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366B1 -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366B1
KR101102366B1 KR1020090057430A KR20090057430A KR101102366B1 KR 101102366 B1 KR101102366 B1 KR 101102366B1 KR 1020090057430 A KR1020090057430 A KR 1020090057430A KR 20090057430 A KR20090057430 A KR 20090057430A KR 101102366 B1 KR101102366 B1 KR 10110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auxiliary
head
ha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077A (ko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김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진 filed Critical 김덕진
Priority to KR102009005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3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5Peaks or visors extendable, e.g.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볕을 막아주는 챙부와 머리를 감싸는 머리띠부로 구성된 모자에서 머리띠부의 전방에 형성된 챙부에 사용자가 필요시에 챙부로부터 펼쳐서 챙부에 더하여 추가로 차양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챙모자, 챙부, 보조챙, 수납, 공간

Description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cap with assistance sunshade}
본 발명은 챙부와 머리를 감싸는 머리띠부로 구성된 모자에서 챙부에 더하여 추가로 차양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챙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챙이 형성된 모자의 경우 챙 자체 만으로는 태양을 가려주는 면적이 충분하지 않아서 별도로 양산을 사용하거나 추가적인 차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챙 모자의 챙의 면적을 확대시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쉽게 나거나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의 챙부로부터 인출되는 보조챙에 의해 차양 면적을 확대하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서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챙부와, 상기 챙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이 상기 챙부의 아래에서 상기 챙부에 봉제되어 상기 챙부와의 사이에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직물구조의 걸이개 및 상기 챙부와 상기 걸이개의 사이의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걸이개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챙부의 가로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챙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햇볕을 차단하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보조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서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형성된 챙부와, 상기 챙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도록 상기 챙부의 가로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챙부의 아래에서 전단의 가운데 부분과 후단의 가운데 부분이 상기 챙부에 고정되는 보조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보조챙의 가장자리에는 보조챙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와이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띠 구조의 머리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보조챙을 챙부의 양측으로 펼쳐서 챙부보다 큰 면적의 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얼굴이나 목 등의 넓은 영역을 햇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보조챙이 펼쳐진 상태에서 보조챙과 챙부의 사이의 공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는 보조챙을 펼쳤을 때에 보조챙과 걸이개의 사이의 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보조챙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보조챙의 양측 부분을 접어서 걸이부와 보조챙의 사이의 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도 있으며 또한 모자의 걸이부에서 보조챙을 완전히 빼내어 모자와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챙부의 아래에 보조챙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보조챙을 펼친 상태에서는 보조챙이 어디에 부딪치거나 외력을 받더라도 보조챙은 챙부의 가운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한 환경에서도 보조챙이 제위치를 벗어나거나 위치가 틀어지지 않으므로 가혹한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챙이 챙부에 결합되는 것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봉제만으로 이 루어지기 때문에 부품의 고장을 염려할 필요가 없고, 외력에 의해 보조챙의 결합이 손상되거나 고장이 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재의 간소화를 위해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의 사시도(a) 및 챙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b)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챙부(10)와 머리띠부(20)와 챙부(10)에 형성되는 걸이개(18) 및 챙부(10)와 걸이개(18)의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보조챙(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머리띠부(20)는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면서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된다.
챙부(10)는 머리띠부(20)의 전방으로 형성된다. 챙부(10)는 챙상부직물부(11)와 챙하부직물부(12)가 챙심(15)을 사이에 두고 봉제되어 형성된다.
걸이개(18)는 직물구조로서 챙부(10)의 아래에 챙부(10)와 겹치도록 배치한 후 챙부(10)의 하부를 구성하는 챙하부직물부(12)의 전방 가장자리의 가운데 부분에 전방 가장자리가 겹쳐져서 봉제(41)되며 챙하부직물부(12)의 후방 가장자리의 가운데 부분에 후방 가장자리가 겹쳐져서 봉제(42)된다. 따라서 상기 챙부(10)의 챙하부직물부(12)와 걸이개(18)는 상호간에 인접하되 떨어져 있으며 양측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형성한다.
보조챙(30)은 챙부(10)의 가로방향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길게 형성된다. 보조챙(30)은 직물 재질의 보조챙상부직물부(31)와 보조챙하부직물부(32)가 겹쳐져서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간에 봉제함으로써 형성되며, 보조챙상부직물부(31)의 가장자리에는 비닐로 입혀 형성한 탄성을 갖는 연질의 철선(35)이 보조챙(30)의 형상 유지를 위해 보조챙상부직물부(31)에 의해 감싸 봉제되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에서 보조챙을 펼친 상태(a) 및 보조챙을 접은 상태(b)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챙(30)은 챙부(10)의 챙하부직물부(12)와 걸이개(18)의 사이의 관통된 공간을 통과하여 챙부(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보조챙(30)의 양측 부분을 접어서 챙부(10)와 걸이개(18)의 사이의 공간으로 수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의 사시도(a) 및 챙부 및 보조챙의 배면사시도(b)이다. 도 5는 도 4의 B-B'를 따라 절개한 부분(a)과 C-C'를 따라 절개한 부분(b)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머리를 둘러싸는 머리띠부(20)와 상기 머리띠부(20)의 전방 하단에 봉제하여 결합한 챙부(10) 및 챙부(10)의 아래에 설치되는 보조챙(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머리띠부(20)는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면서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된다.
챙부(10)는 머리띠부(20)의 전방으로 형성된다. 챙부(10)는 챙상부직물 부(11)와 챙하부직물부(12)가 챙심(15)을 사이에 두고 봉제되어 형성된다.
보조챙(130)은 챙부(10)의 가로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조챙(130)은 직물 재질의 보조챙상부직물부(131)와 보조챙하부직물부(132)가 겹쳐져서 각각의 가장자리를 상호간에 봉제함으로써 형성되며, 보조챙상부직물부(131)의 가장자리에는 비닐로 입혀 형성한 탄성을 갖는 연질의 철선(135)이 보조챙(130)의 형상 유지를 위해 보조챙상부직물부(131)에 의해 감싸 봉제되어 설치된다.
보조챙(130)은 보조챙하부직물부(132)와 챙부(10)의 챙하부직물부(12)가 겹쳐져서 보조챙(130)의 전방 가운데 부분과 후방 가운데 부분이 챙부(10)의 아래에서 챙부(10)에 봉제(141, 142)되어 챙부(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챙부(10)와 보조챙(130)의 사이는 떨어져 있는 구조이며 챙부(10)와 챙부(10)에 봉제된 보조챙(130)의 가운데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50)의 양측방향으로 물건이 통과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챙(13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챙(130)의 양측 부분을 접어서 챙부(10)와 챙부(10)에 봉제된 보조챙(130)의 가운데 부분의 사이의 공간(50)으로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보조챙을 챙부의 양측으로 펼쳐서 챙부보다 큰 면적의 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얼굴이나 목 등의 넓은 영역을 햇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보조챙이 펼쳐진 상태 에서 보조챙과 챙부의 사이의 공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모자는 보조챙을 펼쳤을 때에 보조챙과 걸이개의 사이의 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보조챙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보조챙의 양측 부분을 접어서 걸이부와 보조챙의 사이의 공간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도 있으며 또한 모자의 걸이부에서 보조챙을 완전히 빼내어 모자와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는 챙부의 아래에 보조챙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보조챙을 펼친 상태에서는 보조챙이 어디에 부딪치거나 외력을 받더라도 보조챙은 챙부의 가운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한 환경에서도 보조챙이 제위치를 벗어나거나 위치가 틀어지지 않으므로 가혹한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챙이 챙부에 결합되는 것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봉제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품의 고장을 염려할 필요가 없고, 외력에 의해 보조챙의 결합이 손상되거나 고장이 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보조챙의 가장자리 둘레에 보조챙을 형상유지를 위해 탄성을 갖는 철선을 사용하였으나, 철선 이외에도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띠 구조의 머리띠부를 갖는 모자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착용자의 머리의 상부를 덮 어서 감싸는 형태의 착용부를 갖는 모자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보조챙을 보조챙상부직물부와 보조챙하부직물부가 겹쳐진 형태의 것을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보조챙직물부를 사용하여 보조챙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모자의 챙부에 형성되는 걸이개를 챙부의 하부에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걸이개를 챙부의 상부에 형성하여 걸이개와 챙부의 챙상부직물부의 사이로 보조챙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의 사시도(a) 및 챙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b)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에서 보조챙을 펼친 상태(a) 및 보조챙을 접은 상태(b)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의 사시도(a) 및 챙부 및 보조챙의 배면사시도(b)이다.
도 5는 도 4의 B-B'를 따라 절개한 부분(a)과 C-C'를 따라 절개한 부분(b)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Claims (4)

  1.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서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챙부;
    상기 챙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며 전단과 후단이 상기 챙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상기 챙부에 봉제되어 상기 챙부와의 사이에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직물구조의 걸이개; 및
    상기 챙부와 상기 걸이개의 사이의 양측으로 관통된 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걸이개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챙부의 가로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챙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햇볕을 차단하는 면적을 확장시키고 가장자리에 형태유지를 위한 연질의 철선이 형성되는 보조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챙은 상기 걸이개로부터 빼내어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2.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감싸서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전방에 형성된 챙부;
    상기 챙부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도록 상기 챙부의 가로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챙부의 아래에서 전단의 가운데 부분과 후단의 가운데 부분이 상기 챙부에 봉제를 통해 상기 챙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조챙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챙의 가장자리에는 보조챙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와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챙부와 상기 보조챙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보조챙이 접혀서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3. 삭제
  4. 삭제
KR1020090057430A 2009-06-26 2009-06-26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KR10110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30A KR101102366B1 (ko) 2009-06-26 2009-06-26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30A KR101102366B1 (ko) 2009-06-26 2009-06-26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77A KR20110000077A (ko) 2011-01-03
KR101102366B1 true KR101102366B1 (ko) 2012-01-05

Family

ID=4360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430A KR101102366B1 (ko) 2009-06-26 2009-06-26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3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387A (ko) * 2000-12-26 2003-07-28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망막 허혈에 기초하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KR20030066115A (ko) * 2002-02-04 2003-08-09 국방과학연구소 폭발볼트
KR20040037323A (ko) * 2002-10-28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정지영상 표시방법
KR200363387Y1 (ko) * 2004-06-07 2004-10-01 정장진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200366115Y1 (ko) 2004-06-24 2004-11-03 정진열 측면시야차단용 모자
KR200437323Y1 (ko) 2007-07-06 2007-11-28 김두태 가변차양을 구비한 모자
KR100902682B1 (ko) * 2008-03-28 2009-06-17 김복규 기능성을 향상시킨 모자용 차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387A (ko) * 2000-12-26 2003-07-28 오노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망막 허혈에 기초하는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KR20030066115A (ko) * 2002-02-04 2003-08-09 국방과학연구소 폭발볼트
KR20040037323A (ko) * 2002-10-28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정지영상 표시방법
KR200363387Y1 (ko) * 2004-06-07 2004-10-01 정장진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 모자
KR200366115Y1 (ko) 2004-06-24 2004-11-03 정진열 측면시야차단용 모자
KR200437323Y1 (ko) 2007-07-06 2007-11-28 김두태 가변차양을 구비한 모자
KR100902682B1 (ko) * 2008-03-28 2009-06-17 김복규 기능성을 향상시킨 모자용 차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77A (ko) 201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8398B2 (en) Reverse split brim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8020218B2 (en) Baseball cap with neck protection visor
JP3110940U (ja) 帽子
JP3125153U (ja) 帽子
KR101102366B1 (ko)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459476Y1 (ko) 사이즈 조절 모자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JP3187382U (ja) 日除け付き帽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KR200473762Y1 (ko) 접기 용이한 챙
CN213848985U (zh) 遮阳帽
CN214854625U (zh) 一种具有耳部防晒功能的防晒帽
JP5420799B1 (ja) 帽子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100956367B1 (ko) 차양모
KR101102832B1 (ko)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JP2008308795A (ja) マスク付帽子
JP3208582U (ja) 帽子
KR200164173Y1 (ko) 탄성직조밴드를 이용한 모자
KR200474124Y1 (ko) 포켓에 휴대가능하게 접혀지고 자동으로 펼쳐지는 모자
SU1660680A1 (ru) Летний защитный головной уб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