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913B1 -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 Google Patents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913B1
KR101096913B1 KR1020090017427A KR20090017427A KR101096913B1 KR 101096913 B1 KR101096913 B1 KR 101096913B1 KR 1020090017427 A KR1020090017427 A KR 1020090017427A KR 20090017427 A KR20090017427 A KR 20090017427A KR 101096913 B1 KR101096913 B1 KR 10109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ile
filament yarn
corduroy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773A (ko
Inventor
조대현
서말용
이종각
Original Assignee
이종각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각,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이종각
Priority to KR102009001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9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4Weft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colour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바닥위사 및 파일위사로 이루어진 코듀로이 직물에 있어서,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 필라멘트사의 합연사 또는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파일위사를 구성하면서 교호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진 파일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에 관한 것이다.
코듀로이, 투톤, 편평필라멘트사, NP분할필라멘트사

Description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Corduroy Having Two Tone Color}
본 발명은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섬유 파일직물중에서도 위파일직물인 코듀로이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섬유를 사용한 파일직물은 경사로 루프를 형성하여 컷팅한 경파일직물과 위사로 루프를 형성하여 컷팅한 위파일직물이 있는데, 경파일제품으로 대표적인 것이 벨벳이며, 위파일제품으로 대표적인 것이 코듀로이가 있다.
코듀로이 직물은 보온성, 단열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의류용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장섬유를 사용한 코듀로이 직물은 드레이프성, 탄력성 및 소프트한 촉감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파일이 빠지지 않아 항상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직물에 사용되는 원사의 소재는 아세테이트, 레이온, 나이론 등과 같은 인조섬유 또는 울 또는 면과 같은 천연 섬유를 사용한다. 원사의 형태는 파일의 직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방적사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특히, 합성섬유를 사용한 제품의 경우는 고급스런 광택, 드레이프성 및 선명한 색상을 가지는 파일직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최근에는 파일사로서 폴리에스테르 극세사 도는 NP분할극세사등을 사용함으로써 극세사 특유의 드레이프성, 탄력성을 가지며, 우수한 인장강도, 마찰견뢰도, 세탁수축율 및 초극세사에 의한 소프트한 촉감 등을 동시에 가지게 되어 종래의 제한적인 용도를 광범위하게 확장시킬 수 있었다.
한편, 섬유산업의 발달과 패션트랜드의 다양화에 따라 섬유소재의 다각화 또한 절실히 요구되는 추세인 바, 파일직물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소프트한 촉감뿐만 아니라 직물색상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파일사로서 채택되고 있는 분할형 폴리에스테르/나이론 복합극세사, 폴리에스테르 일반 극세사 및 해도형 폴리에스테르 극세사와 같은 극세사는 벨벳이나 코듀로이 직물에서는 한가지 극세사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단순함 패턴의 색상만을 추구할 수 있을 뿐이었으며, 소재원사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기에도 색수득율이 매우 낮은 현실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 극세사를 파일위사로 사용함으로써 드레이프성, 탄력성 및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한가지의 극세사를 파일위사로 사용한 코듀로이직물에서는 얻을 수 없는 고급스러운 투톤색상을 1욕염색법으로 발현할 수 있는 코듀로이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과제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 바닥위사 및 파일위사로 이루어진 코듀로이 직물에 있어서, 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 필라멘트사의 합연사 또는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파일위사를 구성하면서 교호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진 파일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 바닥위사 및 파일위사로 이루어진 코듀로이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위사로서 분산염료에 대한 염착성이 상이한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1가지 색상의 분산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두가지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코듀로이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듀로이 직물은 경사 및 바닥위사로서 합성섬유사를 사용하고 파일위사를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사를 함께 사용하여 제직한 후, 컷팅(전모), 분할 및 염색등의 일반적인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한다.
상기 경사 및 바닥위사는 코듀로이 직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원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DTY)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일위사로서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코듀로이 직물을 제작한 후 염색함에 있어서 1가지의 분산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의 분산염 료에 대한 염착성차이가 크게 발생하므로 자연스러운 투톤색상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분산염료에 대한 염착성이 우수한 편평필라멘트사와 분산염료에 대한 염착성이 아주 낮은 NP분할필라멘트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파일원사로 공급하여 1가지의 분산염료를 사용함에도 자연스러운 투톤색상을 발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는 각각 다수의 필라멘트가 다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른바 멀티필라멘트의 형태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필라멘트를 가연하여 가연사로 집속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톤색상은 색의 농담(명도차)에 따른 두가지 톤으로 발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NP분할필라멘트사에 네이비(navy), 브라운(brown), 그레이(grey) 및 베이지 중 어느 한 색상으로 염색하게 되면 편평필라멘트사는 흑색(black)정도로 염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색상차를 가지는 2가지의 톤을 나타낼 수 있어 마치 2가지의 염료로 별도로 염색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섬도차이에 따른 겉보기표면농도(염색성)의 차이와 함께 특정염료에 대한 염착성차이가 발생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염색하는 경우에도 섬도가 가는 NP분할필라멘트사보다 편평필라멘트사의 염색이 진하게 되어 투톤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가 한가닥의 파일위사가 되도록 할 수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를 용도에 적합하도록 섬도비를 결정하여 파일위사준비단계의 사도장치를 통해 직기의 위사공급노즐에 함께 공급하여 한가닥의 파일위사가 되도록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파일위사로 제직한 코듀로이 직물은 컷팅(전모), 분할 및 분산염료에 의한 염색에 의해 투톤색상이 균일하게 발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파일위사를 구성하면서 교호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파일위사배열을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를 1가닥, NP분할필라멘트사를 1가닥씩 교호로 사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의 비율을 조직과 연계하여 1:1의 비율외에도 2:2~4:4의 비율로 배열하여 다양한 조직(pattern)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의 인터레이스가공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터레이스가공사는 NP분할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를 인터레이스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일위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실이 자연스럽게 혼합(mix)되어 멜란지(melange)느낌의 투톤이 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의 커버링사 또는 합연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를 심사로 하고 그 주위로 NP분할필라멘트사를 커버링한 것이며, 상기 합연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분할필라멘트사를 합치면서 꼬임을 부여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듀로이 직물은 상기 경사, 바닥위사 및 파일위사로 제직된 생지를 전모공정(PILE CUTTING)을 거쳐서 파일을 형성시킨 후, 전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파일위사에 포함된 NP분할필라멘트사를 분섬시킨 후, 중간 열처리를 거쳐 형태를 안정화시킨 다음 염색공정을 진행하는데, 분산염료와 산성염료, 염기성염료등 2가지 이상염료를 사용하여 2톤을 표현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분산염료 1가지만을 사용하여도 NP분할필라멘트사부분의 색상을 기준으로 할 때 염착성이 우수한 편평필라멘트사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톤색상이 발현되며, 기존의 NP분할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장섬유 코듀로이에 비하여 심색도가 훨씬 높게 되며, 견뢰도도 향상된다. 염색 후 탈수, 건조공정을 거쳐서 코듀로이표면의 파일을 정리하는 브러싱을 하여 코듀로이 직물을 제조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드레이프성, 탄력성 및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을 제공함과 동시에 한가지의 극세사를 파일위사로 사용한 코듀로이직물에서는 얻을 수 없는 고급스러운 투톤색상을 1욕염색법으로 발현할 수 있는 코듀로이 직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캐쥬얼웨어 뿐만 아니라 정장류 소재로서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비한정적인 예시를 하고 있다.
[실시예 1]
경사는 폴리에스테르 DTY 150d/48fila를 사용하고, 바닥위사는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HSY, 효성사산)를 사용하고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가연사(150d/288fila)와 NP(nylon/polyester)분할 필라멘트가연사(150d/72fila)를 한가닥의 위사가 되게 함께 공급하여 코듀로이용 생지를 제직한 후, 제직된 생지를 전모공정(PILE CUTTING)을 거쳐서 파일을 형성시킨 후, 전처리 공정을 거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RELAX공정에서 화학적처리와 물리적처리를 하여 파일위사에 포함된 NP분할필라멘트사를 분섬시킨 후, 중간 열처리를 거쳐 형태를 안정화시킨 다음 일반적인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한 후 탈수, 건조공정을 거쳐서 코듀로이표면의 파일을 정리하는 브러싱을 하여 코듀로이 직물을 제조하였다. (도 1참조)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파일위사를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가연사(150d/288fila) 2합사와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가연사(150d/72fila) 2합사를 교호로 1:1로 공급하여 생지를 제직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듀로이 직물을 제조하였다. (도 2참조)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파일위사를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가연사(150d/72fila) 2합사를 사용하여 생지를 제직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듀로이 직물을 제조하였다. (도 3참조)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코듀로이 직물에 대한 물성측정을 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2 비교예 1
신도(%) 6.00 3.78
굽힘강도
(g·㎠/㎝)
0.122 0.117
마찰계수 0.284 0.256
표면거칠기(㎛) 10.12 13.43
두께(㎜) 1.394 1.697
중량(㎎/㎠) 26.481 25.524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2의 코듀로이 직물은 비교예의 코듀로이 직물에 비해 신도가 높아 탄력성이 우수하였으며, 비교예의 직물보다 두께가 얇은 반면에 중량이 다소 높아 드레이프성이 우수하였으며, 표면거칠기가 비교예보다 낮아 소프트한 촉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코듀로이 직물 사진이며,
도 2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코듀로이 직물 사진이며,
도 3은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코듀로이 직물 사진이다.

Claims (5)

  1. 경사, 바닥위사 및 파일위사로 이루어진 코듀로이 직물에 있어서,
    상기 파일위사는 폴리에스테르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 필라멘트사의 합연사 또는 편평필라멘트사와 NP(nylon/polyester)분할필라멘트사가 각각 독립적으로 파일위사를 구성하면서 교호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진 파일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17427A 2009-03-02 2009-03-02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KR10109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27A KR101096913B1 (ko) 2009-03-02 2009-03-02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27A KR101096913B1 (ko) 2009-03-02 2009-03-02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73A KR20100098773A (ko) 2010-09-10
KR101096913B1 true KR101096913B1 (ko) 2011-12-22

Family

ID=4300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427A KR101096913B1 (ko) 2009-03-02 2009-03-02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1503A (zh) * 2019-05-27 2019-09-17 常州市武进城南纺织品有限公司 一种抗静电灯芯绒面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3099B (zh) * 2011-11-28 2014-06-04 湖州菁诚纺织品有限公司 一种灯芯绒织物及其制造方法
KR101946269B1 (ko) * 2017-07-28 2019-02-1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견뢰도와 염착성 및 보온력이 우수한 양면위파일직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03B1 (ko) * 2002-09-30 2004-11-16 권상욱 벨벳직물의 제조방법
KR100564657B1 (ko) * 2004-11-10 2006-03-29 주식회사 새 한 장섬유를 이용한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03B1 (ko) * 2002-09-30 2004-11-16 권상욱 벨벳직물의 제조방법
KR100564657B1 (ko) * 2004-11-10 2006-03-29 주식회사 새 한 장섬유를 이용한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1503A (zh) * 2019-05-27 2019-09-17 常州市武进城南纺织品有限公司 一种抗静电灯芯绒面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73A (ko) 201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5778A (zh) 自体黏扣织物(二)
CN102168337B (zh) 具有透叠效果的双层提花印花家纺面料及其加工方法
KR100860266B1 (ko) 멜란지형 외관이 우수한 초극세 섬유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초극세 섬유포 및 그의 용도
KR101096913B1 (ko) 투톤색상을 가지는 코듀로이 직물
KR101757244B1 (ko) 삼베와 같은 질감을 갖는 인견직물 및 그의 제직 방법
KR20100123970A (ko) 신축성이 우수한 시어서커 직물의 제조방법
CN202347197U (zh) 具有透叠效果的双层提花印花家纺面料
CN102534938A (zh) 一种毛精纺自然纬弹花呢面料
JP2017125278A (ja) 複合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繊維構造物
KR20160070685A (ko) 무광택 및 경량의 한복안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467B1 (ko) 데님조 합성섬유 직물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101716088B1 (ko) 양방향 신축성 및 시원한 느낌이 부여된 기능성 직물 제조방법
KR101306479B1 (ko) 니트 직물용 실의 제조 방법
KR101175493B1 (ko) 루프형태의 입체무늬를 가지는 인테리어용 쟈카드직물의 제조방법
CN106811996A (zh) 一种n‑400高弹锦纶织物染整工艺
CN211199600U (zh) 一种超柔棉涤的针织双面布
KR20030036445A (ko) 장섬유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71839B1 (ko)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
CN105648633A (zh) 涤棉混纺靛蓝不透芯染色牛仔布
KR20110030771A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고흡수성 의류
KR20120008457U (ko) 자카드 직물
KR20110013955A (ko) 입체문양을 가지는 자카드직물제조용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928245B1 (ko) 불규칙한 멜란지 효과를 갖는 에어텍스쳐 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의류용 부자재
KR101716087B1 (ko) 양방향 신축성 및 금속광택 느낌이 부여된 기능성 직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