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125B1 - 소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소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125B1
KR101099125B1 KR1020100053012A KR20100053012A KR101099125B1 KR 101099125 B1 KR101099125 B1 KR 101099125B1 KR 1020100053012 A KR1020100053012 A KR 1020100053012A KR 20100053012 A KR20100053012 A KR 20100053012A KR 101099125 B1 KR101099125 B1 KR 10109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grinding
sorting
unit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340A (ko
Inventor
김인철
김학렬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1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천일염 등의 소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분쇄부를 통해 소금을 분쇄한 후 분쇄된 소금을 선별부에서 적정 입자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장치에서,
분쇄부에 사용되는 분쇄날개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소금의 분쇄효율을 높이고 선별부의 구조도 개선하여 선별효율을 향상시키고 건조부를 통해 소금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소금 수분에 의한 분쇄부 부식도 방지할 수 있는 소금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소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소금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소금투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전후단부가 상기 수용본체 전후벽면에 연결된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1분쇄날개를 포함하는 제1분쇄부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와 연결되어 분쇄된 소금을 입자크기별로 분리하는 선별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금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alt}
본 발명은 천일염 등의 소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소금의 분쇄, 건조 및 선별 가공기능을 갖는 소금가공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소금은 크게 염전에 모인 바닷물을 자연 증발시켜 만들어지는 천일염과, 이온교환을 통해 천일염 내 불순물을 제거하여 만들어지는 정제염, 지층이나 바위에 형성된 암석형태의 소금을 분쇄한 암염 그리고 염분 함유량이 높은 지하수를 증발시켜 만들어지는 정염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소금을 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정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가공과 분쇄된 소금을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가공 및 소금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가공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러한 각 가공작업은 분쇄부와 선별부 및 건조부가 일체로 조합된 하나의 소금가공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소금가공장치의 분쇄부는 소금투입방향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 단부에 선풍기 날개 형태의 분쇄날개가 설치되어 회전되는 구조, 즉 분쇄날개가 믹서기에서의 분쇄날과 같은 구조로 설치된 상태에서 소금이 떨어지면서 분쇄날개를 통과하는 순간 분쇄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분쇄부 구조는 소금이 분쇄날을 통과하는 순간에만 분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쇄날과의 접촉시간이 짧으므로 소금 중 적정크기로 분쇄되지 못하고 분쇄날을 통과하는 양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분쇄부를 통해 정정크기 입자로 분쇄되는 소금의 양은 소금 총 량 대비 50%이상이 되어야 적정생산효율을 얻을 수 있는데, 실제로 종래 분쇄부를 통해서는 적정 분쇄량이 50% 미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전체 소금생산효율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분쇄부에 최초 공급된 소금은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분쇄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에 의해 고결되어 분쇄부 표면에 들러붙게 되므로, 그만큼 분쇄되는 소금양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발생된 수분에 의해 분쇄부의 부식이 초래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 가공장치의 선별부는 단순히 평판형태의 타공판 상에 진동을 가해 타공판의 선별구멍 크기 이상의 소금은 판재 위에 남고 선별구멍 크기 이하의 소금은 선별공을 통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의 진동구조 및 완충기능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타공판사방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진동과정에서 타공판 위의 소금이 원치않게 외부로 튀어나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가해지는 진동력에 따라 선별효율도 일정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소금이 타공판 상에 쌓인 상태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소금의 건조가 골고루 이루어지기 힘든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금의 분쇄효율과 선별효율, 건조효율을 모두 향상시킴은 물론 분쇄부의 부식방지 기능도 함께 구비한 소금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에 대한 각 실시예는,
내부에 소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소금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소금투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전후단부가 상기 수용본체 전후벽면에 연결된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1분쇄날개를 포함하는 제1분쇄부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와 연결되어 분쇄된 소금을 입자크기별로 분리하는 선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 상에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2분쇄날개를 가지는 제2분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부와 제2분쇄부는 상하 높이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쇄날개는 전후측에 위치하는 타 제1분쇄날개와 어긋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쇄부 또는 제2분쇄부의 분쇄날개 간 전후 간격은 0.5 내지 1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수용본체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선별케이스, 상기 선별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어 분쇄된 소금이 내부에 수용되며 일정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망이 외부를 감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통공 직경을 초과하는 크기의 소금은 내부에 수용되고 통공 직경 이하 크기의 소금은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선별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상기 선별망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별망 내부에 수용된 소금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로 및 상기 선별케이스 설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별망 통공을 통해 배출된 소금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 소금을 건조시키는 분쇄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부에 연결되어 선별부 내부의 소금을 건조시키는 선별건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는 소금에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 또는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본체의 소금배출구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된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선별망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소금투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에 분쇄날개가 설치되고, 회전축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됨에 따라, 투입되는 소금과 분쇄날개 간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이 증가되므로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별과정 뿐만 아니라 분쇄과정에서도 소금의 건조가 이루어짐에 따라소금 건조효율 및 분쇄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분쇄부의 부식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선별부의 선별망을 사방이 막힌 형태로 구현하고 이러한 선별망이 회전되면서 소금의 선별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별정확성이 향상됨은 물론 건조가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중 분쇄부의 구조를 나타낸 전체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평단면도
도 4는 분쇄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분쇄부의 구조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적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소금가공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설치본체(100)와 수용본체(200), 분쇄부(300), 이송부(400), 선별부(500) 및 건조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설치본체(100)는 가공장치 전체의 지지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철재프레임들을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후술하는 수용본체(200) 및 이송부(40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이때 설치본체(100) 상부에는 계단형태로 단차를 이루는 제1단차프레임(110)과 2단차프레임(120)이 형성되고, 제1단차프레임(110)에는 후술하는 제1분쇄부(310) 설치를 위한 제1베어링하우징(112)이 구비되며 제2단차프레임(120)에는 제2분쇄부(320) 설치를 위한 제2베어링하우징(122)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1, 2베어링하우징(112)(122)도 상호 높이차를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설치본체(100)는 두개로 구성되어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어느 한쪽 설치본체(100)의 중간지점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330) 설치를 위한 보조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참고로 설치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건조장치의 전체규모나 분쇄부(300)의 구비개수 및 수용본체(200)와 이송부(300)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치본체(100)에는 수용본체(200)가 설치되는데,
수용본체(200)는 소금의 최초 투입 및 소금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사방이 막힌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설치본체(100) 사이의 상부에 위치되어 용접 등을 통해 설치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용본체(200)의 상부에는 소금이 최초 투입되는 투입호퍼(21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투입된 소금의 수용공간(2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금의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구(230)에는 소금의 배출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편(232)이 형성되며 가이드편(232)이 배출구(230)를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수용본체(200)의 구조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투입호퍼(210)를 구비시키지 않고 수용본체(200) 상부를 개방하여 소금을 직접 투입하는 등의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수용본체(200)에는 분쇄부(300)가 설치되는데,
분쇄부(300)는 수용본체(200)으로 공급된 소금을 적정크기의 입자 상태로 분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2]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분쇄부(310)와 제2분쇄부(320) 및 구동모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분쇄부(310)는 투입되는 소금의 1차 분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회전축(312)과 제1분쇄날개(3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회전축(312)은 수용본체(200)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단부가 수용본체(200) 전후벽면을 관통한 뒤 제1베어링하우징(112)에 결합된다. 즉 소금투입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참고로 제1베어링하우징(112)를 제1단차프레임(110)에 설치하지 않고 수용본체(100) 전후 벽면 중 제1회전축(312)이 관통되는 부위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단차프레임(110)은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제1회전축(312)의 일단부에는 풀리(pully)나 스프로킷(sprocket) 등의 제1동력전달부재(312a)가 설치되어 보조프레임(130)에 설치된 구동모터(330)와 밸트(belt)나 체인(chain)등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1회전축(312)에 형성되는 제1분쇄날개(314)는 소금의 실질적인 분쇄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팅날(314a)이 제1회전축(312)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원형 배치되며, 이렇게 원형 배치된 커팅날들이 제1회전축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쇄부(300)의 또 다른 요소인 제2분쇄부(320)는 소금의 2차분쇄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분쇄부(310)와 동일한 구조, 즉 제2회전축(322)과 제2분쇄날개(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회전축(322)은 수용본체(100) 내에서 제1회전축(312)과 수평상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전후단부가 수용본체(200) 전후벽면을 관통한 후 제2베어링하우징(12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회전축(322)에 설치되는 제2분쇄날(324)은 제1분쇄날(314)과 마찬가지로 커팅날(324a)이 제2회전축(322) 둘레를 따라 원형 배열된 상태에서 제2회전축(322)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2회전축(322)이 제2베어링(326)에 연결됨에 따라 제2분쇄부(320)는 제1분쇄부(310)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투입된 소금은 제1분쇄부(310)와 제2분쇄부(320)에 의해 2번에 걸쳐 분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물론 분쇄부(300)는 소금의 투입량, 즉 가공장치의 처리 용량에 따라 하나만 구비되거나 제2분쇄부(320) 외에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회전축(322)일 일단부에도 밸트나 스프로킷 등의 제2동력연결부재(322a)가 연결되고 밸트나 체인을 통해 제1회전축(312)의 제1동력전달부재(312a)와 연결되거나 구동모터(330)에 직접 연결된다.
참고로 제1, 2분쇄부(310)(320)의 각 회전축(312)(322)과 분쇄날개(314)(324)들은 부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작하여 분쇄과정에서 소금으로부터 발생된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표면에 세라믹코팅처리를 실시하여 마모나 부식방지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2분쇄날개(314)(324)는 [도 5]처럼 각 커팅날(314a)이 전후 동일선상으로 배치되거나 [도 6]과 같이 전후 어긋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험결과 제1, 2분쇄부(310)(320)의 각 커팅날(312a) 간 전후 간격(A)이 0.5 내지 10mm였을 때 가장 분쇄효율이 높았는데, 즉 10mm 를 초과할 경우 적정크기보다 큰 크기로 분쇄되는 소금양이 많아지고 0.5mm 미만일 경우에는 너무 작은 크기로 분쇄되거나 분쇄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커팅날(314a) 간 간격(A)은 투입되는 소금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제1분쇄부(310)와 제2분쇄부(320)의 커팅날 간 간격을 달리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분쇄가 이루어지는 제1분쇄부(310)에서는 커팅날 간 간격을 넓게 형성시키고, 2차분쇄가 이루어지는 제2분쇄부(320)에서는 커팅날 간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시켜 순차적으로 미세분쇄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분쇄부를 추가로 더 구비시킬 경우 갈수록 커팅날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수용본체(200)와 분쇄부(300)가 설치된 설치본체(100)에는 이송부(400)가 구비되는데,
이송부(400)는 분쇄과정을 거쳐 수용본체(200)로부터 배출된 소금을 후술하는 선별부(5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이송컨베이어(410)와 연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컨베이어(410)는 수용본체(200)로부터 배출된 소금이 최초 안착되는 부분으로 수용본체(200) 하부에 위치되어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후술하는 선별부를 향해 회전된다.
그리고 연결부(420)는 이송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된 소금이 후술하는 선별부(500)로 원활히 넘어가 수 있도록 연결 다리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이송컨베이어(410) 끝부분에 위치되어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이동된 소금이 곧바로 연결부(420) 안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420)의 타단에는 선별부(500)가 설치된다.
선별부(500)는 분쇄된 소금 중 적정크기로 분쇄된 소금만을 선별하는 것으로, 다시 선별케이스(510)와 선별망(530) 및 회전구동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선별케이스(510)는 선별부(500)의 전체외곽 케이스 기능 및 분류된 정상크기 소금 또는 비정상크기 소금의 수용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치본체(100) 일측에 위치되고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별도 거치대(520)에 설치된다.
이때 선별케이스(510)는 연결부(420)를 향하는 쪽 입구가 들어올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소금의 원활한 유입 및 선별된 소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반대쪽 단부에는 선별과정에서 선별케이스(510) 바닥에 쌓인 소금의 외부 배출을 위한 제1배출로(512)가 형성된다.
선별망(530)은 선별부(500) 중 실질적인 선별기능을 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망체 형태, 즉 사방이 망체로 둘러싸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별케이스(510)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선별망(530)도 선별케이스(510)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일측 입구에 연결부(420) 한쪽 끝이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420)를 지난 소금이 곧바로 선별망(530)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별망(530) 타측 단부에는 선별후 선별망(530) 내부에 남은 소금을 외부에서 수거하기 위한 제2배출로(532)가 연결된다.
이때 선별망(530)외부 둘레면과 선별케이스(510) 내부면 사이에는 충분한 간극(B)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별망(530)이 선별케이스(510) 안에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별망(530)으로부터 빠져나와 선별된 소금이 간극(B)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선별망(530)은 회전구동부(540)를 통해 회전되는데, 회전구동부(540)는 거치대(520)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542)와 그리고 선별망(530)에 설치되어 모터(542)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체(5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구동체(544)는 벨트풀리나 스프로킷 형태로 제작되어 한쪽 면이 선별망(530) 입구에 일체로 연결되고 벨트나 체인을 이용해 모터(542)와 연결됨에 따라 선별망(530)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체(544)의 중앙에는 선별망(530) 입구와 연통되는 통공(542a)이 형성되어 연결부(420)로부터 이동된 소금이 통공(542a)을 통해 선별망(53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한다.
참고로 구동체(544)는 별도 구비되지 않고 선별망(530) 입구 테두리를 따라 기어치를 형성시켜 모터(542)와 선별망(530)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도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선별부(500) 까지 구비된 본 발명은 건조부(600)를 더 포함하는데,
건조부(600)는 분쇄 및 선별가공 과정에서 소금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분쇄건조부(610)와 선별건조부(620)로 나뉘어 구성된다.
먼저 분쇄건조부(610)는 분쇄과정에서 소금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기(612)에 송풍덕트(614)가 연결되어 수용본체(200)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외에도 전기히터 형태로 제작되어 수용본체(200) 내부에 직접 설치되어 소금과 직접 또는 간접 접촉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선별건조부(620)는 선별부(500)에 수용된 소금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역시 송풍기(622)에 송풍덕트(624)가 연결되어 선별망(530)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전기를 이용해 선별망(530) 자체를 가열시키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작용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모터(330)가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제1회전축(312)이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분쇄날개(314)를 비롯한 제1분쇄부(310) 전체가 회전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1분쇄부(310)와 벨트 등으로 연결된 제2분쇄부(320)도 함께 연동되어 고속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투입호퍼(210)을 통해 수용본체(200)내부로 공급된 소금(S)은 아래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제1분쇄부(310)의 제1분쇄날개(314)에 부딪혀 1차적으로 분쇄된 뒤 제2분쇄부(320)의 제2분쇄날개(324)에 의해 2차 분쇄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 2회전축(312)(322)이 소금투입방향과 수직, 즉 횡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 커팅날이 각 회전축(312)(322)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그만큼 소금과의 접촉면적도 넓어지게 되므로 기존에 비해 분쇄효율이 향상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분쇄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각 분쇄부마다 분쇄가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분쇄효율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분쇄과정에서 분쇄건조부(610)에 의해 소금이 가열되어 함유수분이 제거되는데, 이렇게 분쇄과정에서 소금의 수분을 제거함에 따라 수분에 의해 소금이 회전축(312)(322)이나 설치본체(200) 내벽에 들러붙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므로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회전축(312)(322)과 분쇄날개(314)(324)들을 고가의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부식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렇게 분쇄된 소금은 수용본체(200)의 배출구(230)를 통해 이송컨베이어(410) 상으로 배출된 뒤 이송컨베이어(410)를 타고 연결부(420)로 이송됨과 동시에 연결부(420)를 따라 내려가 선별망(530) 내부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542)에 의해 구동체(544)가 회전되면 이와 일체로 연결된 선별망(530)이 자체 회전된다.
따라서 내부의 소금은 선별망(530) 회전에 의해 골고루 섞이게 되고 이과 정에서 선별건조부(620)에 의해 소금 내 수분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선별망(530)의 회전에 의해 내부 소금이 골고루 섞이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수분제거가 이루어짐에 따라 소금의 건조도 골고루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분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이렇게 분쇄건조부(610)와 선별건조부(620)에 의해 소금의 건조가 두번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전체적인 수분제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렇게 선별망(5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 2]와 같이 선별망(530)의 각 선별구멍(534) 직경보다 작은 소금(S1)은 선별구멍(534)을 통해 배출되어 선별케이스(510) 내부에 쌓이고 선별구멍(534) 직경보다 큰 소금(S2)은 선별망(530) 내부에 남게 되어, 결국 선별구멍(534)직경을 기준으로 굵은 입자소금과 미세입자 소금이 선별된다.
이렇게 선별망(530)을 원통형태, 즉 사방이 막힌 형태로 제작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선별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별망(530) 내부의 소금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며, 선별구멍(534)으로 원할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선별시간 및 선별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선별망(530)으로부터 배출되어 선별케이스(510) 바닥에 쌓인 소금은 제1배출로(5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선별망(530)에 내부에 남아있는 소금들은 제2배출로(5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선별부 전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선별부 내 소금들은 선별됨과 동시에 각 배출로(512)(53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완전 건조상태로 배출된 소금은 별도 코팅장치(미도시)로 전달되어 표면에 고결방지제가 코팅될 수 있다.
이렇게 표면에 고결방지제가 코팅됨에 따라 소금이 대기중의 수분을 재 흡수하여 고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고결방지제로는 트리칼슘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덱스트린(dextrin),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변형 및 조합도 포함된다.
100 : 설치본체 110 : 제1단차프레임
120 : 제2단차프레임 130 : 보조프레임
200 : 수용본체 210 : 투입호퍼
220 : 수용공간 230 : 배출구
232 : 가이드편 300 : 분쇄부
310 : 제1분쇄부 312 : 제1회전축
312a : 제1동력전달부재 314 : 제1분쇄날개
314a : 커팅날 316 : 제1베어링
320 : 제2분쇄부 322 : 제2회전축
322a :제2동력전달부재 324 : 제2분쇄날개
326 : 제2베어링 400 : 이송부
410 : 이송컨베이어 420 : 연결부
500 : 선별부 510 : 선별케이스
512 : 제1배출로
520 : 거치대 530 : 선별망
532 : 제2배출로 540 : 회전구동부
542 : 모터 544 : 구동체
544a : 통공 600 : 건조부
610 : 분쇄건조부 620 : 선별건조부

Claims (10)

  1. 내부에 소금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소금 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소금투입방향과 수직상태로 배치되어 전후단부가 상기 수용본체 전후벽면에 연결된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1분쇄날개를 포함하는 제1분쇄부,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와 연결되어 분쇄된 소금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는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는
    상기 수용본체 일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선별케이스,
    상기 선별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수용본체와 연결되어 분쇄된 소금이 내부에 수용되며 일정크기의 선별구멍이 형성된 망이 외부를 감싼 형태로 이루어지는 선별망,
    상기 선별망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별망 내부에 수용된 소금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로, 그리고
    상기 선별케이스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선별구멍을 통해 배출된 소금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로
    를 포함하는 소금가공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회전축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2분쇄날개를 가지는 제2분쇄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분쇄부와 제2분쇄부는 상하 높이차를 두고 배치되는
    소금가공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분쇄날개는 커팅날이 제1회전축 둘레를 따라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커팅날이 제1회전축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되며,
    상기 전후로 위치되는 커팅날들은 위치가 상호 어긋나도록 배치된
    소금가공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분쇄부의 분쇄날개 간 전후 간격은 0.5 내지 10mm인 소금가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수용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 소금을 건조시키는 분쇄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소금가공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선별부에 연결되어 선별부 내부의 소금을 건조시키는 선별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소금가공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분쇄건조부와 선별건조부는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 또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소금가공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수용본체의 소금배출구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된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선별망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소금가공장치.
KR1020100053012A 2010-06-04 2010-06-04 소금 가공장치 KR10109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12A KR101099125B1 (ko) 2010-06-04 2010-06-04 소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12A KR101099125B1 (ko) 2010-06-04 2010-06-04 소금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40A KR20110133340A (ko) 2011-12-12
KR101099125B1 true KR101099125B1 (ko) 2011-12-26

Family

ID=4550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12A KR101099125B1 (ko) 2010-06-04 2010-06-04 소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04B1 (ko) * 2012-11-06 2014-11-1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40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9843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flour milling
CN211510455U (zh) 一种新型茶叶加工用粉碎装置
JP4762163B2 (ja) 粒状瓦材の製造装置
CN211099466U (zh) 一种旧砂干法再生的多级破碎装置
CN111001470B (zh) 一种土壤修复用筛分装置
JP2014012259A (ja) 横型ミル
KR101099125B1 (ko) 소금 가공장치
KR100783133B1 (ko) 고추씨 분리 겸용 고추 분쇄기
JP4061330B2 (ja) 粒状瓦材の製造方法
CN207563024U (zh) 一种肥料粉碎装置
JP5000785B1 (ja) 粉粒状食品製造用乾燥粉砕装置
KR10245411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CN109482267A (zh) 一种固废杂质电磁式高效筛分装置
JP2006326416A (ja) 土粉砕装置
CN108970741A (zh) 一种用于有机肥料加工的粉碎装置
CN205462486U (zh) 一种全自动辊切磨碎机
KR200189272Y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CN113000176A (zh) 一种离心式煤炭处理装置
KR100343253B1 (ko) 자동 고추 분쇄기
CN207713689U (zh) 一种煤泥干燥设备
KR101042330B1 (ko) 고춧가루용 이물질제거장치
CN210474093U (zh) 用于黄原酸盐生产的固体原料处理设备
CN112076834A (zh) 一种秸秆回收处理用一体式无尘粉碎设备
CN208628102U (zh) 一种污染土壤处理装置
KR101557475B1 (ko)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