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130B1 -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130B1
KR101100130B1 KR1020090070224A KR20090070224A KR101100130B1 KR 101100130 B1 KR101100130 B1 KR 101100130B1 KR 1020090070224 A KR1020090070224 A KR 1020090070224A KR 20090070224 A KR20090070224 A KR 20090070224A KR 101100130 B1 KR101100130 B1 KR 10110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parts
atopy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490A (ko
Inventor
은치효
Original Assignee
은치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치효 filed Critical 은치효
Priority to KR102009007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1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61K35/08Mineral waters; Sea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나리와 유황분말의 혼합물에 해수를 넣고 발효 숙성시켜 추출하여서 가공액을 얻고, 창이자(菖耳子)에 마유(馬油)를 넣고 약한 불에 볶아서 제1 혼합물을 얻고, 희렴(稀簽)에 막걸리를 넣고 버무린 후 증숙하여서 제2 혼합물을 얻고, 상기 제1,2 혼합물에 상기 가공액을 넣고 상황버섯을 포함한 제3 혼합물을 더 첨가한 후, 이들을 유압추출기에 넣고 추출하여서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에 목초액을 넣고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서 증류액을 수득하여 아토피 개선제를 얻음으로서, 가려움증을 해소 및 완화시키고, 피부 보습효과가 뛰어나며, 피부면역력을 강화하고, 가려움증으로 손상된 상처를 치유하고, 두드러기 현상을 방지하고, 항생효과가 있다.
청정미나리, 유황분말, 창이자(菖耳子), 마유(馬油), 희렴(稀簽), 상황버섯

Description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나 개선을 위한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주로 나타난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도 있다. 그런데 아직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가공식품 및 패스트푸드, 식품첨 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의 환경적 요인 등도 주요원인중의 하나임이 밝히고 있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치료제재로는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면역조절제, 전신 스테로이드, 전신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등등이 있으나, 각각마다 부작용이 따르는 단점이 있으며 일시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 및 치유하고, 아토피 피부염으로 손상된 상처를 말끔히 치유하고, 피부면역력을 강화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하는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나리와 유황분말의 혼합물에 해수를 넣고 발효 숙성시켜 추출하여서 가공액을 얻고, 창이자(菖耳子)에 마유(馬油)를 넣고 약한 불에 볶아서 제1 혼합물을 얻고, 희렴(稀簽)에 막걸리를 넣고 버무린 후 증숙하여서 제2 혼합물을 얻고, 상기 제1,2 혼합물에 상기 가공액을 넣고 상황버섯을 포함한 제3 혼합물을 더 첨가한 후, 이들을 유압추출기에 넣고 추출하여서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에 목초액을 넣고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서 증류액을 수득하여 아토피 개선제를 얻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 보습효과가 뛰어나며,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 및 치료하고, 아토피 피부염으로 손상된 상처자국을 말끔히 치유하고, 근본적인 피부면역력을 강화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를 사용한 아토피환자의 치료 경과사진이다.
본 발명은 미나리 발효추출액에 창이자(菖耳子), 희렴(稀簽), 상황버섯을 포함하여서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으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며, 피부 면역력을 키워 근본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미나리에 해수를 넣고 발효 추출한 가공액에 창이자(菖耳子)에 마유(馬油)를 넣고 볶은 제1 혼합물과 희렴(稀簽)에 막걸리를 넣고 버무린 후 증숙한 제2 혼합물 및 상황버섯을 포함한 제3 혼합물을 넣고, 이들을 유압추출기로 추출하여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미나리 발효추출액은 미나리와 유황분말과 해수를 옹기에 넣고 밀폐시켜 발효 숙성시켜서 얻어진다.
미나리 발효추출액의 주성분인 미나리는 청정수에서 재배된 청정미나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나리는 향신 채소로서 섬유소,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 칼슘 등이 풍부한 알카리 식품이고, 특히 간 기능을 향상시키는 약용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민간요법으로서 해독작용, 혈압강하, 해열, 변비예방, 지혈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심한 땀띠나 두드러기에 미나리즙을 바르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나리 발효추출액에 사용되는 유황분말은 생체내에 누적된 유해물질을 정화 해독시켜주는 작용을 하고, 민간요법으로서 항암효과, 염증제거, 통증완화, 살균작용, 각질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미나리와 유황분말의 혼합물에는 해수가 더 투입된다. 해수는 미나리가 옹기내에서 부패되지 않게 하며, 미나리가 빨리 숙성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미나리와 유황분말의 혼합물에는 해수 대신에 소금을 넣을 수도 있지만, 소금만을 넣을 경우는 빨리 숙성되지 못하며, 발효 추출액이 충분히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미나리 발효추출액은 상기와 같은 청정미나리 25∼30중량부와 유황분말 0.4∼0.6중량부를 옹기에 넣고 적정비율로 해수를 부은 후 밀폐시킨 상태로 25∼35℃를 유지하고, 10∼20일동안 발효 숙성시켜서 얻는다.
이 경우, 해수의 비율은 예를 들어, 청정미나리 25∼30㎏과 유황분말 0.4∼0.6㎏의 혼합물에 5∼15ℓ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혼합물을 발효 숙성시키서 20∼30ℓ의 가공액을 얻을 수 있다. 해수의 비율은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미나리가 빨리 숙성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약재의 효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혼합물은 창이자(菖耳子)에 마유(馬油)를 넣고 약한 불에 볶아서 얻어진다.
제1 혼합물의 주요성분인 창이자(菖耳子)는 국화과(compositae)의 1년생 초본인 도꼬마리의 열매로서, 민간요법에서는 진통, 정종, 금창, 충독, 수종, 배농, 치질, 편도선염, 중풍, 광견병, 습진, 발한, 매독, 관절염, 해독, 이뇨, 산후통, 치통, 명목, 나력, 두통의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살균고약, 방부고약을 만들어 습진, 태선, 선병, 종처, 뽀두라지, 천연두, 해양성 피부염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제1 혼합물에 첨가되는 마유(馬油)는 말의 지방 조직에서 추출한 지방성분으로서, 체내에서 세포막을 형성하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비타민 E를 함유하고 있어 잔주름 및 노화예방과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마유(馬油)는 인간의 지방산과 거의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친화력 및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고, 피부 깊이에서 항균작용을 하며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함으로서 모든 피부트러블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제1 혼합물은 창이자(菖耳子) 1.2중량부에 마유(馬油)를 적정비율로 넣고 약한 불에 볶아서 제조된다. 여기서, 마유(馬油)의 적정비율은 예를 들면, 창이자(菖耳子) 1.2㎏에 마유(馬油) 200∼300㏄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재료는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좋아지기는 하나 가격 대비 효능이 떨어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혼합물은 희렴(稀簽)에 막걸리를 넣고 버무린 후 증숙하여서 얻어진다.
제2 혼합물의 주요성분인 희렴(稀簽)은 국화과의 일년생 초본으로서, 주성분으로는 디테르펜다투로시드, 다투린, 알칼로이드, 사포닌, 정유 등이 있으며, 민간요법에서는 예로부터 사지 마비, 근육통, 학질, 급성 간염, 고혈압, 중풍, 악창, 외상 출혈 등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제2 혼합물은 희렴(稀簽) 1.2 중량부에 막걸리를 적정비율로 넣고 잘 버무린 후, 찜통이나 솥에 삼베를 깐 채판을 놓고 삼베 위에 희렴(稀簽)과 막걸리 혼합물을 올려서 찌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 경우, 막걸리의 혼합비율은 예를 들어, 희렴(稀簽) 1.2㎏에 막걸리 1.5∼2.5ℓ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혼합물은 상황버섯 2∼4중량부에 애엽(艾葉) 0.6∼1중량부와 지유(地楡) 0.6∼1중량부와 지실(枳實) 0.6∼1중량부와 참숯 0.3∼0.5중량부를 혼합하여서 얻어진다.
제3 혼합물의 주성분인 상황버섯은 목질 진흙 버섯이라고도 지칭되며, 약리작용으로는 항암효과, 면역강화기능, 종양저지효과, 자궁출혈, 월경불순 등의 부인병 치료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황버섯 추출물에는 여러 종류의 당과 플라보노이드 성분, 섬유질, 이소플라본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바르는 경우 보습력과 피부노화 방지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제3 혼합물의 성분 증 애엽(艾葉)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주성분은 정유, 아데닌, 콜린 등이 포함되며, 민간요법에서는 지혈과 항균작용 및 복통, 진통, 진정, 조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애엽(艾葉)은 피부에 적용하여 스트렙토코커스 아우레우스(S.aureus)의 감염에 대한 항균력을 갖고, 항산화활성의 효과를 제공하며, 경락의 순환을 돕고 통증을 가라앉히며 지혈을 도와 피부의 소양증을 치료하는 기능을 한다.
제3 혼합물의 성분 중 지유(地楡)는 장미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서, 주성분으로 탄닌, 몰식자산, 우르솔산, 엘라그산, 상귀솔빈, 포몰산 등이 함유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잎과 뿌리를 오래달여서 만든 고약은 갖가지 염증, 항산화효과, 피부병, 화상 치료에 효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유(地楡)는 괴사된 피부 조직에 피부 이식 수술을 하지 않아도 새살이 돋아 나와 흉터가 거의 남지 않게 하는 효능이 있다.
제3 혼합물의 성분 중 지실(枳實)은 탱자나무의 채익지 않은 열매로서, 그 주성분으로는 리모넨, 리날로올, 시트랄 등의 정유(精油)성분과, 헤스페리딘, 네오헤스페리딘, 나링긴, 폰시린 등의 플라보노이드 등이 있다. 민간요법에서는 흉만통, 복만통, 소화불량, 건위, 이뇨, 발한, 저혈압 치료에 사용되며, 항알러지 작용이 있어 가러움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제3 혼합물의 성분 중 참숯은 참나무를 600∼1000℃의 고온에서 열분해하고 남은 부분으로써, 참나무의 세포벽은 높은 다공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장 형성능, 음이온 방출 및 원적외선 방출등의 생리 활성 기능이 알려져 있다. 참숯에는 칼슘 및 칼륨 등의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서 노화방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참숯 추출물은 탁월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항산화 활성, 피부 세포 증식 효과, 보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재료는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한치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좋아지기는 하나 가격 대비 효능이 떨어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제, 가공액과 제1,2,3 혼합물을 이용하여서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1,2.3 혼합물에 가공액을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이들을 유압추출기에서 추출한다. 이 경우, 유압추출기는 100∼120℃로 유지하여서 6시간 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추출기의 온도가 상기의 범위보다 상한일 경우는 용액이 진한 색깔이 나오고 약쑥, 지실(枳實) 등이 타서 역한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보다 하한치일 경우는 색깔이 연하고 약성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추출액을 그대로 환부에 바를 경우, 해수의 짠맛, 유황, 한약재들의 발효 숙성된 강한 냄새들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추출액에 목초액을 넣고 90∼100℃로 가열하면서, 4∼10℃의 냉수 냉각관을 이용하여 연갈색의 한방 증류액을 수득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토피 개선제를 얻는다.
여기서, 목초액은 참나무를 숯으로 만들때 연기가 외부 공기와 접촉하면서 액화되어 떨어지는 것을 채취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아토피 개선제는 한약재들의 숙성 및 발효로 인한 냄새, 유황의 냄새, 해수의 짠맛 등으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약효의 효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아토피 개선제를 아토피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아토피환자들의 연령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았고, 환자들의 증상은 대부분 미란, 태선화, 살이 트거나, 붉은 반점이 있고, 가려움증을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이 심한 환자들이었다.
테스트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를 아토피 질환부위에 아침, 저녁으로 2∼3회 바르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의 경우는 30∼50일, 어른은 10년 이상된 환부도 50∼70일 정도면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알레르기 체질을 겸한 환자는 다소 재발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으나, 아토피 개선제로 치료를 지속적 으로 받으면서 재발부위가 작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를 사용한 아토피환자의 치료 경과를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7의 아토피환자는 12세의 남자로 아토피염이 2005년에 처음으로 발병되었다. 2008년 4월 24일에 치료를 시작하면서 3∼4일 간격으로 경과사진을 찍었다. 도 1은 2008년 4월 24일에 아토피환자의 치료전의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아토피환자의 양팔은 아토피염 증상이 심각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아토피환자는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로 치료를 시작하면서 아토피염이 점점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도 6은 치료개시일로부터 20일 후인 2008년 5월 12일에 찍은 사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아토피환자의 팔부위에 있는 아토피염은 상처자국이 일부 남아있을 뿐, 염증은 거의 완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1년 경과 후인 2009년 6월 8일에 찍은 사진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아토피환자의 팔부위는 더 이상 아토피염이 재발되지 않았고, 상처자국도 말끔히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를 사용한 아토피환자의 치료 경과사진이다.

Claims (5)

  1. 미나리와 유황분말의 혼합물에 해수를 넣고 발효 숙성시켜 추출하여서 가공액을 얻고, 창이자(菖耳子)에 마유(馬油)를 넣고 약한 불에 볶아서 제1 혼합물을 얻고, 희렴(稀簽)에 막걸리를 넣고 버무린 후 증숙하여서 제2 혼합물을 얻고, 상기 제1,2 혼합물에 상기 가공액을 넣고 상황버섯을 포함한 제3 혼합물을 더 첨가한 후, 이들을 유압추출기에 넣고 추출하여서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에 목초액을 넣고 가열하여 생성된 증기를 냉각시켜서 증류액을 수득하여 아토피 개선제를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액은 미나리 25∼30중량부와 유황분말 0.4∼0.6중량부를 옹기에 넣고 상기 옹기내에 해수를 부은 후 밀폐시킨 상태로 25∼35℃를 유지하고, 10∼20일동안 발효 숙성시켜서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창이자(菖耳子) 1.2중량부에 마유(馬油)를 넣고 약한 불에 볶아서 얻고, 상기 제2 혼합물은 희렴(稀簽) 1.2중량부에 막걸리를 넣고 잘 버무린 후, 증숙하여서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혼합물은 상황버섯 2∼4중량부에 애엽(艾葉) 0.6∼1중량부와 지유(地楡) 0.6∼1중량부와 지실(枳實) 0.6∼1중량부와 참숯 0.3∼0.5중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아토피 개선제.
KR1020090070224A 2009-07-30 2009-07-30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0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24A KR101100130B1 (ko) 2009-07-30 2009-07-30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24A KR101100130B1 (ko) 2009-07-30 2009-07-30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90A KR20110012490A (ko) 2011-02-09
KR101100130B1 true KR101100130B1 (ko) 2011-12-29

Family

ID=4377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24A KR101100130B1 (ko) 2009-07-30 2009-07-30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1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956A (ja) 1998-08-28 2000-03-07 Goshu Yakuhin Kk 生薬熱水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水中遊離残留塩素除去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入浴剤
KR100875577B1 (ko) 2008-06-05 2008-12-23 김길순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0956A (ja) 1998-08-28 2000-03-07 Goshu Yakuhin Kk 生薬熱水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水中遊離残留塩素除去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入浴剤
KR100875577B1 (ko) 2008-06-05 2008-12-23 김길순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90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1100B (zh) 一种姜竹盐及其制备方法
KR20110112263A (ko)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KR101516146B1 (ko) 복합 기능성 한방비누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560B1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CN103877281A (zh) 一种用于治疗鸡大肠杆菌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674163B1 (ko) 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0130B1 (ko) 아토피 개선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285523A (zh) 预防斑点叉尾鮰出血性腐败症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106725A (zh) 预防红剑鱼细菌性肠炎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250695A (zh) 顽癣中药酒
CN104491499A (zh) 一种具有祛疤痕、痘印功效的美肤散及其制备方法
CN110464821A (zh) 草本养护膏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5250845A (zh) 牛皮癣中药酒
CN103845628B (zh) 一种用于治疗猫破伤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2401035A (zh) 一种益寿沉香灵芝养生茶及其制备方法
CN105168091A (zh) 一种祛红血丝面膜粉及其制备方法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RU2326683C2 (ru) Мазь ранозаживляющая,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ая
KR10037781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치료용 조성물 및 이조성물을 포함하는 치료제
KR1022466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N107582791A (zh) 一种治疗闭经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740226A (zh) 治疗轻度烧烫伤的复方茶树精油
CN105194715A (zh) 一种手术用无纺布敷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