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107B1 -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107B1
KR101098107B1 KR1020067022020A KR20067022020A KR101098107B1 KR 101098107 B1 KR101098107 B1 KR 101098107B1 KR 1020067022020 A KR1020067022020 A KR 1020067022020A KR 20067022020 A KR20067022020 A KR 20067022020A KR 101098107 B1 KR101098107 B1 KR 10109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plants
germination
family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359A (ko
Inventor
신노스케 미야우치
쿠니미츠 와카마츠
카츠야 무카에
마사오 시바타
츠요시 사카키
Original Assignee
신노스케 미야우치
가코호우진 나카무라 산교 가쿠엔
고우리츠 다이가쿠 호우진 후쿠오카 죠시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노스케 미야우치, 가코호우진 나카무라 산교 가쿠엔, 고우리츠 다이가쿠 호우진 후쿠오카 죠시 다이가쿠 filed Critical 신노스케 미야우치
Publication of KR2007002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30Apparatus for treating the lawn or gras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Abstract

본 발명은, 재배작물에 대해서 조금도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으며, 또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매우 소량의 사용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는 신규인 식물발아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식물발아억제제는, 녹청부균속의 균에 의해 목질부 속에 생산된 색소 또는 녹청부균속의 균의 균체에 함유되는 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식물의 생육지역에 대하여, 상기 식물의 발아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함으로써, 상기 식물의 발아를 억제하고, 뿌리줄기조직의 형성을 저지함으로써 식물조직형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PLANT GERMINATION INHIBI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인 식물발아억제제, 그것을 이용한 식물의 성장제어방법, 선택적 성장제어방법 및 잔디밭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식물의 구근, 덩이줄기, 모종 등의 발아나 성장을 억제하고, 장기간의 저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방사선조사, 냉각 등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또, 화학물질로 처리해서 발아나 성장을 억제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미다졸리논 농약을 재배작물에 시용해서, 발아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JP6-157210A), 탄소수 12~22의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종자의 발아억제제(JP6-345606A), 중간사슬 또는 긴사슬 알코올, 에테르유와 유채기름 메틸에스테르를 함유한 발아억제제(JP8-500367A), 드레크슬레라(Drechslera)속에 속하는 미생물이 생산되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sinosteroid)로 이루어지는 발아 또는 생육억제제(JP7-69987A), 비투수성이면서 통기성을 지니는 용기주머니 내부에 제올라이트분말과 액체 알코올을 밀봉한 발아억제제(JP8-40806A), 에피가로카테킨가레이드용액 속에 식물종자를 침지함으로써 발아를 억제하는 방법(JP10-178817A), 흡유량 100ml/100g이상의 무기광물에 대해서 잡초의 발아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의 건류액을 첨가한 잡초의 발아억제제(JP2000-86418A), 히바오일(Hiba-oil)에 계면활성을 지니는 식물유를 첨가한 발아억제작용을 가지는 수성 조성물(JP2000-290119A), 식초에 올리고당류 및 식물추출성분을 배합한 발아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활력제(JP2001-64112A), 왕겨 또는 보리류 종자껍질의 추출물로 얻어지는 스티렌유도체 또는 테르펜(terpene)류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작물발아억제제(JP2002-255707A 및 JP2002-255710A) 및 디아세톤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작물발아억제제(JP2002-255708A) 등이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쌀, 보리, 옥수수 및 콩과 같은 곡류, 시금치, 소송채, 무, 순무, 양배추 및 배추와 같은 야채 등 식료품으로서 제공되는 재배작물에 대해서는, 환경오염이나 인체에의 악영향의 불안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재배작물에 대하여, 생물적 장해를 주지 않는 발아억제제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재배작물에 대하여 조금도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으며, 또 환경오염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매우 소량의 사용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는 신규인 발아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선 광엽수의 쓰러진 나무에 발생하여, 이것을 부후(腐朽)시켜서, 청록색으로 착색하는 원인이 되는 녹청부균(綠靑腐菌)속의 균이 생산되는 색소가, 조류(藻類)에 대하여 성장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성장억제제를 제안했는데, 한층 더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것이 다수의 식물에 대해서 우수한 발아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식견에 의거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녹청부균속의 균에 의해 목질부 속에 생산된 색소 또는 녹청부균속의 균의 균체에 함유되는 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발아억제제, 식물의 생육지역에 대해서, 상기 식물의 발아기에 있어서 상기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하여, 상기 식물의 발아를 억제하고, 뿌리줄기조직의 형성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조직형성 제어방법, 및 적어도 2종의 식물의 공생지역에 대해서, 상기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하고, 각 식물의 발아조건의 차이를 이용해서, 소요되는 재배식물 이외의 식물의 뿌리줄기조직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의 유효성분은, 녹청부균속의 균에 의해서 목질부 속에 생산된 색소, 혹은 상기 균체에 함유되는 색소이다. 그 색소는 상기한 목질부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 혹은 물-유기용매혼합용액 등에 의한 추출분리, 바람직하게는 가압 열수 추출분리에 의해 얻어진다.
혹은, 녹청부균속의 균을 종래 공지의 액체배양기에 의한 배양법 혹은 톱밥에 액체배양기를 함침시킨 배양법에 의해서 배양하고, 생산시킨 색소를 배양기 성분으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 혹은 물-유기용매 혼합용액을 이용해서 추출하고, 물 또는 유기용매 혹은 물-유기용매혼합용액 등의 휘발성분을 증발시키거나, 혹은 적당한 분리컬럼을 선택 사용해서 그 분리컬럼에 흡착시킴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이 녹청부균속의 균으로서는, 예를 들면 녹청부균, 변형술잔녹청부균(Chlorociboria aeruginascens), 주발(찻잔)녹청부균(Chlorociboria omniviren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압 열수 추출분리는, 녹청부균속의 균에 의해 생산된 색소를 함유한 목질부, 혹은 녹청부균속의 균을 원료로 하며, 이것을 바람직하게는 분말형태로, 기체 혹은 액체상태의 열수에 의해 추출하고, 부후성분이나 역용성(易溶性)성분을 제거한 후, 가압 열수,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가 첨가된 가압 열수에 의해 색소를 선택적으로 추출 분리함으로써 실시된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의 처리에 의해 얻어진 색소수용액에 산을 첨가해서 색소를 침전 석출 분리처리해서 정제(精製)한다.
이 가압 열수 추출분리를 매우 적합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적당히 분쇄된, 상기 색소를 함유한 목질부 원료 혹은 균체 원료를, 원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메시 등으로 커버한 추출용기 안에 충전하고, 이것에 개방 압력 하 100~140℃, 바람직하게는 120~135℃의 열수를 접촉시켜서 맨 먼저 부후성분 혹은 녹청부균속의 균의 균체 유래의 역용성성분을 추출 제거한다. 이 처리 시에, 온도가 140℃를 초과하는 열수를 이용하면 색소가 분해될 우려가 있으며, 또 10O℃미만의 열수를 이용하면 용해력이 저하되어서 효율적인 추출이 실시되지 않는다. 이 처리는 추출용액의 색이 투명해진 지점에서 종료된다.
다음에, 추출용기 안의 추출잔류물에 대하여, 100℃보다 고온, 바람직하게는 120~135℃의 가압 열수를 첨가해서, 다시 추출을 실시한다. 이때에 인가하는 압력은 열수가 완전한 액체상태로 되도록 증기압 이상, 바람직하게는 0.5~2MPa 정도로 한다. 이 가압 열수에 의해서 난용성(難溶性)의 색소가 추출되지만, 가압 열수에 소량의 알칼리,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수산화물 혹은 수산화마그네슘이나 수산화칼슘과 같은 알칼리토류 금속수산화물 등을 첨가함으로써 추출속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와 같은 알칼리 금속수산화물 혹은 알칼리토류 금속수산화물 등의 첨가량으로서는, 가압 열수의 알칼리농도가 0.001~0.1N(규정도)으로 되는 범위가 선택된다. 이 알칼리농도가 0.1N을 초과하면 헤미셀룰로오스와 같은 잔류분으로서 제거되어야 할 성분까지가 추출되고, 유용한 색소의 순도가 저하되며, 또 0.001N미만에서는 그 첨가효과가 충분하지 않아서, 추출속도의 충분한 향상을 얻을 수 없다.
이 가압 열수 추출처리에 의해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얻을 수 있으므로, 다음에 이것에 산을 첨가해서 수용액의 pH가 3이하로 되도록 조절하여 색소를 침전 석출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석출한 색소를 통상의 여과법이나 원심분리법에 의해 회수하고, 건조시키면, 소망하는 색소가 고체분말로서 얻을 수 있다.
이 색소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해 청색에서 자색으로 색조 변화되고, 그것과 함께 식물발아억제 효과는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의 해당 색소를 함유하고 있으면 되므로, 그것을 사용하는 형태는 녹청부균속의 균의 균체 자체이어도 되고, 녹청부균속의 균을 배양시킨 배양기, 예를 들면 액체 배양기 등이어도 되며, 녹청부균속의 균을 번식시킨 원목재나 그것을 적절한 형상으로 재단, 절단, 분쇄 등으로 가공 처리한 나무질재, 예를 들면 톱밥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상기의 유효성분에 의거하여 0.001~2kg/ha, 바람직하게는 0.005~1.0kg/ha,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5kg/ha의 비율로 시용된다. 이 시용은 물약으로서 혹은 가루약으로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상기 색소를 적당한 담체에 담지하고,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며, 통상 상기 색소를 0.01~99질량%, 바람직하게는 0.5~85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를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조제된다. 그리고 시용 시에, 시용 장소에 따라서, 유효성분 함유량이 0.001~5질량%로 될 때까지 희석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액체 담체 또는 고체 담체의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액체 담체의 예로서는, 물, 알코올류(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2-메톡시에탄올, 이소프로파놀,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 케톤류(예를 들면,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및 메틸나프탈렌),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옥산,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산아미드류(예를 들면, 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예로서는, 점토류(예를 들면, 카오리나이트(kaolinite), 산성 백토, 규조토, 합성 수분함유 산화규소 및 벤토나이트(Bentonite)), 탤크류, 그 외의 무기광물(예를 들면, 운모(mica), 초크(chalk), 애타펄자이트, 해포석(海泡石), 펄라이트, 탄산칼슘, 석영분말, 활성탄, 실리카 및 수화실리카), 실리케이트, 리그노술포네이트, 화학비료(예를 들면, 유안, 염안, 인안 및 요소), 유기물(예를 들면, 사탕수수, 수피가루 및 연초줄기가루) 등의 미분말 혹은 입상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담체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어느 것이어도 되며, 또 개질된 천연재료이어도 된다.
수중에 살포 또는 분산시켜서 이용하는 습윤성 분말은 입상형체의 상기 색소를 입상 담체와 혼합함으로써, 또는 액체에 용해 또는 분산한 상기 색소를 입상 담체에 분무하여, 습윤제 및 분산제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미분쇄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에어졸용의 조성물은 상기 색소를 분사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르메탄과 같은 폴리할로겐화 알칸, 경우에 따라서 용매와 혼합해서 조제할 수 있다.
소망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의 지방족알코올에톡시레이트와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또는 그와 같은 에스테르의 염, 지방족알코올술페이트 예를 들면 도데실황산나트륨, 에톡실화지방족알코올술페이트, 에톡실화알킬페놀술페이트, 리그닌술페이트, 페트로륨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예를 들면 알킬벤젠술포네이트 또는 저급 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술폰산화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축합물의 염, 술폰산화페놀포름알데히드축합물의 염, 또는 보다 복잡한 술포네이트, 예를 들면 아미드술포네이트 예를 들면 올레인산과 N-메틸타우린과의 술폰산화축합생성물, 디알킬술포석시네이트 예를 들면 디옥틸석시네이트의 나트륨술포네이트 등이 이용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에스테르, 지방족알코올, 지방족아미드 또는 알킬 치환 페놀의 에틸렌옥시드와의 축합생성물, 다가 알코올에테르의 지방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그와 같은 에스테르의 에틸렌옥시드와의 축합생성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와의 블록코폴리머, 아세틸렌성 글리콜 예를 들면 2,4,7,9-테트라메틸-5-데신-4,7-디올, 에톡실화아세틸렌성 글리콜 등이 이용된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 및/또는 아릴치환 제4급 암모늄화합물 예를 들면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 에톡실화 제3급 지방족아민 등이 이용된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 지방족알코올술페이트, 리그닌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술폰산화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축합물의 염, 술폰산화페놀포름알데히드축합물의 염, 나트륨ㆍ올레오일 N-메틸타우리드, 디알킬술포석시네이트,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지방족알킬에톡실레이트 등이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통상의 농약과 마찬가지로 유제, 수화제, 현탁제, 드라이플로아블, 플로아블, 훈연제, 에어졸제, 마이크로캡슐제 등의 형상으로 조제할 수 있다.
이때, 고착제, 분산제, 안정제 등의 보조제를 배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제인, 젤라틴, 다당류(예를 들면, 전분, 아라비아고무 및 셀룰로오스유도체), 리그닌유도체, 벤토나이트, 당류, 합성수용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폴리아크릴산류), PAP(산성 인산이소프로필), BHT(2,6-디-t-부틸-4-메틸페놀), 식물유, 광물유,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외떡잎식물, 쌍떡잎식물, 겉씨식물 등 식물의 어느 것에나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그 사용형태로서는, 식물종자나 땅속줄기(地下莖)식물의 보존, 특히 재배식물의 종자, 점포 앞 진열장에서 판매되는 야채, 과일의 종자나 땅속줄기가, 보존 또는 수송 중에 발아해서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적용할 수 있는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 순무, 당근, 양파, 우엉, 참마, 파, 부추, 시금치, 쑥갓, 소송채(komatsu), 브로커리(broccoli), 양배추, 배추, 미나리, 파드득나물(Japanese honewort, 삼엽채), 파슬리(parsley), 차조기(shiso, 일본깻잎(perilla)), 셀러리, 청경채(靑梗菜, qing geng cai), 파오신(bao xin jie, Chinese vegetable), 소백채(小白菜, chinese flat cabbage, Brassica chinensis var. rosularis), 갓(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홍채화(Brassica rapa var. purpuraria), 유채심(Brassica chinensis var. oleifera), 토마토, 피망, 가지, 꽈리고추, 고추, 호박, 오이, 동과(冬瓜, wax gourd), 잠두(broad bean), 숙주, 완두(field pea), 강낭콩(kidney bean), 풋콩(green soybean), 콩(Soybean), 팥(adzuki bean), 땅콩, 참깨, 메밀, 쌀, 밀, 보리, 옥수수, 사탕수수, 호두, 밤, 은행, 감, 비파, 배, 포도, 감귤(mandarin orange), 수박, 레몬, 하귤(Citrus natsudaidai ), 살구, 파파야, 대추, 블루베리, 올리브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그들 종자의 유통 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연근, 고구마, 감자, 토란, 마늘, 생강, 염교, 양하, 죽순, 구약나물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함유한 물 또는 유기용매 혹은 물-유기용매용액에, 상기한 식물의 종자 또는 땅속줄기를 침지하거나, 혹은 그들의 수용액을 식물의 종자 또는 땅속줄기에 도포 혹은 분무한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또 식물의 생육지역에 살포해서, 그곳에 발생하는 각종 식물의 발아를 억제하고, 그 식물이 생육되어서,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도로의 타일의 이음매, 콘크리트 벽면 등에 금방동사니나 대나무 등의 잡초가 발생되어서, 강도저하를 가져오거나, 외관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이것을 적어도 2종의 식물의 공생지역에 대하여 살포하고, 각 식물의 발아 조건의 차이를 이용해서 소요되는 재배식물 이외의 식물의 뿌리줄기조직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의 식물로서는, 외떡잎식물, 쌍떡잎식물 및 겉씨식물이 있는데, 이 외떡잎식물의 예로서는,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Anderss), 기장대풀(Isachne globosa (Thunb.) O. Kuntze), 참새그령(Eragrostis cilianensis Link ex Vignolo Lutati), 갈풀(Phalaris arundinacea), 포아풀(Poa sphondylodes), 흰겨이삭(Agrostis alba L.), 좀새풀(Deschampsia flexuosa (L.) Trin.), 총전광이(Glyceria lithuanica), 쥐꼬리새풀(Muhlenbergia japonica Steud.), 하코네클로아(Hakonechloa macro (Munro) Makino.), 바랭이(Digitaria ciliaris (Retz.) Koeler), 쇠치기풀(Hemarthria sibirica (Gandog.) Ohwi), 조개풀(Arthraxon hispidus (Thunb.) Makino), 조릿대풀(Lophatherum gracile Brongn.), 실새풀(Calamagrostis arundinacea (L.) Roth. var. brachytricha (Steud.) Hack.), 참새피(Paspalum thunbergii Kunth), 개기장(Panicum bisulcatum Thunb.), 잔디(Zoysia japonica Steud.), 민바랭이새(Microstegium japonicum (Miq.) Koidz.), 왕쌀새(Melica nutans L.), 향기풀(Anthoxanthum odoratum L.), 물뚝새 이삭피(Sacciolepis indica (L.) Chase var. oryzetorum (Makino) Ohwi), 띠(Imperata cylindrica (L.) Beauv.), 수크령 길갱이(Pennisetum alopeculoides (L.) Spreng.), 뚝새풀(Alopecurus aequalis Sobol. var. amurensis (Komar.) Ohwi), 쇠돌피(Polypogon fugax Steud.), 강아지풀(Setaria virides (L.) Ess. Agrost.), 금강아지풀(Setaria glauca L.),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ROEM. et SCHULT), 새포아풀(Poa annua L.), 개솔새(Cymbopogon tortilis (Presl) Hitchc. var. goeringii (Steud.) Hand.-Mazz.), 개피(Beckmannia syzigachne (Steud.) Fernald) 등의 벼과식물이나 금방동사니(Cyperus microiria), 세대가리(Lipocarpha microcephala (R. Br.) Kunth), 큰매자기(Scirpus yagara Ohwi.), 사초(Carex), 야생초(野草, Schoenus apogpn Rome. et Schult.), 올챙이고랭이(Scirpus hotarui Ohwi), 방울고랭이(Scirpus wichurae Boeck.), 모로우은사초(Carex morrowii Boott.) 등의 금방동사니과 식물을 들 수 있다.
기타, 난초과(Orchidaceae), 골풀과(Juncaceae), 코코야자(coconut palm), 보라수스 플라벨리페르(Borassus flabellifer), 기름야자(oil palm), 왜종려(倭棕櫚, palm(Trachycarpus fortunei)), 망그로브 야자(mangrove palm) 등의 야자과 식물,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죽순은 맹종죽(Phyllostachys heterocycla Mitf.), 왕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금명죽(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f. castiloni Muroi), 솜대(Phyllostachys nigra (Loddiges) Munro var. henonis (Bean) Stapf.), 포대죽(Phyllostachys aurea Carr.), 업평죽(Semiarundinaria fastuosa (Mitford) Makino), 등죽(Sinobambusa tootsik Makino), 사각죽(Tetragonocalamus quadrangularis (Fenzi) Nakai) 등의 대나무아과 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쌍떡잎식물로서는 쌍떡잎식물ㆍ이판화류와 쌍떡잎식물ㆍ합판화류가 있으며, 예를 들면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쐐기풀(Urtica thunbergiana Sieb. et Zucc.), 멍울풀(Elatostema umbellatum Blume var. majus Maxim.), 모시물통이(Pilea mongolica Weddell) 등의 쐐기풀과식물, 수염패랭이꽃(Dianthus barbatus L.), 술패랭이꽃(Dian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im.) Williams)등의 석죽과식물, 털여뀌(Polygonum orientale or Pericardia pilosa), 쪽(Polygonum tinctorium), 꽃여뀌(Polygonum conspicuum or Persicaria conspicua), 개여뀌(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 Hara), 민미꾸리낚시(Persicaria aestiva Ohki), 애기수영(Rumex acetosa L.), 며느리밑씻개(Polygonum senticosum or Persicaria senticosa), 보천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 금문대황(Rheum palmatum L.) 쪽 등의 마디풀과식물, 부자(Aconitum carmichaeli), 하나토리카부토(Hana-torikabuto, Aconitum chinense Sieb. ex Paxt), 호소바 토리카부토(Hosoba-torikabuto, Aconitum senanense Nakai), 산요부시(Aconitum sanyoense Nakai), 석죽과(Aconitum japonicum Thunb. var. montanum Nakai), 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 좀미나리아재비(Ranunculus extorris Hance), 왜젓가락풀(Ranunculus silerifolius Lev.),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 L.) 등의 미나리아재비과식물,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 단풍터리풀(Filipendula multijuga Maxim.), 눈개승마(Aruncus dioicus (Walt.) Fern. var. tenuifolius (Nakai) Hara),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장미, 딸기, 사과, 배 등의 장미과식물, 가는살갈퀴(Vicia angusutifolia), 새완두(Vicia hirsuta (L.) S. F. Gray), 새콩(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매들풀(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등의 콩과식물, 미모사과식물(Mimosaceae), 실거리나무과식물(Caesalpiniaceae), 콩과식물(Fabaceae), 바위취(Saxifraga stolonifera Meerb.), 물매화(Parnassia foliosa Hook. fil. et Thoms. var. nummularia (Maxim.) T. Ito), 범의귀과(Cardiandra alternifolia Sieb. et Zucc.), 헐떡이풀(Tiarella polyphylla D.Don), 바위떡풀(Saxifraga fortunei Hook. fil. var. incisolobata (Engl. et Irmsch.) Nakai) 등의 바위취과식물, 현호색과(Pteridophyllum racemosum Sieb. et Zucc.), 좀현호색(Corydalis decumbens), 죽자초(Macleaya cordata (Willd.) R. Br.),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L. var. asiaticum (Hara) Ohwi), 양귀비(Hylomecon japonica (Thunb.)), 라복초(蘿蔔草, Arabis flagellosa Miq.), 갯무(Raphanus sativus L. var. raphanistroides Makino) 등의 양귀비과식물, 유채, 냉이, 섬갯장대, 갯무 등의 십자화과식물, 제비꽃과(plants of the family Violaceae), 바늘꽃(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 et Savat.), 월견초(月見草, Oenothera tetraptera Cav.), 털이슬(Circaea mollis Sieb. et Zucc.), 분홍바늘꽃(Chamaenerion angustifolium (L.) Scop.), 여뀌바늘꽃(Ludwigia epilobioides Maxim.) 등의 바늘꽃과식물, 대극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Euphorbiaceae), 원지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olygalaceae), 쥐방울덩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ristolochiaceae), 산형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Umbelliferae), 봉선화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Balsaminaceae), 박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ucurbitaceae), 돌나물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rassulaceae), 물레나물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Guttiferae), 자리공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hytolaccaceae), 매자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Berberidaceae), 아욱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Malvaceae), 두릅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raliaceae), 앵초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rimulaceae), 용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Gentianaceae), 제주딸기(Rubia argyi (Lev.) Hara), 분꽃아재비(Pseudopyxis depressa Miq.), 갈키덩굴(Galium spurium L.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및 백운풀(Hedyotis diffusa Willd.)과 같은 꼭두서니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Rubiaceae), 꿀풀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Lamiaceae), 쥐꼬리망초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canthaceae), 지치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Boraginaceae), 현삼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crophulariaceae), 초롱꽃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ampanulaceae), 엉겅퀴(Cirsium spp.), 씀바귀(Ixeris dentata (Thunb.) Nakai), 뽀리뱅이(Youngia japonica (L.) DC.),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민들레(dandelion), 분취(Saussurea spp.),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L.), 벌등골나물(Eupatorium makinoi T.Kawahara et Yahara),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 L.), 쑥(Artemisia princeps Pampan.), 털별꽃아재비(Galinosoga ciliata), 망초(Conyza japonica (Thunb.) Less.), 중대가리풀(Centipeda minima (L.) A. Br. et Aschers.),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 ex Kitam.), 선씀바귀(Ixeris chinensis (Thunb.) Nakai subsp. strigosa (Lev. et Van't.) Kitam.),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L.), 쑥부쟁이(Aster yomena (Kitam.) Honda,), 톱풀(Achillea alpina L.), 참취(Aster scaber Thunb.), 버들금불초(Inula salicina L. var. asiatica Kitam.), 개보리뱅이(Lapsana apogonoides Maxim.), 물머위(Adenostemma lavenia (L.) O. Kuntze), 사와시로기쿠(Sawa-shiro-giku, Aster rugulosus Maxim.), 금불초(Inula ciliaris (Miq.) Maxim.), 섬개쑥부쟁이(Aster arenarius (Kitam.) Nemoto), 갯국(Chrysanthemum pacificum Nakai), 솜쑥방망이(Senecio pierotii Miq.), 금불초(Inula britannica L. subsp. japonica (Thunb.) Kitam.), 곰취(Ligularia fischeri), 어미갯고들빼기(Crepidiastrum platyphyllum(Franch. et Savat.) Kitam.),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L. fil.) Kitam) 등의 국화과식물, 박주가리(Metaplexis japonica),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박주가리(Cynanchum caudatum (Miq.) Maxim.),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등의 박주가리과식물, 마타리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Valerianaceae), 노루발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yrolaceae), 산토끼꽃과(plants of the family Dipsacaceae), 백합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Liliaceae), 붓꽃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Iridaceae), 버드나무과식물(plants of the subfamilies Salicoideae)이나 일본사시나무과식물(plants of the subfamilies Populoides) 등의 버드나무식물, 참나무(Fagus crenata Bl),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ex. Muuray), 떡갈참나무(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 참나무(Quercus) 등의 참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Fagaceae), 자작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Betulaceae), 느릅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Ulmaceae), 뽕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Moraceae), 목련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Magnoliaceae), 녹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Lauraceae), 장미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Rosaceae), 콩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Leguminosae), 버즘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latanaceae), 범의귀과(plants of the family Saxifragaceae), 조록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Hamamelidaceae), 단풍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ceraceae), 무환자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apindaceae), 옻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nacardiaceae), 나도밤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abiaceae), 칠엽수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Hippocastanaceae), 노박덩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elastraceae), 회양목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Buxaceae), 감탕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quifoliaceae), 두릅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raliaceae), 층층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ornaceae), 겨우살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Loranthaceae), 식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Aucubaceae), 진달래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Ericaceae), 차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Theaceae), 도금양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Myrtaceae), 리조포라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Rhizophoraceae), 콤브레타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ombretaceae), 가래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Juglandaceae), 보리수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Elaeagnaceae), 팥꽃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Thymelaeaceae), 대극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Euphorbiaceae), 굴거리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Daphniphyllaceae), 갈매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Rhamnaceae), 소귀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Myricaceae), 미나리아재비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Eupteleaceae), 트로코덴드론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Trochodendraceae), 단향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antalaceae), 이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Flacourtiaceae), 위성류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Tamaricaceae), 통조화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tachyuraceae), 물푸레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Oleaceae), 때죽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tyracaceae), 자금우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Myrsinaceae), 인동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Caprifoliaceae), 지치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Boraginaceae), 가지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olanaceae), 현삼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Scrophulariaceae), 꼭두서니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Rubiaceae), 마편초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Verbenaceae), 돌매화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Diapensiaceae)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겉씨식물로서는 소나무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inaceae), 낙우송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Taxodiaceae), 나한송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Podocarpaceae), 주목과식물(plants of the family Taxaceae)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재배지역에 있어서의 재배작물 이외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재배작물로서는, 쌀, 밀, 보리, 옥수수, 사탕수수, 양파, 참마, 파, 부추, 토란, 마늘, 생강, 염교, 백합, 양하 등의 외떡잎식물이나, 무, 순무, 당근, 우엉, 시금치, 쑥갓, 소송채, 브로콜리, 양배추, 배추, 미나리, 파드득나물, 파슬리, 차조기, 셀러리, 청경채, 파오신, 소백채, 갓, 홍채화, 유채심, 토마토, 피망, 가지, 꽈리고추, 고추, 호박, 오이, 동과, 잠두, 숙주, 완두, 강낭콩, 풋콩, 콩, 팥, 땅콩, 참깨, 메밀, 연근, 사탕수수, 감자 등의 쌍떡잎식물을 들 수 있다. 다만, 재배작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잡초의 예로서는, 상기 이외의 외떡잎식물이나 쌍떡잎식물이 있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이들 용도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식물발아억제제를 함유한 수성제 또는 가루약을, 공생지역 또는 재배지역에 소정 농도로 살포하거나, 혹은 분무한다. 또, 사전에 재배지역의 토양 속에 침투시켜 놓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잔디밭 관리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잔디는 강력한 생육력을 가지므로, 잔디밭 예를 들면 골프장의 잔디밭은 여름철에 성장한 잔디를 여러 번 베어내서 잎의 길이를 가지런히 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또, 잔디 사이에 발생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초제를 살포해야 하는데, 통상, 이 제초제로서는, 유독한 화합물이 이용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일으켜서, 사회적인 문제로 되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이용하면, 잔디의 과도한 성장이 억제되는 동시에, 잔디 이외의 잡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잔디밭의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겉씨식물 예를 들면 소나무 분재를 육성하는 경우에, 전정(剪定)한 가지의 절단면에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도포하거나, 지표면에 본 발명의 발아억제제를 살포하거나, 혹은 땅 속에 본 발명의 발아억제제를 임의의 형태로 존재시켜 놓으면, 장시간에 걸쳐서 발아가 방지되며, 소망하는 나무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를 일단 식물에 적용해서 발아억제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이더라도, 상기 식물발아억제제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식물과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른 농도의 색소를 함유시킨 무순(Radish Sprouts)종자와 색소를 함유시키지 않은 무순종자의 발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 14개 또는 7개의 종자 및 2개 또는 1개의 대조용 종자에 대해서 평균한 엽조의 길이와 색소농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은, 다른 농도의 색소를 함유시킨 벼종자와 색소를 함유시키지 않은 벼종자의 발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녹청부균이 생산된 색소를 함유한 목질재를 분쇄해서 시료로 하고, 이 시료 7g을, 그것이 유출되지 않도록 양단부를 소결 필터로 캡한 추출부분에 담고, 이것에 130℃의 열수를, 압력 개방 하, 10ml/분에서 40분간 흐르게 한 후, 0.01몰/리터 농도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2MPa에서 10ml/분의 유량으로 흐르게 하고, 색소의 추출을 약 2시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짙은 청색의 색소수용액에 3.5질량% 염산을 소량 첨가하여 pH를 3이하로 조정해서 색소성분을 석출시키고, 여과해서 고체형상의 색소를 얻었다. 녹청부균이 생산되는 색소의 주성분으로서 크실린데인(자일린데인(xylindein))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색소는 이것 이외의 것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예 1
(1) 시험배양기의 조제
용액 A; NH4NO3 165g, KNO3 190g, KH2PO4 17g, H3BO3 620mg, MnSO4ㆍ4H2O 2.23g, ZnSO4ㆍ4H2O 860mg, KI 83mg, Na2ㆍMoO4ㆍ2H2O 25mg, CuSO4ㆍ5H2O 2.5mg 및 CoCl2ㆍ6H2O 2.5mg을 증류수 1.5리터에 순차적으로 용해시킨 후, 최종적으로 증류수를 첨가해서 전체량을 2리터로 하였다.
용액 B; CaCl2ㆍ2H2O 44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전체량을 1리터로 하였다.
용액 C; MgSO4ㆍ7H2O 37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전체량을 1리터로 하였다.
용액 D; FeSO4ㆍ7H2O 2.78g 및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나트륨염 3.73g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전체량을 1리터로 하였다.
상기의 용액 A 20ml와 용액 B 10ml와 용액 C 10ml와 용액 D 10ml와 자당 30g과 증류수 500ml를 혼합한 후, 증류수를 첨가해서 전체량을 1리터로 하고, pH를 5.7~5.8로 조정하고, 한천 10g을 첨가해서 시험배양기를 조제하였다.
(2) 쌍떡잎식물 종자의 발아
질석(Vermiculite)을 넣은 플라스틱제 배양포트(키린 맥주 주식회사(Kirin Brewery Co.,LTD.) 제품, 상품명 「아그리포트(agripot)」)에,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속 120℃에서 20분간 무균화 처리한, 상기 시험배양기를 50ml씩 분취하고, 각각에 색소를 5×1O-5g/리터, 2.5×1O-4g/리터, 5×10-4g/리터, 2.5×10-3g/ 리터, 5×10-3g/리터, 1×10-2g/리터 및 2×1O-2g/리터의 농도로 함유시켰다.
다음에 클린벤치(clean bench) 속에서, 상기한 배양포트마다 무순 종자[0.1질량% 염화수은(Ⅱ)으로 1분간 처리한 후, 유수 및 무균수로 세정] 14개를 파종하고, 배양포트를 알루미늄박으로 싸서, 인공기상기 속에서 22℃로 유지하여 발아시켰다. 발아 후 즉시 알루미늄박을 제거하고, 식물재배용 형광등으로 16시간 조사한 후, 8시간 어두운 곳에 놓아두는 사이클을 반복하여, 14일간 재배를 계속하였다.
각 농도의 발아상태를, 색소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와 비교해서 도 1에 도시한다. 도면 중, a, b, c, d, e, f 및 g는 각각 5×1O-5g/리터, 2.5×1O-4g/리터, 5×1O-4g/리터, 2.5×10-3g/리터, 5×1O-3g/리터, 1×1O-2g/리터 및 2×10-2g/리터의 색소농도에 있어서의 발아상태를 나타내고, h는 대조의 발아상태를 나타낸다. 또, 14개의 종자에 대해서 평균한 엽조의 길이(㎝)와 색소농도(g/리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2에 A로서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배양포트에 질석을 넣고, 실시예 1의 (1)로 조제한 시험배양기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무균화 처리한 후, 그 80ml씩을 분취하고, 각각에 색소를, 5×1O-5g/리터, 2.5×10-4g/리터, 5×1O-4g/리터, 2.5×10-3g/리터, 5×1O-3g/리터, 1×1O-2g/리터 및 2×1O-2g/리터의 농도로 함유시켰다.
다음에, 이들의 배양포트마다 벼 종자 7개를 파종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로 해서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각 농도의 발아상태를, 색소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와 비교해서 도 3에 도시한다. 도면 중, a, b, c, d, e, f 및 g는 각각 5×1O-5g/리터, 2.5×1O-4g/리터, 5×1O-4g/리터, 2.5×1O-3g/리터, 5×1O-3g/리터, 1×1O-2g/리터 및 2×1O-2g/리터의 색소농도에 있어서의 발아상태를 나타내고, h는 대조의 발아상태를 나타낸다.
또, 7개의 종자에 대해서 평균한 엽조의 길이(㎝)와 색소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2에 B로서 나타낸다.
실시예 3
무의 종자 3O개를 충분히 팽윤시킨 후,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샬레 위의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무의 종자 30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한 후 건조시킨 것을, 1년 경과 후에 물로 적신 샬레 위의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한 후 건조시킨 무의 종자 30개를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제거하고, 물로 적신 샬레 위의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를 관찰했더니, 무의 종자 30개 모두에 발아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무의 종자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종자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브로콜리의 종자 30개를 충분히 팽윤시킨 후,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샬레 위의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6
브로콜리의 종자 3O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한 후 건조시켰다. 1년 경과 후, 샬레에 넣은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들의 종자를 놓고, 인공기상기를 이용해서 광조사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2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브로콜리 종자 3O개에 분무한 후 건조시켰다. 다음에 흐르는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씻어내고,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들의 종자를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했더니, 1주일 후 30개의 종자 모두에 발아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브로콜리의 종자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종자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7
잠두의 종자 20개를 물에 적셔 충분히 팽윤시킨 후,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샬레 내부의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8
팽윤시킨 잠두의 종자 20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한 후 건조시키고, 보존하였다. 1년 경과 후에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들의 종자를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잠두 2O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 무한 후 건조시키고, 흐르는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제거하고,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더니, 일주일 동안에 모든 종자에 발아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잠두의 종자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종자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옥수수의 종자 20개를 물에 담가, 충분히 팽윤시킨 후,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샬레 내부의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팽윤시킨 옥수수의 종자 20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한 후 건조시키고, 보존하였다. 1년 경과 후에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들의 종자를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4
팽윤시킨 옥수수의 종자 20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킨 후, 흐르는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제거하고,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더니, 일주일 동안에 모든 종자에 발아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옥수수의 종자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종자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
수박의 종자 30개를 물에 담가 충분히 팽윤시킨 후,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한 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더니, 6개월 경과해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2
수박의 종자 3O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켜서 보존하였다. 1년 경과 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들의 종자를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해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5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수박의 종자 3O개에 분무한 후 건조시켰다. 다음에, 흐르는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씻어낸 종자를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더니, 1개월 동안에 모든 종자가 발아하였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수박의 종자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 거하면 미처리의 종자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13
밤 20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킨 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전혀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4
밤 2O개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켜서 보존하였다. 1년 경과 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들의 밤을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해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6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밤 3O개에 분무한 후 건조시켰다. 다음에, 흐르는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씻어낸 밤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더니, 1개월에 모든 밤이 발아하였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밤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열매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15
감자 1개를 절단해서 10개의 시편(試片)을 준비하고, 각각의 시편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균일하게 분무하고, 건조시킨 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 후에도 전혀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6
감자 1개를 절단해서 10개의 시편을 준비하고, 각각의 시편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의 2×10-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분무하고, 건조시켜서 보존하였다. 6개월 경과 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이 시편을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6개월 경과해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7
참고예에서 얻어진 색소의 2×1O-2g/리터 농도의 수용액을, 1개의 감자를 절단해서 준비한 10개의 시편에 분무한 후 건조시켰다. 다음에, 흐르는 물로 2시간 표백해서 색소를 씻어낸 시편을 샬레 내부의 물로 적신 탈지면 위에 놓고, 인공기상기 속에서 광조사하면서, 발아상태를 관찰했더니, 1개월에 모든 시편이 발아하였다.
이와 같이 일단 색소로 발아억제 처리한 감자에서도, 상기 색소를 제거하면 미처리의 감자와 마찬가지로 발아시킬 수 있다.
실시예 17
연근을 동계에 수확하고, 적신 녹청부균이 번성한 목재 부후재(腐朽材)인 톱밥 속에 보존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1년 경과해도 발아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18
죽순을 춘계에 수확하고, 적신 녹청부균이 번성한 목재 부후재인 톱밥 속에 그대로 보존하고, 발아상태를 관찰했는데, 1년 경과해도 발아는 확인되지 않았고, 부엌칼로 절단해도 죽순의 절단면은 신선한 채였다.
실시예 19
분재용의 흑송(黑松)(식물체의 전체질량 약 1kg) 10개를 5개씩의 A군과 B군의 2군으로 분류하고, 녹청부균이 번식한 부후재인 톱밥 5kg과 일반적인 밭용의 흙 20kg을 충전한 5개의 화분에 (A)군의 흑송을 1개씩 심고, 녹청부균이 번식한 부후재인 톱밥을 넣지 않고 일반적인 밭용의 흙 25kg을 충전한 5개의 화분에 (B)군의 흑송을 1개씩 심고, 옥외에서 자연환경 하에서 일광을 조사하면서 생육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군의 흑송은 식물체의 양을 계속 증대해서 3년 후에는 1개의 평균식물체량이 약 5kg으로 되고, 뿌리에는 참억새와 같은 외떡잎식물이나 냉이와 같은 쌍떡잎식물인 잡초가 무성한 것에 대하여, (A)군의 흑송은 1.3kg이상으로는 되지 않으며, 또한 외떡잎식물 또는 쌍떡잎식물인 잡초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0
분재용의 흑송(식물체의 전체질량 약 1kg)을 10개, 협죽도(夾竹桃, Nerium indicum)(식물체의 전체질량 약 1kg)를 10개 준비하고, 겉씨식물인 흑송을 5개와 쌍떡잎식물인 협죽도 5개를 (A)군으로 하고, 각각 1개씩을 녹청부균이 번식한 부후재인 톱밥 5kg과 일반적인 밭용의 흙 20kg을 충전한 5개의 화분에 심어 일광을 조사하면서 생육상태를 관찰하였다.
한편, 남은 겉씨식물인 흑송 5개와 쌍떡잎식물인 협죽도 5개를 (B)군으로 하고, 각각 1개씩을 녹청부균이 번식한 부후재인 톱밥을 넣지 않고 일반적인 밭용의 흙 25kg을 충전한 5개의 화분에 심고, 일광을 조사하면서 생육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B)군의 흑송과 협죽도는, 그 질량이 증가해서 3년 후에는 전자는 1개의 평균식물체질량이 약 3kg으로, 후자도 약 4kg으로 되며, 실시예 19와 같이, 뿌리에는 참억새와 같은 외떡잎식물이나, 냉이와 같은 쌍떡잎식물인 잡초가 무성한 것에 대하여, (A)군의 흑송과 협죽도는 전자가 1.3kg, 후자는 1.5kg정도이며, 또한 외떡잎식물 혹은 쌍떡잎식물인 잡초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1
물 1000리터 속에,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색소 50g을 용해하고, 살포용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인 잡초가 무성한 주택지용의 택지 2OO㎡를 제초기에 의해서 잡초제거 작업한 후, 그 중의 1OO㎡에 상기한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1OOml/㎡의 비율로 살포하였다. 2개월 후, 잡초의 절단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조(莖條)부분을 채취하고, 계량했더니,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살포한 구역의 경 조부분의 질량은,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살포하지 않은 나머지의 1OO㎡의 그것에 비해서 약 1/5이었다.
실시예 22
6월 말에 15㎝로 생육한 벼 모종을 논 200㎡의 A구역과 같은 논 200㎡의 B구역에 승용 3조식(條植) 이앙기를 이용해서 모내기를 실시하였다. A구역의 논 200㎡에 매월, 9월까지 4회, 실시예 2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1O0ml/㎡의 비율로 살포하였다.
그 후, 벼의 생육은 순조로웠는데, 그 A구역의 논에는 피(Echinochloa crus-galli),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 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등의 잡초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B구역에는 전혀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하지 않았더니, 벼의 생육은 순조로웠지만, 벼의 주간(株間)에 피, 올챙고랭이, 물참새피 등의 잡초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실시예 23
11월 말에 밭 200㎡의 A구역과 같은 밭 200㎡의 B구역의 논두렁마다 2열이 되도록 밀을 파종하였다. A구역의 밭 200㎡에는 3월까지 3회, 녹청부균의 배양액을 건조 균사체 농도 1g/리터로 밀의 모종의 열을 피하도록 해서 살포하였다.
그 후, 밀의 생육은 순조로웠는데, 그 A구역의 밭에는 밀의 열과 주간(株間)의 사이에 통상 발생하는 금방동사니(Cyperus microiria), 선씀바귀(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새완두(Vicia hirsuta), 살갈퀴(Vicia angustifolia), 메귀리(wild oat(Avena fatua) 등의 잡초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B구역의 밭에는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살포하지 않았다. 이 밭에서는 밀의 생육은 순조로웠지만, 밀의 열과 주간의 사이에 금방동사니, 선씀바귀, 새완두, 살갈퀴, 메귀리 등의 잡초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실시예 24
6월 말에 콩의 종자를 밭 200㎡의 A구역과 같은 밭 200㎡의 B구역에 파종하였다. 2주일 후, 콩의 종자가 발아하여 약 5㎝의 높이까지 생육한 후, A구역의 밭 200㎡에 9월까지 4회, 실시예 2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식물발아억제제를 콩의 모종을 피해서, 1OOml/㎡의 비율로 살포하였다.
그 후 콩의 생육은 순조로웠다. A구역에는 중대가리풀(Centipeda minima), 선씀바귀, 금방동사니, 참억새, 바랭이, 민바랭이새 등의 잡초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지만,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살포하지 않았던 B구역에서는 콩의 주간에 중대가리풀, 선씀바귀, 금방동사니, 참억새, 바랭이, 민바랭이새 등의 잡초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실시예 25
6월 말에 팥의 종자를 밭 200㎡의 A구역과 밭 200㎡의 B구역에 파종하였다. 2주일 후, 팥의 종자가 발아하여 약 5㎝의 높이까지 생육한 후, A구역의 밭 200㎡에 9월까지 4회, 실시예 2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팥의 모종을 피해서, 1OOml/㎡의 비율로 살포하였다.
그 후, 팥의 생육은 모두 순조로웠다. A구역의 팥에는 중대가리풀, 선씀바귀, 금방동사니, 참억새, 바랭이, 민바랭이새 등의 잡초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지 만, 식물발육억제제 용액을 살포하지 않았던 B구역에는 팥의 주간에 중대가리풀, 선씀바귀, 금방동사니, 참억새, 바랭이, 민바랭이새 등의 잡초가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실시예 26
40㎝×40㎝의 잔디 모종 10매 중의 5매의 잔디 모종을 A군으로 하고, 나머지의 5매의 잔디 모종을 B군으로 해서, 그 각각의 잔디 모종 위에 민들레의 종자 30개 및 참억새의 종자 30개를 놓고 밭의 토양에 설치해서, A군에는 실시예 2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1주일에 1회 1OOml/㎡의 비율로 살포하고, 또 매일 물을 끼얹어서 잔디의 성장과 민들레의 종자의 발아와 참억새의 종자의 발아와 그들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B군에 대해서는,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살포하지 않고, 다만 매일 물을 끼얹어서 잔디의 성장과 민들레의 종자의 발아와 참억새의 종자의 발아와 그들의 성장을 관찰하였다.
1개월 후, A군에서는 잔디의 성장과 민들레의 종자의 발아와 참억새의 종자의 발아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B군에서는 잔디가 성장하고, 40㎝×40㎝의 잔디 모종 자리의 단부로부터 긴 것으로는 50㎝정도의 잔디의 새싹이 평균적으로 1매당 10개 정도 뻗어 있는 정도의 성장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B군의 민들레의 종자와 참억새의 종자는 발아하여 크게 생육하고 있었다.
실시예 27
잔디가 밀생 생육하고 있는 잔디밭의 일부 2O㎡에 대해서, 잔디 깎는 기계로 잔디를 깎은 후, 그 중 1O㎡에 민들레의 종자 1OO개와 참억새의 종자 1OO개를 파종 하고, 실시예 21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1주일 간격으로 1OOml/㎡의 비율로 살포하였다. 한편, 나머지의 1O㎡에는 마찬가지로 민들레의 종자 1OO개와 참억새의 종자 1OO개를 파종하고, 식물발아억제제 용액을 살포하지 않고 방치하였다.
2개월 후, 전자에서는 민들레와 참억새의 종자의 발아와 생육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후자에서는 민들레의 종자로부터는 약 80개가 발아하여 생육하고, 참억새의 종자도 약 70개가 발아하여 생육하고 있었다. 이들을 제초기 및 잔디 깎는 기계를 이용해서 베어냈더니, 전자의 식물체의 전체질량은 후자에 비해서 1/10로 극히 적었다.
참고예 2
송사리(Oryzias latipes) 40마리(수컷 20마리 및 암컷 20마리)를 2군(각 군: 수컷 10마리 및 암컷 10마리)으로 분류하고, 한쪽을 색소 크실린데인(1×1O-2g/리터) 수용액 속에서, 다른 쪽을 녹청부균의 균사가 생육하고, 부식되어서 청색으로 물들은 목재 존재 하의 물속에서 사육하였다. 1주일 경과해도 송사리에는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녹청부균이 생산하는 색소는, 그 사용 농도에 있어서 생체에 대해서 어떠한 해를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식물의 발아를 억제하고, 뿌리줄기조직의 형성 을 저지해서, 장기간에 걸쳐서 종자나 뿌리줄기를 보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2종 이상의 식물의 공생지역에 있어서 재배작물 이외의 잡초의 발아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제초작업을 생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발아억제제는, 야채나 과일의 종자나 땅속줄기의 보존, 재배용 작물의 재배지역이나 포장도로, 뜰, 공터에 자란 잡초의 발생방지 등에 유용하다.

Claims (7)

  1. 녹청부균(綠靑腐菌)속의 균에 의해 목질부 속에 생산된 색소 또는 녹청부균속의 균의 균체에 함유되는 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발아억제제.
  2. 식물의 생육지역에 대하여, 상기 식물의 발아기에 있어서, 제 1항에 기재된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하여, 상기 식물의 발아를 억제하고, 뿌리줄기조직의 형성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조직형성 제어방법.
  3. 적어도 2종의 식물의 공생지역에 대하여, 제 1항에 기재된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하고, 각 식물의 발아 조건의 차이를 이용해서, 소요되는 재배식물 이외의 식물의 뿌리줄기조직의 형성을 선택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식물이 외떡잎식물, 쌍떡잎식물 및 겉씨식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2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공생지역이 재배작물의 외떡잎식물과 잡초로 되는 외떡잎식물 또는 쌍떡잎식 물 혹은 그 쌍방의 공생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공생지역이 재배식물의 쌍떡잎식물과 잡초로 되는 외떡잎식물 또는 쌍떡잎식물 혹은 그 쌍방의 공생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방법.
  7. 잔디의 식생(植生)지역에 대하여, 제 1항에 기재된 식물발아억제제를 살포하고, 잔디의 과도한 성장을 방지하는 동시에, 잔디 이외의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밭 관리방법.
KR1020067022020A 2004-03-29 2006-10-24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 KR101098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7250A JP4518542B2 (ja) 2004-03-29 2004-03-29 植物発芽抑制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JP-P-2004-00097250 2004-03-29
PCT/JP2005/005901 WO2005092107A1 (ja) 2004-03-29 2005-03-29 植物発芽抑制剤及びそ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359A KR20070028359A (ko) 2007-03-12
KR101098107B1 true KR101098107B1 (ko) 2011-12-26

Family

ID=3505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020A KR101098107B1 (ko) 2004-03-29 2006-10-24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74956A1 (ko)
EP (1) EP1736053A1 (ko)
JP (1) JP4518542B2 (ko)
KR (1) KR101098107B1 (ko)
CN (1) CN100542407C (ko)
CA (1) CA2560961A1 (ko)
HK (1) HK1102683A1 (ko)
WO (1) WO2005092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7279B1 (da) * 2006-07-27 2012-09-24 Vegano Aps Ukrudtsmiddel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KR100818686B1 (ko) 2007-06-14 2008-04-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WO2010011997A2 (en) 2008-07-25 2010-01-28 Mary Kay Inc. Compositions comprising docynia delavajy extract and/or elaeagnus lancelotus extract
JP4972699B2 (ja) * 2010-04-09 2012-07-11 株式会社和漢薬研究所 ムラサキの栽培方法
CN104996153A (zh) * 2015-07-31 2015-10-28 孙丹丹 一种紫玉淮山的种植方法
CN105123905A (zh) * 2015-09-15 2015-12-09 齐鲁工业大学 一种抑制马铃薯发芽的方法
CN106305986A (zh) * 2016-08-17 2017-01-11 天津商业大学 一种抑制马铃薯发芽的方法
CN107409699B (zh) * 2017-07-28 2021-03-23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小麦穗发芽抑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360756B (zh) * 2017-08-18 2020-05-15 广西壮族自治区中国科学院广西植物研究所 一种促进金丝李种子快速且多次萌发成苗的方法
CN108260461A (zh) * 2018-02-01 2018-07-10 陈均 一种大五星枇杷高产高效方法
GB201805268D0 (en)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Trading Ltd Apa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from an aerosolisable medium, an article of aerosolisable medium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E102018127946A1 (de) 2018-11-08 2020-05-14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Verfahren zur biotechnologischen Gewinnung des blaugrünen Pilzpigments Xylindein
CN115838639B (zh) * 2022-12-17 2024-02-13 昆明理工大学 白茅种子内生真菌df101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493A (ja) 2001-03-30 2002-10-0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植物成長抑制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5693A (en) * 1965-07-22 1968-05-28 Du Pont Method for controlling growth of seedling weed grasses
US5244866A (en) * 1992-07-31 1993-09-14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sprout growth on agronomic crops using acetohydroxy acid synthase inhibiting herbicides
DE4318673C2 (de) * 1993-06-04 1999-07-29 Pfanni Werke Gmbh & Co Kg Keimhemmungsmittel für Kartoffel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493A (ja) 2001-03-30 2002-10-0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植物成長抑制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81187A (ja) 2005-10-13
CN1956656A (zh) 2007-05-02
KR20070028359A (ko) 2007-03-12
JP4518542B2 (ja) 2010-08-04
US20070274956A1 (en) 2007-11-29
CA2560961A1 (en) 2005-10-06
HK1102683A1 (en) 2007-11-30
CN100542407C (zh) 2009-09-23
EP1736053A1 (en) 2006-12-27
WO2005092107A1 (ja)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107B1 (ko)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
KR102095537B1 (ko) 살균, 살충 및 식물 영양 성능을 보유한 친환경 작물 재배용 비료 조성물
Hussain et al. Allelopathic effects of Cenchrus ciliaris L. and Bothriochloa pertusa (L.) A. Camus
CN103548895A (zh) 植物源蔬菜杀虫剂
KR101813078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466863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Elmer Influence of formononetin and NaCl on mycorrhizal colonization and Fusarium crown and root rot of asparagus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CN109042778A (zh) 一种作物治病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Prisa Biofertilizer based on liquid fermented with Inula viscosa, microorganisms and algae in the growth and biocontrol of Sphaerotheca pannosa var. rosae of seed rose plants
Alsaadawi et al. Allelopathic potential of Cyperus rotundas LI Interference with crops.
KR102056605B1 (ko) 드린국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균성 궤양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9169736A (zh) 一种以薄荷和苦瓜为基材的驱虫剂及制备方法、应用
ES2924416T3 (es) Una composición desinfectante ecológica para suelos agrícolas que comprende una mezcla de extracto de Capsicum, extracto de caléndula y extracto de ajo
KR102605615B1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Santhosh Evaluation of itk components against major insect pest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KR102134624B1 (ko) 소금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 보호용 제초제 조성물
Tattersfield et al. Insecticides derived from plants. Results of tests carried out on a number of British, tropical and Chinese plants
KR102360511B1 (ko) 플라보박테리움 속 tch3-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용도
KR100818686B1 (ko)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KR20120071532A (ko) 3-펜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apsoot et al. Repellence and toxicity effect of crude plant extracts on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on Roses
JP2011051925A (ja) センチュウによる植物病害を防除する方法
HU202064B (en) Weed controlling process with utilizing spore culture of phomopsis convolvulu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culture the culture of fungi
Raghu Studies on management of rhizome wilt of ginger with special reference to Ralstonia solanacearum (EF Smith) Yabuuchi, et 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