를 형성하도록 절개 및/또는 판금 성형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부재(28')의 외주를 따라 2곳 이상에 길이방향으로 U자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U자 형태의 탄성판재(40)를 형성하고, 그를 외향으로 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원통형의 스프링부재(28')의 원주를 따라 몸체에 2곳 이상에 슬롯(46) 형태의 기다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커팅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중심부가 외부를 향해 불룩하게 돌출되도록 만곡 성형하는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28',28')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폴의 말단에 끼운후 압착함으로써 고정되는 캡(26')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골(44)과 스프링부재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내향 돌출턱(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 구조.
KR2020010029281U 2001-09-22 2001-09-22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KR200258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281U KR200258799Y1 (ko) 2001-09-22 2001-09-22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281U KR200258799Y1 (ko) 2001-09-22 2001-09-22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799Y1 true KR200258799Y1 (ko) 2001-12-29

Family

ID=7306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281U KR200258799Y1 (ko) 2001-09-22 2001-09-22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43B1 (ko) * 2006-02-21 2012-05-17 주식회사 메닉스 단말기용 안테나의 급전 및 가이드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43B1 (ko) * 2006-02-21 2012-05-17 주식회사 메닉스 단말기용 안테나의 급전 및 가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973A (en) Conductive contact
US7080997B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US6801166B2 (en) Planar antenna
US6083059A (en) Structure of a terminal
ITRM960886A1 (it) Dispositivo per comunicazioni senza filo contenente un circuito di a= dattamento riconfigurabile
US7583986B2 (en) Actuator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60103578A1 (en) Antenna device
EP2131445A1 (en) Antenna apparatus
KR200258799Y1 (ko)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EP1598899B1 (en) Antenna for a mobile terminal
US6703987B2 (en) Helical antenna
KR101103538B1 (ko) 안테나 지지구조
CN100403595C (zh) 内置天线端子部件支撑装置
CN218677639U (zh) 射频开关
US6949861B1 (en) Carbon brush holder
CN219203512U (zh) 一种插座开关的导线安装结构
KR20120140347A (ko) 슬림형 지지구조를 갖는 안테나
CN212012712U (zh) 移动终端
KR200173583Y1 (ko)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홀딩부재
KR20033968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07110253A (ja) 無線装置
KR200187286Y1 (ko) 스위치 접점 및 엘레멘트 일체형 안테나
KR200338329Y1 (ko) 휴대전화기용 인터페이스 커넥터용 배터리 접속단자구조
KR200196280Y1 (ko)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홀딩부재
KR200239442Y1 (ko) 안테나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117

Effective date: 200412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109

Effective date: 200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