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475B1 -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475B1
KR101557475B1 KR1020150015160A KR20150015160A KR101557475B1 KR 101557475 B1 KR101557475 B1 KR 101557475B1 KR 1020150015160 A KR1020150015160 A KR 1020150015160A KR 20150015160 A KR20150015160 A KR 20150015160A KR 101557475 B1 KR101557475 B1 KR 10155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crushing
crushing drum
uni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국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피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피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피팜
Priority to KR102015001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4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파쇄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파쇄부; 목재를 상기 파쇄부 측으로 공급하는 인입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톱밥 중에 설정크기 이하의 톱밥은 통과시키고 설정크기를 초과하는 톱밥을 거르는 선별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선별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톱밥을 상기 선별부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통로부; 상기 선별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에 수분을 공급하여 배출시키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선별부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재차 파쇄하여 상기 선별부 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MANUFACTURING DEVICE FOR FERMENTATION SAWDUST FOR MUSHROOM CULTIVATION}
본 발명은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분쇄하고 설정크기 이하의 입도로 걸러서 설정범위의 수분을 제공하여 버섯재배를 위한 배지로 가공될 수 있는 톱밥을 연속작업에 의해 대량생산할 수 있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톱밥제조장치는 원목을 얇은 입자로 만드는 단순기능만이 가능한 것이었고 톱밥형태로의 가공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톱밥제조장치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의 모든 경우 그 형태가 체인톱날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팁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칼날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었고 약간의 단순변형만을 취하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톱밥제조장치는 단시간 내에 생산하는 톱밥의 양은 비교적 많지만 지속적인 생산에 있어서는 톱밥과 팁 그리고 칼날의 조기마모에 따라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커터에 의해 1차 가공된 얇은 입자의 원목을 보조커터가 회전하며 2차 파쇄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톱밥 제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제조장치는, 하부가 개방되고 원형상부의 일측에 호퍼가 형성되며 프레임 상부에 장착되는 몸체와, 몸체를 관통하여 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형성되어 원목을 톱밥형태로 분쇄하는 분쇄수단과, 몸체의 호퍼 하부에 간극조절 가능케 형성되는 받침커터와, 몸체 상부 내벽과 하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파쇄대와,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가공된 톱밥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88003호(2001년 04월 1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톱밥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제조장치는, 목재의 파쇄공정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톱밥 중에 파쇄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 설정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톱밥을 거르는 별도의 거름부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버섯 재배를 위한 배지로 가공할 때에 톱밥의 크기가 설정크기 이상이어서 배지 제조를 위한 발효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톱밥 제조장치는, 별도의 수분 공급부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배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톱밥에 열풍을 공급하여 이루어지는 발효공정이 진행될 때에 수분이 부족하여 발효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목재를 분쇄하고 설정크기 이하의 입도로 걸러서 설정범위의 수분을 제공하여 버섯재배를 위한 배지로 가공될 수 있는 톱밥을 연속작업에 의해 대량생산할 수 있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목재를 파쇄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파쇄부; 목재를 상기 파쇄부 측으로 공급하는 인입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톱밥 중에 설정크기 이하의 톱밥은 통과시키고 설정크기를 초과하는 톱밥을 거르는 선별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선별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톱밥을 상기 선별부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통로부; 상기 선별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에 수분을 공급하여 배출시키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선별부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재차 파쇄하여 상기 선별부 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쇄부는,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목재를 파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파쇄날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제1파쇄드럼; 상기 제1파쇄드럼과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파쇄드럼에 대향되며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제2파쇄드럼;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의 회전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는 제3파쇄드럼; 상기 제3파쇄드럼과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파쇄드럼에 대향되며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제4파쇄드럼;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목재를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 사이의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파쇄체인; 및 상기 제1파쇄드럼, 상기 제2파쇄드럼, 상기 제3파쇄드럼 및 상기 제4파쇄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목재 또는 톱밥이 통과되는 통로를 이루는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파쇄드럼, 상기 제2파쇄드럼, 상기 제3파쇄드럼, 상기 제4파쇄드럼 또는 상기 파쇄체인에 동력을 제공하는 파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입부는, 상기 파쇄부 측으로 목재를 이동시키는 인입벨트컨베이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인입벨트컨베이어 측으로 목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체인; 상기 인입벨트컨베이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목재의 진행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인입벨트컨베이어 또는 상기 이송체인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별부는, 중앙에 현수공간을 가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현수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경사진 바닥에 선별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개방형 선별체; 및 상기 선별체의 선별망을 통과하는 톱밥을 상기 수분공급부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순환부는, 상기 선별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의 진행방향과 이격되도록 상기 선별부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이동시키는 순환벨트컨베이어;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고 톱밥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거르는 제거부; 톱밥을 설정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파쇄기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제2이송통로부; 및 상기 파쇄기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이송장치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제3이송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거부는,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톱밥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접착시켜 거르는 복수 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톱밥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기둥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수분이송통로부; 상기 수분이송통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스크루; 상기 교반스크루에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 및 상기 수분이송통로부의 입구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톱밥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는, 파쇄공정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톱밥 중에 설정크기 이상의 크기를 이루는 톱밥을 걸러 순환시키면서 재차 파쇄하는 순환부가 구비되므로 톱밥의 크기를 설정크기 이하로 제조할 수 있어 배지의 제조를 위한 발표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톱밥 제조장치는, 파쇄공정이 완료된 톱밥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가 구비되므로 버섯 재배를 위한 배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발효공정을 진행할 때에 적당한 수분이 포함된 톱밥이 제공되므로 발효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발효공정에 소요되는 열풍의 공급량을 줄일 수 있어 발효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의 파쇄부 및 분진배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의 선별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의 수분공급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톱밥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의 파쇄부 및 분진배출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의 선별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의 수분공급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는, 목재를 파쇄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파쇄부(210)와, 목재를 파쇄부(210) 측으로 공급하는 인입부(200)와, 파쇄부(210)로부터 배출되는 톱밥 중에 설정크기 이하의 톱밥은 통과시키고 설정크기를 초과하는 톱밥을 거르는 선별부(110)와, 파쇄부(210)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선별부(1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톱밥을 선별부(110)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통로부(220)와, 선별부(11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에 수분을 공급하여 배출시키는 수분공급부(250)와, 선별부(110)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재차 파쇄하여 선별부(110) 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톱밥이 바람에 날리거나 우수에 의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장 내부에 설치되고, 인입부(200)는 공장 외부로부터 공장 내부에 설치되는 파쇄부(210) 측으로 연장되므로 공장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다수 개의 목재가 순차적으로 파쇄부(210) 측으로 공급되면서 톱밥 제조공정이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공장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인입부(200)를 통해 목재가 유입되어 파쇄부(210) 측으로 공급되고, 파쇄부(210)에 의해 톱밥으로 파쇄된 후에 선별부(110)를 통과하면서 설정크기 이하의 톱밥만이 수분공급부(250)로 공급되어 약50~55%의 수분을 함유하는 톱밥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수분이 50~55% 정도 함유되는 톱밥은 발효창고 내부에 수납되어 열풍이 공급되면서 발효되어 버섯재배에 사용되는 배지로 가공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톱밥은, 수분 함유량이 약50~55%를 유지하므로 발효공정이 원활히 진행되어 발효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인입부(200)는, 파쇄부(210) 측으로 목재를 이동시키는 인입벨트컨베이어(204)와, 지면으로부터 인입벨트컨베이어(204) 측으로 목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체인(202)과, 인입벨트컨베이어(204)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목재의 진행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208)와, 플레이트(208)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인입벨트컨베이어(204) 또는 이송체인(202)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조작부(206)를 포함한다.
이송체인(202)은 다수 개의 체인이 간격을 유지하며 공장의 외부로부터 공장의 내부로 연장되므로 다수 개의 체인이 구동되면 공장 외부에 배치되는 목재가 이송체인(202)을 따라 공장 내부로 유입된다.
이송체인(202)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208)에는 작업자가 위치하면서 목재의 투입상황을 관찰할 수 있게 되며, 플레이트(208)에는 작업자가 발 또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06)가 설치되므로 목재의 공급 또는 차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208)와 이송체인(202) 사이에는 인입벨트컨베이어(204)가 설치되어 이송체인(202)을 따라 공장 내부로 유입되는 목재는 인입벨트컨베이어(204)를 따라 파쇄부(210) 측으로 공급된다.
파쇄부(210)는, 인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를 파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파쇄날(210a)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제1파쇄드럼(212)과, 제1파쇄드럼(212)과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파쇄드럼(212)에 대향되며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제2파쇄드럼(214)과, 제1파쇄드럼(212) 및 제2파쇄드럼(214)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1파쇄드럼(212) 및 제2파쇄드럼(214)의 회전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는 제3파쇄드럼(216)과, 제3파쇄드럼(216)과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3파쇄드럼(216)에 대향되며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제4파쇄드럼(218)과, 제1파쇄드럼(212) 및 제2파쇄드럼(214) 하측에 설치되고 인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목재를 제1파쇄드럼(212) 및 제2파쇄드럼(214) 사이의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파쇄체인과, 제1파쇄드럼(212), 제2파쇄드럼(214), 제3파쇄드럼(216) 및 제4파쇄드럼(2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목재 또는 톱밥이 통과되는 통로를 이루는 케이스에 설치되고 제1파쇄드럼(212), 제2파쇄드럼(214), 제3파쇄드럼(216), 제4파쇄드럼(218) 또는 파쇄체인에 동력을 제공하는 파쇄모터(219)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입벨트컨베이어(204)를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목재는 제1파쇄드럼(212)과 제2파쇄드럼(214)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1차 파쇄되고, 제3파쇄드럼(216)과 제4파쇄드럼(218)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2차 파쇄되어 설정크기 이하의 톱밥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제1파쇄드럼(212)과 제2파쇄드럼(214)의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3파쇄드럼(216)과 제4파쇄드럼(218)의 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므로 파쇄부(210)를 통과하는 목재는 2차에 걸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파쇄공정이 이루어지므로 목재가 설정크기 이하로 충분히 파쇄되지 않고 통과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선별부(110)는, 중앙에 현수공간을 가진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현수공간(11)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경사진 바닥에 선별망(2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개방형 선별체(20)와, 선별체(20)의 선별망(22)을 통과하는 톱밥을 수분공급부(250)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의 순환부(230)는, 선별부(11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의 진행방향과 이격되도록 선별부(110)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이동시키는 순환벨트컨베이어(232)와, 순환벨트컨베이어(232)에 구비되고 톱밥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거르는 제거부(234)와, 톱밥을 설정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237)와, 순환벨트컨베이어(232)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파쇄기(237)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제2이송통로부(236)와, 파쇄기(237)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이송장치(80)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제3이송통로부(238)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별부(110)로부터 걸러지는 설정크기 이상의 톱밥은 순환벨트컨베이어(232)를 따라 다시 선별부(110)로 순환되고 순환되는 과정 중에 파쇄기(237)를 통과하면서 재차 파쇄되어 선별부(110)의 이송장치(80)로 공급되어 수분공급부(250)로 이동하게 된다.
제거부(234)는, 순환벨트컨베이어(232)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34a)와, 지지대(234a)에 설치되고 순환벨트컨베이어(232)를 따라 이동되는 톱밥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접착시켜 거르는 복수 개의 전자석(234b)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대(234a)의 하부를 통과하는 톱밥 중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은 전자석(234b)에 부착되면서 톱밥과 분리되므로 톱밥 중에 포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수분공급부(250)는, 선별부(110)로부터 배출되고 제4이송통로부(24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톱밥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기둥부(252a)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수분이송통로부(252)와, 수분이송통로부(2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스크루(254)와, 교반스크루(254)에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256)와, 상기 수분이송통로부(252)의 입구홀부(252b)에 설치되고 제4이송통로부(240)로부터 낙하되는 톱밥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258)를 포함한다.
수분이송통로부(252)에 공급되는 톱밥은 입구홀부(252b)를 통과하면서 분사부(258)에 의해 형성되는 수막을 지나게 되므로 톱밥에 수분이 공급되고, 수분이송통로부(252) 내부를 통과하면서 교반스크루(254)에 의해 톱밥과 물이 교반되면서 톱밥의 수분 함유량을 약50~55%까지 상승시키게 되며, 출구홀부에 도달한 톱밥은 지면으로 떨어지면서 누적되어 작업자 또는 중장비에 의해 발효창고로 이송된다.
분사부(258)는, 입구홀부(252b)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분사파이프(258b)와, 분사파이프(258b)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토출노즐(258c)과, 분사파이프(258b)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58a)을 포함한다.
분사파이프(258b)는 입구홀부(252b)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는 입구홀부(252b)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므로 분사파이프(258b)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입구홀부(252b)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되는 분사파이프(258b)에 각각 입구홀부(252b) 중앙부 측으로 다수 개의 토출노즐(258c)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관(258a)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분사파이프(258b)를 따라 공급되는 물이 토출노즐(258c)을 따라 분사되면서 입구홀부(252b)에 수막을 형성하게 되고, 입구홀부(252b)를 통해 수분이송통로부(252)로 공급되는 톱밥에 수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파쇄부(210)에서 목재가 파쇄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공장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부(270)가 구비되고, 분진배출부(270)는, 파쇄부(210) 상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관(272)과, 공장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276)과, 유입관(272)과 배출관(276) 사이에 설치되고 유입관(27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장 외부로 압송시키는 송풍팬(274)을 포함한다.
송풍팬(274)이 설치되는 하우징 내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분진을 거르는 필터가 설치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써, 목재를 분쇄하고 설정크기 이하의 입도로 걸러서 설정범위의 수분을 제공하여 버섯재배를 위한 배지로 가공될 수 있는 톱밥을 연속작업에 의해 대량생산할 수 있는 톱밥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톱밥 제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톱밥 제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현수공간
12, 12' : 현수지지축 13 : 투입구
20 : 선별체 21 : 낙하구멍
22 : 선별망 23 : 출구
30a, 30b, 30c, 30d : 현수지지대 31 : 현수연결부
32 : 구동연결부 40, 41, 42, 43 : 현수대
50 : 구동축 51, 51' : 크랭크판
60, 60' : 크랭크로드 70, 70 ' : 교반기
71 : 회전교반대 80, 90 : 이송장치
100 : 베어링메탈 110 : 선별부
200 : 인입부 202 : 이송체인
204 : 인입벨트컨베이어 206 : 조작부
208 : 플레이트 210 : 파쇄부
212 : 제1파쇄드럼 214 : 제2파쇄드럼
216 : 제3파쇄드럼 218 : 제4파쇄드럼
219 : 파쇄모터 219a : 구동벨트
220 : 제1이송통로부 222 : 제1이송관
224 : 제1이송모터 230 : 순환부
232 : 순환벨트컨베이어 234 : 제거부
234a : 지지대 234b : 전자석
236 : 제2이송통로부 236a : 제2이송관
236b : 제2이송모터 237 : 파쇄기
238 : 제3이송통로부 238a : 제3이송관
238b : 제3이송모터 240 : 제4이송통로부
242 : 제4이송관 244 : 제4이송모터
250 : 수분공급부

Claims (7)

  1. 목재를 파쇄하여 톱밥을 제조하는 파쇄부;
    목재를 상기 파쇄부 측으로 공급하는 인입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톱밥 중에 설정크기 이하의 톱밥은 통과시키고 설정크기를 초과하는 톱밥을 거르는 선별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선별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톱밥을 상기 선별부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통로부;
    상기 선별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에 수분을 공급하여 배출시키는 수분공급부; 및
    상기 선별부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재차 파쇄하여 상기 선별부 측으로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목재를 파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파쇄날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제1파쇄드럼;
    상기 제1파쇄드럼과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파쇄드럼에 대향되며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제2파쇄드럼;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의 회전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치되는 제3파쇄드럼;
    상기 제3파쇄드럼과 회전축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파쇄드럼에 대향되며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제4파쇄드럼;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부로부터 공급되는 목재를 상기 제1파쇄드럼 및 상기 제2파쇄드럼 사이의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파쇄체인; 및
    상기 제1파쇄드럼, 상기 제2파쇄드럼, 상기 제3파쇄드럼 및 상기 제4파쇄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목재 또는 톱밥이 통과되는 통로를 이루는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파쇄드럼, 상기 제2파쇄드럼, 상기 제3파쇄드럼, 상기 제4파쇄드럼 또는 상기 파쇄체인에 동력을 제공하는 파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부에서 목재가 파쇄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공장 외부로 배출시키는 분진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진배출부는,
    상기 파쇄부 상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관;
    공장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장 외부로 압송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선별부로부터 공급되는 톱밥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기둥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수분이송통로부;
    상기 수분이송통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스크루;
    상기 교반스크루에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 및
    상기 수분이송통로부의 입구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홀부를 통해 유입되는 톱밥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입구홀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분사파이프;
    상기 분사파이프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토출노즐; 및
    상기 분사파이프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는,
    상기 파쇄부 측으로 목재를 이동시키는 인입벨트컨베이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인입벨트컨베이어 측으로 목재를 이동시키는 이송체인;
    상기 인입벨트컨베이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올라서서 목재의 진행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인입벨트컨베이어 또는 상기 이송체인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중앙에 현수공간을 가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현수공간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경사진 바닥에 선별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개방형 선별체; 및
    상기 선별체의 선별망을 통과하는 톱밥을 상기 수분공급부 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선별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톱밥의 진행방향과 이격되도록 상기 선별부로부터 걸러져 배출되는 톱밥을 이동시키는 순환벨트컨베이어;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고 톱밥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거르는 제거부;
    톱밥을 설정크기 이하로 파쇄하는 파쇄기;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파쇄기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제2이송통로부; 및
    상기 파쇄기로부터 배출되는 톱밥을 상기 이송장치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하는 제3이송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톱밥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접착시켜 거르는 복수 개의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7. 삭제
KR1020150015160A 2015-01-30 2015-01-30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KR10155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60A KR101557475B1 (ko) 2015-01-30 2015-01-30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160A KR101557475B1 (ko) 2015-01-30 2015-01-30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475B1 true KR101557475B1 (ko) 2015-10-07

Family

ID=5434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160A KR101557475B1 (ko) 2015-01-30 2015-01-30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32A (ko) * 2018-11-19 2020-05-28 일송지오텍(주) 임목파쇄칩 취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취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19B1 (ko) * 2005-10-18 2006-04-11 (주) 영흥산업환경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1437854B1 (ko) * 2014-03-10 2014-09-04 주식회사 유림기계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319B1 (ko) * 2005-10-18 2006-04-11 (주) 영흥산업환경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1437854B1 (ko) * 2014-03-10 2014-09-04 주식회사 유림기계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32A (ko) * 2018-11-19 2020-05-28 일송지오텍(주) 임목파쇄칩 취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취부방법
KR102233164B1 (ko) 2018-11-19 2021-03-30 일송지오텍(주) 임목파쇄칩 취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취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w ash content refuse fuel, paper and plastic products from municipal solid waste and said products
CN101918152B (zh) 分离器旋转供给器以及使用它的方法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CZ2003645A3 (cs) Zařízení k drcení výrobků a@nebo polotovarů z plastuŹ zejména za účelem jejich recyklace
US4050637A (en) Pulverizing apparatus with a toothed disc
KR101671000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 고속건조장치
CA3001749C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lid waste
KR101557475B1 (ko)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KR101567328B1 (ko)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6217442B1 (en) Grai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1737068B1 (ko)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KR101557474B1 (ko) 선별장치를 구비하는 버섯배지용 발효톱밥 제조장치
JPH09122523A (ja) 茶葉の粉砕加工装置
KR20240024959A (ko) 폐기물 처리 시설에서 발생하는 미세분 스트림 처리 공정
RU239612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и сепарации фуражного зерна
KR200189272Y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100458286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EP1188489B1 (en) Sieving apparatus for biomass
KR102597517B1 (ko)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을 공기순환 방식에 의해 분리하는 미분 분리장치
CN216539556U (zh) 一种废钢破碎废料的高效风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