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003B1 - 전시물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전시물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003B1
KR101096003B1 KR1020110038797A KR20110038797A KR101096003B1 KR 101096003 B1 KR101096003 B1 KR 101096003B1 KR 1020110038797 A KR1020110038797 A KR 1020110038797A KR 20110038797 A KR20110038797 A KR 20110038797A KR 101096003 B1 KR101096003 B1 KR 10109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
base plate
cover
fixing par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주) 유림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림문화 filed Critical (주) 유림문화
Priority to KR102011003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1/00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 B42F11/04Filing appliances with separate intermediate holding means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6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hanging large draw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물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캘린더 등의 전시물의 상측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탈부착 부위를 덮개에 의해 덮어 전시물의 이탈이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관상으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여 교체가 수월하면서도 깔끔한 외관을 갖도록 한 전시물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시물 걸이장치는,
전시물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상측부위에서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고정 형성되어 전시물의 상측부위가 끼워지도록 하는 전시물 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서 힌지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전방에 위치할 때 상기 전시물 고정부와 결합되어 전시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덮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시물 걸이장치{Exhibition hanger}
본 발명은 전시물 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림, 캘린더, 안내문 등의 전시물을 벽면에 거치하도록 하고, 또한 전시물의 교체가 수월하도록 한 전시물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벽면에는 그림, 캘린더, 안내문 등의 다양한 전시물이 걸리게 되는데, 예를들면 캘린더의 경우 각 달에 해당하는 여러장의 용지가 한꺼번에 묶인 형태로서 벽면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캘린더의 경우 대개 상단이 스프링이나 바인더에 의해 체결되어 넘기거나 찢어서 다음장이 보이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최근에는 캘린더의 고급화에 의해 고급의 종이에 명화를 인쇄하거나 판화로 제작한 캘린더가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캘린더에 인쇄되거나 판화로 제작된 명화는 사용후에 별도의 소정가치를 가지므로 그림부분을 별도로 오려서 소장할 수 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급화된 캘린더에도 일반적으로 스프링이나 바인더에 의해 체결된 구조를 가져서 캘린더의 각 장을 분리시킬 때 찢어야 하므로 그림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체결구조는 외관상으로도 고급화된 캘린더에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캘린더 등의 전시물의 상측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 탈부착 부위를 덮개에 의해 덮어 전시물의 이탈이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관상으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여 교체가 수월하면서도 깔끔한 외관을 갖도록 한 전시물 걸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시물 걸이장치는,
전시물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상측부위에서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고정 형성되어 전시물의 상측부위가 끼워지도록 하는 전시물 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서 힌지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전방에 위치할 때 상기 전시물 고정부와 결합되어 전시물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시물 고정부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는 전시물 고정부와 대응된 부위에 자석삽입공이 형성되어, 이 자석삽입공에 자석이 삽입됨과 아울러 전시물 고정부의 상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베이스판에 고정된 전시물을 손상없이 이탈시킬 수 있고, 또한 전시물이 체결되는 부위가 덮개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관상 깔끔하며, 아울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재질(목재나 금속재 등)에 따라 전시물을 돋보이게 하는 장점도 갖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분해도.
도2는 본 발명에 전시물이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3은 전시물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
도4는 전시물이 장착되어 덮개가 덮여진 상태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분해하여 보인 도로서, 평판의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측부위에서 돌출 형성되어 전시물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전시물 고정부(110)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단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베이스판의 전면 상측부위를 가리도록 하는 덮개(120)로 구성된다.
베이스판(100)은 평판의 목재,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서 형성되며, 전시물이 전면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크기는 전시물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하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베이스판(100)의 크기가 큰 경우 전시물보다 양측부와 하측부가 더 돌출되므로 전시물을 보호하면서도 액자 또는 게시판과 같이 여유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00)의 크기가 전시물과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 전시물의 후면을 단순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 경우 가급적 베이스판(100)의 폭은 전시물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시물을 캘린더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면 상측부위에는 전시물의 상측부위를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시물 고정부(1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전시물 고정부(110)는 복수개의 돌기 형태로서 베이스판(100)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간격을 형성하며 나란히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전시물 고정부(110)는 베이스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볼트(111)와 캡(112) 구조로서 별도로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판(100)의 상측부위에는 폭방향으로 나란히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구멍(101)이 형성되며, 베이스판(100)의 후방으로부터 볼트(111)가 관통구멍(101)을 관통하여 베이스판(100)의 전면부위로 돌출된다.
이때, 볼트(111)의 머리부위는 관통구멍(10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베이스판(100)의 전면부위로 이탈이 되지 않고 걸리게 된다.
베이스판(100)의 전면부위로 돌출된 볼트(111)의 앞부분에는 캡(112)이 체결되는데, 상기 캡(112)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111)와 나사결합되며, 이러한 캡(112)은 그 외측이 둥근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베이스판(100)의 상단에는 덮개(120)가 힌지(130,131)에 의해 결합되어 베이스판(1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시물 고정부(110)가 형성된 부위를 개폐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시물 고정부(110)는 가급적 베이스판(1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상기 덮개(120)는 그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덮개(120)가 덮였을 때 전시물 고정부(110)와 마주보는 내측으로는 전시물 고정부(110)와 대응된 동일한 위치와 갯수로 삽입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자석(122)이 각각 삽입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캡(112)이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자석(122)에 부착되어 일정한 힘을 가한 경우에만 덮개(120)가 열리게 되며, 자석(122)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캡(112)이 삽입공(121)에 압입되도록 수용되어 덮개(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도 있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판(100)의 상측 후면에는 벽에 걸 수 있도록 걸이구(140)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전시물이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전시물(150)인 캘린더의 상측부위에도 전시물 고정부(110)와 동일한 위치와 갯수로 구멍(151)이 형성되어 전시물 고정부(110)에 끼워지며, 도3과 같이 덮개(120)가 덮인 경우 상측부위가 가려지므로 외관상 매우 깔끔해진다.
도4는 전시물(150)인 캘린더가 장착되어 덮개(120)가 덮여진 상태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와 같이 덮개(120)가 덮여진 경우에 캡(112)의 외측으로 전시물(150)이 끼워져 장착되고, 캡(112)의 상측부위는 삽입공(121)에 삽입되어 자석(122)과 결합된다.
물론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석(122)이 없는 경우에는 삽입공(121)에 캡(112)이 꽉 끼도록 압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덮개(120)가 쉽게 열리지 않으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힌지(1310,131)는 베이스판(100)의 상측 후면부와 덮개(120)의 후면부 사이에서 위치하여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젖혀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시물(150)인 캘린더를 교체하거나 일부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덮개(120)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b)와 같이 개방시킨 다음 전시물(150)을 캡(112)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시물(150)은 전혀 손상이 가해지지 않고,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전시물 고정부(110)가 형성된 부위는 덮개(120)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관상 보기에도 매우 좋은 형태이다.
아울러 베이스판(100)과 덮개(120)를 질감이 좋은 목재, 금속, 합성수지재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매우 고급화되어 전시물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판 101 : 관통구멍
110 : 전시물 고정부 111 : 볼트
112 : 캡 120 : 덮개
121 : 삽입공 122 : 자석
130,131 : 힌지 140 : 걸이구
150 : 전시물

Claims (4)

  1. 전시물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 상측부위에서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고정 형성되어 전시물의 상측부위가 끼워지도록 하는 금속제의 전시물 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서 힌지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전방에 위치할 때 상기 전시물 고정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전시물 고정부의 상측부위를 수용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삽입공에 자석이 삽입되어 고정된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걸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부위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시물 고정부는 볼트와 캡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베이스판의 후방으로부터 관통구멍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볼트에는 캡이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걸이장치.
  4. 삭제
KR1020110038797A 2011-04-26 2011-04-26 전시물 걸이장치 KR10109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797A KR101096003B1 (ko) 2011-04-26 2011-04-26 전시물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797A KR101096003B1 (ko) 2011-04-26 2011-04-26 전시물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003B1 true KR101096003B1 (ko) 2011-12-19

Family

ID=4550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797A KR101096003B1 (ko) 2011-04-26 2011-04-26 전시물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98B1 (ko) * 2020-10-23 2022-02-07 김지수 게시가 용이한 게시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08Y1 (ko) 2001-03-06 2001-10-18 최창영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08Y1 (ko) 2001-03-06 2001-10-18 최창영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98B1 (ko) * 2020-10-23 2022-02-07 김지수 게시가 용이한 게시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3364B2 (en) Frame for graphic images
US8708302B2 (en) Wall calendar holder apparatus
KR101096003B1 (ko) 전시물 걸이장치
US20070256343A1 (en) Frame for holding pictures or prints
JP5024602B2 (ja) フォトフレーム
KR101284254B1 (ko) 다용도 거치대
KR200471250Y1 (ko)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0437482Y1 (ko) 액자형 틀체
US6189250B1 (en) Magnetic picture display device
KR101116913B1 (ko) 액자 고정구
US20100192429A1 (en) Display device
US20190129191A1 (en) Lenticular 3D Display
US3871121A (en) Picture frame
US1358916A (en) Picture-mounting
EP2989626A1 (en) Quick attach information element to be connected on a graphic surface
KR101062903B1 (ko) 다양한 두께의 판재를 지지하는 광고용 프레임
EP3736795A1 (en) Presentation frame
KR101206955B1 (ko) 배너 스탠드
KR100693763B1 (ko) 포스터 홀더 장치
JP3184047U (ja) パチンコ設備の欄間、島上照明及びサインケース
KR200462049Y1 (ko) 개폐가 용이한 광고판
JP3121484U (ja) 掲示用フレーム
JP3044063U (ja) Cdケース展示枠
JP3179948U (ja) パネル
JP2012249795A (ja) スケッチブック用額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