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803B1 -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803B1
KR101100803B1 KR1020090035818A KR20090035818A KR101100803B1 KR 101100803 B1 KR101100803 B1 KR 101100803B1 KR 1020090035818 A KR1020090035818 A KR 1020090035818A KR 20090035818 A KR20090035818 A KR 20090035818A KR 101100803 B1 KR101100803 B1 KR 10110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amide
chondroitin sulfate
functional group
hyaluronic acid
hydro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201A (ko
Inventor
노인섭
조성연
김도연
우정훈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803B1/ko
Priority to EP09174370A priority patent/EP2251359A1/en
Priority to US12/608,126 priority patent/US8742013B2/en
Priority to PCT/KR2009/006320 priority patent/WO2010123181A1/ko
Publication of KR2010011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HDERIVATIVE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H1/00Macromolecular products derived from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1Dextran, i.e. (alpha-1,4)-D-glucan; Derivatives thereof, e.g. Sephadex, i.e. crosslinked dextra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69Chondroitin-4-sulfate, i.e. chondroitin sulfate A; Dermatan sulfate, i.e. chondroitin sulfate B or beta-heparin; Chondroitin-6-sulfate, i.e. chondroitin sulfate C;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5Heparin; Hepar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heparosan; Purification or extraction method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와 같은 카복실기를 가지는 당화합물;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펩타이드, 단백질, 성장인자, 약물의 기능성 화합물; 혹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리돈과 같은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일차 아민 작용기를 가지는 리포아마이드(lipoamide)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 유도체 합성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젤 및 필름과 같은 생성물을 제공한다.
리포아마이드, 가교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 조직재생유도용 지지체

Description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Synthesis of lipoamide-grafted high molecular compound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리포아마이드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 및 히알루론산과 같은 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화합물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제조되는 리포아마이드-다당의 생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젤에 관한 것이다.
리포아마이드는 6,8-dithiooctanoic amide에 대한 일반명이며, 카복시 작용기가 리신(lysine)의 아미노기(amino group)에 아마이드 결합을 유도하여 단백질과 결합하는 6,8-dithiooctanoic acid(리포산)의 작용기 형태이다. 리포아마이드는 아세트알데히드 작용기를 CoA로 전달하여 TCA 사이클을 계속할 수 있다. α-리포산은 미토콘드리아 작용에 대한 산화 방해와 결합된 다양한 질병을 방지하거나 치료제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리포아마이드는 α-oxo-acid dehydrogenase 효소에 대한 공인자(cofactor) 역할을 하며, 심근경색의 회복을 자극하고, 항산화제 역할과 함께 세포 괴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생리학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리포아마이드와 함께 이용하고자 하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과 같은 당화합물은 미생물로부터 발효 혹은 동물로부터 추출되는 당화합물로서 분자 내 유리 카복실 작용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현재 의공학, 생체재료, 화학, 의학, 생명공학 및 화장품 산업분야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의학, 생명소재 및 의공학 분야에서는 약물 혹은 세포 전달담체와 관절염 치료제, 인공연골, 인공골 등과 같은 인체조직 재생에 필요한 지지체(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소재 및 화장품의 보습제 소재로 적용되는 소재이다.
리포아마이드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이용한 조직재생을 위한 생체재료개발은 현재 알려진 바가 없다. 리포아마이드를 이용한 특허는 "간세포암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간세포암 진단키트 및 간세포암 진단방법", "알부민 함유 제제를 살균하는 방법", "히드록심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생물학적 성분의 살균방법"이 현재 등록 및 출원되고 있으나,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의 당화합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생분해성 온도 감응성 폴리포스파젠계 하이드로젤,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생체적합성의 주사형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신경 재생용 조직공학 이식체", "연골 및 다른 조직의 복구 및 재생용 조성물 및 방법", "간세포암 진단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간세포암 진단키트 및 간세포암 진단방법", "조직유착 방지액 및 조직유착 방지방법", "알칸올 아민을 이용하는 모발 및 네일의 치료방법" 등의 특허문헌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지혈작용(올리고당의 혈액응고 방지특성),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하이드로젤 소재 및 DNA-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 결합체로서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사용), 조직공학용 지지체(피부재생용 지지체) 등과 같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 고유의 다양한 생물학적 특성의 우수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생체재료로의 응용가능성에 대하여 보고되고 있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의 골격을 구성하는 글루코피라노오스 단량체(glucopyranose monomer)의 알코올 작용기에 카복시메틸 그룹을 결합시킨 당화합물로 무독성이고, 알러지 반응이 없으며 우수한 생체적합성으로 인하여 유착방지제와 같은 의료기기의 생체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높은 점성과 윤활성 등과 같은 특성 및 카복시메틸 그룹의 결합유도를 이용하여 화합물의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점안제, 식품소재, 페이트소재 및 점증제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계 결합제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인간 성장호르몬의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생분해성 약학적 조성물 및 미립구 제형", "점막 부착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안과 용액", "카복시 다당류 폴리에테르 고분자간 복합체의 생체흡수가능한 조성물 및 외과수술적인 유착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의 이들의 이용방법", "신생골 형성과 조기 골경화를 촉진시키는 골충진용 조성물", "양친성 헤파린 유도체의 점막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조방법" 등과 같은 특허문헌이 보고되고 있어 의료용으로의 활용이 입증되고 있다.
또한, 헤파린은 "다관능성 양친매성 고분자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양친성 헤파린 유도체의 점막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조방법", "생리활성 물질 고정화 인공혈관", "혈관신생 헤파린 결합 펩티드 양친매성 화합물" 등과 같은 다양한 특허문헌이 보고되고 있으나, 헤파린과 리포아마이드를 함께 이용하는 특허는 상기 리포아마이드에 보고된 내용들에 포함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리포아마이드와 당화합물 각각에 대한 생물학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결합된 형태의 생성물에 대한 산업적 응용연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리포아마이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고기능성 및 고부가가치 소재(예를 들면 의약품 소재)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헤파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히알루론산의 유도체로 전환하여 상품화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성에 대한 요구에 상응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과 히알루론산과 같은 카복시 작용기와 리포아마이드와의 결합을 이용하여 다당화합물의 생물학적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리포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젤 및 필름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으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아마이드의 일차 아민 작용기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 혹은 히알루론산들과 같은 당화합물 유도체; 혹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펩타이드, 단백질, 성장인자; 혹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약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의료용 고분자와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리포아마이드-고분자 화합물 및 이의 합성방법과, 이들을 이용한 하이드로젤 및 필름과 같은 생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포아마이드-고분자 화합물과 불포화 작용기를 가진 불포화 유도체 화합물 간의 마이클형 가교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리포아마이드가 포함된 하이드로젤 및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단백질 하이드로젤 및 필름에 세포, 성장인자, 호르몬, 약물 등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담지시켜 사용함으로써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 혹은 조직공학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리포아마이드의 아민 작용기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된 고분자화합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리포아마이드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1개 이상의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화합물 사이의 마이클형(Michael type) 첨가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고분자화합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화합물은 하이드로젤 또는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은 헤파린, 히알루론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더마탄 설페이트, 키토산, 덱스트란, 알지네이트,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혹은 탄화수소 중간에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불포화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펩타이드, 콜라겐, 단백질, 호르몬, 약물 및 성장인자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상기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화합물은 하이드로젤 또는 필름의 형태를 갖고서 생리활성 물질을 서서히 방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리포아마이드의 아민 작용기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고분자화합물 용액 혹은 1개 이상의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화합물 용액 중 적어도 하나의 용액에 세포, 약물, 성장인자, 호르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리활성 물질을 추가한 다음, 두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마이클형 첨가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고분자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등과 같은 다당에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리포아마이드를 가교결합제로 활용하여 하이드로젤을 개발하여 조직공학용 인공장기 재생, 주름개선제, 신경, 골 및 연골의 재생제와 치료제, 화상치료 혹은 미용을 위한 드레싱제, 혹은 관절염 및 암 치료용의 약물전달체로 사용하면, 약물과 세포의 효율적 전달과 하이드로젤의 생분해에 따른 조직재생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결합된 리포아마이드는 생물분자임과 동시에 항산화제, 노화방지역할과 주름방지로 인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어 상응하는 생물학적 효능이 예상된다. 또한, 인슐린 작용을 증진시키는 기능으로 인하여 당뇨 환자를 위한 혈당 조절제 및 당뇨 환자의 신경장애와 예방을 위한 영양제로 활용되며,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식욕조절 중추에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식욕을 누르고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만치료, 체중조절제, 및 간 해독과 중금속 제거작용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하이드로젤"은 충분한 양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는 친수성 고분자의 3차원적 구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하이드로젤은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이용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헤파린 및 히알루론산 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혹은 고분자 사슬에 불포화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과 리포아마이드 유도체 간에 형성된 하이드로젤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필름"이란 상기의 하이드로젤에 비하여 형태를 유지하는 고체상(solid phase)을 의미하며, 그 성분은 하이드로젤의 구성성분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생리활성 물질"이란 질병의 치료, 치유, 예방 또는 진단 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하고, 특정 물질이나 분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런 생리활성 분자에는 유기 합성 화합물, 추출물,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지질, 탄수화물, 스테로이드, 세포외기질 물질 및 세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 "약물"도 상기 생리활성 물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희석제, 방출 지연제, 비활성 오일, 결합제 등의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부형제가 선택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는 생리활성 물질을 이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조직재생 유도용 생리활성 지지체"는 조직재생의 유도기능을 가진 펩타이드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혹은 히알루론산의 네트워크에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새로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펩타이드로 구성되는 하이드로젤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싸이올 유도체와 분자구조의 중간에 불포화 작용기를 가지는 분자와 공유결합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가교결합으로 형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과 필름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는 수용성으로서, 1 내지 1,000 kDa의 크기를 갖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kDa 내지 300 kDa의 크기를 갖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이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는 생체친화성이 우수하고, 항원성이 낮으며 생체 내에서 분해 또는 흡수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의료용 재료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에 사용되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유도체는, 예를 들어 분자구조의 중간에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가지는 분자가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lipid)인 경우에, 그 말단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리포아마이드 유도체에 유도된 아민 작용기가 공유결합하여 형성되고 불포화 지방산 말단의 카복실산 작용기가 아미노 그룹으로 치환되어 있는 생물분자는 아민 작용기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유도체의 카복실산 작용기와 공유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에 의해 불포화 탄화수소 분자를 함유하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유도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유도체의 싸이올 작용기와 수용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불포화 작용기를 가지는 불포화 탄화수소 분자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불포화 탄화수소 그룹(작용기) 사이의 화학결합을 마이클형 반응으로 유도시켜 젤이나 필름을 합성한다. 여기서 젤과 필름은 반응물의 농도조절에 의하여 각기 다른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리포아마이드와 공유결합될 수 있는 당화합물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알루론산, 더마탄 설페이트, 카복시 키토산, 헤파린 등이 있으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생체적합성 및 친수성의 천연 또는 합성 고분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과 공유결합될 수 있는 분자구조의 중간에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갖는 분자에는 불포화 지방산, 대사물질(metabolites) 및 페로몬(pheromones)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nenic acid), 올레산(ole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미드산(mead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시스-에이코사-펜타에노산(cis-eicosa-5,8,11,14,17- pentaenoic acid), 시스-도코사-테트라엔산 (cisdocosa-7,10,13,16-tetraenlic acid), 시스-도코사-펜타엔산(cis-docosa-4,7,10,13,16-pentaenoic acid), 옥타-트리에노산(octa-5,9,12-trienoic acid;colombinic acid), 메틸-하이드록시에코산-테트라에노에이트(methyl-hydroxy-5,8,12,14-tetraenoate), 로렌센나인(laurencenynes), 운데카-테트라센(undeca-1,3,5,8-tetracenes), 하이드록시에이코사펜타엔산 (hydoxyeicosapentaenic acid), 하이드로퍼옥시에이코사테트로에논산(hydroperoxyeicostetraenic acid), 포스포티딜에타놀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18:2, 18:3, 20:4, 22:6 등), 포스파티딕산(phohspatidic acid; 18:2, 22:6 등), 포스파디딜글라이세롤(phosphatidylglycerols; 18:2, 18:3, 22:6 등), 포스포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s; 22:6 등), 이노시톨(Inositol; 20:4 등) 등과 같은 불포화 작용기를 가지는 생물분자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로서, 하이드로젤 제조를 위한 리포아마이드가 포함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 유도체로서 리포아마이드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를 합성할 수 있고, 불포화 지방산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 등과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키토산-, 히알루론산-불포화 지방산으로 합성할 수 있다.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불포화 작용기를 가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 유도체와 가교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과 필름을 반응물 농도를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불포화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비율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 불포화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이다.
반응식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당화합물 유도체의 카복실기와 리포아마이드의 아마이드(일차 아민)기 사이의 합성반응식을 나타낸다. 이때, "R"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더마탄 설페이트, 헤파린, 카복시 셀룰로오스 및 히알루론산, 펩타이드, 단백질 등과 같은 화합물 유도체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19477767-pat00001

Figure 112011019477767-pat00002
삭제
Figure 112009024896631-pat00003
Figure 112009024896631-pat00004
Figure 112011019477767-pat00005
Figure 112011019477767-pat00006
이러한 반응식 2 혹은 3을 사용하면,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당화합물 및 키토산에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말단 혹은 중간에 이중결합 혹은 삼중결합을 가진 측쇄가 결합된 당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일예로, 아래 반응식 4와 같이 리포아마이드-당화합물의 이황화 작용기를 환원시켜 생성된 싸이올 작용기와 불포화 탄화수소의 작용기를 가진 당유도체인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의 불포화 화합물 사이의 반응에 의해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셀룰로오스와 히알루론산과 같은 당 하이드로젤 및 필름을 합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1019477767-pat00007
또한, 리포아마이드를 결합시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과 필름 합성에 있어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유도체는 분자구조의 중간 및 말단에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공유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말단에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는 아크릴레이트 작용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갖는 물질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아크릴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2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이며, 분자의 불포화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이다. 그리고 분자의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와 아크릴 작용기의 몰 비는 10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20:1이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더마탄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과 필름은 생물분자로 구성되어 안전성이 매우 높은 화합물로 구성되었기에, 상처치유 패치, 주름개선 등의 성형재료, 미용재료, 관절염 치료제, 신경, 피부, 골 및 연골의 재생 등과 같은 조직재생용 지지체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과 필름은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다. 당화합물은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 특성을 지닌 물질로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및 필름의 제조는 용액상태의 두 가지 물질을 단순히 혼합하면 가능하게 되므로, 준비된 두 가지의 용액에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시켜 하이드로젤을 제조할 수 있다. 생리활성 물질이 포함된 두 가지 용액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질병 또는 상처 부위에 전달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생리활성 물질이 포함된 하이드로젤 제조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은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로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및 필름에 생리활성 물질을 이화학적으로 담지시킨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생리활성 물질을 담지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 생리활성 물질이 담지되어 생체 내에 주사(injection)하는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목적에 따라서는 생리활성 물질은 예정된 부위에서 예정된 시간에 걸쳐서 일정하게 서서히 방출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유도체에 생리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을 결합시킨 다음, 하이드로젤 혹은 필름으로 형성시켜 약물 전달체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다른 생리활성 물질을 하이드로젤 및 필름에 함께 담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주사 가능한 전달체는, 환자 질병 부위로의 전달률이 낮거나, 투여된 고가(high price)의 약물이 체외로 지나치게 빨리 소실되는 경우 혹은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큰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즉, 약물을 질병 부위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약물이 환부에 천천히 방출되도록 속도를 조절하여 약물의 농도를 오랫동안 치료 영역에 유지시키거나, 주사방법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약물을 환부에 전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서, 화학적으로 결합된 약물의 종류와 농도, 젤의 물리적 강도, 화학적 특징 및 젤의 분해속도 등에 따라서 생리활성 물질의 전달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 물리적으로 담지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유기합성 화합물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 항암제, 소염진통제, 항바이러스제, 항균제 등이 있다.
항생제로는 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오플록사신, 레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클라리스로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 세파클러, 세포탁심, 이미페넴, 페니실린, 겐타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반코마이신 등의 유도체 및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항생제를 예시할 수 있다.
항암제로는 메토트렉세이트, 카보플라틴, 탁솔, 시스-플라틴,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에트포사이드, 파클리탁셀, 캄토테신, 사이토신 아라비노스 등의 유도체 및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항암제를 예시할 수 있다.
소염제로는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등의 유도체 및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소염제를 예시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로는 아시콜로버, 로바빈 등의 유도체 및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항바이러스제를 예시할 수 있다. 항균제로는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플루코나졸, 암포테리신-B, 그리세오 풀빈 등의 유도체 및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항균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및 필름에 담지하여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단백질 및 펩타이드에는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호르몬, 사이토카인, 효소, 항체, 성장인자, 전사조절인자, 혈액인자, 백신, 구조단백질, 리간드 단백질, 다당류 및 수용체, 세포표면항원, 수용체 길항물질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펩타이드, 이들의 유도체 및 유사체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골 성장인자, 간 성장호르몬, 성장호르몬 방출 호르몬과 펩타이드, 인터페론류와 인터페론 수용체류(예컨대 인터페론-알파, -베타 및 -감마, 수용성 타입 I 인터페론 수용체 등), 과립구 콜로니 자극인자(G-CSF), 과립구-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인자(GM-CSF), 글루카콘-유사 펩타이드류 (GLP-1등), 지프로테인 관련된 수용체(G-protein-coupled receptor), 인터루킨류(예컨대 인터루킨-1, -2, -3, -4, -5, -6, -7, -8, -9 등)와 인터루킨 수용체류(예컨대 IL-1 수용체, IL-4 수용체 등), 효소류(예컨대 글루코세레브로시데이즈(glucocerebrosidase), 이두로네이트-2-설파테이즈(iduronate-2-sulfatase), 알파-갈락토시데이즈-A, 아갈시데이즈 알파(agalsidase alpha), 베타, 알파-L-이두로니데이즈(alpha-L-iduronidase), 뷰티릴콜린에스터데이즈(butyrylcholinesterase), 키티네이즈(chitinase), 글루타메이트 디카르복실레이즈(glutamate decarboxylase), 이미글루세레이즈(imiglucerase), 리페이즈(lipase), 유리케이즈(uricase), 혈소판-활성인자 아세틸하이드롤레이즈(platelet-activating factor acetylhydrolase), 중성 엔도펩티데이즈(neutralendopeptidase), 마이엘로퍼옥시데이즈(myeloperoxidase) 등), 인터루킨 및 사이토카인 결합 단백질류(예컨대 IL-18bp, TNF-결합 단백질 등), 마크로파지 활성인자, 마크로파지 펩타이드, B 세포인자, T 세포인자, 단백질 A, 알러지 억제인자, 종양괴사인자(TNF: Tumor Necrosis Factor) 알파 억제인자, 세포 괴사 당단백질, 면역독소, 림포독소, 종양 괴사인자, 종양 억제인자, 전이 성장인자, 알파-1 안티트립신, 알부민, 알파-락트알부민(alpha-lactalbumin), 아포리포단백질-E, 적혈구 생성인자, 고 당쇄화 적혈구 생성인자, 안지오포이에틴류(angiopoietin), 헤모글로빈, 트롬빈(thrombin), 트롬빈 수용체 활성 펩타이드, 트롬보모듈린(thrombomodulin), 혈액인자, 혈액인자 a, 혈액인자 XIII, 플라즈미노겐 활성인자, 피브린-결합 펩타이드, 유로키네이즈, 스트렙토키네이즈, 히루딘(hirudin), 단백질 C, C-반응성 단백질, 레닌 억제제, 콜라게네이즈 억제제, 수퍼옥사이드 디스 뮤테이즈, 렙틴,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상피세포 성장인자, 표피세포 성장인자, 안지오스타틴(angiostatin), 안지오텐신(angiotensin), 골 형성 성장인자(bonemorphogenic protein), 골 형성 촉진 단백질, 칼시토닌, 인슐린, 아트리오펩틴, 연골 유도인자, 엘카토닌(elcatonin), 결합조직 활성인자, 조직인자 경로 억제제(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여포 자극 호르몬, 황체 형성 호르몬, 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 신경 성장인자류(예컨대 신경성장인자, 모양체 신경영양인자(cilliary neurotrophic factor), 악소제네시스 인자-1(axogenesis factor-1), 뇌-나트륨 이뇨 펩타이드(brain-natriuretic peptide), 신경교 유래 신경영양인자(glial derived neurotrophic factor), 네트린(netrin), 중성구 억제인자(neurophil inhibitor factor), 신경영양인자, 뉴트린(neuturin) 등), 부갑상선호르몬, 릴랙신, 시크레틴, 소마토메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부신피질 호르몬, 글루카곤, 콜레시스토키닌, 췌장 폴리펩타이드, 가스트린 방출 펩타이드, 코티코트로핀 방출인자, 갑상선 자극호르몬, 오토탁신(autotaxin), 락토페린(lactoferrin), 미오스타틴(myostatin), 수용체류(예컨대 TNFR(P75), TNFR(P55), IL-1 수용체, VEGF 수용체, B 세포 활성인자 수용체 등), 수용체 길항물질(예컨대 IL1-Ra 등), 세포표면항원(예컨대 CD 2, 3, 4, 5, 7, 11a, 11b, 18, 19, 20, 23, 25, 33, 38, 40, 45, 69등), 단일 클론 항체, 다중 클론 항체, 항체 단편류(예컨대 scFv, Fab, Fab', F(ab')2 및 Fd), 바이러스 유래 백신 항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및 필름에 물리적으로 담지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핵산으로는 DNA, RNA, P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및 필름에 물리적으로 담지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세포외기질 물질에는 콜라겐, 피브로넥틴, 젤라틴, 라미닌, 비트로넥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 물리적으로 담지하여 생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세포에는 줄기세포, 섬유아세포, 혈관내피세포, 평활근세포, 신경세포, 연골세포, 골세포, 피부세포, 슈반세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실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젤을 세포전달체로 이용하였을 때, 하이드로젤에 담지된 세포들이 증식하여 약 2-8주 후에는, 합성조건에 따라 하이드로젤이 분해된 후에 세포들이 세포배양 플라스크 표면에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 담지되는 생리활성 물질의 잔존수율과 활성이 안정적임을 시사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수용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등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등을 분자구조에 존재하는 불포화 작용기를 갖는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리포아마이드와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리포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고 다이설파이드(disulfide)를 싸이올 작용기로 환원시키는 단계; (d)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등의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 싸이올 유도체와 가교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및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단계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물에 녹여서 수용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b) 단계에서는 분자구조에 존재하는 불포화 작용기를 갖는 분자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반응유도물질을 이용하여 공유결합시킬 수 있으며, 반응유도물질로서는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ED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EDC를 반응유도물질로 사용하였으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리놀레산: EDC의 몰 반응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실제로 1: 2: 4, 1: 4: 2 또는 1: 5: 5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c) 단계에서는 반응유도물질을 이용하여 분자구조의 말단에 싸이올 작용기를 갖는 리포아마이드와 같은 생물분자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등을 공유결합시킬 수 있으며, 반응유도물질로서 ED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EDC를 가교결합제로 사용하였으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리포아마이드: EDC의 몰 반응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실제로 1: 2: 4, 1: 4: 2 또는 1: 5: 5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 싸이올 유도체를 합성할 수 있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분자구조의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갖는 당유도체와 공유결합시켜 하이드로젤 합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불포화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율은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아크릴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2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이며, 불포화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는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이다. 그리고 불포화 작용기와 아크릴 작용기의 몰 비는 10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20:1이다. 이러한 몰 비는 제조하고자 하는 하이드로젤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의 분자량, 결합된 리포아마이드 몰 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농도와 사용하는 반응유도물질의 종류, 농도 및 pH, 반응시키는 불포화 작용기와 싸이올 작용기의 몰 비율 등 매우 다양한 요소에 따라 하이드로젤의 생물학적 특성, 물리적 강도 및 화학적 특성은 달라진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적에 따라 생리활성 물질을 물리적으로 담지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은 수용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리포아마이드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생리활성 물질(약물)을 화학결합시키는 단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로부터 미반응 분자 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와 가교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수용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을 리포아마이드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생리활성 물질을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혼합하는 단계; 및 (d) 생리활성 물질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물리적으로 담지한 채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작용기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 작용기와 가교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와 같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 생리활성 물질의 담지는 젤 및 필름 제조과정 또는 젤 및 필름 제조 후 사용 전에 할 수 있지만, 젤 제조과정 중 (c) 단계에서 생리활성 물질을 젤이나 필름에 물리적 담지 혹은 화학적 결합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용액 또는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를 녹인 용액에 생리활성 물질을 혼합한 다음 하이드로젤 제조를 유도함으로써, 생리활성 물질이 물리적으로 하이드로젤에 담지되도록 유도하거나, 공유결합시켜 젤 및 필름 네트워크 일부가 되도록 한다.
일 구체예로서, 생리활성 물질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수용성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과 리포아마이드 분자와 공유결합시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를 건조시키는 단계; 생리활성 물질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갖는 물질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가교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히알루론산에 리포아마이드를 화학적으로 결합하 는 방법과 분석 및 세포배양 결과에 대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의 세포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사용한 세포들은 동물로부터 수확한 세포이다. 골세포(MC3T3)는 쥐의 두개골에서 분리 및 in vitro 확장하여 낮은 계대(p5 이하)의 세포들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합성
1 단계 과정: 히알루론산 용액(20 ml)에 리포아마이드 용액(30 ml)을 첨가한다.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리포아마이드 혼합용액에 일정량의 가교결합제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24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생성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히알루론산 용액과 아크릴레이트 용액을 혼합하고, 가교결합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하였다. 생성용액을 동결건조하여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2 단계 과정: 1 단계에서 제조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를 해당 용매에 녹여 각각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3 단계 과정: 2 단계에서 제조된 두 가지 용액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킴으로써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이때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의 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용액을 일차적으로 제조하였다.
분석 1.
두 용액을 혼합한 후 일정한 시간 뒤 젤이 형성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온의 수용액에 100일 동안 침지한 후에도 젤이 분해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2.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샘플을 FTIR(Fourier transformed infrared spectroscopy)로 평가한 결과,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의 샘플에서 2940(S-CH2), 1750(C=O), 1710(NHC=O), 1550(N-H), 1205(C-N) 그리고 850(S-H) 파장(cm-1)에서 각각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히알루론산과 리포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
분석 3.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하이드로젤을 동결건조한 다음 증류수에서 중량변화를 시간 당 측정하여 2일 정도 지속한 결과, 제조된 하이드로젤이 약 6시간까지 중량이 증가하다가 10시간 이후부터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초기에 생성물이 물을 흡수하여 하이드로젤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샘플이 수용액에서 1주일 동안 분해되지 않음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안정한 하이드로젤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4.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히알루론산을 화학원소분석기(XPS)로 분석한 결과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의 C1s 피크 변화를 통하여 히알루론산에 리포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탄소결합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에서는 새로이 S2p 피크가 생성되어 황 결합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히알루론산에 리포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
분석 5.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히알루론산, 리포아마이드를 용매에 녹여 1H-NMR을 분석한 결과 2.7(CH2-S) 그리고 1.2(CH2-SH) ppm에서의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통하여 새로운 화학구조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히알루론산에 리포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4).
실시예 2: 히알루론산-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1의 아크릴레이트 용액 대신에 메타아크릴산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가교결합제를 넣어 반응을 진행한 다음, 생성용액을 동결건조하여 히알루론산-메타아크릴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히알루론산-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2 참조).
분석 1.
합성한 히알루론산-메타아크릴레이트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히알루론산-메타아크릴레이트 샘플에서 1710(C=O), 1530(C=C) 파장(cm-1)에서 각각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히알루론산과 메타아크릴산이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2).
실시예 3: 키토산-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합성
삭제
실시예 1의 히알루론산 대신에 키토산을 이용하고 아크릴레이트 용액 대신에 리놀레이트 용액을 사용하여 키토산-리놀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키토산-리놀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히알루론산-키토산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3 참조).
분석 1.
합성한 키토산-리놀레이트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키토산-리놀레이트 샘플에서 1650(C=O), 1520(C=C) 그리고 1260(C-N) 파장(cm-1)에서 각각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키토산과 리놀레산이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0).
실시예 4: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1의 히알루론산 대신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히알루론산-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3 참조).
분석 1.
합성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 샘플에서 1710(C=O), 1510(C=C) 파장(cm-1)에서 각각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아크릴산이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1).
실시예 5: 히알루론산-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1의 히알루론산 대신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포아마이드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포아마이드와 히알루론산-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1 참조).
분석 1.
합성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포아마이드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포아마이드 샘플에서 2880(S-CH2), 1650(C=O), 1610(NHC=O), 그리고 850(S-H) 파장(cm-1)에서 피크 변화와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리포아마이드가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1).
실시예 6: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히알루론산-리놀레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1의 히알루론산 대신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아크릴레이트 용액 대신에 리놀레이트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가교결합제를 넣어 반응을 진행하였다. 생성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놀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놀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히알루론산-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3 참조).
실시예 7: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1의 히알루론산 대신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사용하여 반응을 진행한 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생성물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방법처럼,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1 참조).
분석 1.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의 샘플에서 2980(S-CH2), 1750(C=O), 1710(NHC=O), 1550(N-H), 1310(HS-CH) 그리고 820(S-H) 파장(cm-1)에서 피크 변화와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리포아마이드가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5).
분석 2.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하이드로젤을 동결건조한 다음, 증류수에서 중량변화를 시간 당 측정하여 2일 정도 지속한 결과, 제조된 하이드로젤이 약 6시간까지 중량이 증가하다가 10시간 이후부터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초기에 하이드로젤이 물을 흡수하였으며, 수용액에서 1주일 동안 분해되지 않음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형태학적으로 안정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을 합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 3.
실시예 7에서 합성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를 화학원소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의 C1s 및 S2p 피크 변화를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에 리포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탄소 및 황 결합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6).
분석 4.
실시예 7에서 합성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리포아마이드를 각각 용매에 녹여 1H-NMR을 분석한 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에서 2.7(CH2-S), 2.0(CH-S) 그리고 1.2(CH2-SH) ppm에서 피크 변화와 새로운 피크의 관찰을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에 리포아마이드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7).
실시예 8: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1의 아크릴레이트 용액 대신에 메타아크릴산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가교결합제를 넣어 반응을 상온에서 6시간 진행하였다. 생성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2 참조).
분석 1.
합성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샘플에서 1705(C=O), 1540(C=C) 파장(cm-1)에서 각각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메타아크릴산이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2).
실시예 9: 키토산-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7에서, 키토산을 이용하여 키토산-리놀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키토산-리놀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키토산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3 참조).
분석 1
합성한 키토산-리놀레이트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키토산-리놀레이트 샘플에서 1650(C=O), 1520(C=C) 그리고 1260(C-N) 파장(cm-1)에서 각각 피크 변화 및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함으로써 키토산과 리놀레산이 화학적으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0).
실시예 10: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7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대신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3 참조).
분석 1
합성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 샘플을 FTIR로 평가한 결과,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 샘플에서 1710(C=O), 1520(C=C) 파장(cm-1)에서 피크 변화와 새로운 피크 생성을 확인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와 아크릴산이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11).
실시예 11: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놀레이트 하이드로젤 합성
실시예 7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대신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아크릴레이트 용액 대신에 리놀레이트 용액을 혼합한 다음 가교결합제를 넣어 반응을 진행하였다. 생성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놀레이트 생성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1의 단계별 실험 방법처럼,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놀레이트와의 반응을 통하여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합성하였다(반응식 3 참조).
실시예 12: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표면에서의 골세포 배양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표면 위에 골세포를 in vitro 배양하여 3일 동안 관찰한 결과, 세포의 부착과 뻗음이 진행되고 세포증식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실시예 13: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표면에서의 골세포 배양
실시예 7에서 합성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표면 위에 골세포를 in vitro 배양하여 3일 동안 관찰한 결과, 세포의 부착과 뻗음이 진행되고 세포증식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내부에 골세포를 함유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서의 골세포 배양
실시예 1의 2단계에서 하이드로젤 합성과정에서 200,000 cells/mL 농도의 골세포(MC3T3)를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함께 혼합하여 하이드로젤의 합성을 진행하여 세포가 포함된 하이드로젤의 합성을 유도하였다. 37℃, 5% CO2 조건의 in vitro 세포배양을 진행하면서 하이드로젤 내부에서의 골세포 적합성 평가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시예 15: 골세포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내부에 함유시킨 후의 골세포 배양
실시예 7의 2단계에서 하이드로젤 합성과정에서 200,000 cells/mL 농도의 골세포(MC3T3)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함께 혼합하여 하이드로젤의 합성을 진행하여 세포가 포함된 하이드로젤의 합성을 유도하였다. 37℃, 5% CO2 조건의 in vitro 세포배양을 진행하면서 하이드로젤 내부에서의 골세포 적합성 평가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9).
실시예 16: 히알루론산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된 샘플
각 실시예 1과 7에서 제조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용액을 혼합하여 필름형태로 샘플을 제조하였다(도 1의 (b)).
실시예 17: 하이브리드 히알루론산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된 샘플
제조된 하이브리드 히알루론산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 용액을 특정 형태로 제조된 몰드를 이용하여 필름형태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a)과 필름(b)의 디지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의 FTIR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와 히알루론산의 XPS 결과를 나타낸다. (a)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C1s, (b) 히알루론산 리포아마이드 S2p, (c) 히알루론산 C1s, (d) 히알루론산 S2p.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의 1H-NMR 결과들을 나타낸다. (a)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b) 리포아마이드, (c) 히알루론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리포아마이드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의 FTIR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와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의 XPS 결과들을 나타낸다. (a)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C1s, (b)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 S2p, (c)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C1s, (d)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S2p.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리포아마이드의 1H-NMR 결과들을 나타낸다. (a) 히알루론산-리포아마이드, (b) 리포아마이드, (c) 히알루론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의 표면에 골세포를 배양한 결과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1일째 40배율(a) 및 100배율(b); 3일째 40배율(c) 및 100배율(d).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하이드로젤의 내부에 생리활성 물질로 골세포를 이용하여 생리활성 물질이 포함된 하이드로젤 합성 및 세포배양을 진행한 결과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2일째 100배율(a) 및 400배율(b); 10일째 100배율(c) 및 400배율(d).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키토산-아크릴레이트의 FTIR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아크릴레이트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리포아마이드 FTIR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히알루론산-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의 FTIR 결과들을 나타낸다.

Claims (9)

1개 이상의 리포아마이드의 아민 작용기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된 고분자화합물.
제1항의 리포아마이드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에서 리포아마이드 개환에 의하여 형성된 싸이올 작용기와 1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화합물 사이의 마이클형(Michael type) 첨가반응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제1항의 리포아마이드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에서 리포아마이드 개환에 의하여 형성된 싸이올 작용기와 1개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화합물의 불포화 작용기 사이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고분자화합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화합물은 하이드로젤 또는 필름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은 헤파린, 히알루론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더마탄 설페이트, 키토산, 덱스트란, 알지네이트,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
삭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펩타이드, 콜라겐, 단백질, 호르몬, 약물 및 성장인자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아마이드와 반응하는 반응물(상기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
제2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리포아마이드의 아민 작용기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고분자화합물 용액 혹은 1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화합물 용액 중 적어도 하나의 용액에 세포, 약물, 성장인자, 호르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리활성 물질을 추가한 다음, 두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마이클형(Michael type) 첨가반응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1개 이상의 리포아마이드의 아민 작용기와 카복시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의 결합에 의해 생성된 고분자화합물 용액 혹은 1개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을 가지는 생체적합성 고분자화합물 용액 중 적어도 하나의 용액에 세포, 약물, 성장인자, 호르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리활성 물질을 추가한 다음, 두 용액을 혼합함으로써 수행되는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고분자화합물.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화합물은 하이드로젤 또는 필름의 형태를 갖고서 상기 생리활성 물질을 서서히 방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화합물.
KR1020090035818A 2009-04-24 2009-04-24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10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818A KR101100803B1 (ko) 2009-04-24 2009-04-24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EP09174370A EP2251359A1 (en) 2009-04-24 2009-10-28 Synthesis of Lipoamide-Grafted High Molecular Compound and Method Therefor
US12/608,126 US8742013B2 (en) 2009-04-24 2009-10-29 Synthesis of lipoamide-grafted high molecular compound and method therefor
PCT/KR2009/006320 WO2010123181A1 (ko) 2009-04-24 2009-10-30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818A KR101100803B1 (ko) 2009-04-24 2009-04-24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201A KR20100117201A (ko) 2010-11-03
KR101100803B1 true KR101100803B1 (ko) 2011-12-29

Family

ID=4229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818A KR101100803B1 (ko) 2009-04-24 2009-04-24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42013B2 (ko)
EP (1) EP2251359A1 (ko)
KR (1) KR101100803B1 (ko)
WO (1) WO20101231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87A (ko) 2015-06-01 2016-12-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히알루론산 복합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185B1 (ko) * 2006-01-19 2008-07-3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또는 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키토산-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기저로 하는하이드로젤과  이의 제조방법
US8398611B2 (en) 2010-12-28 2013-03-19 Depuy Mitek,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US8455436B2 (en) 2010-12-28 2013-06-04 Depuy Mitek,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US8524662B2 (en) 2010-12-28 2013-09-03 Depuy Mitek,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US8623839B2 (en) 2011-06-30 2014-01-07 Depuy Mitek,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abilized polysaccharide formulations
KR101277286B1 (ko) * 2011-09-09 2013-06-2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스(2-카복시에틸)포스핀이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
US9682099B2 (en) 2015-01-20 2017-06-20 DePuy Synthes Product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joints
IT201700124434A1 (it) * 2017-10-31 2019-05-01 Sofar Swiss Sa Compressa da succhiare e/o sciogliere in bocca a base di acido ialuronico e condroitina solfato e loro sali per uso nel trattamento di una sottopopolazione di pazienti GERD.
IT201700124424A1 (it) * 2017-10-31 2019-05-01 Sofar Swiss Sa Compressa da succhiare e/o sciogliere in bocca a base di acido ialuronico e condroitina solfato e loro sa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7091A1 (en) 2007-06-29 2009-01-15 Daniloff George Y Sterile hyaluronic acid polymer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0142A1 (de) * 1993-03-29 1994-10-06 Boehringer Mannheim Gmbh Immunologisch aktive Konjugate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6630457B1 (en) * 1998-09-18 2003-10-07 Orthogene Llc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formation of hydrogels in situ us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WO2001024795A1 (de) * 1999-10-01 2001-04-12 Skw Trostberg Aktiengesellschaft α-LIPONSÄURE(-DERIVATE)ENTHALTENDE RETARDFORM
US6756354B2 (en) * 2001-09-05 2004-06-29 Deanna Jean Nelson Therapeutic compositions containing oligo (ethylene glycol)-terminated 1,2-dithiolanes and their conjugates
JP3970811B2 (ja) * 2002-09-09 2007-09-0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リンカー化合物及びリガンド、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P1731517B1 (en) * 2004-02-05 2010-11-17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Linker compound, ligand complex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CN101405303B (zh) * 2006-03-14 2011-11-23 诺维信生物制药丹麦公司 丙烯酸酯化的透明质酸
ITMI20072416A1 (it) * 2007-12-21 2009-06-22 Sigea Srl Derivati polisaccaridici dell'acido lipoico, loro preparazione ed uso come dermocosmetici e presidi medical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7091A1 (en) 2007-06-29 2009-01-15 Daniloff George Y Sterile hyaluronic acid polymer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 Yu. Ponedel'kina et al., Conjugation of Chondroitin Sulfates with Amines, Russian Journal of Bioorganic Chemistry, 2008, Vol. 34, No. 5, pp. 632-637
In Rim Hong and Young Jin Kim, Self-aggregated Nanoparticles of Lipoic Acid Conjugated Hyaluronic Acid, Polymer (Korea), 2008, Vol. 32, No. 6, pp. 561-56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487A (ko) 2015-06-01 2016-12-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H 민감성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히알루론산 복합 하이드로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1359A1 (en) 2010-11-17
US20100272761A1 (en) 2010-10-28
US8742013B2 (en) 2014-06-03
KR20100117201A (ko) 2010-11-03
WO2010123181A1 (ko)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803B1 (ko) 리포아마이드가 결합된 고분자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0849185B1 (ko) 키토산 또는 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키토산-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기저로 하는하이드로젤과  이의 제조방법
KR100888748B1 (ko) 불포화 생물분자를 이용한 키토산 하이드로젤과 이의제조방법
KR101865168B1 (ko) 히알루로네이트 기반 자가치유 하이드로젤 및 이의 용도
Gonen-Wadmany et al. Protein–polymer conjugates for forming photopolymerizable biomimetic hydrogels for tissue engineering
AU2001275226B2 (en) Conjugate addition reactions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JP5608741B2 (ja) 生体内形成注入ヒドロゲル及びその生物医学的用途
US7291673B2 (en) Conjugate addition reactions for the controlled delivery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KR102106966B1 (ko) 자가치유 하이드로겔 및 이의 용도
Jeong et al. Supramolecular injectable hyaluronate hydrogels for cartilage tissue regeneration
CN101511876A (zh) 用亲电子基团修饰的大分子及其制备和使用方法
Amsden Novel biodegradable polymers for local growth factor delivery
KR101492051B1 (ko)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91643A (ja) 生体への定着性が付与されたポリアミノ酸誘導体
Luong et al. In situ functionalization of poly (hydroxyethyl methacrylate) cryogels with oligopeptides via β-cyclodextrin–adamantane complexation for studying cell-instructive peptide environment
Kulkarni et al. Emerging role of injectable dipeptide hydrogels in biomedical applications
KR101161640B1 (ko) 리포산이 결합된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CA2400205A1 (en) Modification of biopolymers for improved drug delivery
KR100671965B1 (ko) 키토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기저로 하는 하이드로젤과 이의 제조방법
WO2009145594A2 (ko) 약물전달체
KR101277286B1 (ko) 트리스(2-카복시에틸)포스핀이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
Zhu et al. Recent Advances on Collagen Biomaterial: From Extraction, Cross-Linking to Tissue Regeneration
Amirian et al. Gelatin Based Hydrogels for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Applications
WO2007083643A1 (ja) 骨形成促進物質とナノゲルを含有する骨形成用生体材料
KR20230054555A (ko) 과산화아연을 이용한 젤라틴 기반 아연이온 방출형 in situ 가교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생의학적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