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156B1 -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 Google Patents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156B1
KR101398156B1 KR1020130151853A KR20130151853A KR101398156B1 KR 101398156 B1 KR101398156 B1 KR 101398156B1 KR 1020130151853 A KR1020130151853 A KR 1020130151853A KR 20130151853 A KR20130151853 A KR 20130151853A KR 101398156 B1 KR101398156 B1 KR 10139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support
base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5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단말기 인테나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회로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커넥트부(20); 상기 커넥트부(20)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1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테나(4)와 접촉되는 콘택트부(30); 상기 콘택트부(30)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에 구비된 서포트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Terminal unit intenna clip}
본 발명은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굽힘 응력이나 충격 등에 의한 변형 요인이 작용하더라도 자체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인테나를 통한 우수한 신호 송수신 기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룰러폰, PCS, PDA 등 무선통신을 통해 음성, 문자 및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필요한데, 예전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헬리컬 안테나나 다이폴 안테나 등 외장형 안테나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외장형 안테나의 경우, 단말기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 작동 시 발생되는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사용중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쉬우며, 단말기 소형화에도 저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파의 유해, 휴대폰의 콤팩트화 등의 이유로 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 안테나(internal antenna)인 인테나(intenna)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사용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용 인테나를 피씨비(PCB)에 연결하기 위하여 중간에 별도로 제작된 인테나 컨택장치인 클립을 개재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등)의 인테나와 피씨비 사이에는 인테나의 콘택을 위한 클립이 개재되는데, 이러한 클립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대략 C자 형태로 형성되고, 클립의 하부는 피씨비에 솔더링(땜납)으로 고정되며 상부의 절곡부는 인테나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경우 인테나를 후면측의 커버에 장착하고, 클립은 휴대폰 본체에 내장된 피씨비에 하부가 솔더링되어, 상기 커버를 휴대폰 본체 후면에 결합시켜 막아줌으로써 인테나가 중간의 클립을 매개로 피씨비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인테나를 통해 휴대폰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휴대폰 이외에 상기한 기타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대부분 이러한 인테나에 의해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인테나와 피씨비 사이의 신호 전달용 콘택트 매개체인 클립이 후방 커버를 단말기에 결합할 때에 생기는 무리한 외력이나 단말기를 떨어뜨려서 생기는 외부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영구 변형이 생겨버리는 경우가 초래되며, 이처럼 인테나와 휴대폰 내부 회로 사이(즉, 인테나와 피씨비 사이)의 접촉 매개체 기능을 하는 인테나용 클립이 영구 변형되면 단말기로 신호 송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인테나용 클립은 자체 탄성이 있는 금속제로 구성되어 중간의 절곡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 클립부와 상부 클립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클립의 하부 클립부는 피씨비에 솔더링 접합되고 상부 클립부는 자체 탄성력과 중간의 절곡 부분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인테나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히 클립의 하부 솔더링되는 부분과 인테나와 콘택트되는 부분 사이의 절곡부분이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일이 많고, 이처럼 클립의 절곡 부분이 영구 변형되어 버리면 인테나와 클립 사이의 접촉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인테나를 통한 신호 송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비록 신호 송수신이 어렵게 이루어지더라도 인테나와 클립 사이의 접촉 불량 때문에 송수신 신호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11075호(2012.10.14 공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991호(2006.06.3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굽힘 응력이나 충격 등에 의한 변형 요인이 작용하더라도 자체 변형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인테나와 단말기 내부 회로 사이의 신호 송수신 접촉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인테나를 통한 우수한 신호 송수신 기능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콘택트부(가동부)의 동작시 콘택트부에 반력을 가하여 복귀되는 힘을 보완함과 동시에 Full stroke 상태(콘택트부가 눌린 상태)에서는 콘택트부와 서포트부 사이의 접촉부와 서포트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접촉부에 변형이 가지 않도록 하는 보강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주요부인 콘택트편과 서포트편(R부)에도 변형이 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접촉부를 2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성형함으로써 기존 1개의 접촉부에 비하여 다수 개소 접촉을 시킴으로써 접촉성을 향상시키며, 탄성부(R부)인 콘택트편과 서포트편의 탄성력을 좋게 하기 위해 보강 비드편(보강대) 형상을 구비한 새로운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인테나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회로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커넥트부; 상기 커넥트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테나와 접촉되는 콘택트부; 상기 콘택트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된 서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에 저면이 솔더링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트부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콘택트부는 상기 커넥트부의 상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부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콘택트부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콘택트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부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택트부에는 안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콘택트편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부가 상기 커넥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콘택트편의 안쪽면에 상기 서포트부가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에는 바깥면이 상기 콘택트편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서포트편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부가 상기 커넥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콘택트편의 안쪽면에 상기 서포트편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서포트편과 이어지면서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하향 돌출된 하향 서포트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부와 상기 서포트부가 함께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서포트부의 상기 하향 서포트편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서포트부를 향하여 상향 연장된 베이스 서포트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포트부 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부에는 바깥면이 상기 콘택트부에 구비된 단면 원주형의 콘택트편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서포트편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편에는 그 안쪽면이 상기 콘택트부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단면 원주형의 하향 서포트편이 구비되며, 상기 하향 서포트편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걸림 서포트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 서포트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상기 서포트부를 향하여 상향 연장된 베이스 서포트편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상기 콘택트부에는 안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콘택트편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진 브릿지 서포트편과,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바깥면이 상기 콘택트편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도록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에 이어진 서포트편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부가 상기 커넥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서포트부의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이 상기 콘택트부의 상기 콘택트편에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시킨다.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선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된 제1브릿지 서포트편과, 상기 제1브릿지 서포트편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콘택트부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제2브릿지 서포트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브릿지 사포트편에 상기 서포트편이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트부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기단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콘택트부는 상기 커넥트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브릿지 콘택트편과,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안쪽면이 상기 서포트부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릿지 콘택트편에 이어진 콘택트편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트부에는 보강 비드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콘택트부의 상기 콘택트편에는 보강 비드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콘택트부는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좌우 양쪽 사이의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콘택트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서포트부를 구비함으로써, 콘택트부가 인테나측에서 누르는 힘 등에 의해 아래로 눌려질 때에 이렇게 눌려진 콘택트부를 서포트부가 지지하고, 상기 콘택트부가 눌려진 상태에서 서포트부가 이를 지지함으로써 콘택트부를 베이스부에 연결하는 커넥트부가 영구 변형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클립이 인테나와 제대로 접촉이 되지 않아 생기는 송수신 장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콘택트부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부에 의해 1차 지지점에서부 5차 지지점과 같이 콘택트부가 눌리는 정도가 커짐에 따라 콘택트부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그에 대응하여 늘어나는 구조이므로, 베이스부에 콘택트부를 연결하는 커넥트부가 영구 변형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말기의 인테나와 접촉되는 부분(본 발명에서는 콘택트부와 커넥트부 부분)이 인테나와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여 신호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테나 클립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인테나 클립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테나 클립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인테나 클립의 구조와 작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회로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부(10), 이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커넥트부(20)를 매개로 베이스부(1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되어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테나(4)와 접촉되는 콘택트부(30)와, 이러한 콘택트부(3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0)에 구비된 서포트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주요부인 베이스부(10), 커넥트부(20), 콘택트부(30) 및 서포트부(40)는 통전성이면서 자체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주요부들이 금속제로 구성됨으로써 통전성이면서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라 함은 휴대폰, PDA, 노트북, 노트 패드와 같이 모든 종류의 기기를 의미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일정 면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부(10)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부(10)의 양쪽 측단부에는 오목홈(10g)이 구비된다. 오목홈(10g)은 각 측단부에 두 개씩 총 네 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0)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통공(10h)이 구비된다. 통공(10h)은 사각홀 형상이다. 즉, 통공(10h)은 전방 홀면과 후방 홀면 및 좌우 홀면을 구비한 사각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에는 후술할 서포트부(40)를 향하여 상향 연장된 베이스 서포트편(14)이 더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 서포트편(14)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서포트부(40) 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의 상면과 베이스부(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통공(10h)은 전방 홀면과 후방 홀면 및 좌우 홀면을 구비한 사각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통공(10h)의 후방 홀면에 베이스 서포트편(14)의 기단부가 이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베이스 서포트편(14)이 베이스부(10)의 선단부측으로 전진함과 동시에 기울어진 형태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베이스 서포트편(14)의 상면과 베이스부(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이며, 베이스 서포트편(14)의 저면과 베이스부(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다. 베이스 서포트편(14)은 베이스부(10)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통공(10h) 부분에서 위로 경사지게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통공(10h)과 베이스 서포트편(14)은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까지 이어지는 중심선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는 커넥트부(20)가 이어져 있다. 커넥트부(20)는 단면 원주형 패널 구조인데, 커넥트부(20)의 하단부가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부(10)의 일측에서 볼 때에 커넥트부(20)가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서 뒤쪽으로 볼록하게 배치된 단면 원주형 패널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커넥트부(20)에는 보강 비드편(26)이 더 구비된다. 보강 비드편(26)은 커넥트부(20)에서 뒤쪽으로 더 돌출된 구조이다. 커넥트부(20)의 일정 영역을 안쪽면에서 바깥면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커넥트부(20)의 바깥면보다 뒤쪽으로 더 돌출되어 나온 보강 비드편(26)을 형성하게 된다. 보강 비드편(26)도 단면 원주형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보강 비드편(26)의 둘레부는 커넥트부(20)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커넥트부(20)의 상단부에는 콘택트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콘택트부(30)는 브릿지 콘택트편(34)과 콘택트편(32)을 구비한다. 브릿지 콘택트편(34)은 기단부가 커넥트부(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베이스부(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브릿지 콘택트편(34)의 안쪽면이 베이스부(10)의 상면과 마주한다. 이러한 브릿지 콘택트편(34)은 양쪽 측단부가 있는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콘택트편(32)은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안쪽면이 서포트부(40)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브릿지 콘택트편(34)에 이어져 있다. 콘택트편(32)의 한쪽 단부가 브릿지 콘택트편(34)의 선단부에 이어진 구조이다. 콘택트편(32)은 베이스부(10)의측면에서 볼 때에 위로 볼록한 단면 원주형 판 구조를 가진다. 즉, 콘택트편(32)은 한쪽 단부가 브릿지 콘택트편(34)에 이어진 상태에서 콘택트편(32)의 안쪽면과 바깥면이 위로 볼록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콘택트편(32)에는 콘택트 비드편(36)이 더 구비된다. 콘택트 비드편(36)은 콘택트편(32)에서 위쪽으로 더 돌출된 구조이다. 콘택트편(32)의 일정 영역을 안쪽면에서 바깥면 방향으로 눌러줌으로써 콘택트편(32)의 바깥면보다 위쪽으로 더 돌출되어 나온 콘택트 비드편(36)을 형성하게 된다. 콘택트편(32)의 콘택트 비드편(36)도 단면 원주형 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콘택트 비드편(36)의 둘레부는 콘택트편(32)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이때, 적어도 두 개의 콘택트 비드편(36)이 콘택트편(32)에 옆으로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
정리하면, 상기 베이스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2)에 저면이 솔더링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트부(20)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부가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콘택트부(30)는 커넥트부(20)의 상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되어 베이스부(10)와 상부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동시에 콘택트부(30)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콘택트부(30)가 베이스부(10) 쪽으로 눌려질 때에는 커넥트부(20)에 자체 탄성력이 보유되어 콘택트부(30)를 위쪽 방향(즉, 베이스부(10)와 벌어지는 방향)으로 복원시키려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는 서포트부(40)가 연결되어 콘택트부(30) 아래로 들어가서 배치되어 있다. 서포트부(40)의 기단부는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한편, 서포트부(40)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부(40)는 단면 원주형의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을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편(42)은 브릿지 서포트편(48)에 의해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이어진다. 이때, 브릿지 서포트편(48)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된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과, 이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에 연결됨과 동시에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콘택트부(30)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을 포함한다.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은 베이스부(10)의 상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은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예각 범위로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단면 원주형의 서포트편(42)은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에 연결되어 콘택트부(30)의 콘택트편(32) 안쪽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배치된 구조이다. 즉, 베이스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서포트편(42)이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보다 더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단면 원주형 판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서포트편(42)에는 아래로 볼록한 단면 원주형의 하향 서포트편(44)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포트편(42)의 일단부가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에 연결되는데,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의 타단부에 하향 연결 브릿지편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향 경사 브릿지편의 하단부에 단면 원주형 판 구조의 하향 서포트편(44) 일단부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향 경사 브릿지편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일정 면적의 판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서 기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반면 하향 경사 브릿지편은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판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면 원주형의 하향 서포트편(44)의 일단부가 하향 경사 브릿지편의 타단부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하향 서포트편(44)은 베이스부(10) 상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즉, 베이스부(10)의 측면에서 볼 때에 하향 서포트편(44)이 상기 하향 경사 브릿지편보다 더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된 단면 원주형 판 구조를 취하고 있다. 결국, 상기 서포트부(40)를 구성하는 한쪽의 서포트편(42)은 바깥면이 콘택트부(30)의 안쪽면을 향하여 위로 볼록하게 배치되고 다른 쪽의 하향 서포트편(44)은 안쪽면이 베이스부(10)의 상면쪽을 향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하향 서포트편(44)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걸림 서포트편(46)이 더 구비된다. 즉, 하향 서포트편(44)의 타단부에 걸림 서포트편(46)이 더 구비된다. 걸림 서포트편(46)은 하향 서포트편(44)의 타단부로부터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부(10)에 구비된 베이스 서포트편(14)의 경사 방향과 하향 서포트편(44)에 구비된 상기 걸림 서포트편(46)의 경사 방향이 베이스부(10)의 기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구성에서 동일 유사하다. 물론, 하향 서포트편(44)에 구비된 걸림 서포트편(46)의 베이스부(10)에 대한 경사 각도는 베이스 서포트편(14)의 베이스부(10)에 대한 경사 각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10)는 단말기 내부 회로(즉, 회로기판(2) 부분)에 솔더링 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인테나(4)(intenna : 단말기의 내부 안테나)가 상기 콘택트부(30)에 접촉됨으로써 인테나(4)를 통해서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콘택트부(3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서포트부(40)를 구비함으로써, 콘택트부(30)가 인테나(4)측에서 누르는 힘 등에 의해 아래로 눌려질 때에 이렇게 눌려진 콘택트부(30)를 서포트부(40)가 지지하고, 상기 콘택트부(30)가 눌려진 상태에서 서포트부(40)가 이를 지지함으로써 콘택트부(30)를 베이스부(10)에 연결하는 커넥트부(20)가 영구 변형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클립이 인테나(4)와 제대로 접촉이 되지 않아 생기는 송수신 장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콘택트부(30)가 베이스부(10) 방향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서포트부(40)를 구성하는 서포트편(42) 바깥면에 콘택트부(30)의 구성인 콘택트편(32)의 안쪽면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콘택트부(30)와 베이스부(10)의 연결 부분인 커넥트부(20)가 눌림 벤딩력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차단되며, 이로 인하여 클립의 콘택트부(30)가 인테나(4)와 제대로 접촉이 되지 않아 생기는 송수신 장애 등을 방지하게 된다. 콘택트부(30)가 단말기의 인테나(4)측에서 작용하는 눌리는 힘에 의해 아래로 눌릴 때에 콘택트부(30)의 기단부가 연결된 커넥트부(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도록 벤딩되는 힘이 작용하는데, 상기 콘택트부(30)의 주요부인 단면 원주형 콘택트편(32)이 베이스부(10)와 콘택트부(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서포트부(40)에 의해 지지되어 콘택트부(30)의 아래에서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콘택트부(30)와 베이스부(10)를 이어지는 커넥트부(20)가 무리하게 벤딩되는 힘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콘택트편(32)에 서포트편(42)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부분이 1차 지지점(support portion)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도 5에서 FP로 표시된 부분이 1차 지지점이 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부(40)를 구성하는 하향 서포트편(44)에 걸림 서포트편(46)이 구비되는데, 상기 콘택트부(30)가 커넥트부(20)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하향 서포트편(44)의 걸림 서포트편(46)이 연결된 부분과 걸림 서포트편(46)이 함께 콘택트부(30)의 브릿지 커넥트편을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걸림 서포트편(46)과 이것이 연결된 하향 서포트편(44)의 일부는 콘택트부(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힘이 더 강해질 수 있다. 결국, 상기 콘택트부(30)와 베이스부(10)를 연결하는 커넥트부(20)의 영구 변형으로 인하여 아래로 눌려진 콘택트부(30)가 다시 위로 복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콘택트부(30)가 더 아래로 눌린 상태가 되면, 서포트부(40)의 하향 콘택트부(30)가 2차적으로 콘택트부(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즉, 도 5의 상태에서 콘택트부(3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아래 방향(즉, 베이스부(10) 방향)으로 더 눌려지면, 서포트부(40)가 브릿지 서포트편(48)을 기준으로 더 아래로 벤딩되면서 상기 하향 콘택트부(30)가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서포트부(40)가 하향 서포트편(44)에 의해 2차로 지지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서포트부(40)의 선단부가 자유단이라서 브릿지 서포트편(48)을 기준으로 더 아래로 벤딩되면서 상기 하향 콘택트부(30)가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접촉된 2차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6의 상태에서는 서포트부(40)의 하향 서포트편(44)이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력을 가함으로써 콘택트부(30)와 베이스부(10)를 연결하는 커넥트부(20)가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6의 SF로 표시된 부분이 2차 지지점이 된다. 이처럼, 도 6의 상태에서는 콘택트부(30)가 서포트부(40)의 서포트편(42)에 의해 1차 지지점이 확보되고 하향 서포트편(44)에 의해 2차 지지점이 확보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콘택트부(30)가 더 많은 힘으로 눌리더라도 상기 1차 지지점과 2차 지지점에 의해 커넥트부(20)가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콘택트부(30)가 눌린 상태에서 다시 위로 복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상기 콘택트부(30)에 더욱 큰 힘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져서 콘택트부(30)가 보다 더 아래로 눌려진 상태가 된다면, 서포트부(40)를 구성하는 하향 서포트편(44)이 베이스부(10)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된 베이스 서포트편(14)에 접촉되므로 상기 콘택트부(30)를 한번 더 지지하는 3차 지지점을 형성한다. 상기 콘택트부(30)가 도 6의 상태에서 더 아래로 눌려지면 도 7에서와 같이 서포트부(40)가 브릿지 서포트편(48)을 기준으로 도 6에서보다 더 아래로 눌려지고, 상기 하향 서포트편(44)은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닿아서 2차 지지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서포트편(42) 자체가 벌어지면서 하향 서포트편(44)이 베이스부(10)의 상면보다 더 위로 경사지게 돌출된 베이스 서포트편(14)에 닿게 되면서 3차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에서 TP로 표시된 부분이 3차 지지점이 된다. 이때, 베이스부(10)에 구비된 통공(10h)으로 하향 서포트편(44)이 좀더 내려가서 하향 서포트편(44)의 돌출 지지편이 구비된 단부측 안쪽면이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의 선단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3차 지지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콘택트부(30)를 누르는 힘이 점점 가중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아래로 눌린 상태에서 서포트부(40)가 상기 1차 지지점과 2차 지지점 및 3차 지지점에서 지지력을 가하게 되므로, 콘택트부(30)가 눌린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지지하는 커넥트부(2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하는데 더욱 안정적이다.
또한, 도 7에서보다 더 눌르는 힘이 콘택트부(30)에 가해져서 콘택트부(30)가 도 7의 상태보다 더 눌린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부(40)의 하향 서포트편(44)에 구비된 걸림 지지편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돌출된 베이스 서포트편(14)에 걸리면서 4차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도 7보다 더 아래로 콘택트부(30)가 눌린 경우에는 서포트부(40)의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은 도 7에서보다 더욱 아래로 눌려질 것이고, 이로 인해 상기 하향 서포트편(44)에 구비된 걸림 지지편이 베이스부(10) 상면의 베이스 서포트편(14)에 후크가 걸리듯이 걸려지면서 4차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서포트부(40)가 상기 1차 지지점, 2차 지지점, 3차 지지점 및 4차 지지점에서 콘택트편(32)을 지지하는 힘을 가해주게 되므로, 도 7에서보다 콘택트부(30)가 더 눌린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커넥트부(20)가 콘택트부(30)를 눌린 상태에서 위로 복귀시키지 못할 정도로 영구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택트부(30)를 구성하는 콘택트편(32)의 선단부는 자유단인데, 이러한 자유단인 콘택트편(32)의 선단부는 콘택트부(30)가 베이스부(10) 방향으로 서포트부(40)에 걸림으로써 5차 지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편(32)의 선단부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콘택트부(30)를 연결하는 브릿지 서포트편(48) 바깥면에 걸려지면서 5차 지지점을 형성한다. 따라서, 서포트부(40)가 1차 지지점, 2차 지지점, 3차 지지점, 4차 지지점 및 상기 5차 지지점에서 콘택트편(32)을 지지하는 힘을 가해주게 되므로, 콘택트부(30)가 가장 많이 눌린 상태에서도 커넥트부(20)가 콘택트부(30)를 눌린 상태에서 위로 복귀시키지 못할 정도로 영구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콘택트부(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부(40)에 의해 1차 지지점에서부 5차 지지점과 같이 콘택트부(30)가 눌리는 정도가 커짐에 따라 콘택트부(30)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그에 대응하여 늘어나는 구조이므로, 베이스부(10)에 콘택트부(30)를 연결하는 커넥트부(20)가 영구 변형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말기의 인테나(4)와 접촉되는 부분(본 발명에서는 콘택트부(30)와 커넥트부(20) 부분)이 인테나(4)와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여 신호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택트부(30)를 구성하는 콘택트편(32)은 아래로 오목한 단면 원주형 판 형상이고 서포트부(40)를 구성하는 서포트편(42)은 위로 볼록한 단면 원주형 판 형상이라서, 상기 콘택트부(30)가 아래로 눌려질 때에 단면 원주형 콘택트편(32) 아래면에 단면 원주형 서포트편(42)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력을 가하게 되므로, 콘택트부(30)를 서포트부(40)가 지지하는 힘의 작용에 있어서 보다 원활하다. 또한, 상기 서포트부(40)의 다른 쪽 하향 서포트편(44)도 아래로 볼록한 단면 원주형 판 형상이라서 베이스부(10)와 하향 서포트편(44) 사이에 지지점을 형성하여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기능에 있어서도 보다 원활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서포트부(40) 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의 상면과 베이스부(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40)의 하향 서포트편(44)에 구비된 걸림 지지편이 내려올 때에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에 확실하게 걸리면서 상기 4차 지지점을 형성하므로, 콘택트부(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지지력 작용에 있어서 보다 확실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48)은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된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과, 이러한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콘택트부(30)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은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택트부(30)에 의해 서포트부(40)가 눌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이 보다 큰 힘으로 서포트부(40)를 콘택트부(30) 방향으로 탄지하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상기 콘택트부(30)를 서포트부(40)에 의해 아래에서 지지하는 힘이 더 커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커넥트부(20)에는 바깥면이나 안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 면으로 더 돌출된 보강 비드편(26)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커넥트부(20)의 보강 비드편(26)은 커넥트부(20)에 벤딩되는 힘이 작용할 때에 보다 큰 힘으로 벤딩되는 힘을 버틸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콘택트부(30)가 베이스부(10)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커넥트부(20)에 작용하는 벤딩력으로 인해 커넥트부(20)가 영구 변형되려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커넥트부(20)의 보강 비드편(26)은 커넥트부(20)에 작용하는 벤딩 작용력을 더 크게 흡수함으로써 커넥트부(20)의 영구 변형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고 이로 인하여 콘택트부(30)가 눌린 상태에서 위로 복귀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욱 도움이 되는 구성이라 하겠다.
또한, 상기 콘택트부(30)의 상기 콘택트편(32)에는 콘택트 비드편(36)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콘택트부(30) 자체의 콘택트 비드편(36)은 콘택트편(32)이 눌리는 힘에 의해 굽혀지려는 힘이 작용할 때에 보다 큰 힘으로 벤딩되는 힘을 버틸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콘택트편(32)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뢰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콘택트편(32)의 콘택트 비드편(36)은 단말기의 인테나(4)와의 접촉 지점을 늘려줌으로써 인테나(4)와의 통전성 향상에도 보다 기여하게 된다. 이를테면, 콘택트부(30) 자체의 콘택트 비드편(36)은 주요부인 콘택트편(32)의 벤딩 작용력에 의한 형상 변형 등을 방지하는데 보다 효과적이고 단말기 인테나(4)와의 통전성 등을 높여주는데도 보다 효과적인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콘택트부(30)는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좌우 양쪽 사이의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콘택트부(30)를 구성하는 브릿지 콘태트편의 좌우 양쪽 사이 너비가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콘택트부(30)가 아래로 눌려진 상태에서 콘택트부(30)에서 커넥트부(20)로 전달되는 굽힙 응력이 보다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트부(20)의 영구 변형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며, 상기 브릿지 콘택트부(30)의 좌우 너비가 줄어드는 만큼 재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베이스부(10)의 저면 양쪽에는 상향 연결부(10uc)가 더 구비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 연결부(10uc)는 베이스부(10)의 저면에 대해 상향으로 일정 각도(예각 범위 내)로 경사지게 연장된 곡면이나 테이퍼형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이스부(10)의 저면을 회로기판(2)에 솔더링(납땜)할 때에 땜납과 베이스부(10) 사이의 솔더링 면적이 더 늘어나게 되므로, 클립의 장착 강도가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베이스부(10) 저면 양쪽의 상향 연결부(10uc)에까지 땜납이 붙게 되면서 땜납과 베이스부(10) 사이의 접합 면적이 더 늘어나며 이로 인하여 클립의 접합 강도를 보다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주요부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부 앞쪽에 2단 R 형상을 가진 텐션부를 설치하여 가동부가 동작될 때 반력을 주므로 가동부가 복귀되는 힘을 증가시킨다. 고정부는 베이스부(10)이고, 2단 R 형상(2단 곡면부 형상)을 가진 텐션부는 서포트부(40)의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 및 단면 곡면 형상의 커넥트부(20)가 될 수 있으며, 가동부는 콘택트부(30)이다. 이러한 콘택트부(30)가 동작할 때(즉, 눌려질 때)에 2단 R 형상의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에 의해 반력을 주기 때문에 콘택트부(30)가 복귀되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둘째, 텐션부의 가동부 및 고정부에 닿는 부위는 R형상을 줌으로써 접촉부 형상의 변형을 막고 고정부에 닿았을 때 부드러운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텐션부는 서포트부(40)의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으로서, 이러한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이 고정부라 할 수 있는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이 R 형상(곡면부 형상)이고 상기 콘택트부(30)의 콘택트편(32)도 R 형상(곡면부 형상)이라서 콘택트편(32)과 서포트편(42)의 접촉부와 하향 서포트편(44)과 베이스부(10)의 접촉부에 형상의 변형을 막고 베이스부(10)에 닿았을 때(즉, 하향 서포트편(44) 부분이 베이스부(10)에 닿았을 때)에 부드러운 동작이 될 수 있게 한다.
셋째, 텐션부가 Full stroke 위치(즉, 콘택트부가 눌린 위치)에 올 때 끝단부가 가동부 하단면을 밀어주어 가동부에 추가 반력을 발생시킨다. 텐션부는 서포트편(42)과 하향 서포트편(44)이 될 수 있는데, 콘택트부(30)가 Full stroke 위치에 올 때에 하향 서포트편(44)의 끝단부가 가동부인 콘택트부(30) 하단면(저면)을 밀어주므로 콘택트부(30)에 추가 반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추가 반력에 의해 콘택트부(3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증가시킨다.
넷째, 단자가 접촉되는 접촉부 형상을 2개로 나누어 성형함으로써 단자와 다수 개소 접촉이 되게 하므로 접촉성능을 향상시킨다. 단자가 접촉되는 접촉부라 함은 콘택트부(30)의 콘택트편(32)에 구비된 콘택트 비드편(36)인데, 이러한 콘택트 비드편(36)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단자(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테나)와 접촉되는 부분을 2개소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접촉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섯째, 접촉부에 먼지 등 이물에 대한 가운데 도피 홈 형상 기능으로 인하여 접촉불안을 개선한다. 상기 콘택트 비드편(36)이 단자(즉, 인테나)와의 접촉부인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콘택트 비드편(36) 사이에 홈 형태의 도피홈이 형성되어서 이물질이 콘택트 비드편(36) 사이의 도피홈으로 빠지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접촉 불안을 개선하게 된다.
여섯째, 가동부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R부위에 보강대 형상을 구비한다. 이때, R 부위라 함은 단면 원주 형상의 커넥트부(20)인데, 이러한 커넥트부(20)에 보강 비드편(26)을 더 구비함으로 인하여 커넥트부(20)의 탄성 복원력을 더 증대시키고 이로 인하여 가동부인 콘택트부(30)의 탄성 복원력을 더 증가시키게 된다.
일곱째, Full stroke 위치에서 텐션부가 더 이상 밀리지 않게 스톱퍼(Stopper)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콘택트부(30)의 Full stroke 위치(눌린 위치)에서 텐션부인 하향 서포트편(44)이 더 이상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으로 밀리지 않게 스톱퍼 기능으로 베이스 서포트편(14)을 더 구비한 구조이다.
여덟째, 가동부 끝단 부위에 안쪽으로 벤딩 형상을 주어 조립(Assembly) 작업시 장갑 등에 걸림 현상을 방지한다. 가동부는 콘택트부(30)인데, 콘택트부(30)의 자유단인 선단부에 상기 베이스부(10)의 기단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벤딩된 연장 플랩편(38)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연장 플랩편(38)은 콘택트부(30)의 선단부가 콘택트부(30)의 눌림 작동 영역 안쪽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조립 작업시에 작업자의 장갑 등에 콘택트부(30)의 선단부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조립시에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부 10g. 오목홈
10h. 통공 14. 베이스 서포트편
20. 커넥트부 26. 보강 비드편
30. 콘택트부 32. 콘택트편
34. 브릿지 콘택트편 36. 콘택트 비드편
40. 서포트부 42. 서포트편
44. 하향 서포트편 46. 걸림 서포트편
48. 브릿지 서포트편 48a. 제1브릿지 서포트편
48b. 제2브릿지 서포트편

Claims (15)

  1. 단말기 인테나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내부의 회로에 통전 가능하게 접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커넥트부(20);
    상기 커넥트부(20)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부(1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에 배치되며 인테나(4)와 접촉되는 콘택트부(30);
    상기 콘택트부(30)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에 구비된 서포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부(40)에는 바깥면이 상기 콘택트부(30)에 구비된 단면 원주형의 콘택트편(32)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서포트편(42)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편(42)에는 그 안쪽면이 상기 콘택트부(30)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단면 원주형의 하향 서포트편(44)이 구비되며, 상기 하향 서포트편(44)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걸림 서포트편(4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2)에 저면이 솔더링되는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트부(20)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기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콘택트부(30)는 상기 커넥트부(20)의 상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와 상부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콘택트부(30)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트부(40)는 상기 콘택트부(30)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그 기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부(40)의 선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부(30)에는 안쪽면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콘택트편(32)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부(30)가 상기 커넥트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10) 방향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콘택트편(32)의 안쪽면에 상기 서포트부(40)가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40)에는 바깥면이 상기 콘택트편(32)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서포트편(42)이 구비되어, 상기 콘택트부(30)가 상기 커넥트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10) 방향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콘택트편(32)의 안쪽면에 상기 서포트편(42)이 접촉된 상태로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40)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서포트편(42)과 이어지면서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하향 돌출된 하향 서포트편(4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부(30)와 상기 서포트부(40)가 함께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서포트부(40)의 상기 하향 서포트편(44)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에는 상기 서포트부(40)를 향하여 상향 연장된 베이스 서포트편(1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포트부(40) 방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서포트편(14)의 상면과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서포트편(46)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서 상기 서포트부(40)를 향하여 상향 연장된 베이스 서포트편(14)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부(30)에는 안쪽면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단면 원주형의 콘택트편(32)이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진 브릿지 서포트편(48)과,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바깥면이 상기 콘택트편(32)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도록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48)에 이어진 서포트편(42)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부(30)가 상기 커넥트부(20)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10) 방향으로 눌려질 때에 상기 서포트부(40)의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48)이 상기 콘택트부(30)의 상기 콘택트편(32)에 접촉되어 지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서포트편(48)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선단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상향으로 연장된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과, 상기 제1브릿지 서포트편(48a)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콘택트부(30)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제2브릿지 서포트편(48b)을 포함하며, 상기 제2브릿지 사포트편에 상기 서포트편(42)이 이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부(20)는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콘택트부(30)는 상기 커넥트부(2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브릿지 콘택트편(34)과, 단면 원주형으로 이루어져 그 안쪽면이 상기 서포트부(40)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브릿지 콘택트편(34)에 이어진 콘택트편(3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부(20)에는 보강 비드편(26)이 더 구비되고, 상기 콘택트부(30)의 상기 콘택트편(32)에는 콘택트 비드편(36)이 더 구비되고, 상기 콘택트 비드편(36)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콘택트부(30)의 선단부에는 베이스부(10)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내향 연장된 연장 플랩편(3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부(30)는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좌우 양쪽 사이의 너비가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면 양쪽에는 상향 연결부(10uc)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1020130151853A 2013-12-06 2013-12-06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10139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53A KR101398156B1 (ko) 2013-12-06 2013-12-06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853A KR101398156B1 (ko) 2013-12-06 2013-12-06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156B1 true KR101398156B1 (ko) 2014-05-22

Family

ID=5089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853A KR101398156B1 (ko) 2013-12-06 2013-12-06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1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8607A1 (en) * 2015-08-04 2017-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device
KR200483674Y1 (ko) 2016-10-31 2017-06-09 (주)한신단자공업 휴대단말기용 보드 접속단자
WO2021221473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커넥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04Y1 (ko) 2009-07-14 2010-04-2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접속단자
KR100965854B1 (ko) 2010-02-02 2010-06-24 주식회사 선화정밀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KR20100008686U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단자
KR20110004309U (ko) * 2009-10-23 2011-05-03 (주)대영케이티엑스 클립형 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86U (ko) * 2009-02-24 2010-09-0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단자
KR200448504Y1 (ko) 2009-07-14 2010-04-2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접속단자
KR20110004309U (ko) * 2009-10-23 2011-05-03 (주)대영케이티엑스 클립형 단자
KR100965854B1 (ko) 2010-02-02 2010-06-24 주식회사 선화정밀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8607A1 (en) * 2015-08-04 2017-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device
CN106450652A (zh) * 2015-08-04 2017-02-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装置的天线
US10218054B2 (en) 2015-08-04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device
KR200483674Y1 (ko) 2016-10-31 2017-06-09 (주)한신단자공업 휴대단말기용 보드 접속단자
WO2021221473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커넥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4013B (zh) 带开关的同轴连接器及其组装方法
US8771028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a terminal fitting and a circuit board
US20060276085A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KR200448504Y1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KR101398156B1 (ko)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US7862361B2 (en) Electrical flex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CN113259510A (zh) 电子设备、接地弹片和测试座组件
US20080160801A1 (en) Contact used in an electrical connector
CN113178695B (zh) 电子设备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398159B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101398169B1 (ko) 단말기용 복합 기능성 인테나 클립
CN111355030B (zh) 移动终端
CN108173037B (zh) 弹性组件及含其的移动终端
CN210489870U (zh) 一种微型射频开关
KR101202246B1 (ko) 인테나 접속장치
CN111244644B (zh) 一种弹片及电子设备
CN212626184U (zh) 射频信号传输用弹片
CN218482434U (zh) 天线弹片
CN110247216B (zh) 电子设备
JP446188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CN220774790U (zh) 一种线对板连接器用的单向双触点端子
CN111403944A (zh) 射频信号传输用弹片
CN112310607B (zh) 天线接地结构及具有该天线接地结构的可穿戴设备
KR101525581B1 (ko) 터미널 콘택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