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273B1 -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273B1
KR101096273B1 KR1020100105463A KR20100105463A KR101096273B1 KR 101096273 B1 KR101096273 B1 KR 101096273B1 KR 1020100105463 A KR1020100105463 A KR 1020100105463A KR 20100105463 A KR20100105463 A KR 20100105463A KR 101096273 B1 KR101096273 B1 KR 101096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obe
strobe signal
clock
sign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순
고복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10010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273B1/ko
Priority to US13/243,110 priority patent/US84223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11C29/0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in I/O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4Implementation of control logic, e.g. test mod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46Test trigger logic

Abstract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는 테스트신호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 상기 테스트신호에 응답하여 라이징클럭 및 폴링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라이징클럭 및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전원을 선택적으로 버퍼링하여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Data Strobe Signal Generation Circuit}
본 발명은 데이터드라이버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칩이 점차 고집적, 미세화 되어감에 따라 메모리 특성 등을 평가를 위한 테스트시간은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비트를 동시에 데스트하는 병렬테스트를 사용하여 테스트시간을 감소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1M 단위의 반도체 메모리칩에서는 4비트씩 동시에 테스트되고, 4M 단위의 반도체 메모리칩에서는 8비트씩 동시에 테스트되며, 16M 단위의 반도체 메모리칩에서는 16비트 이상의 다수 비트가 테스트되는 병렬테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반도체 메모리칩은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다수의 데이터패드들을 포함한다. 병렬테스트가 수행되는 경우 반도체 메모리칩에 포함된 다수의 데이터패드들 중 선택된 일부 데이터패드들에만 데이터 스트로브신호가 인가되어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즉, 병렬테스트에서는 데이터 스트로브신호가 인가되는 일부 데이터패드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패드들에 연결된 출력드라이버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칩에 포함된 다수의 데이터패드들 중 선택되지 않은 데이터패드들에 연결된 출력드라이버들의 특성은 병렬테스트에 의해 확인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칩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패드들에 연결된 데이터드라이버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테스트신호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 상기 테스트신호에 응답하여 라이징클럭 및 폴링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라이징클럭 및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전원을 선택적으로 버퍼링하여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는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를 포함하는 집적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인에이블신호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내부클럭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에 포함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의 회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를 포함하는 집적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집적회로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1~DQG4)으로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칩(1)과,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DQS_CLD4)를 생성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2)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1~4)은 각각 다수의 데이터패드들을 포함한다.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는 제1 데이터패드그룹(DQG1)의 데이터입출력을 위해 인가되고,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2)는 제2 데이터패드그룹(DQG2)의 데이터입출력을 위해 인가되며,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3)는 제3 데이터패드그룹(DQG3)의 데이터입출력을 위해 인가되고,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4)는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4)의 데이터입출력을 위해 인가된다.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를 디코딩하여 제1 내지 제4 인에이블신호(EN<1:4>)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와,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 및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21)와, 제1 내지 제4 인에이블신호(EN<1:4>),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 및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DQS_CLD4)를 출력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를 포함한다.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들(IV20~IV23) 및 앤드게이트들(AND20~AND23)을 포함한다.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는, 아래 도시된 표 1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의 레벨 조합에 따라 제1 내지 제4 인에이블신호(EN<1:4>)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표 1>
Figure 112010069822484-pat00001
내부클럭생성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신호생성부(210), 제2 제어신호생성부(211) 및 내부클럭출력부(213)를 포함한다.
제1 제어신호생성부(210)는 제1 테스트신호(TM1) 및 제2 테스트신호(TM2) 중 하나가 로직하이레벨로 인가되는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제어신호(CTR1)를 생성한다.
제2 제어신호생성부(211)는 제1 제어신호(CTR1) 및 제1 모드신호(X32)를 입력받아 부정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노어게이트(NOR21)와, 제1 제어신호(CTR1) 및 제2 모드신호(X16/X8)를 입력받아 부정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노어게이트(NOR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모드신호(X32)는 한번의 컬럼동작으로 32개의 데이터가 동시에 입출력되는 동작을 위해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제2 모드신호(X16/X8)는 한번의 컬럼동작으로 16개 또는 8개의 데이터가 동시에 입출력되는 동작을 위해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다. 제1 모드신호(X32) 및 제2 모드신호(X16/X8)는 테스트 진행을 위해 제1 테스트신호(TM1) 및 제2 테스트신호(TM2)가 인가되는 경우 모두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제어신호생성부(211)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제어신호(CTR1)가 입력되는 경우 모두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제어신호(CTR2) 및 제3 제어신호(CTR3)를 생성한다.
내부클럭출력부(213)는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제어신호(CTR2)가 입력되는 경우 토글링되는 제1 라이징클럭(RCLK1)과 제1 폴링클럭(FCLK1)을 생성하는 제1 내부클럭출력부(214)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3 제어신호(CTR3)가 입력되는 경우 토글링되는 제2 라이징클럭(RCLK2)과 제2 폴링클럭(FCLK2)을 생성하는 제2 내부클럭출력부(215)와, 제3 라이징클럭(RCLK3)과 제3 폴링클럭(FCLK3)을 생성하는 제3 내부클럭출력부(216)와,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제어신호(CTR2)가 입력되는 경우 토글링되는 제4 라이징클럭(RCLK4)과 제4 폴링클럭(FCLK4)을 생성하는 제4 내부클럭출력부(21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내부클럭생성부(21)는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가 모두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는 제1 제어신호(CTR1)와 모두 로직하이레벨로 디스에이블되는 제2 제어신호(CTR2) 및 제3 제어신호(CTR3)에 의해 제3 내부클럭출력부(216)만 구동되어 제3 라이징클럭(RCLK3)과 제3 폴링클럭(FCLK3)을 출력한다. 한편, 내부클럭생성부(21)는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 중 적어도 하나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제어신호(CTR1)와 모두 로직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2 제어신호(CTR2) 및 제3 제어신호(CTR3)에 의해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출력부(214~217)가 모두 구동되어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을 출력한다.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0),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1),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2) 및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3)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0)는 제1 버퍼부(2200), 제2 버퍼부(2201), 래치부(2202) 및 구동부(2203)를 포함한다. 제1 버퍼부(2200)는 인버터들(IV200, IV201)로 구성되어 제1 라이징클럭(RCLK1)에 동기하여 접지전압(VSS)을 버퍼링하여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로 출력한다. 제2 버퍼부(2201)는 인버터들(IV202, IV203)로 구성되어 제1 폴링클럭(FCLK1)에 동기하여 전원전압(VDD)을 버퍼링하여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로 출력한다. 래치부(2202)는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를 래치한다. 구동부(2203)는 DQS 인에이블신호(DQS_EN) 및 제1 인에이블신호(EN<1>)를 입력받아 부정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노어게이트(NOR200)와, 노어게이트(NOR20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를 접지전압(VSS)의 레벨로 구동하여 디스에이블시키는 NMOS 트랜지스터(N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DQS 인에이블신호(DQS_EN)는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가 인가되는 상태에서 로직로우레벨로 설정되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0)는 토글링되는 제1 라이징클럭(RCLK1) 및 제1 폴링클럭(FCLK1)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제1 인에이블신호(EN<1>)가 입력되는 경우 토글링 상태로 인에이블되는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를 출력한다. 한편,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0)에서 출력되는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는 제1 인에이블신호(EN<1>)가 로직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되는 경우 접지전압(VSS)의 레벨로 구동되어 디스에이블된다.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1)는 제2 인에이블신호(EN<2>)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제2 라이징클럭(RCLK2) 및 제2 폴링클럭(FCLK2)에 동기되어 토글링되는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2)를 출력하고, 제2 인에이블신호(EN<2>)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구동된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2)를 출력한다.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2)는 제3 인에이블신호(EN<3>)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제3 라이징클럭(RCLK3) 및 제3 폴링클럭(FCLK3)에 동기되어 토글링되는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3)를 출력하고, 제3 인에이블신호(EN<3>)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구동된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3)를 출력한다.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3)는 제4 인에이블신호(EN<4>)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제4 라이징클럭(RCLK4) 및 제4 폴링클럭(FCLK4)에 동기되어 토글링되는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4)를 출력하고, 제4 인에이블신호(EN<4>)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로직로우레벨로 구동된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4)를 출력한다.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1),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2) 및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3)의 구성은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0)의 구성과 입출력신호의 종류를 제외하고는 거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집적회로에 포함된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2)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가 모두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3 인에이블신호(EN<3>)를 생성하고, 내부클럭생성부(21)는 토글링되는 제3 라이징클럭(RCLK3)과 제3 폴링클럭(FCLK3)을 생성한다.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3 인에이블신호(EN<3>)와 토글링되는 제3 라이징클럭(RCLK3)과 제3 폴링클럭(FCLK3)에 의해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의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2)가 구동되어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3)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3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3)가 인가되는 반도체 메모리칩(1)의 제3 데이터패드그룹(DQG3)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제3 데이터패드그룹(DQG3)에 연결된 출력드라이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테스트신호(TM1)가 로직로우레벨이고, 제2 테스트신호(TM2)가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1 인에이블신호(EN<1>)를 생성하고, 내부클럭생성부(21)는 토글링되는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을 생성한다.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1 인에이블신호(EN<1>)와 토글링되는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에 의해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의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0)가 구동되어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가 인가되는 반도체 메모리칩(1)의 제1 데이터패드그룹(DQG1)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제1 데이터패드그룹(DQG1)에 연결된 출력드라이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테스트신호(TM1)가 로직하이레벨이고, 제2 테스트신호(TM2)가 로직로우레벨인 경우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2 인에이블신호(EN<2>)를 생성하고, 내부클럭생성부(21)는 토글링되는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을 생성한다.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2 인에이블신호(EN<2>)와 토글링되는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에 의해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의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1)가 구동되어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2)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2)가 인가되는 반도체 메모리칩(1)의 제2 데이터패드그룹(DQG2)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제2 데이터패드그룹(DQG2)에 연결된 출력드라이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테스트신호(TM1) 및 제2 테스트신호(TM2)가 모두 로직하이레벨인 경우 인에이블신호생성부(20)는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4 인에이블신호(EN<4>)를 생성하고, 내부클럭생성부(21)는 토글링되는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을 생성한다.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제4 인에이블신호(EN<4>)와 토글링되는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RCLK1~RCLK4)과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FCLK1~FCLK4)에 의해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의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223)가 구동되어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4)가 생성된다. 따라서,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4)가 인가되는 반도체 메모리칩(1)의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4)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4)에 연결된 출력드라이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집적회로는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TM1, TM2)의 조합에 따라 제1 내지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DQS_CLD4)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토글링시켜 출력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2)를 제공한다.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2)에서 선택적으로 토글링되어 출력되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스트로브신호(DQS_CLK1~DQS_CLD4)에 의해 반도체 메모리칩(1)의 제1 내지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1~DQG4)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4 데이터패드그룹(DQG1~DQG4)에 연결된 모든 출력드라이버들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1: 반도체 메모리칩 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생성회로
20: 인에이블신호생성부 21: 내부클럭생성부
210: 제1 제어신호생성부(210) 211: 제2 제어신호생성부(211)
213: 내부클럭출력부 2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
214~217: 제1 내지 제4 내부클럭출력부

Claims (13)

  1. 테스트신호를 디코딩하여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신호생성부;
    상기 테스트신호에 응답하여 라이징클럭 및 폴링클럭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 및
    상기 라이징클럭 및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전원을 선택적으로 버퍼링하여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는 상기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는
    상기 라이징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을 버퍼링하여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원을 버퍼링하여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로 출력하는 제2 버퍼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특정 레벨로 구동하여 디스에이블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은 접지전압이고, 상기 제2 전원은 전원전압인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생성부는 제1 및 제2 테스트신호를 디코딩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인에이블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럭생성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테스트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 및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을 생성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럭생성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테스트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인에이블되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제어신호생성부;
    상기 제1 제어신호와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및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2 및 제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폴링클럭을 출력하는 내부클럭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제어신호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모두 인에이블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클럭출력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1 폴링클럭을 출력하는 제1 내부클럭출력부;
    상기 제3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2 폴링클럭을 출력하는 제2 내부클럭출력부;
    상기 제3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3 폴링클럭을 출력하는 제3 내부클럭출력부;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4 폴링클럭을 출력하는 제4 내부클럭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는
    상기 제1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1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원을 선택적으로 버퍼링하여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 및
    상기 제2 라이징클럭 및 상기 제2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원을 선택적으로 버퍼링하여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는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스트로브신호는 상기 제2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출력부는
    상기 제1 라이징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로 출력하는 제1 버퍼부;
    상기 제1 폴링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원을 버퍼링하여 상기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로 출력하는 제2 버퍼부; 및
    상기 제1 인에이블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스트로브신호를 특정 레벨로 구동하여 디스에이블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은 접지전압이고, 상기 제2 전원은 전원전압인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KR1020100105463A 2010-10-27 2010-10-27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KR101096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463A KR101096273B1 (ko) 2010-10-27 2010-10-27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US13/243,110 US8422320B2 (en) 2010-10-27 2011-09-23 Data strobe signal genera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463A KR101096273B1 (ko) 2010-10-27 2010-10-27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273B1 true KR101096273B1 (ko) 2011-12-22

Family

ID=4550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463A KR101096273B1 (ko) 2010-10-27 2010-10-27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22320B2 (ko)
KR (1) KR101096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86B1 (ko) * 2013-05-27 2019-10-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반도체 시스템
KR102252880B1 (ko) * 2014-04-15 2021-05-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11493949B2 (en) * 2020-03-27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Clocking scheme to receive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65B1 (ko) 2006-11-13 2008-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525A (ko) 2000-11-14 2002-05-22 윤종용 지연 락 루프 회로를 구비한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865701B1 (en) * 2001-03-29 2005-03-08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emory core testing
JP2003059298A (ja) * 2001-08-09 2003-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7437500B2 (en) * 2005-08-05 2008-10-14 Lsi Corporation Configurable high-speed memory interface subsystem
JP2008236273A (ja) * 2007-03-20 2008-10-02 Nec Corp 自動遅延制御回路およびその回路を用いたメモリインタフェース制御回路
JP2008299925A (ja) * 2007-05-30 2008-12-11 Elpida Memory Inc 半導体メモ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65B1 (ko) 2006-11-13 2008-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22320B2 (en) 2013-04-16
US20120106276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96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입출력 제어 회로
US912340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enabling/disabling a first input unit and a second input unit in response to a first and second internal clock in a gear-down mode
KR100907927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0040159A (ja) 半導体メモリー装置
KR20130046767A (ko) 테스트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및 번인테스트 방법
US8356214B2 (en) Internal signal monitoring devic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ame
US9136016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7619433B2 (en) Test circuit for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20100053857A (ko) 데이터 버스 인버전 기능을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1096273B1 (ko) 데이터스트로브신호 생성회로
KR100732241B1 (ko) 테스트 효율이 높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테스트 시스템
US20080298147A1 (en) Semiconductor memory
US20120204070A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KR101132797B1 (ko) 모듈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모듈 및 반도체모듈의 제어방법
US9299403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761993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reset during a test mode
US20110221468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884343B1 (ko) 쓰기 구동 회로
TWI432757B (zh) 運用於高速輸出入埠上的內建自測試電路
KR10082157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위한 입력 데이터 생성 장치
US8797814B2 (en) Multi-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plurailty of semiconductor chips
US9470757B2 (en) Channel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2856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출력 회로
KR20100019702A (ko) 전원 공유가 가능한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 전원 공유 방법
KR10093560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력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