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863B1 -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863B1
KR101466863B1 KR20140078703A KR20140078703A KR101466863B1 KR 101466863 B1 KR101466863 B1 KR 101466863B1 KR 20140078703 A KR20140078703 A KR 20140078703A KR 20140078703 A KR20140078703 A KR 20140078703A KR 101466863 B1 KR101466863 B1 KR 101466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plant
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현
하응수
박부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웨어
Priority to KR2014007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863B1/ko
Priority to PCT/KR2015/005509 priority patent/WO2015199342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각종 식물의 병원균에 대하여 살균, 살충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하며, 특히 인삼의 선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화학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식물의 추출물로 토양이나 환경의 오염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였으며, 농작물에 잔류하는 농약의 유해 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화학 농약에 의한 유해 논란을 불식시키면서도 농작물의 수확이나 품질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 및 숙성시킨 은행 껍질을 증류수와 함께 항온조에 넣고 60 - 90℃에서 6 내지 10일간 숙성시킨 추출액에 유황을 반응시킨 반응물을 혼합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Plan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pesticide composition}
본 발명은 천연 식물인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및 백두옹((白頭翁, 할미꽃뿌리)과 6개월 숙성시킨 은행 껍질에 증류수을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 추출액에 유황을 가성소다에 반응시킨 반응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병해충 등에 의한 농작물의 생장 발육을 저하로 결실물의 수확량이 낮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대 농업에서는 화학 살충제 등의 농약 사용이 필요불가결한 요인으로 등장하게 되었으나, 과거 수십년간 화학농약을 사용한 관계로 병해충들은 내성이 생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보다 치명적인 맹독성의 농약을 사용하여야만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각종 농작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해충이나 세균들의 방제를 위해 국내에서 출하된 농약의 세계보건기구 독성분류에 의한 맹독성에 해당하는 성분들을 살펴보면 phosphamidon, terbufos, phorate, EPN, ethoprophos, tebupirimfos 등이 있고, 고독성에 해당하는 성분들은 carbofuran, dichlorvos, methidathion, methomyl, cadusafos, edifenphos, monocrotophos, azinphos-methyl, tefluthrin, cyfluthrin, zeta-cypermethrin, methiocarb, blasticidin-s, beta-cyfluthrin 등이 있다. 이들 화학 성분들에 의해 토양 미생물 및 천적이 감소하는 등의 생태계 교란은 물론 수질 및 토양 오염과 농산물의 농약잔류 등으로 환경 및 인체상의 유해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저독성 또는 무독성, 무공해성의 천연농약 또는 생물 농약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79491호에서는 과수 병해 방제용 살균제로 살균성 식물 추출물로서 차나무 또는 울금 추출물을, 살균성 식물 정유로서 피마자오일(Castor oil), 클로브 버드(Clove bud), 타임(Thyme) 등을 포함하는 살균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7-0031979호에는 천연 살충제의 주원료인 고두자, 천련자, 백부근, 측백나무종자, 주엽나무, 백굴채(지황련), 명아주, 산해박의 추출물을 특정비율로 혼합한 식물성분의 농작물 천연 살충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7591호에는 살구, 복숭아, 은행, 길경, 산초 등 살균 능력이 있는 식물씨앗을 증기로 쪄서 추출한 목초액과 나노화된 황, 실리카 및 아미노산, 미네랄, 휴믹산을 키토산과 혼합시켜 제조한 용액이 이용한 무독성 살균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8146호에는 " 협죽도과 식물의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려잔디갈색퍼짐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을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갈색퍼짐병(Large patch)은 조이시아 속(Zoysia sp.) 잔디에 발생하는 병으로 이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IV)으로 협죽도과에 속하는 협죽도 식물체의 잎 추출물이 고려잔디의 갈색퍼짐병(Large patch)을 방제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는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 및 숙성시킨 은행 껍질을 열수 추출한 추출액과 유황 반응물을 혼합한 혼합액이 과수류나, 엽채 과채류, 근채류, 곡류 및 특용작물 등의 해충이나 선충 등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개시된 바 없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079491호 2. 한국공개특허 제2007-0031979호 3.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7591호 4.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7965호 5. 한국공개특허 제2006-0071380호 6. 한국등록특허 제10-0834965호 7. 한국등록특허 제10-0855314호 8. 한국등록특허 제10-0478146호
본 발명은 광범위한 식물에 대해 우수한 살균 및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살균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과수류나 엽채 과채류, 근채류, 곡류 및 특용작물 등의 해충이나 선충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살균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살균 살충제 조성물은 상기 과수류 등의 약해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토양오염이나 잔류 농약 등을 원천적 제거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작물에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탄저병, 노균병, 흰가루병 등의 방제효과가 뛰어난 항균 활성이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농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삼뿌리에 발생하는 선충을 효율적으로 방제하는 살균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과 6개월간 숙성시킨 은행 껍질에 증류수를 넣고 열수 추출한 추출액에 유황반응물을 혼합한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류나 엽채 과채류, 근채류, 곡류 및 특용작물 등의 해충이나 선충, 병원균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살균 살충제 조성물로 특정 종류의 병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험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인삼선충, 탄저병(anthracnose), 무름병(Soft rot), 노균병(Downy mildew), 검은무늬병(Black spot), 검은뿌리 썩음병(Black root rot), 역병( Phytophthora rot), 노균병(Downy mildew) 및 흰루병((Pyllactinia kakicola)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성분 중 협죽도는 협죽도과에 속하는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제주도 및 남부 지방에 자생하고 있으며, 약 2-4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이 좁고, 줄기는 대나무 같고, 꽃 색깔이 복숭아 같다하여 협죽도(狹竹挑)라고 불리우며,또한 그 잎이 버들잎 같고, 꽃색깔이 봉숭아처름 붉다하여 유도화(柳挑花)라고도 하며 꽃의 색깔은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화려하여 조경수는 물론 관상용으로도 심고 있으나, 라신(racine), 디기톡신(digitoxin), 기톡신(gitoxin) 및 올레안드린(Oleandrin,) 등이 잎이나 뿌리, 줄기 등에 다량함유되어 있어 매우 독성이 강하며 그 위력은 청산가리(시안화 칼륨 ; KCN)의 6천 배라고 알려져 있다.
자리공은 자리공과 또는 상륙과(Phytolaccae)에 속하는 장록이라고도 불리우는 다년생 식물로 사방이 트인 수풀, 숲 주변, 길가, 산골짜기, 황무지, 비옥한 목초지, 빈터 등에 잘 자라며, 우리나라에는 미국자리공(붉은대자리공)과 자리공(상륙) 및 섬자리공이 자라고 있다. 미국자리공에는 4~5%의 피톨락카톡신(C24 H30 08), 사포닌, 초산칼륨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 성분을은 응애류, 진딧물유 등의 방제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유효성분인 알리신은 항균 및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늘은 Escherichia, Sa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Klebsiella, Gram 양성균 및 Gram 음성균에 대한 광범위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알리신의 항균작용에 관여하는 주된 메커니즘은 thiolsulfinates의 신속한 작용으로 인해 미생물의 특정 티올 함유효소를 저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두옹(白頭翁)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할미꽃이라고도 불리우며 4-5월에 꽃이 피고, 우리나라 전국의 산과 들의 양지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그 뿌리에는 stigmasterol(C29 H46 O)과 β-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고 또 hederagenin, oleanolic acid alc 극소량의 acetyloleanolic acid 및 극소량의 acetyloleanolic acid도 함유되어 있어 고초균(枯草菌)과 황색포도상 구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으로 가지고 있다. 은행 껍질은 해충이 싫어하는 냄새를 함유하고 있어서 해충 기피제의 역할을 하며 또한 제품에 함유된 다양한 성분들이 농작물의 잎이나 줄기에 오랫동안 달라붙어서 약효를 오래동안 지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 및 숙성시킨 은행 껍질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 추출액에 유황을 가성소다에 용해시킨 유황 반응물을 첨가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각종 식물의 병원균에 대하여 살균 및 살충과 항균 활성이 우수하며, 특히 인삼의 선충을 방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화학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식물의 추출물로 토양이나 환경의 오염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농작물에 잔류하는 농약의 유해 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화학 농약에 의한 유해 논란을 불식시키면서도 농작물의 수확이나 품질을 높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협죽도, 자리공, 마늘, 할미꽃 뿌리 및 은행 껍질을 숙성시킨 추출물에 유황을 가성소다에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협죽도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리공 10 내지 30중량부, 마늘 30 내지 50중량부, 백두옹 30 내지 50중량부 및 마늘 30 내지 50중량부와 숙성시킨 은행껍질 100 내지 200중량부에 증류수 700 내지 1000중량부를 넣고 60 내지 90℃를 유지하는 항온기에 넣고, 6 내지 10일간 열수 추출시킨다.
상기의 협죽도는 잎이나 줄기 및 뿌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가지치기를 한 줄기 및 잎을 사용한다. 상기의 협죽도 잎이나 줄기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한 후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2 - 3일간 건조시키고, 자리공, 마늘 및 할미꽃 뿌리는 믹서기 등에 넣어 분쇄한다.
은행껍질은 용기에 넣고 20 -30℃ 일정하게 온도를 유지하면서 6개월간 숙성시킨다. 상기의 숙성이 끝난 은행껍질과 파쇄한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을 증류수와 함께 항온기에 넣고 60 내지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7 - 10 일간 숙성시킨 후 체로 걸러 추출액을 얻는다.
유황(S) 2 - 4Kg과 가성소다 (NaOH)을 1.5 - 2 Kg을 넣고 0.5 내지 1시간 동안 고무 막대 등으로 저어 주면 유황반응물을 제조한다.
상기의 유황과 가성소다간의 반응식은 식 1과 같다
[식 1]
4S + 6NaOH → 2Na2S + Na2S2O3+ 3H2O
상기의 반응은 발열반응으로 반응시 온도가 90 - 100℃까지 상승하므로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
상기의 추출액 10ℓ에 식 1의 반응물 3 내지 5 Kg을 넣고 0.5 내지 1시간 동안 고무 막대 등으로 저어 주면 추출물과 유황 반응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살균 살충용 액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살균 살충용 액상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시를 설명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물질을 제거한 가지치기한 협죽도 1Kg을 파쇄하여 그늘에서 48시간 건조시킨다. 자리공 200g과 마늘 200g, 백두옹 200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한다. 6개월간 숙성시킨 은행 껍질 2Kg과 상기의 파쇄물 및 분쇄물을 하부에 스크린이 설치된 항온기에 증류수 11ℓ과 함께 넣고 혼합한다. 상기 항온기의 온도를 80℃로 유지하면서 8일간 숙성시킨다. 숙성이 끝나면 상기의 파쇄물 및 분쇄물로부터 추출액을 분리한 후 상기의 추출액 10ℓ에 상기 식 1의 유황 반응물 3.5Kg을 넣고 고무막대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8시간 방치한다. 방치가 끝난 상기의 추출액을 포장용기에 넣고 포장한다.
[실시예 2]
숙성시킨 은행껍질을 1.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3]
추출액 10ℓ에 유황 반응물 3K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충, 살균 조성물의 주요 성분은 식물의 추출물로 화학 농약의 문제점인 내성이 발생하지 않으며,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국 환경 보호청) 규제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농약 성분이 없기 때문에 잔류 농약도 검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살균 살충제에 대하여 화학 농약이 사용된 식물에서 주로 검출되는 잔류 농약의 유해 성분 검출 여부를 검사하였다. 검사결과, Acephate, Acetamiprid, Bendiocarb, Bitertanol, Diazinon, Ethylenebis, Parathion, Simazine, Tebupirimfos, Zoxamide 등 240개 항목의 성분이 모두 불검출되었다.
[실험예 1]
1. 인삼 선충에 대한 향균 효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인삼 선충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3개의 원반에 실시예의 추출물을 묻혀 시험균주인 인삼선충이 도포된 고체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배양한 후 원반 주변의 투명대 (growth inhibition halo)의 크기를 측정하는 한천 확산법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시험 농도를 100 ppm (0.01%)으로 한정해서 수행하였고, 무처리의 경우, 추출액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의 시험결과이며, 7일간 관찰한 결과를 표 1과 같다.
선충에 대한 향균 시험 비고
실시예 1의 추출물 ++++
실시예 3의 추출물 +++
무처리 -
+:투명대 크기가 2 mm 미만, ++ : 투명대 크기가 2 내지 4 mm미만, +++ : 투명대 크기가 4 내지 8 mm, ++++: 8mm 이상임.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추출물이 선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실시예 3에 비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 탄저균에 대한 항균효과
탄저균에 대한 향균 시험 비고
실시예 1의 추출물 ++++
실시예 3의 추출물 ++++
무처리 -
탄저균에 대한 항균시험에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추출물이 모두 동일한 살균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대하여 한천 확산법을 이용하여 무름병(Soft rot), 노균병(Downy mildew), 검은무늬병(Black spot), 검은뿌리 썩음병(Black root rot), 역병( Phytophthora rot) 대해 향균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병원균 향균력
무름병(Soft rot) +++
노균병(Downy mildew) ++++
검은무늬병(Black spot) +++++
검은뿌리 썩음병(Black root rot) +++++
역병( Phytophthora rot) +++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무름병,노균병 검은무늬병, 검은뿌리 썩음병 및 역병의 병원균 성장을 현저히 억제시키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이들 병원균을 방제할 수 있다.

Claims (4)

  1. 협죽도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리공 10 내지 30중량부, 마늘 30 내지 50중량부, 백두옹 30 내지 50중량부와 6개월간 은행껍질, 100 내지 200중량부에 증류수 700 내지 1000중량부를 60 내지 90℃를 유지하는 항온기에 넣고, 숙성시킨 추출액에 하기 식 1의 황(S)과 가성소다(NaOH)의 반응물을 혼합한 후 30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살균, 살충 조성물.
    [식 1]
    4S + 6NaOH → 2Na2S + Na2S2O3+ 3H2O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추출액과 상기 식 1의 유황반응물의 질량비가 3 : 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식물성 살균, 살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항온기에서 7 - 10일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식물성 살균, 살충 조성물.
  4. 이물질을 제거한 협죽도을 파쇄기로 직경이 3 내지 5cm 되도록 파쇄하여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 2 - 3일간 건조시키는 단계;
    자리공, 마늘 및 백두옹을 믹서기에 넣어 분쇄하는 단계;
    은행껍질을 20 - 30℃의 온도에서 6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의 파쇄한 협죽도, 자리공, 마늘, 백두옹 및 숙성시킨 은행 껍질을 증류수와 함께 60 내지 90℃ 항온기에 넣고 7 - 10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숙성이 끝난 상기의 추출물을 체로 걸러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의 추출액에 식 1의 유황 반응물을 혼합한 후 0.5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교반이 끝난 추출액을 8시간 방치한 후 포장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살균, 살충제의 제조방법.
    [식 1]
    4S + 6NaOH → 2Na2S + Na2S2O3+ 3H2O
KR20140078703A 2014-06-26 2014-06-26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KR101466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8703A KR101466863B1 (ko) 2014-06-26 2014-06-26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PCT/KR2015/005509 WO2015199342A1 (ko) 2014-06-26 2015-06-02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8703A KR101466863B1 (ko) 2014-06-26 2014-06-26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863B1 true KR101466863B1 (ko) 2014-12-03

Family

ID=5267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8703A KR101466863B1 (ko) 2014-06-26 2014-06-26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6863B1 (ko)
WO (1) WO201519934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80B1 (ko) * 2019-06-24 2020-05-27 삼비엔지니어링(주) 목초액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4043A (ko) 2019-07-29 2021-02-08 산사 주식회사 감염병 예방용 살균제 조성물 및 살균제
KR20210115606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할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20220048671A (ko) 2020-10-13 2022-04-20 강성두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686B (zh) * 2020-06-15 2021-06-15 山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基于柠檬烯预防花生根腐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027325A (zh) * 2021-10-14 2022-02-11 广东真格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氟唑菌酰羟胺的杀菌组合物及其制剂与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394A (ko) * 2012-09-21 2014-04-02 다니엘영농조합법인 생약 혼합물의 알코올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살진균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077B1 (ko) * 2003-01-14 2006-02-24 김정규 식물체 발효액 및 상기 발효액을 사용하는 시비 또는 살충방법
KR100935427B1 (ko) * 2007-09-29 2010-01-11 최제영 유충의 구제능을 가지는 해충 기피제
KR101314124B1 (ko) * 2011-07-22 2013-10-04 김명진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394A (ko) * 2012-09-21 2014-04-02 다니엘영농조합법인 생약 혼합물의 알코올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살진균제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780B1 (ko) * 2019-06-24 2020-05-27 삼비엔지니어링(주) 목초액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4043A (ko) 2019-07-29 2021-02-08 산사 주식회사 감염병 예방용 살균제 조성물 및 살균제
KR20210115606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할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2386076B1 (ko) * 2020-03-13 2022-04-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할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20220048671A (ko) 2020-10-13 2022-04-20 강성두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509566B1 (ko) * 2020-10-13 2023-03-10 강성두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42A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863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 및 살충제 조성물
CN107759401A (zh) 一种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KR101098107B1 (ko) 식물발아억제제 및 그 사용방법
Mondal et al. Azadirachta indica-A tree with multifaceted applications: An overview
CN103636660B (zh) 一种用于防治甘蔗害虫的环保型颗粒剂
CN102038007A (zh) 假蒟提取物及其在制备杀虫抑菌剂中的应用
DK200600154U3 (da) Naturligt middel til anvendelse i planteproduktionen med effekt på specifikke svampesygdomme og produktion
Fahmy et al. Allelopathic potential of Pluchea dioscoridis (L.) DC
CN102217661A (zh) 植物源杀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harani et al. Neem as an organic plant protectant in agriculture
Chou Role of allelopathy in sustainable agriculture: use of allelochemicals as naturally occurring bio-agrochemicals.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20190052978A (ko)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101954909B1 (ko)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esfaye et al. Traditional pest management practices and lesser exploited natural products in Ethiopia and India: Appraisal and revalidation
DK200600155U3 (da) Naturligt middel baseret på saponinholdige planter som bukkehorn, te og rosmarin til anvendelse i planteproduktionen
CN107548282A (zh) 幼苗中种子相关病害的生物防治
KR102605615B1 (ko) 토양해충방제와 토양개량이 동시에 가능한 기능성 조성물
EP3357340B1 (en) An ecological agricultural soil disinfect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capsicum extract, marigold extract and garlic extract
Sangavi et al. Anti-Insect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o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Santhosh Evaluation of itk components against major insect pest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KR101613559B1 (ko) 살균 살충성분을 함유하는 복합 토양개량제
KR101168592B1 (ko) 약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업용 조성물
Ojuyemi et al. Effects of Prosopis africana (Guill. & Perr.) Taub. and Ficus mucoso Ficalho ethanolic leaves extract in the control of Callosobruchus maculatus (Fabricius, 1775) in stored cowpea
Ertürk et al. Effects of various plant extracts on the development of the potato beetle under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s: a combined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