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623B1 - 도로표지판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623B1
KR101102623B1 KR1020090097863A KR20090097863A KR101102623B1 KR 101102623 B1 KR101102623 B1 KR 101102623B1 KR 1020090097863 A KR1020090097863 A KR 1020090097863A KR 20090097863 A KR20090097863 A KR 20090097863A KR 101102623 B1 KR101102623 B1 KR 101102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bolt
road
cross beam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547A (ko
Inventor
최희정
Original Assignee
최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정 filed Critical 최희정
Priority to KR102009009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6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지판부재가 설치되는 가로보와 이 가로보 설치되는 지주부재와,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제1 세로보 및 상기 표지판부재와 상기 지주부재 사이의 상기 가로보에서 수직 하향하여 상기 제1 세로보와 동일 길이로 형성하는 제2 세로보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는, 상부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홈을 다수개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하되, 하부에 관통 홈이 형성되어 'Ω'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고리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고리의 관통 홈과 상기 표지판부재의 홈을 일치하도록 클램핑하고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표지판부재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제1,2 세로보와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이 수직 일직선으로 다수개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보, 표지판, 스프링, 완충, 브라켓, 볼트, 연결. 클램핑(Clamping)

Description

도로표지판{Road-Sign-Board}
본 발명은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풍등 강한 풍압의 작용시 그 풍력 및 표지판부재의 하부 측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 또는 회피전환시키고, 표지판부재에 강하게 작용하는 수평 풍압을 분산시켜 강한 풍력 또는 충격에 대응하도록 하는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도로이용자에게 일정하게 양식화된 방법으로 각종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의 안전과 원할한 소통을 도모하고 도로구조를 보전하기 위하여 도로표지판이나 교통표지판 또는 신호등이 교통안절시설 또는 도로정보 표시장치로서 설치된다.
이것은 도로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로이용자의 시야에 포착되기 용이한 위치이면서, 주변의 가로등이나 가로수 등과 간섭되지 않을 것이 요구되어 도로내측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한 가설구조물(街說構造物)이 요구되며 예시도면 도 1a 내지 1b는 가설구조물로서 도로표지판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설명도이다.
도로표지판은 상기 표시보드(1)를 도로(2) 내측상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지주(3)와 가로보(4)가 설치되고, 가로보(4)의 선단에 표시보드(1)가 설치되며, 지주(3)는 인도측의 기초 콘크리트(5)에 정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보드(1)는 도로 상방에서 풍압에 대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풍하중과 모멘트 누적 반복 등으로 지주(3)의 심한 흔들림이나 가로보(4)의 처짐의 현상이 나타나 통행인의 불안감과 도로 환경의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보강구조물로서, 지주에는 토대인 기초콘크리트(5)를 위시하여 원형의 것으로 마련되고, 이것이 지지되기 위하여 보강리브(6)가 지주(3)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강리브(6)는 플랜지와 함께 기초콘크리트(5)에 정착되어 있다.
또한, 가로보(4) 역시 지주(3)에 상기 플랜지와 보강리브(6)를 포함한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이 가로보(4)에 신호등이나 표시보드(1)가 체결된다.
또한, 외발식 가설구조물(내민보)은 가로보의 자중에 대응하기 위하여 와이어(8)로 가로보(4)를 보강하는 것도 공연실시되어 있다.
한편, 그 보강구조물로서 더욱 발전적으로, 예를 들어 보강리브가 내설된 교통표지판용 원형강관 지주와 가로보의 구조(출원번호 20-2000-0007264)는 도로에 설치되는 교통표지판의 원형강관 지주와 가로보에 있어서, 자중 및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 축력, 전단력에 저항하는 힘을 높이기 위해 단면 2차 모멘트와 단면적이 크게 되도록 지주와 가로보 원형강관 내부에 '│' 또는 '┿' 등 방사선형 모양의 보강리브를 내설고정한 것이다.
이에 의해 지주나 가로보 자체의 강성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한계를 초과하는 태풍 등에서의 풍하중을 전환 또는 흡수하는 구조물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현재 우리나라는 이러한 구조변경에 의하여도 태풍의 풍압에 대응할만한 한계를 초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로표지판과 같은 가설구조물은 운전자의 식별용이성을 위하여 도로 내측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로의 대형폭에 따라 그 돌출길이가 증가된다.
이러한 경우 풍압의 작용점으로부터 작용길이인 표시보드부터 지주중심까지의 길이가 증가되어 그 회전력은 더욱 증가된다.
따라서, 지주는 그 모멘트에 대응될만한 구조물이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대한민국)의 기후상 이를 견딜만한 구조물을 이루기 위하여는 상당한 재료투입과 구조물설계가 요구된다.
물론, 상기된 보강리브가 내설된 지주와 가로보의 구조는 풍하중에 대응하는 구조물을 제공하고 있지만, 지주와 가로보의 강성이 보완된다 하더라도, 그 굴복이나 파손은 가로보와의 결합부에서 진행되고, 이 역시 전체적으로보아 풍하중에 충분히 대응하는 구조물을 제공치는 못하며, 다만, 지주와 가로보의 자체강성만을 확보해줄 뿐이다.
따라서, 상기된 태풍 등의 강한 풍압에 충분히 대응하기 위하여는 그 풍력 및 표지판부재의 하부 측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응하는 강성보완과 더불어, 풍력 의 흡수나 한계풍력에 대한 회피 또는 전환을 수행하는 가설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짐을 높게 탑재한 트럭이 이동 중에 발생하는 표지판부재의 하부 충격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는 표지판부재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충격으로 파손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태풍등 강한 풍압의 작용시 그 풍력을 완충 또는 회피전환시키고, 표지판부재에 강하게 작용하는 수평 풍압을 분산시켜 강한 풍력에 대응하도록 하는 도로표지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짐을 높게 탑재한 트럭이 이동 중에 발생하는 표지판부재의 하부 충격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는 도로표지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표지판부재가 설치되는 가로보와 이 가로보 설치되는 지주부재와,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제1 세로보 및 상기 표지판부재와 상기 지주부재 사이의 상기 가로보에서 수직 하향하여 상기 제1 세로보와 동일 길이로 형성하는 제2 세로보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는, 상부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홈을 다수개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하되, 하부에 관통 홈이 형성되어 'Ω'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고리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고리의 관통 홈과 상기 표지판부재의 홈을 일치하도록 클램핑하고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표지판부재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제1,2 세로보와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이 수직 일직선으로 다수개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상기 가로보에 다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표지판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가로보와, 상기 표지판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가로보, 및 상기 제1,2 가로보의 끝단에 세로로 설치되는 지주부재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는, 상부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하되, 상기 홈에 상향 삽입하며 상기 표지판부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2 볼트부재와, 'V'자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제1 볼트부재를 삽설하고, 타측에 상기 제2 볼트부재를 삽설하고, 하부 측에 경첩부재를 내포하며, 풍압에 따라 상기 제1,2 볼트부재에 삽설된 스프링부재의 완충력을 가변하여 상기 표지판부재의 대항력을 낮추는 완충브라켓, 및 2개의 'Ω'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Ω'자 형상을 결합하여 상기 제1 가로보를 감싸고 상기 홈에 상기 제1,2 볼트부재의 상부측이 삽설되는 클램핑부재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상기 제1 가로보에 다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제1 볼트부재에 3개를 삽설하고, 상기 제2 볼트부재에 3개를 삽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첩부재는,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상기 제1,2 볼트부재가 각각 삽설되고, 수평 일직선을 유지하며 상기 풍압에 따라 시소(Seesaw)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지판부재는, 하부 측을 상기 제2 가로부에 고정하고, 상부 측을 부재의 하부에 고정하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완충부재 또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완충력을 가미하여 바람 또는 태풍에 의해 강한 풍력이 발생하여도 표지판부재가 가변되어 저항력을 낮추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짐을 높게 탑재한 트럭이 이동 중에 발생하는 표지판부재의 하부 충격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의 표지판부재 상부 확대 측면도이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표지판부재(30)가 설치되는 가로보(32)와 이 가로보(32) 설치되는 지주부재(31)와, 상기 가로보(32)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제1 세로보(33) 및 상기 표지판부재(30)와 상기 지주부재(31) 사이의 상기 가로보(32)에서 수직 하향하여 상기 제1 세로보(33)와 동일 길이로 형성하는 제2 세로보(34)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30)는, 상부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홈을 다수개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한다. 이때, 상기 홈은, 하기하는 볼트(54)가 삽설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표지판부재(30)의 재질은, 스틸,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및 FRP 등이다.
여기서, 상기 가로보(32)는, 하기하는 연결부재(51)의 연결고리(56)를 다수개 삽설한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연결부재(51)는, 하부에 관통 홈이 형성되어 'Ω'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고리(56)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1)는, 상기 연결고리(56)의 관통 홈과 상기 표지판부재(30)의 홈을 일치하도록 클램핑하고 볼트(54)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54)를 너트(55)로 체결한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Ω'자 형상은, 1개로 상기 가로보(32)를 상부에서 하향으로 감싸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 세로보(33,34)는, 스프링을 다수개 장착한 각각 완충부재(52,53)를 구비한다. 보다 정확하게 완충부재(52,53)는, 상기 표지판부재(3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제1,2 세로보(33,34)와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이 수직 일직선으로 다수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표시판부재(30)는, 상기 완충부재(52,53)에 의해 완충력을 가미하여 바람 또는 태풍에 의해 강한 풍력이 발생하여도 가변되어 저항력을 낮추게 된다. 또한, 상기 도로표지판은, 상기 연결부재(51)를 상기 가로보(32)에 다수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짐을 높게 탑재한 트럭이 이동 중에 발생하는 표지판부재(30)의 하부 충격으로부터 대응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표지판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가로보(302)와, 상기 표지판부재(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가로보(303), 및 상기 제1,2 가로보(302,303)의 끝단에 세로로 설치되는 지주부재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300)는, 상부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한다.
이러한, 상기 표지판부재(300)의 재질은, 스틸, 알루미늄, 폴리카보네이트, 및 FRP 등이다.
여기서, 상기 표지판부재(300)는, 상기 제1 가로보에 다수개의 연결부재(1000)를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다수개의 연결부재(1000)는, 3개 내지 30개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000)는, 상기 홈과 상기 제1 가로보(30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제1,2 볼트부재(500,501)와, 경첩부재(900)와, 완충브라켓(600)과, 스프링부재(401내지406), 및 클램핑부재(801,802)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 볼트부재(500,501)는, 상기 홈에 상향 삽입하며 상기 표지판부재(3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브라켓(600)은, 'V'자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제1 볼트부재(500)를 삽설하고, 타측에 상기 제2 볼트부재(501)를 삽설하고, 하부 측에 경첩부재(900)를 내포하며, 풍압에 따라 상기 제1,2 볼트부재(500,501)에 삽설된 스프링부재(401내지406)의 완충력을 가변하여 상기 표지판부재(300)의 대항력을 낮춘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재(801,802)는, 2개의 'Ω'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Ω'자 형상을 결합하여 상기 제1 가로보(302)를 감싸고 상기 홈에 상기 제1,2 볼트부재(500,501)의 상부측이 삽설된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2개의 'Ω'자 형상은, 상기 2개 중 어느 1개(상기 클램핑부재의 도면번호 '802' 설명)는 상기 제1 가로보(302)를 2분의 1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로보(302)의 상부에서 하향 형성하고, 나머지 1개(상기 클램핑부재의 도면번호 '801' 설명)는 상기 어느 1개와 동일 형상이며 상기 어느 1개의 반대 방향 즉 상기 제1 가로보(302)를 하부에서 상향 감싸며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401내지406)는, 상기 제1 볼트부재(500)에 3개를 삽설하고, 상기 제2 볼트부재(501)에 3개를 삽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스프링부재(401내지406)는, 상기 제1,2 볼트부재(500,501)의 동일 위치에 스프링이 장착한다.
즉, 상기 제1 볼트부재(500)에 삽입되는 스프링 3개(상기 스프링부재 중 도면번호 '401내지403') 중, 1개(401)는 상기 표지판부재(300)와 경첩부재(900) 사이에 장착하고, 또 다른 1개(402)는, 상기 경첩부재(900)와 완충브라켓(600) 사이에 장착하고, 나머지 1개(403)는, 상기 완충브라켓(600)과 너트(701) 사이에 장착한다. 상기 또 다른 1개(402)와 상기 나머지 1개(403) 사이에는 상기 완충브라켓(600)에서 이음매없이 중공부를 갖는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원형 돌출부의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제1 볼트부재(500)가 관통된다.
또한, 상기 제2 볼트부재(501)에 삽입되는 스프링 3개(상기 스프링부재 중 도면번호 '404내지406') 중, 1개(404)는 상기 표지판부재(300)와 경첩부재(900) 사이에 장착하고, 또 다른 1개(405)는, 상기 경첩부재(900)와 완충브라켓(600) 사이에 장착하고, 나머지 1개(406)는, 상기 완충브라켓(600)과 너트(701) 사이에 장착한다. 상기 또 다른 1개(405)와 상기 나머지 1개(406) 사이에는 상기 완충브라켓(600)에서 이음매없이 중공부를 갖는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 돌출부의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제2 볼트부재(501)가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경첩부재(900)는,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상기 제1,2 볼트부재(500,501)가 각각 삽설되고, 수평 일직선을 유지하며 상기 풍압에 따라 시소(Seesaw)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경첩부재(900)는, 상기 풍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재(401내지402,404내지405)의 완충력이 가변하고 이로 인하여 일직선으로 가변 기울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표지판부재(300)는, 하부 측을 상기 제2 가로부(303)에 고정하고, 상부 측을 부재의 하부에 고정하는 완충스프링(50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표지판은, 상기 완충부재(52,53) 또는 상 기 스프링부재(401내지406)에 의해 완충력을 가미하여 바람 또는 태풍에 의해 강한 풍력이 발생하여도 표지판부재(30,300)가 가변되어 저항력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a, 1b는 종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배면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도로표지판의 표지판부재 상부 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300 : 표지판부재 31, 301 : 지주부재
32 : 가로보 33 : 제1 세로보
34 : 제2 세로보 51 : 연결부재
52,53 : 완충부재 54 : 볼트
55 : 너트 56 : 연결고리
302 : 제1 가로보 303 : 제2 가로보
401 내지 406 : 스프링부재 500 : 제1 볼트부재
501 : 제2 볼트부재 505 : 완충스프링
600: 완충브라켓 701 내지 704 : 너트
801,802 : 클램핑부재 900 : 경첩부재
1000 : 연결부재

Claims (5)

  1. 표지판부재가 설치되는 가로보와 이 가로보 설치되는 지주부재와,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서 수직 하향되도록 설치되는 제1 세로보 및 상기 표지판부재와 상기 지주부재 사이의 상기 가로보에서 수직 하향하여 상기 제1 세로보와 동일 길이로 형성하는 제2 세로보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는, 상부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홈을 다수개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하되,
    하부에 관통 홈이 형성되어 'Ω'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고리를 제공하고, 상기 연결고리의 관통 홈과 상기 표지판부재의 홈을 일치하도록 클램핑하고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볼트를 너트로 체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표지판부재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제1,2 세로보와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이 수직 일직선으로 다수개 장착되는 완충부재;를 상기 가로보에 다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2. 표지판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가로보와, 상기 표지판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가로보, 및 상기 제1,2 가로보의 끝단에 세로로 설치되는 지주부재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는, 상부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고, 광고나 도로지시 또는 안전에 관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전·후면에 부착하되,
    상기 홈에 상향 삽입하며 상기 표지판부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2 볼트부재와,
    'V'자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제1 볼트부재를 삽설하고, 타측에 상기 제2 볼트부재를 삽설하고, 하부 측에 경첩부재를 내포하며, 풍압에 따라 상기 제1,2 볼트부재에 삽설된 스프링부재의 완충력을 가변하여 상기 표지판부재의 대항력을 낮추는 완충브라켓, 및
    2개의 'Ω'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Ω'자 형상을 결합하여 상기 제1 가로보를 감싸고 상기 홈에 상기 제1,2 볼트부재의 상부측이 삽설되는 클램핑부재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상기 제1 가로보에 다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제1 볼트부재에 3개를 삽설하고, 상기 제2 볼트부재에 3개를 삽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부재는,
    일측과 타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상기 제1,2 볼트부재가 각각 삽설되고, 수평 일직선을 유지하며 상기 풍압에 따라 시소(Seesaw)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도로표지판.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부재는,
    하부 측을 상기 제2 가로부에 고정하고, 상부 측을 부재의 하부에 고정하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KR1020090097863A 2009-10-14 2009-10-14 도로표지판 KR101102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63A KR101102623B1 (ko) 2009-10-14 2009-10-14 도로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63A KR101102623B1 (ko) 2009-10-14 2009-10-14 도로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47A KR20110040547A (ko) 2011-04-20
KR101102623B1 true KR101102623B1 (ko) 2012-01-03

Family

ID=4404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63A KR101102623B1 (ko) 2009-10-14 2009-10-14 도로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510B1 (ko) * 2015-09-03 2017-04-13 박중식 완충장치가 구비된 표지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020B1 (ko) 2001-06-02 2003-04-18 박재규 안내 표지판
KR100891011B1 (ko) 2008-05-30 2009-03-31 김기룡 표지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020B1 (ko) 2001-06-02 2003-04-18 박재규 안내 표지판
KR100891011B1 (ko) 2008-05-30 2009-03-31 김기룡 표지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47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2920B2 (ja) 標識装置
US8474166B2 (en) Method of assembling a tensile fabric arrangement
JP2014152486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架台支持用支柱
KR101102623B1 (ko) 도로표지판
KR101176940B1 (ko) 다기능 교통시설물 철주
KR101358426B1 (ko)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KR101311034B1 (ko) 보강재가 설치된 지주
CN205116825U (zh) 停车棚支架
KR100930971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CN205010324U (zh) 一种用于电动客车的打气泵托架
EP3716254B1 (en)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mounted led screen
CN1769633A (zh) 用于快速装配的折叠式帐篷的腿支撑件
CN203188117U (zh) 桥梁护栏金属立柱底座的固定装置
JP4889378B2 (ja) 屋外用大型広告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20000024164A (ko) 보강리브가 내설된 교통표지판용 원형 강관 지주와가로보의 구조
US20100275479A1 (en) Tensile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on
CN216379957U (zh) 一种稳定性好的轻型钢结构厂房支撑结构
KR101453864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0427494Y1 (ko) 승강장용 안내판
KR100959718B1 (ko) 케이블을 이용한 방호책
JP2004218366A (ja) フェンス一体型防護柵
CN213867449U (zh) 一种基于夯土工艺的标识标牌
CN109763680B (zh) 一种抗风型的箱式变电站及其施工方法
CN215252405U (zh) 一种梁体加固装置
KR200434727Y1 (ko) 도로표지판용 지지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