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411B1 - 안테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411B1
KR101461411B1 KR1020120110960A KR20120110960A KR101461411B1 KR 101461411 B1 KR101461411 B1 KR 101461411B1 KR 1020120110960 A KR1020120110960 A KR 1020120110960A KR 20120110960 A KR20120110960 A KR 20120110960A KR 101461411 B1 KR101461411 B1 KR 10146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tenna
groove
fixing portion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693A (ko
Inventor
염두성
조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링크
염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링크, 염두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링크
Priority to KR102012011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4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되되, 둘레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함몰부의 반경방향 변형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 고정장치{Apparatus of Fixing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파지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용 안테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파지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도 빠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기술은 최근, 휴대단말기의 소형화 및 다기능화로 인해 크기가 작으면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안테나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경우, 음성통신기능 이외에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Terrestrial),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와 같은 모바일 방송(mobile broadcasting)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내에 삽입하거나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휩 안테나(whip antenna)와 같은 외장형 안테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형 안테나가 갖추어야 할 주된 기능은 단말기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이 가능해야 하는 점 및 전파 수신감도를 최적으로 하기 위하여 특정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어야 하는 점 등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는 적절한 안테나 고정장치에 의하여 단말기에 설치된다.
종래의 안테나 고정장치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탄성부재와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즉 안테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단말기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안테나와 고정부재 사이에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안테나를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와 탄성부재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파지하는 기능이 약하다. 즉 안테나의 잦은 인입 및 인출에 따른 슬라이딩의 반복에 의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떨어지거나, 고정부재가 파손되어 안테나 지지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가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어 안테나를 부주의하게 당겼을 때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테나가 빠지지 않도록 멈춤턱을 크게 제작할 수밖에 없는 데, 이는 안테나 및 안테나 고정장치의 소형화 경향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안테나를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가 안테나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는 체결부를 갖는 안테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되되, 둘레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1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함몰부의 반경방향 변형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상기 둘레면의 함몰된 부분은 상기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안테나가 특정위치에 멈추어 있도록 상기 안테나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실시예적으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일측 측면이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일측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측 측면이 곡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홈은 관통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홈은 비관통홈일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안테나를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급전단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원통의 형상이며,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제1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원통의 형상이며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제2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절개부 양측에 하나 이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절개부 양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절개부를 감싸며 결합하되, 상기 제1고정부의 벌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안테나 고정장치는 제1절개부를 가지고, 안테나를 둘러싸며 홈 또는 돌출부 중 하나를 가지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를 감싸며, 상기 제1고정부를 둘러싸되, 상기 홈 또는 돌출부 중 다른 하나를 가지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안테나 고정장치를 갖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는 안테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제1고정부의 방사상 확장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단말기로부터 인출된 안테나에 큰 흔들림이나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안테나와 제1고정부에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고정부가 안정적으로 안테나를 파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고정부가 안테나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테나의 멈춤턱을 작게 만들어도 안테나가 단말기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안테나에 안테나 고정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안테나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안테나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핑거 타입(finger-type)의 급전단자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5는 안테나 고정장치에 고어 타입(gore-type)의 급전단자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용 단말기 안테나 고정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안테나(1)에 안테나 고정장치(1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안테나부는 크게 안테나(1)와 고정장치(10)로 구성된다. 안테나(1)는 다단으로 접철 가능한 로드 안테나일 수도 있고, 중간에 힌지를 구비하여 절곡할 수 있는 스위블 안테나일 수도 있다. 안테나(1)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무선통신용 단말기로부터 인출되거나 무선통신용 단말기로 인입될 수 있다. 안테나(1)는 인출될 때 완전히 이탈되지 않기 위하여 멈춤턱(2)을 구비한다. 고정장치(10)는 안테나(1)의 외면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고정장치(10)를 통하여 안테나(1)는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급전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안테나 고정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가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고정장치(10)는 안테나(1)가 고정장치(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테나(1)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장치(10)는 안테나(1)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되, 안테나(1)가 특정위치에 멈추어 있을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1)를 둘러싸며, 상기 안테나(1)를 가압하는 제1고정부(20)와 제1고정부(20)를 둘러싸며 상기 제1고정부(20)를 가압하는 제2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20)는 연결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20)는 상하를 개구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원통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22)를 가질 수 있다. 제1고정부(20)의 원주면에는 함몰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20)의 원주면의 중단은 상단과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 함몰된 부분이 함몰부(23)이다. 함몰부(23)는 제2고정부(30)가 제1고정부(20)와 결합할 때 안착되는 부분이다. 제2고정부(30)는 제1고정부(20)를 둘러싸며, 제1고정부(20)의 함몰부(23)에 안착되어 제1고정부(20)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고정부(20)의 내주면은 상단과 하단보다 중단이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따라서 안테나(1)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고정부(20)는 안테나(1)에 끼워지면 함몰부(23)의 반대면이 안테나(1)와 접촉하면서 안테나(1)를 탄성적으로 파지하고, 제1절개부(22)가 벌어지고 원통 형상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제1고정부(20)에 탄성력이 제공된다. 즉 제1고정부(20)의 내측으로 가압력이 생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제1고정부(20)는 안테나(1)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안테나(1)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며 안테나(1)가 특정위치에 멈추어 있도록 안테나(1)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고정부(20)는 연결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1)는 제1고정부(20)를 단말기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21)에는 체결공(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체결공(24)을 통하여 안테나 고정장치(10)가 단말기에 고정될 수 있다.
제1고정부(20)와 연결부(21)는 실시예적으로 하나의 판을 절곡하여 일체로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판을 접합하여 일체로서 마련할 수도 있다. 접합은 실시예적으로 리벳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2고정부(30)는 상하를 개구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원통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31)를 가질 수 있다. 형상적으로 알파벳 "C"자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제2고정부(30)는 제1고정부(20)의 제1절개부(22)를 감싸면서 제1고정부(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30)는 상기 제1고정부(20)에 있어 함몰된 부분(23)의 반경방향 변형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제2고정부(30)는 제1고정부(20)를 둘러싸며 제1고정부(2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는 제1고정부(20)의 제1절개부(22)가 벌어져 반경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장치(10)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의 반경방향으로의 팽창 변형의 억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는 실시예적으로 돌출부(41)와 돌출부(41)가 삽입될 수 있는 홈(42)일 수 있다.
체결부가 돌출부(41)와 홈(42)인 경우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고정부(30)의 내주면에는 돌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홈(42)은 제1고정부(20)의 외주면 상에 있어 돌출부(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홈(42)은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은 모두 홈(42)이 관통홈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돌출부(41)와 홈(42)이 각각 두 개씩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2고정부(30)에서 두 개의 돌출부(41)는 제2절개부(31)를 사이에 두고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20)에서 두 개의 홈(42)은 제1절개부(22)를 사이에 두고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1)와 홈(42)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는 돌출부(41)가 홈(42)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는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고정부(20)의 제1절개부(22)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제1고정부(20)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반경방향으로 팽창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탄성 변형량의 범위를 제한한다. 그 결과 제1고정부(20)를 강하게 파지하므로 안테나(1)의 멈춤턱(2)을 작게 만들어도 안테나(1)가 고정장치(10)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즉 안테나(1)의 이탈력과 반복 슬라이딩에 대한 내구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용 단말기의 안테나 고정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고정부(30)는 제1고정부(20)의 제1절개부(22)를 감싸며 제1고정부(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1)가 홈(42)에 삽입되며 그로 인하여 제1고정부(20)의 벌어짐이 구속될 수 있다. 돌출부(41)의 일측 측면은 평평한 면(43)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돌출부(41)가 홈(42)에 삽입된 뒤에는 다시 빠지는 것이 쉽지 않다. 돌출부(41)의 타측 측면은 곡선(44)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20)와 제2고정부(30)는 돌출부(41)가 홈(42)에 원활하게 삽입되면서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고정부(20)는 안테나(1)를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1)는 체결공(24)을 통하여 안테나(1)와 안테나 고정장치(10)를 단말기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21)의 일측면에는 단말기와 안테나(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급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연결부(21)의 일측면에 핑거 타입 급전단자(51)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도 4a)와 평면도(도 4b)이다.
도 5는 연결부(21)의 일측면에 고어 타입 급전단자(52)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도 5a)와 평면도(도 5b)이다.
급전단자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핑거 타입(51)(finger-type) 또는 고어 타입(52)(gore-type)일 수 있다. 핑거 타입(51)은 탄성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형태이고 고어 타입(52)은 단말기 내부에 설치되는 접촉단자(미도시)에 급전단자가 삽입되는 형태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안테나
2 : 멈춤턱
10 : 안테나 고정장치
20 : 제1고정부
21 : 연결부
22 : 제1절개부
23 : 함몰부
30 : 제2고정부
31 : 제2절개부
41 : 돌출부
42 : 홈

Claims (13)

  1.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 주위를 둘러싸며 배치되되, 둘레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함몰부의 반경방향 변형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부는, 원통의 형상이며,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제1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마찬가지로 원통의 형상이며 상기 원통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제2절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상기 둘레면의 함몰된 부분은, 상기 안테나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안테나가 특정위치에 멈추어 있도록 상기 안테나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고정부에 있어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일측 측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일측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측 측면이 곡선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관통홈 또는 비관통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안테나를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급전단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절개부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절개부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1절개부를 감싸며 결합하되, 상기 제1고정부의 벌어짐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고정장치.
  12. 삭제
  13.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안테나 고정장치를 갖는 단말기.
KR1020120110960A 2012-10-05 2012-10-05 안테나 고정장치 KR10146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60A KR101461411B1 (ko) 2012-10-05 2012-10-05 안테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60A KR101461411B1 (ko) 2012-10-05 2012-10-05 안테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93A KR20140044693A (ko) 2014-04-15
KR101461411B1 true KR101461411B1 (ko) 2014-11-20

Family

ID=5065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60A KR101461411B1 (ko) 2012-10-05 2012-10-05 안테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4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29U (ko) * 2007-07-13 2009-01-16 주식회사 메닉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중스프링 스위블안테나
KR101012060B1 (ko) * 2010-10-20 2011-02-01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로드 안테나의 고정 장치
KR20110002723U (ko) * 2009-09-11 2011-03-17 김시열 공간 축소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신축 가능형 안테나
KR101103538B1 (ko) * 2011-06-21 2012-01-06 주식회사 이노링크 안테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29U (ko) * 2007-07-13 2009-01-16 주식회사 메닉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중스프링 스위블안테나
KR20110002723U (ko) * 2009-09-11 2011-03-17 김시열 공간 축소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신축 가능형 안테나
KR101012060B1 (ko) * 2010-10-20 2011-02-01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로드 안테나의 고정 장치
KR101103538B1 (ko) * 2011-06-21 2012-01-06 주식회사 이노링크 안테나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93A (ko)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150B2 (en) Portable terminal apparatus with TV function and TV antenna with function as input pen
US20100025213A1 (en) Key structure
TW200512982A (en) Multi-band antenna
US20140168915A1 (en) Adjustable battery box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461411B1 (ko) 안테나 고정장치
KR101334083B1 (ko) 태블릿 컴퓨터
KR101398156B1 (ko)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US8537058B2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342191B2 (en) Button assembly on computer panel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KR20160122971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323338B1 (ko) 돌출부가 구비된 스프링을 갖는 안테나
KR101103538B1 (ko) 안테나 지지구조
KR101735634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638054B1 (ko) 휴대단말기 외장형 안테나 구조
JP5979391B2 (ja) ジャック
KR200258799Y1 (ko) 다단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휴대폰 안테나의 급전부구조
US20130026022A1 (en) Key switch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140347A (ko) 슬림형 지지구조를 갖는 안테나
KR101352501B1 (ko) 돌출부가 구비된 스프링
JP3671933B2 (ja) 電子機器のアンテナ取り付け構造
JP5347939B2 (ja) ロッドアンテナ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461413B1 (ko) 힌지부 삽입형 안테나 및 그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72739Y1 (ko) 안테나 조립체
KR200467440Y1 (ko) 다단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