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686B1 -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 Google Patents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686B1
KR100818686B1 KR1020070058306A KR20070058306A KR100818686B1 KR 100818686 B1 KR100818686 B1 KR 100818686B1 KR 1020070058306 A KR1020070058306 A KR 1020070058306A KR 20070058306 A KR20070058306 A KR 20070058306A KR 100818686 B1 KR100818686 B1 KR 10081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owth
root
stem
di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숙
김성현
임혜원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8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자생 식물 중 잡초의 종자 발아 억제 능력 및 유식물의 생장 억제 능력이 우수한 참취 추출물을 분리함으로써, 이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소리쟁이 등의 잡초의 발아 및 생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 제초제 및 제초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취, 추출물, 제초

Description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 방법{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ster scaber and wee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 자생 식물 중 잡초의 종자 발아 억제 능력 및 유식물의 생장 억제 능력이 우수한 참취 추출물을 분리함으로써, 이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소리쟁이 등의 잡초의 발아 및 생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 제초제 및 제초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이나 동물은 2차 대사산물을 대부분 체외로 배설하는 반면, 식물은 주로 2차 대사산물을 체내에 축적한다. 과거에는 식물체 내에서의 2차 대사산물도 배설물로 취급하였으나 근래 식물 상호간에 2차 대사산물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점차 밝혀져서 이 분야의 연구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2차 대사산물이 대부분인 알렐로 화합물 (allelochemicals)은 자연생태계에서 주로 뿌리를 통한 근 분비물, 잎 등 지상부 조직을 통한 휘발, 강우로 인하여 알렐로 화합물이 씻겨 내려가는 경로 등에 의하여 주변잡초 또는 식물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어떤 생물이 떨어져 살고 있는 동종 또는 이종의 다른 생물체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알렐로파시 (allelopathy)라고 한다.
위의 알렐로 화합물은 식물부위 즉 잎, 줄기, 뿌리, 꽃, 과일, 종자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주요한 물질로서는 독성가스 (toxic gases), 유기산 및 알데히드, 방향성산, 불포화 락톤, 쿠마린 (coumarins), 퀴논 (quinones),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탄닌, 알칼로이드 (alkaloids), 터페노이드 (terpenoids), 스테로이드, 미확인 물질 등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다(Putnam, 1983; Rice, 1984).
이러한 알렐로 화합물이 주변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주요 영향으로서는 세포분열 및 신장억제, 유기산합성 저해, 호르몬작용 교란, 효소작용저해 등의 주요 작용기작을 통하여 주변식물의 발아, 생육·생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러한 알렐로 화합물 중에서 잡초의 발아, 생육·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찾아내어 잡초 방제에 이용하기 위하여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441597호는 알레로파시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개망초(Erigeron annuus L.)에서 분리한 신규한 화합물 (5-부틸-3-옥소-2,3-디하이드로-퓨란-2-일)-아세틱 애시드가 잡초 등의 종자 발아 억제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제초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등록 제654677호는 연맥(귀리), 엉겅퀴의 식물체 분쇄물 또는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 어진, 피(Echinochloa crusgalli Wight)의 성장 억제능을 보유한, 타감물질 함유 식물체 분쇄물 또는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피의 발아 및 생육성장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피와 같은 잡초의 제거에 사용하여 농약물질의 남용, 이에 따른 토양 오염 등의 환경파괴를 막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보존이 인류생존의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는 가운데 농업 분야에서도 농약, 제초제 등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오염으로부터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양질의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는 친환경 농법의 개발이 요구됨에 따라, 천연물질을 사용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고 환경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친환경 농약 또는 제초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국내 자생종에서 알렐로파시 현상을 나타내어 천연 제초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얻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에 대해 실험한 결과, 참취의 추출물이 알렐로파시 현상을 나타내고 잡초의 종자 발아 및 유식물 생장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참취 추출물을 이용한 제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참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및 소리쟁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종자 발아 및 생장 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이용한 제초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및 소리쟁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종자 발아 및 생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국내 자생 식물 중 잡초의 종자 발아 억제 능력 및 유식물의 생장 억제 능력이 우수한 참취 추출물을 분리함으로써, 이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소리쟁이 등의 잡초의 발아 및 생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 제초제 및 제초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참취(Aster scaber)는 산지나 들의 초원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본원에서 사용하는 참취 추출물은 당업계 공지의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될 수 있는데, 자세하게는 참취 무게의 약 4배 내지 20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혼합하여 실온 내지 100 ℃에서 약 1시간 내지 5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초음파추출, 환류냉각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액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1~3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통상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 잔여물을 분리하여 추출 여과액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추출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과정을 수행하여 농축액 또는 분말로 사용할 수도 있다.
추출을 위한 참취는 참취의 잎, 줄기 및 뿌리 중에서 선택된 1 부위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건조한 것, 건조하지 않은 것 또는 이들을 서로 혼합한 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세절 또는 분말화한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참취 추출물은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조하지 않은 참취의 잎(또는 줄기 또는 뿌리) 무게의 약 10배의 증류수에 참취의 잎(또는 줄기 또는 뿌리)을 넣고 상온에서 침지시켜 약 48시간 둔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추출액을 수득한다.
이러한 참취 추출물은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소리쟁이 등의 농지에서 쉽게 발견되는 잡초의 발아 및 줄기/뿌리 길이 생장 억제 능력이 탁월하여,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취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친환경 제초제 조성물에 함유되어 작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작물 재배지에 살포함으로써 친환경 제초방법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참취 추출물을 농업에 제초에 사용함으로써 종래 농약의 남용 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오염으로부터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양질의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는 친환경 농업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우수한 제초 활성을 가진 식물 스크리닝
1) 식물 선정
잡초, 목초 등의 식물에서 유래된 제초활성물질에 관한 국내연구들은 많이 보고되었으나, 약용식물의 제초활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약용식물의 제초효과를 규명하고자 범의귀과, 국화과, 여뀌과, 삼백초과 그리고 백합과 5개과에서 2가지 식물을 임의로 선택하여 총 10가지 약용식물을 공여체 식물로 하였다(표 1).
상기 공여체 식물을 처리하여 종자발아와 유식물 생장 실험을 하기 위한 수용체 식물로서는 수원 농촌진흥청에서 공급받은 돌피를 사용하였다.
국문명칭 학 명 과(Family) 생활형
왕호장근 Reynoutria sachalinensis 마디풀과 (Polygonaceae) 다년생
개미취 Aster tataricus 국화과 (Compositae) 다년생
참취 Aster scaber 국화과 (Compositae) 다년생
Persicaria tinctorium 마디풀과 (Polygonaceae) 다년생
바위취 Saxifraga stolonifera 범의귀과 (Saxifragaceae) 다년생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삼백초과 (Saururaceae) 다년생
둥글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백합과 (Liliaceae) 다년생
옥잠화 Hosta plantaginea 백합과 (Liliaceae) 다년생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삼백초과 (Saururaceae) 다년생
노루오줌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범의귀과 (Saxifragaceae) 다년생
2) 식물 추출액의 제조
상기 표 1의 각 식물의 잎, 줄기 및 뿌리 추출액은, 식물 잎(줄기 또는 뿌리) 100g당 증류수 1L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둔 후에 추출하였으며 0.45μm syringe 필터로 멸균시켜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식물 추출액을 하기 종자 발아와 유식물 생장실험에 사용하였다
3) 식물 스크리닝 : 종자 발아율 및 유식물 생장 억제 정도 확인
우수종 선정을 위한 상기 2)의 10가지 식물 추출액(각각 잎, 줄기 및 뿌리 추출액)은 그대로를 사용하여 돌피 종자 발아율 및 유묘/유근 생장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돌피 종자를 30% 치아염소산나트륨,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으며, 여과지 한 장을 깔아놓은 페트리 디쉬에 10립씩 파종하였다. 그 다음, 각 처리구의 페트리 디쉬에 상기 2)의 10가지 식물의 잎, 줄기 또는 뿌리 추출액 10ml씩을 처리하여 25℃ room에서 14일간 생장시킨 후 돌피의 발아율 및 줄기/뿌리의 길이 생장정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① 발아율
표 2의 결과를 보면, 각 식물의 잎 추출물에서의 돌피 발아율 억제효과는 둥글레, 개미취, 삼백초, 노루오줌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뿌리 추출물에서는 참취가 돌피의 발아율을 가장 크게 억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왕호장근, 바위취 순으로 나타났다. 줄기 추출물에서는 둥글레, 노루오줌, 쪽, 바위취 등이 효과있는 식물로 나타났다
식물 종의 추출 부위에 따른 돌피의 발아율(%)
잎 추출물 처리 줄기 추출물 처리 뿌리 추출물 처리
대조군 83.3±5.8
왕호장근 40±5.7 50±11.2 50±10
개미취 26.7±6.3 56.7±2.1 33.3±5.4
참취 36.7±4.3 57.2±5.6 n.d
36.7±5.7 33.7±4.3 40±5.7
바위취 53.9±6.4 37.0±5.7 33.7±5.2
삼백초 26.7±5.2 50.0±10 43.8±5.7
둥글레 16.8±2.4 26.9±2.6 47.1±5.4
옥잠화 47.1±5.2 43.8±5.7 37.0±5.7
약모밀 40.4±4.6 43.8±5.7 37.0±2.7
노루오줌 26.7±2.2 26.9±5.7 56.7±5.7
② 줄기 생장
표 3의 결과를 보면, 줄기의 생장은 잎 추출물에서는 참취가 가장 억제하였으며 그 다음은 쪽, 개미취 순으로 억제 효과를 보였고, 줄기 추출물에서도 참취가 가장 억제하였으며 옥잠화와 개미취도 높은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뿌리추출물에서는 참취가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둥글레, 쪽 순으로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③ 뿌리 생장
표 3의 결과를 보면, 뿌리 생장은 잎 추출물에서 참취가 가장 강한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참취, 개미취 등 국화과 식물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뿌리 추출물에서는 참취가 가장 강하게 뿌리 생장을 저해하였다.
각 식물 종의 추출물 처리에 따른 돌피의 생장 정도
잎 추출물 처리 줄기 추출물 처리 뿌리 추출물 처리
대조군 줄기 생장길이 (cm) 8.3±1.2
뿌리 생장길이 (cm) 2.6±0.2
왕호장근 줄기 생장길이 (cm) 1.3±0.2 3.7±1.2 5.2±1.2
뿌리 생장길이 (cm) 0.2±0.01 0.4±0.1 2.6±0.6
개미취 줄기 생장길이 (cm) 0.9±0.2 3.6±0.2 0.1±0.04
뿌리 생장길이 (cm) 0.2±0.01 0.6±0.1 0.1±0.04
참취 줄기 생장길이 (cm) 0.8±0.2 0.7±0.02 n.d
뿌리 생장길이 (cm) 0.04±0.01 0.1±0.01 n.d
줄기 생장길이 (cm) 0.9±0.03 1.3±0.1 4.9±1.3
뿌리 생장길이 (cm) 0.2±0.01 0.5±0.03 1.8±0.1
바위취 줄기 생장길이 (cm) 4.7±0.1 4.5±1.5 6.8±1.8
뿌리 생장길이 (cm) 0.1±0.06 0.3±0.02 0.8±0.04
삼백초 줄기 생장길이 (cm) 7.9±1.2 6.7±1.3 5.0±0.7
뿌리 생장길이 (cm) 1.1±0.4 1.8±0.2 2.5±0.5
둥글레 줄기 생장길이 (cm) 1.0±0.01 0.9±0.2 3.1±0.9
뿌리 생장길이 (cm) 0.3±0.01 0.3±0.1 1.0±0.04
옥잠화 줄기 생장길이 (cm) 3.3±0.7 2.7±0.9 1.5±0.5
뿌리 생장길이 (cm) 0.5±0.1 0.4±0.06 0.1±0.04
약모밀 줄기 생장길이 (cm) 2.8±0.8 4.1±1.1 6.4±1.5
뿌리 생장길이 (cm) 1.4±0.5 2.0±0.5 2.4±0.5
노루오줌 줄기 생장길이 (cm) 1.7±0.3 6.9±1.5 7.5±1.2
뿌리 생장길이 (cm) 0.1±0.04 1.4±0.1 1.9±0.2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0종의 식물 추출물 중 참취의 추출물이 돌피의 종자 발아율과 줄기 및 뿌리의 길이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다양한 식물에 대한 참취 추출물의 제초력 확인
상기에서 돌피 발아 및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참취를 선택하여 돌피 외에 다른 잡초에도 발아 및 생장 억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종자 발아와 유식물 생장실험에 사용할 수용체 식물로는 수원 농촌진흥청에서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및 소리쟁이, 총 6종의 종자를 분양받아 사용하였다(표 4).
국문 명칭 학명 과(Family) 생활형
돌피 Echinochloa rus-galli 벼과 (Gramineae) 일년생
물피 Echinochloacrus-galli var. oryzicola 벼과 (Gramineae) 일년생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벼과 (Gramineae) 일년생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콩과 (Fabaceae) 일년생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벼과 (Gramineae) 일년생
소리쟁이 Rumex crispus 마디풀과 (Polygonaceae) 다년생
먼저, 종자 발아 및 줄기/뿌리 생장 실험을 위하여, 각 종자들을 30% 치아염소산나트륨,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하였으며 여과지를 한 겹 깐 페트리 디쉬에 10립씩 파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의 참취 잎, 줄기, 뿌리 추출액을 추출원액으로 하고, 이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25% 희석액(추출원액 1: 증류수 3의 혼합액), 50%(추출원액 1: 증류수 1의 혼합액) 및 75% 희석액(추출원액 3: 증류수 1)으로 제조하여 각 처리구 페트리 디쉬에 참취 잎, 줄기 뿌리 추출원액 또는 희석액 10ml씩을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이를 25℃ room에서 14일간 생장시킨 후 돌피 외 5종의 발아율 및 줄기/뿌리의 길이 생장정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 수행하였다.
① 참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돌피의 발아율 및 생장
돌피 발아율 및 생장은 참취 잎 추출물은 농도 75% 이상에서 강하게 억제되었으며, 참취 줄기와 뿌리 추출물도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의존적으로 돌피의 생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줄기 생장길이 (cm) 뿌리 생장길이 (cm) 발아율(%)
대조군 8.3±1.2 2.6±0.2 83±6
잎25% 희석액 5.8±0.9 0.8±0.6 76±11.2
잎50% 희석액 5.7±0.4 0.3±0.3 70±10
잎75% 희석액 0 0 0
잎 추출 원액 0 0 0
줄기25% 희석액 7.8±1.5 2.5±1 40±6.7
줄기50% 희석액 8.4±1.1 1.1±1 23±5.7
줄기75% 희석액 7.7±1.5 1.4±0.5 16±5.7
줄기 추출 원액 5.5±3.1 0.6±0.5 13±5.7
뿌리25% 희석액 5.4±0.7 1.6±0.6 50±10
뿌리50% 희석액 4.6±1.1 0.6±0.6 30±10
뿌리75% 희석액 4.8±0.6 0.7±0.2 43±5.7
뿌리 추출 원액 3.5±0.9 0.3±0.4 37±5.7
② 참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물피의 발아율 및 생장
물피 발아율 및 생장은 참취 잎 추출물 100%에서 가장 강하게 억제되었으며. 각 추출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줄기 생장길이 (cm) 뿌리 생장길이 (cm) 발아율(%)
대조군 6.9±1.2 2.3±0.5 90±10
잎25% 희석액 4.5±1.9 0.8±1.1 23±6
잎50% 희석액 4.4±2 0.1 37±11
잎75% 희석액 3.8±3.4 0.07±0.06 17±5.7
잎 추출 원액 0 0 0
줄기25% 희석액 5.1±0.7 1.6±0.3 93±11
줄기50% 희석액 4.6±0.9 1.5±0.2 83±11
줄기75% 희석액 2.9±0.9 0.8±0.5 77±6
줄기 추출 원액 4.1±2.4 0.7±0.5 73±5
뿌리25% 희석액 5.6±0.4 1.8±0.4 83±15
뿌리50% 희석액 6.1±1.2 1.1±0.3 80±10
뿌리75% 희석액 4.2±0.7 0.9±0.3 83±11
뿌리 추출 원액 3.1±0.4 0.4±0.1 70±10
③ 참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식용피의 발아율 및 생장
식용피의 발아율은 참취 줄기 추출물에 의해 가장 강하게 억제되었으며 농도 75% 이상에서 현저한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식용피의 줄기생장은 참취 각 추출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뿌리생장도 참취 추출물 농도 75% 이상에서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줄기 생장길이 (cm) 뿌리 생장길이 (cm) 발아율(%)
대조군 7.4±0.7 3.5±0.5 93±5
잎25% 희석액 7.7±1.2 1.5±0.6 93±5
잎50% 희석액 8.7±1.8 1.3±0.6 86±15
잎75% 희석액 2.9±0.7 0.1±0.1 56±5.7
잎 추출 원액 2.9±0.8 0.1±0.1 30±5.7
줄기25% 희석액 7.3±1.8 2.5±1.2 86±11
줄기50% 희석액 8.9±0.5 2±0.5 83±15
줄기75% 희석액 10.3±0.7 0.7±0.2 43±11
줄기 추출 원액 2.4±0.1 0.2±0.03 16±5.7
뿌리25% 희석액 8.5±1.4 2.6±0.5 100±0
뿌리50% 희석액 3.7±0.9 1.1±0.6 66±5
뿌리75% 희석액 4.2±1.2 0.4±0.2 83±20
뿌리 추출 원액 2.9±0.7 0.4±0.5 36±5.7
④ 참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자귀풀의 발아율 및 생장
자귀풀의 발아율 및 생장에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은 참취 잎 추출물 100%에서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농도의존적인 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줄기 생장길이 (cm) 뿌리 생장길이 (cm) 발아율(%)
대조군 2.4±0.6 12±1 96±5
잎25% 희석액 1.6±0.8 8.7±1.1 70±10
잎50% 희석액 1.1±0.3 4.8±0.8 73±5
잎75% 희석액 0.1±0.2 1.2±2.1 16±2.4
잎 추출 원액 0 0 0
줄기25% 희석액 0.9±0.9 9.6±1.6 53±5.7
줄기50% 희석액 0.9±0.4 9.8±2.1 63±5
줄기75% 희석액 0.4±0.06 6.5±2.4 66±15
줄기 추출 원액 0.8±0.7 7.2±1.1 63±11
뿌리25% 희석액 1±0.9 8.2±1.6 83±5
뿌리50% 희석액 1.8±0.4 9.9±0.3 93±11
뿌리75% 희석액 1.6±1.3 10.7±0.4 80±0
뿌리 추출 원액 0.8±0.6 7.2±1.2 73±20
⑤ 참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강아지풀의 발아율 및 생장
강아지풀의 줄기, 뿌리 생장 및 발아율은 참취 잎 추출물 75% 이상, 줄기 추출물 50%이상, 그리고 뿌리 추출물 25%이상에서 매우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줄기 생장길이 (cm) 뿌리 생장길이 (cm) 발아율(%)
대조군 2.7±0.6 0.7±0.2 80±10
잎25% 희석액 2.8±0.9 1±0.5 23±5.8
잎50% 희석액 0.7±0.6 0.07±0.06 6.7±0.8
잎75% 희석액 0 0 0
잎 추출 원액 0 0 0
줄기25% 희석액 1.7±0.2 0.4±0.5 10±2.1
줄기50% 희석액 0 0 0
줄기75% 희석액 0 0 0
줄기 추출 원액 0 0 0
뿌리25% 희석액 0 0 0
뿌리50% 희석액 0 0 0
뿌리75% 희석액 0 0 0
뿌리 추출 원액 0 0 0
⑥ 참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소리쟁이의 발아율 및 생장
소리쟁이의 발아율 및 생장은 참취 추출물의 여러 가지농도에서 억제효과를보여주었으며, 특히 잎추출물 75%이상, 줄기추출물 100% 그리고 뿌리추출물에서는 강력한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다
줄기 생장길이 (cm) 뿌리 생장길이 (cm) 발아율(%)
대조군 2.9±0.2 0.5±0.2 86.7±5.8
잎25% 희석액 2.7±0.5 0.1±0.06 83±11.5
잎50% 희석액 2.5±1.1 0.2±0.2 80±10
잎75% 희석액 0 0 0
잎 추출 원액 0 0 0
줄기25% 희석액 3.3±1.8 0.2±0.1 46.7±15.3
줄기50% 희석액 1.1±0.4 0.1±1.7 50±10
줄기75% 희석액 0.1±0.2 0 16.7±15.3
줄기 추출 원액 0 0 0
뿌리25% 희석액 0 0 0
뿌리50% 희석액 0 0 0
뿌리75% 희석액 0 0 0
뿌리 추출 원액 0 0 0
상술한 바와 같이 참취 (Aster scaber) 추출물은 알렐로파시 효과를 나타내어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소리쟁이 등의 잡초의 발아 및 유식물의 줄기/뿌리 생장을 강력하게 억제하고, 그 결과 잡초를 제거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취 추출물을 작물 재배시 제초제 및 제초방법으로 이용시 종래 농약의 남용으로 인한 토양 및 수질오염으로부터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양질의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고 공급할 수 있는 친환경 농업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Claims (5)

  1. 참취(Aster scaber)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취 추출물은 수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참취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이용한 제초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참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피, 물피, 피, 자귀풀, 강아지풀 및 소리쟁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종자 발아 및 생장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070058306A 2007-06-14 2007-06-14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KR10081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306A KR100818686B1 (ko) 2007-06-14 2007-06-14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306A KR100818686B1 (ko) 2007-06-14 2007-06-14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686B1 true KR100818686B1 (ko) 2008-04-02

Family

ID=3953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306A KR100818686B1 (ko) 2007-06-14 2007-06-14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5574A (zh) * 2014-06-24 2016-01-27 中国农业大学 防治储粮害虫的药剂及其在防治储粮害虫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6053A1 (en) 2004-03-29 2006-12-27 Fukuoka Women's University Plant germination inhibi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6053A1 (en) 2004-03-29 2006-12-27 Fukuoka Women's University Plant germination inhibi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생식물체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농약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과학기술부연구보고서, 2003
생약학회지, 28(3), pp162-165, 199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5574A (zh) * 2014-06-24 2016-01-27 中国农业大学 防治储粮害虫的药剂及其在防治储粮害虫中的应用
CN105265574B (zh) * 2014-06-24 2019-09-24 中国农业大学 防治储粮害虫的药剂及其在防治储粮害虫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ish et al. Potential utilization of dried powder of Tagetes minuta as a natural herbicide for managing rice weeds
Chou Roles of allelopathy in plant biodiversit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Sadia et al. Tagetes minuta L., a useful underutilized plant of family Asteraceae: a review.
Shahzadi et al. Evaluating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seed extracts from Tagetes minuta L. found in Northern Pakistan
Javaid Herbicidal potential of allelopathic plants and fungi against Parthenium hysterophorus–a review
Narwal et al. Role of allelopathy in weed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Hanif et al. Genus Salsola: its benefits, uses, environmental perspectives and future aspects-a review
CN101212907B (zh) 来自“百子莲”的提取物和化合物及其作为生物学植物保护剂的应用
Omezzine et al. Allelopathic potential of Inula viscosa against crops and weeds.
Xu et al. Autotoxicity in Pogostemon cablin and their allelochemicals
Fahmy et al. Allelopathic potential of Pluchea dioscoridis (L.) DC
Baloch et al. 01. The biology of Balochistani weed: Cyperus rotundus Linnaeus. A Review
Kong et al. Allelopathic plants. Ageratum conyzoides L
CN105407725B (zh) 选择性控制入侵种的组合物和方法
KR101225103B1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의 살충용도
Olofintoye et al. Larvicidal properties of Datura stramonium (jimson weed) and Nicotiana tabaccum (tobacco) extracts against the larvae of (Anopheles and Culex) mosquitoes
CN108207471B (zh) 一种提高油茶树防虫能力的种植方法
Alsaadawi et al. Allelopathic potential of Cyperus rotundas LI Interference with crops.
Purwani et al. Reducing the level of leaves damage of (Brassica rapa) caused by armyworm (Spodoptera litura F.) through liquid bioinsecticide formulation of bintaro (Cerbera odollam) leaves extract
KR100818686B1 (ko) 참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제초 방법
Runzika et al. Screening green manure cover crops for their allelopathic effects on some important weeds found in Zimbabwe
KR101735427B1 (ko) 수수 추출물 및 전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잡초 방제용 제초제 조성물
Cui et al. Allelopathic effects of walnut (Juglans regia L.) rhizospheric soil extract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urnip (Brassica rapa L.).
Gupta et al. A review on pharmacognost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lant nicandra physalodes
Dave et al. Herbicidal effect of Azadirachta indica A. Juss. on Phaseolus vulgaris L. and its associated weed Trianthema portulacast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