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46B1 - 인테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인테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46B1
KR101202246B1 KR1020110097801A KR20110097801A KR101202246B1 KR 101202246 B1 KR101202246 B1 KR 101202246B1 KR 1020110097801 A KR1020110097801 A KR 1020110097801A KR 20110097801 A KR20110097801 A KR 20110097801A KR 101202246 B1 KR101202246 B1 KR 10120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nd
stopper
contact
intenna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철
정승문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1009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단; 탄성부; 접촉부 및 이동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이동단; 및 접촉부가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스톱퍼;를 포함하는 인테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촉부가 고정단 방향으로 눌림에 따라는 변형하중에 대해 탄성부가 받는 응력을 작게 유지하며, 접속장치의 도금시 접속장치간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테나 접속장치{Intenna Contacting Element}
본 발명은 인테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테나 장치와 회로 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공개번호 : 10-2009-0120261호)는 두 개의 탄성부와 받침단의 곡면부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외부하중을 분산시켜 스톱퍼용 고무가 필요 없는 안테나 접속장치를 제공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으로 접착될 고정단(110)과, 접촉부(143)와 장경사부(141) 및 단경사부(142)를 포함하는 이동단(140)과, 받침단 평탄부(151) 및 곡면부(152)를 포함하는 받침단(150)과, 상기 고정단과 이동단을 연결하는 제1 탄성부(120)와, 상기 고정단과 받침단을 연결하는 제2 탄성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는 두 개의 탄성부를 가지고 있어 전파가 안테나에 전달될 때 전도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고정단(110)은 평판형태로서,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으로 고정되며, 고정단의 양 측에는 대향되는 위치에 필렛(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부(120)는 상기 고정단(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은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단(140)은 상기 제1 탄성부(120)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경사부(141)와, 상기 장경사부(141)의 일부를 곡률을 갖도록 절곡하여 상기 고정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경사부(142)와, 단경사부(142)와 장경사부 사이의 절곡부분의 주위에 형성되고 안테나와 접속하는 접촉부(143)와, 변형하중 작용시 받침단(150)의 곡면부(152)와 접촉하는 받침단 접촉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43)는 내장형 및 외장형 안테나와 접속하게 되고, 상기 받침단 접촉부(144)는 받침단(150)의 곡면부(152)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탄성부(130)는 상기 고정단(1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은 상기 고정단과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단(150)은 상기 제2 탄성부(130)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과 평행하게 소정 길이가 연장되는 받침단 평탄부(151)와, 상기 받침단 평탄부(151)의 끝에서 고정단 절곡되어 연장되고 평탄부 반대쪽으로 형성된 일정 곡률을 갖는 곡면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152)는 상기 이동단의 아래에 위치하고 외부에서 상기 접촉부(143)에 변형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받침단의 곡면부(152)의 일부가 상기 받침단 접촉부(144)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단 접촉부(144)와 상기 받침단(150)의 곡면부(152) 사이에는, 상기 접촉부(143)에 하중이 실리면 상기 제1 탄성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양자가 접촉될 정도의 간격이 있거나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단(150)의 곡면부(152)의 끝단이 상기 받침단(150)의 받침단 평탄부(151)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단의 접촉부(143)와 내장형 안테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이동단에 변형 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기 받침단(150)의 받침단 평탄부(151)보다 상기 받침단(150)의 곡면부(152)가 먼저 고정단의 상면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변형하중이 상기 받침단의 곡면부(152)에 분산됨으로써 상기 제 2 탄성부(130)에 작용하는 변형하중이 작아져 변형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제 2 탄성부의 회복정도가 향상되게 된다. 또한 제 2 탄성부의 탄성한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더 많은 변형하중이 필요하게 되어 더 많은 외부충격을 이겨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단(150)의 수평길이가 상기 이동단(140)의 수평길이보다 더 길므로 외부에서 변형하중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제 2탄성부의 변형율이 작아 상기 제 2탄성부에 걸리는 응력이 작게 작용하게 된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변형하중은 먼저 상기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의 이동단(140)에 작용하고, 상기 이동단의 받침단 접촉부(144)와 상기 받침단(150)의 곡면부(152)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기 받침단(150)에 분산된다. 이 분산된 변형하중은 상기 접속장치의 제1 탄성부(120) 및 제2 탄성부(130)에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각 탄성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상기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를 미는 변형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는 각 탄성부에서 고정단 방향으로 밀리는 변형하중을 고려하였으나, 밀리는 정도를 제어할 뿐 앞쪽으로 쏠림에 따라 피접속체와 접촉부의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는 도금시 고정단과 이동단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접속장치간의 끼임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부가 고정단 방향으로 눌림에 따라 변형하중에 대해 탄성부가 받는 응력을 작게 유지하면서, 이동단의 앞쪽으로 쏠려 피접속체와 접촉부의 접속이 불안정해지지 않도록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장치의 도금시 접속장치간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인테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평판형태의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고정단과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피접속체와 접촉하도록 돌출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이동단; 및 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단에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가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단은 상기 접촉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고정단과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동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스톱퍼는 상기 이동단 가이드가 삽입되되, 상기 이동단 가이드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스톱퍼는 상기 고정단에 직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단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이동단을 덮도록 상기 1차 스톱퍼로부터 연장 형성된 2차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단은 상기 이동단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3차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단은 소정의 위치에 필렛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피접속체와 닿는 부분에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단은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접촉부까지의 이동단 면보다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1차 스톱퍼와 맞도록 연장된 면이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단은 상기 2차 스톱퍼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과 평행하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접촉부가 고정단 방향으로 눌림에 따라는 변형하중에 대해 탄성부가 받는 응력을 작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이동단의 앞쪽으로 쏠려 피접속체와 접촉부의 접속이 불안정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장치의 도금시 접속장치간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가 응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는 필렛(211) 및 3차 스톱퍼(212)가 형성된 고정단(210), 탄성부(220), 접촉돌기(233)가 형성된 접촉부(232)와 이동단 가이드(231)를 포함한 이동단(230), 가이드홀(241)을 포함한 1차 스톱퍼(240), 및 2차 스톱퍼(2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단(210)은 평판형태이다. 고정단(210)은 인테나 접속장치가 회로기판에 고정될 때, 회로기판과 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단(210)은 납땜으로 인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단(210)은 소정의 위치에 필렛(211)이 형성되어 있다.
필렛(211)은 고정단(210)의 홈 또는 구멍 형태로 된 것이다. 필렛(211)은 고정단(210)을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해 납땜을 할 때, 용융 상태의 납이 필렛(211)을 채울 수 있도록 하여 납오름 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융상태의 납이 필렛(211)을 모두 덮게 되면 고정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력에 대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단(210)은 이동단(230)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3차 스톱퍼(212)를 포함한다.
이동단(23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탄성부(220)가 받게되는 응력은 이동단(230)이 고정단(210)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3차 스톱퍼(212)로 인하여 일정 이상 고정단(2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작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3차 스톱퍼(212)는 돌출되어 형성되되, 돌출된 만큼의 공간을 비워둘 수 있다. 3차 스톱퍼(212)가 돌출되어 발생한 빈 공간은 필렛(211)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220)는 고정단(210)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탄성부(220)는 이동단(230)과 고정단(210)을 잇되, 탄성을 가져 이동단(230)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다.
탄성부(220)는 원형으로 절곡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회로기판과 이동단(230)의 접촉부(232)가 접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일정 경사 각도를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탄성부(220)는 접촉부(232)를 포함한 이동단(230) 전체를 탄력성을 가지고 지지하면서 자체 탄성력을 통해 이동단(230)이 상하방향의 외력에서 벗어나는 경우 초기 상태로 복원해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220)는 고정단(210)의 일단으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동단(230)은 고정단(210)과 평행하도록 탄성부(22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접촉부(232)와 이동단 가이드(2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230)은 탄성부(220)에서 접촉부(232)까지 형성된 면의 높이보다 접촉부(232)에서 1차 스톱퍼와 맞닿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면의 높이가 보다 높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접촉부(232)에 1차 스톱퍼와 맞닿도록 연장되어 형성된 면이 탄성부(220)에서 접촉부(232)까지 형성된 면보다 높으면, 이동단(230)이 상하방향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폭이 보다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230)은 2차 스톱퍼(250)에 의하여 고정단(210)과 평행하도록 마주보게 유지된다.
이동단(230)이 고정단(210)과 평행하게 유지되면, 이동단(230)은 수평 유지되어 인테나 접속장치를 에어로 흡입할 때 흡입 유지가 원활한 효과가 있다.
접촉부(232)는 이동단(230) 상에 피접속체와 접촉하도록 돌출된 부분이며, 도 2에서 나타나듯이 평판형태의 이동단(230) 상에 돌기형태로 고정단(21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부(232)는 피접속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접촉돌기(233)가 형성된다.
접촉돌기(233)는 피접속체와 접촉되기 위해 돌출된 접촉부(232) 상에 보다 피접속체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단 가이드(231)는 접촉부(232)의 끝단부에서 고정단(210)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동단 가이드(231)는 가이드홀(241)에 삽입되되 이동단(23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도 2에서 나타난 이동단(230)의 폭보다 좁게 하여 연장 형성되는 것은 이동단 가이드(231)의 일 형태이다.
1차 스톱퍼(240)는 고정단(210)의 탄성부(220)가 연장된 부분의 반대쪽 타단으로부터 고정단(210)에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1차 스톱퍼(240)는 고정단(210)에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이동단(220)이 상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 아래쪽으로 눌리게 될 때 1차 스톱퍼(240) 방향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접촉부(232)가 피접속체와의 접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1차 스톱퍼(240)는 고정단(210)과 이동단(230) 사이의 틈을 막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속장치의 도금시 접속장치간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1차 스톱퍼(240)는 이동단 가이드(231)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241)을 포함한다.
1차 스톱퍼(240)는 도 2에서 나타나듯이 2개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241)의 형태에 따라 면의 형태가 상이할 수 있으나, 이동단(230)의 앞쪽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판형태를 기본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스톱퍼(240)는 고정단(210)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가이드홀(241)은 이동단 가이드(231)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의 형태로 이동단 가이드(231)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제약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2차 스톱퍼(250)는 고정단(210)과 마주보도록 1차 스톱퍼(240)로부터 절곡되어 이동단(230)을 덮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2차 스톱퍼(250)는 고정단(210)의 일단으로부터 탄성부(220)에서 이동단(230)으로 연장형성된 것과 같이 고정단(21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다만, 2차 스톱퍼(250)는 이동단(230)을 덮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단(230)의 초기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절곡된다.
2차 스톱퍼(250)는 이동단(230)을 덮도록 형성되어, 이동단(230)이 충격 등의 규정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탄성부(220)가 상측방향으로의 응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가 응력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가 외부에서 받는 힘은 크게 상하방향(410), 상측방향(420) 및 좌우방향(430)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는 이동단(230)에 상하방향(410)의 힘이 작용하게 되면 탄성부(220)의 구조상 이동단(230)은 상하방향으로만 변형하지 않고 앞쪽으로 쏠린다. 이러한 앞쪽으로 쏠리는 변형은 접촉부(232)와 피접속체의 접속을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는 1차 스톱퍼(240)를 두어 이동단(230)이 앞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이동단(230)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접촉부(232)가 피접속체와 안정된 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1차 스톱퍼(240)는 이동단(230)의 앞쪽으로 이탈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동단(230)의 고정단(210) 방향으로 눌림에 대해 일정 저항력을 부여함으로써 이동단(230)의 고정단(210) 방향 변형하중에 대해 탄성부(220)가 받게 되는 응력을 작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는 이동단(230)에 충격 등의 설계시 예측하지 못한 상측방향(420)의 힘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2차 스톱퍼(250)에 의하여 상측방향(420)으로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는 이동단(230)에 충격 등의 설계시 예측하지 못한 좌우방향(430)의 힘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이동단 가이드(231)가 가이드홀(24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만 자유롭기 때문에 좌우방향(430)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탄성부(220)는 접촉부(232)가 피접속체와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계시 예측한 상하방향(410)의 일정 외력에 대한 응력만을 받을 뿐, 과도한 상하방향(410)으로의 외력에 의한 응력, 상측방향(420)으로의 외력에 의한 응력 및 좌우방향(430)으로의 외력에 의한 응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테나 접속장치는 충격 등의 예측 못한 변형 외력에 의해서 탄성부(220)의 단절 내지 영구 변형의 발생이 방지되어 보다 긴 수명과 안정된 피접속체와의 접속유지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10 : 고정단 211 : 필렛
212 : 3차 스톱퍼 220 : 탄성부
230 : 이동단 231 : 이동단 가이드
232 : 접촉부 233 : 접촉돌기
240 : 1차 스톱퍼 241 : 가이드홀
250 : 2차 스톱퍼

Claims (10)

  1. 평판형태의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고정단과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피접속체와 접촉하도록 돌출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이동단;
    상기 고정단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단에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가 앞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스톱퍼; 및
    상기 고정단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기 이동단을 덮도록 상기 1차 스톱퍼로부터 연장 형성된 2차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상기 접촉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고정단과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는 이동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스톱퍼는 상기 이동단 가이드가 삽입되되, 상기 이동단 가이드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만곡된 형상으로 절곡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스톱퍼는 상기 고정단에 직각으로 절곡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이동단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3차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은 소정의 위치에 필렛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피접속체와 닿는 부분에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상기 탄성부에서 상기 접촉부까지의 이동단 면보다 상기 접촉부에서 상기 1차 스톱퍼와 맞도록 연장된 면이 높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은 상기 2차 스톱퍼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과 평행하도록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나 접속장치.
KR1020110097801A 2011-09-27 2011-09-27 인테나 접속장치 KR10120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801A KR101202246B1 (ko) 2011-09-27 2011-09-27 인테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801A KR101202246B1 (ko) 2011-09-27 2011-09-27 인테나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246B1 true KR101202246B1 (ko) 2012-11-16

Family

ID=4756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801A KR101202246B1 (ko) 2011-09-27 2011-09-27 인테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224B1 (ko) 2013-05-15 2014-05-20 강태석 컨택트
KR101540088B1 (ko) * 2014-10-22 2015-07-29 케이에이치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04Y1 (ko) * 2009-07-14 2010-04-2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04Y1 (ko) * 2009-07-14 2010-04-21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휴대폰용 접속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224B1 (ko) 2013-05-15 2014-05-20 강태석 컨택트
KR101540088B1 (ko) * 2014-10-22 2015-07-29 케이에이치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8325B2 (en) Low profile connector
KR101088215B1 (ko) 하우징 일체형 컨텍터
US8915760B2 (en) Surface mount clip
KR101222242B1 (ko) 컨텍터
KR1009658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KR101202246B1 (ko) 인테나 접속장치
KR101185730B1 (ko) 소형 카메라모듈의 수직 와이어 완충구조
EP2701239A1 (en) Connection structure with usb interface and data card
US10056585B2 (en) Battery holder
KR1015277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KR101398156B1 (ko)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20150096986A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621705B1 (ko)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KR20150024760A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1697139B1 (ko) 접속단자
KR101609407B1 (ko) 전기 커넥터
KR101190016B1 (ko) 탄성 전기 접촉단자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KR101687880B1 (ko) 전자기기 버튼 스위치 모듈용 보드 접속단자
CN210984973U (zh) 具有止高基座及侧突悬臂的表面安装减偏弹片
KR101398159B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CN211182609U (zh) 电连接器
KR200462952Y1 (ko) 접속단자
KR102266627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