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24B1 -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24B1
KR101102924B1 KR1020090073467A KR20090073467A KR101102924B1 KR 101102924 B1 KR101102924 B1 KR 101102924B1 KR 1020090073467 A KR1020090073467 A KR 1020090073467A KR 20090073467 A KR20090073467 A KR 20090073467A KR 101102924 B1 KR101102924 B1 KR 10110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nt
keypad
lay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989A (ko
Inventor
윤정호
Original Assignee
삼본정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본정밀전자(주) filed Critical 삼본정밀전자(주)
Priority to KR102009007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34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properties
    • C09K2003/1062UV-cura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한 후 폰트구멍(11)을 마련하여 폰트 형상의 경계를 간단 정교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제 2 시트(20)에 폰트구멍(11)에 합치되는 폰트돌기(41)를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과 더불어 완성시켜, 시인성, 조립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시트, 폰트구멍, 제 2 시트, UV 수지층, 폰트돌기, 입체패턴, 패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시트에 폰트구멍을 뚫고, 이 폰트구멍에 제 2 시트의 폰트돌기가 끼워져 합체되도록 하여, 폰트구멍 및 폰트돌기에 의한 시인성을 뚜렷하게 보장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가정용 전화기, PDA 또는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회로기판과 연동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소개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편의상 셀룰러폰용 키패드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가 적용된 제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돔 스위치 및 회로기판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50)는 기본적으로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L)를 내장한 프런트 하우징(F) 속에 구비되며 돔 스위치(D) 위에 놓여지는 패드(20)와, 다이얼키나 기능키 등과 같이 각각의 기능으로 식별되도록 키탑(11) 위에 기호, 문자, 숫자 등이 새겨진 폰트(11a)를 갖는 키(10)로 이루어진다.
패드(20)는 돔 스위치(D)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회로기판(H)의 접점(H1)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돌기(21)를 구비하며, 키(10)는 키탑(11) 위에 인쇄, 스프레이, 도장 또는 도장 후 레이저 가공으로 도료를 제거하는 방식 등으로 폰트(11a)가 제공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50)는 폰트(11a)가 키탑(11) 위에 단지 인쇄, 스프레이, 도장 또는 도장 후 레이저 가공(도장의 부분 제거) 등으로 부여되므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폰트(11a)가 쉽게 지워지는 현상이 있고, 합성수지의 사출로 키패드(50)를 완성함으로 인하여 입체적 폰트(11a)를 구현하기가 극히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진[블랙으로 된 제 1 바탕인쇄층이 부여된 샘플을 촬영한 사진]이며, 미 설명부호 L은 램프, H1은 접점을 지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시트(50) 아래의 폰트(F) 형상을 제외한 부분에 제 1 바탕인쇄층(51), 제 2 바탕인쇄층(52), 차폐인쇄층(53)을 오프셋(Off Set) 인쇄로 부여하고, 투명시트(50) 아래의 폰트(F) 형상에 폰트인쇄층(54)을 부여한 후 투명인쇄층(55)을 부여하고, 투명인쇄층(55) 아래에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보스(71)가 부여된 패드(70)를 합체시키므로써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시트(50) 위로 돌출된 키탑(60)이나 돌출 폰트(61)를 부여할 수도 있다.
제 1 바탕인쇄층(51) 및 제 2 바탕인쇄층(52)은 투명시트(50) 위로 노출되는 전체 칼라(Color)로서 주로 화이트(White)인 경우가 많고, 차폐인쇄층(53)은 회로기판(H)에 탑재된 램프(L)의 빛을 폰트인쇄층(54)으로 투과시킬 때 시인성을 확실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블랙(Black)으로 처리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나아가 폰트인쇄층(54)은 키탑(60)을 통해 노출되는 폰트(F)의 색상으로 예를 들면 레드(Red) 또는 그린(Green)인 경우가 되며, 투명인쇄층(55)은 폰트인쇄층(54)을 보호하면서 패드(70)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제 1 바탕인쇄층(51) 및 제 2 바탕인쇄층(52)을 더블(겹겹으로)로 하는 이유는 차폐인쇄층(53)인 블랙이 제 1 바탕인쇄층(51) 또는 제 2 바탕인쇄층(5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제 1 바탕인쇄층(51) 및 제 2 바탕인쇄층(52)의 개수는 농도에 따라 가감될 수 있고,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탕인쇄층(51)으로부터 차폐인쇄층(53)으로 갈수록 폰 트(F) 형상[폰트(F) 영역]을 점점 크게 하는(오프셋 인쇄하는) 이유는 즉, 제 1 바탕인쇄층(51), 제 2 바탕인쇄층(52) 및 차폐인쇄층(53)에 의한 폰트(F) 형상을 계단형으로 점점 크게 하는 이유는 제 1 바탕인쇄층(51) 아래에 제 2 바탕인쇄층(52)을 부여할 때 제 2 바탕인쇄층(52)이 폰트(F) 형상의 영역을 침범하거나, 제 2 바탕인쇄층(52) 아래에 차폐인쇄층(53)을 부여할 때 차폐인쇄층(53)이 폰트(F) 형상의 영역을 침범하여, 투명시트(50) 위로 노출되는 폰트(F)의 경계가 명확하게 표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국,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탕인쇄층(51)으로부터 차폐인쇄층(53)으로 갈수록 폰트(F) 형상을 점점 더 크게 할 수밖에 없는데[오프셋(Offset) 인쇄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할 경우 제 1 바탕인쇄층(51), 제 2 바탕인쇄층(52) 및 차폐인쇄층(53)이 폰트(F) 형상의 영역을 침범할 우려는 없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시트(50) 위로 램프(L)의 빛과 함께 노출되는 폰트(F)가 명확하게 표출되질 못하고 일종의 달무리를 띄게 되어 시인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시트의 폰트구멍에 제 2 시트의 폰트돌기가 끼워져 합체되도록 하여 폰트돌기의 경계가 명확하게 표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인성을 뚜렷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 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시트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폰트돌기 및 UV 수지층을 완성시켜 보다 정교하고 시인성이 뚜렷한 폰트를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시트 아래에 바탕인쇄층 및 차폐인쇄층을 차례로 부여한 후 폰트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을 마련하여 폰트 형상의 경계를 간단하면서도 정교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제 2 시트에 형성된 폰트돌기 역시 UV 수지층과 더불어 부여하여 보다 정교한 폰트 형상을 완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돔 스위치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폰트 형상으로 타공된 폰트구멍을 지닌 제 1 시트와,
상기 폰트구멍에 끼워지는 폰트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시트 아래에 합체되는 제 2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 아래에 부여되어 상기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돔 스위치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폰트 형상으로 타공된 폰트구멍을 지닌 제 1 시트와,
상기 폰트구멍에 끼워지는 폰트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시트 위에 합체되는 제 2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 아래에 부여되어 상기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돔 스위치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시트 아래에 바탕인쇄층 및 차폐인쇄층을 차례로 부여하는 스텝과,
상기 제 1 시트를 폰트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을 마련하는 스텝과,
제 2 시트 위에 상기 폰트구멍에 합치되도록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 위에 폰트돌기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폰트돌기가 상기 폰트구멍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시트 아래에 상기 제 2 시트를 합체시키는 스텝과,
상기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보스가 부여된 실리콘 패드를 상기 제 2 시트 아래에 합체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돔 스위치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시트 아래에 바탕인쇄층 및 차폐인쇄층을 차례로 부여하는 스텝과,
상기 제 1 시트를 폰트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을 마련하는 스텝과,
제 2 시트 아래에 상기 폰트구멍에 합치되도록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 아래에 폰트돌기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폰트돌기가 상기 폰트구멍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시트 위에 상기 제 2 시트를 합체시키는 스텝과,
상기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보스가 부여된 실리콘 패드를 상기 제 2 시트 아래에 합체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시트에 폰트구멍을 타공하고, 제 1 시트의 폰트구멍에 제 2 시트의 폰트돌기가 끼워져 합체되도록 함으로써, 폰트돌기의 경계가 명확하게 표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뚜렷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시트 아래에 바탕인쇄층 및 차폐인쇄층을 부여하여 폰트돌기의 시인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시트 위에 도장이나 금속증착, 헤어라인 또는 스핀라인이 부여된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경화시켜 질감표현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2 시트에 UV 경화형 액상수지의 UV 경화로 된 정교한 폰트돌기 와 더불어 UV 수지층을 완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 1 시트 아래에 바탕인쇄층 및 차폐인쇄층을 차례로 부여한 후 폰트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을 마련하고, 나아가 제 2 시트에 형성된 폰트돌기 역시 UV 수지층과 더불어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정교한 폰트 형상을 완성함으로써 폰트 형상의 경계를 간단하면서도 뚜렷하게 표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폰트구멍에 폰트돌기를 끼워 맞추면서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를 간단히 합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조립의 용이함을 통한 작업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 는 사진[블랙으로 된 바탕인쇄층이 부여된 샘플을 촬영한 사진]이며, 미 설명부호 L은 램프, H1은 접점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며, 제 1 시트(10), 제 2 시트(20) 및 보스(31)로 이루어지며,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는 PC, PET, PU 또는 PMMA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시트(10)는 프레스 펀칭 또는 NC 가공을 통하여 폰트(F) 형상으로 타공된 폰트구멍(11)을 지니고, 제 2 시트(20)는 폰트구멍(11)에 끼워지는 폰트돌기(41)를 지닌 UV 수지층(40)을 가지면서 제 1 시트(10) 아래에 합체(바인더 접착, 양면 테이프 접착 등)되며, 보스(31)는 제 2 시트(20) 아래에 부여되어 돔 스위치(D)를 가압한다.
제 1 시트(10)에 폰트구멍(11)을 타공하고, 이 제 1 시트(10)의 폰트구멍(11)에 제 2 시트(20)의 UV 수지층(40)에 형성된 폰트돌기(41)가 끼워져 합체되도록 함으로써 폰트돌기(41)의 경계가 명확하게 되어 종래 기술에 의한 빛의 달무리 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확실하게 없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인성을 뚜렷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부여하여 폰트돌기(41)의 시인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시트(10) 위에 도장이나 금속증착, 헤어라인 또는 스핀라인이 부여된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경화시켜 질감표현층(12)을 구현하여 소비자의 다양 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폰트돌기(41)는 제 2 시트(20) 위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과 더불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 도시된 금형 위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도포한 상태에서 제 2 시트(20)를 올려놓고 롤링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UV 수지층(40)과 더불어 정교한 폰트돌기(41)를 마련토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보스(31)는 제 2 시트(20)에 합체되는 실리콘 패드(30) 아래에 부여된 것으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와 더불어 실리콘 패드(30)의 탄성으로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제 2 시트(20) 아래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된 보스(31)를 직접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는 것으로,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하고(S10), 제 1 시트(10)를 폰트(F)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11)을 마련하고(S20), 제 2 시트(20) 위에 폰트구멍(11)에 합치되도록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 위에 폰트돌기(41)를 마련하고(S30), 폰트돌기(41)가 폰트구멍(11)에 끼워지도록 제 1 시트(10) 아래에 제 2 시트(20)를 합체시키고(S40),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보스(31)가 부여된 실리콘 패드(30)를 제 2 시트(20) 아래에 합체(S50)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한 후 폰트(F)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11)을 마련할 경우 폰트(F) 형상의 경계가 간단하면서도 정교하게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제 2 시트(20) 위의 폰트돌기(41) 역시 UV 경화형 액상수지의 경화로서 UV 수지층(40)과 더불어 형성되어 보다 정교한 폰트(F) 형상을 완성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폰트구멍(11)에 폰트돌기(41)를 끼워 맞추면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를 간단히 합체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실리콘 패드(30) 역시 제 2 시트(20)의 아래에 간단히 합체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의 용이함을 통한 작업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토록 한다.
이때, S10 스텝은 제 1 시트(10) 위에 도장이나 금속증착, 헤어라인 또는 스핀라인이 부여된 UV 경화형 액상수지의 경화로서 질감표현층(12)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 만족을 위한 상품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미 설명부호 L은 램프, H1은 접점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도 9a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며, 제 1 시트(10), 제 2 시 트(20) 및 보스(31)로 이루어지며,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는 PC, PET, PU 또는 PMMA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시트(10)는 프레스 펀칭 또는 NC 가공을 통하여 폰트(F) 형상으로 타공된 폰트구멍(11)을 지니고, 제 2 시트(20)는 폰트구멍(11)에 끼워지는 폰트돌기(41)를 지닌 UV 수지층(40)을 가지면서 제 1 시트(10) 위에 합체(바인더 접착, 양면 테이프 접착 등)되며, 보스(31)는 제 1 시트(10) 아래에 부여되어 돔 스위치(D)를 가압한다.
제 1 시트(10)에 폰트구멍(11)을 타공하고, 이 제 1 시트(10)의 폰트구멍(11)에 제 2 시트(20)의 UV 수지층(40)에 형성된 폰트돌기(41)가 끼워져 합체되도록 함으로써 폰트돌기(41)의 경계가 명확하게 되어 종래 기술에 의한 빛의 달무리 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확실하게 없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인성을 뚜렷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부여하여 폰트돌기(41)의 시인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폰트돌기(41) 주변의 UV 수지층(40) 아래에 입체패턴(42)을 부여하여 빛의 산란을 유도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보스(31)는 제 1 시트(10)에 합체되는 실리콘 패드(30) 아래에 부여된 것으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와 더불어 실리콘 패드(30)의 탄성으로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 제 1 시트(10) 아래에 UV 경화 형 액상수지로 된 보스(31)를 직접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는 것으로,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하고(S100), 제 1 시트(10)를 폰트(F)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11)을 마련하고(S200), 제 2 시트(20) 아래에 폰트구멍(11)에 합치되도록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 아래에 폰트돌기(41)를 마련하고(S300), 폰트돌기(41)가 폰트구멍(11)에 끼워지도록 제 1 시트(10) 위에 제 2 시트(20)를 합체시키고(S400),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보스(31)가 부여된 실리콘 패드(30)를 제 1 시트(10) 아래에 합체(S500)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한 후 폰트(F)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11)을 마련할 경우 폰트(F) 형상의 경계가 간단하면서도 정교하게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제 2 시트(20) 아래의 폰트돌기(41) 역시 UV 경화형 액상수지의 경화로서 UV 수지층(40)과 더불어 형성되어 보다 정교한 폰트(F) 형상을 완성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폰트구멍(11)에 폰트돌기(41)를 끼워 맞추면서 제 1 시트(10) 및 제 2 시트(20)를 간단히 합체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실리콘 패드(30) 역시 제 1 시트(10)의 아래에 간단히 합체될 수 있 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조립의 용이함을 통한 작업성 및 생산성의 극대화를 도모토록 한다.
이때, S30 스텝은 폰트돌기(41) 주변의 상기 UV 수지층(40) 아래에 입체패턴(42)을 형성하는 것으로 빛의 산란을 통한 소비자 만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정용 전화기, PDA 또는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가 적용된 제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돔 스위치 및 회로기판을 포함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 회로기판 D : 돔 스위치
L : 램프 10 : 제 1 시트
11 : 폰트구멍 12 : 질감표현층
13 : 바탕인쇄층 14 : 차폐인쇄층
20 : 제 2 시트 30 : 패드
31 : 보스 40 : UV 수지층
41 : 폰트돌기 42 : 입체패턴
F : 폰트

Claims (13)

  1.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폰트(F) 형상으로 타공된 폰트구멍(11)을 지닌 제 1 시트(10)와, 상기 폰트구멍(11)에 끼워지는 폰트돌기(41)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시트(10) 아래에 합체되는 제 2 시트(20)와, 상기 제 2 시트(20) 아래에 부여되어 상기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보스(31)를 포함하고,
    상기 폰트돌기(41)는 상기 제 2 시트(20)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 위에 형성되며,
    상기 폰트돌기(41)는 금형 위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시트(20)를 올려놓고 롤링한 후 UV 조사로서 경화시켜 상기 UV 수지층(40)과 더불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10) 아래에 차례로 부여된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10) 위에 부여된 질감표현층(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31)는 상기 제 2 시트(20)에 합체되는 실리콘 패드(30) 아래에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6.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하는 스텝(S10)과, 상기 제 1 시트(10)를 폰트(F)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11)을 마련하는 스텝(S20)과, 제 2 시트(20) 위에 상기 폰트구멍(11)에 합치되도록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 위에 폰트돌기(41)를 마련하는 스텝(S30)과, 상기 폰트돌기(41)가 상기 폰트구멍(11)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시트(10) 아래에 상기 제 2 시트(20)를 합체시키는 스텝(S40)과, 상기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보스(31)가 부여된 실리콘 패드(30)를 상기 제 2 시트(20) 아래에 합체시키는 스텝(S50)을 포함하고,
    상기 S30 스텝에서 상기 폰트돌기(41)는 금형 위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시트(20)를 올려놓고 롤링한 후 UV 조사로서 경화시켜 상기 UV 수지층(40)과 더불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10 스텝은 상기 제 1 시트(10) 위에 질감표현층(12)을 부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8.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폰트(F) 형상으로 타공된 폰트구멍(11)을 지닌 제 1 시트(10)와, 상기 폰트구멍(11)에 끼워지는 폰트돌기(41)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시트(10) 위에 합체되는 제 2 시트(20)와, 상기 제 1 시트(10) 아래에 부여되어 상기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보스(31)를 포함하고,
    상기 폰트돌기(41)는 상기 제 2 시트(20)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되어 입체패턴(42)을 지닌 UV 수지층(40)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폰트돌기(41)는 금형 위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시트(20)를 올려놓고 롤링한 후 UV 조사로서 경화시켜 상기 UV 수지층(40)과 더불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10) 아래에 차례로 부여된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31)는 상기 제 1 시트(10)에 합체되는 실리콘 패드(30) 아래에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12. 회로기판(H)의 돔 스위치(D) 위에 세팅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시트(10) 아래에 바탕인쇄층(13) 및 차폐인쇄층(14)을 차례로 부여하는 스텝(S100)과, 상기 제 1 시트(10)를 폰트(F) 형상으로 타공시켜 폰트구멍(11)을 마련하는 스텝(S200)과, 제 2 시트(20) 아래에 상기 폰트구멍(11)에 합치되도록 UV 경화형 액상수지로 UV 경화된 UV 수지층(40) 아래에 폰트돌기(41)를 마련하는 스텝(S300)과, 상기 폰트돌기(41)가 상기 폰트구멍(11)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1 시트(10) 위에 상기 제 2 시트(20)를 합체시키는 스텝(S400)과, 상기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보스(31)가 부여된 실리콘 패드(30)를 상기 제 2 시트(20) 아래에 합체시키는 스텝(S500)을 포함하고,
    상기 S300 스텝에서 상기 폰트돌기(41)는 금형 위에 UV 경화형 액상수지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시트(20)를 올려놓고 롤링한 후 UV 조사로서 경화시켜 상기 UV 수지층(40)과 더불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S300 스텝은 상기 폰트돌기(41) 주변의 상기 UV 수지층(40) 아래에 입체패턴(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KR1020090073467A 2009-08-10 2009-08-10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67A KR101102924B1 (ko) 2009-08-10 2009-08-10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67A KR101102924B1 (ko) 2009-08-10 2009-08-10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89A KR20110015989A (ko) 2011-02-17
KR101102924B1 true KR101102924B1 (ko) 2012-01-11

Family

ID=4377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467A KR101102924B1 (ko) 2009-08-10 2009-08-10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17B1 (ko) * 2016-04-29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상등 스위치 제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283B1 (ko) * 2004-06-28 2006-09-14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127B1 (ko) * 2006-02-14 2006-11-13 주식회사 아이몰드텍 키패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50917B1 (ko) * 2005-03-23 2006-11-29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283B1 (ko) * 2004-06-28 2006-09-14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50917B1 (ko) * 2005-03-23 2006-11-29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643127B1 (ko) * 2006-02-14 2006-11-13 주식회사 아이몰드텍 키패드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17B1 (ko) * 2016-04-29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상등 스위치 제작 방법
US10239242B2 (en) 2016-04-29 2019-03-2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emergency lamp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89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690B2 (en) Key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5514319A (en) Method of fabricating a rubber keypad
KR20090014257A (ko) 푸시 버튼 스위치용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0681B1 (ko) 휴대폰용 키패드 제조방법
US763408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panel and structure thereof
WO2005125158A1 (en) Metal keypad for portable tele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070052679A1 (en) Transparent key of an electronic device
US2009018931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eypad having three-dimensional patterns
KR101102924B1 (ko)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99786B1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키패드
KR100643479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384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23262A1 (en) Key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0006478A (ko) 정전기 방전 구조를 갖는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100762402B1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KR100775742B1 (ko) 키탑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탑패드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100632182B1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메탈 일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3242853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91413A (ko) 2중 박판 키패드
KR200375006Y1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메탈 일체형 키패드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089B1 (ko)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924507B1 (ko)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KR100964208B1 (ko) 일체형 키패드 및 키패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