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482Y1 - 액자형 틀체 - Google Patents

액자형 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482Y1
KR200437482Y1 KR2020060030078U KR20060030078U KR200437482Y1 KR 200437482 Y1 KR200437482 Y1 KR 200437482Y1 KR 2020060030078 U KR2020060030078 U KR 2020060030078U KR 20060030078 U KR20060030078 U KR 20060030078U KR 200437482 Y1 KR200437482 Y1 KR 200437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corative member
front frame
groov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숙
윤현중
Original Assignee
오현숙
윤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숙, 윤현중 filed Critical 오현숙
Priority to KR2020060030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4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틀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부재가 삽입되는 별도의 삽입부를 요입 형성하되, 상기 삽입부의 양측 내면에 각각 일정길이로 요입된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부재의 후면 양측단에 상기 요입홈에 요입되는 보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장식부재가 상기 보조부재에 도포된 접착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어 장식부재가 전면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끼움방식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액자형 틀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일측에 회전요입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부(12)를 갖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요입홈(11)에 끼워지는 회전부(21)가 후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요입홈(22)이 각각 형성된 삽입부(23)가 전면에 형성된 전면프레임(20)과;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삽입되어 상기 요입홈(22)에 요입되어 후면에 도포된 제2접착제(40)에 의해 상기 요입홈(22)에 부착되는 보조부재(31)와;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후면부가 끼워져 상기 보조부재(31)의 전면에 도포된 제1접착제(32)에 의해 후면이 부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는 장식부재(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액자형 틀체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부재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에 요입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에 도포된 접착부재에 의해 후면부가 부착되는 장식부재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견고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식부재와 전면프레임과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또한, 간단히 끼우는 방식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결합하도록 하여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액자, 사진액자, 그림액자, 광고지액자, 액자프레임, 액자틀

Description

액자형 틀체{PICTURE FRAME TYPE FRAME}
도 1은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에 의해 구성되는 액자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프레임 11 : 회전요입홈
12 : 끼움부 20 : 전면프레임
21 : 회전부 22 : 요입홈
23 : 삽입부 24 : 호형부
25 : 돌기 26 : 체결돌기
30 : 장식부재 31 : 보조부재
32 : 제1접착부재 33 : 끼움홈
40 : 제2접착부재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회사광고 등을 벽면에 걸어 사용하는 액자형 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및 좌/우 프레임의 전면에 합성수지 또는 목재로 형성된 장식부재를 체결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면 내측에 삽입부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부의 양측단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에 끼워지는 보조부재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장식부재가 프레임의 전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액자형 틀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자의 경우 내부에 구비된 사진이나 그림 또는 광고이미지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액자 후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나사 또는 체결구 등을 해체한 다음 후면의 받침판을 제거하여 내용물을 교체하고 다시 받침판을 안착시켜 나사 또는 체결구를 재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 액자의 내용물 교체 작업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자주 교체하는 경우에는 나사 또는 체결구 및 액자의 프레임이 손상되어 액자를 사용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 액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액자의 전면프레임이 개폐되는 방식의 액자 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에는 돌기와 홈 등을 이용한 결합방식, 자석을 이용한 개폐방식, 압축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원터치 개폐방식 및
판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 등이 있다.
즉, 액자틀의 전면이 개폐되는 전면개폐식 액자틀은, 밑판의 가로 및 세로와 결합되어 틀을 만드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개폐시 동작하는 가로 및 세로의 전면프레임과 ⊃모양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면프레임을 열고, 고정프레임과 전면프레임 사이에 내용물을 끼운 후, 전면프레임을 닫으면, 고정프레임과 전면프레임간의 결속력으로 인해 내용물이 고정됨으로써, 사진이나 그림 또는 광고 이미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전면 개폐식 액자틀의 경우 액자틀 전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프레임의 전면부에 별도의 장식부재를 몰딩하여 더 구성하는 바, 이와 같이 프레임의 전면부에 구성된 장식부재와 프레임의 전면부와의 결합력이 크게 떨어짐으로써 장식부재가 프레임의 전면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프레임의 전면부로부터 떨어지는 장식부재에 의해 액자틀 전체의 외관에 치명적인 해를 가하게 됨으로써 부득이하게 새로운 액자틀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떨어진 장식부재를 프레임의 전면부에 접합본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여 재사용하기 때문에, 액자틀을 새로 구입하는데에 드는 비용부담이 야기되고 장식부재를 재부착하는데에 드는 시간 및 한번 떨어진 장식부재가 프레임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반복적으로 장식부재가 액자틀의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전면 개폐식 액자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347146호인 프레임 개폐식 액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그 등록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후방에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전방에 인쇄물과 받침판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고 정프레임과, 일단에 상기 회전돌기와 힌지 결합되는 만곡부, 상기 만곡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인쇄물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만곡부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로 이루어지는 전면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전면프레임 스프링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며, 중간에 상기 전면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지지부를 가압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자틀을 구성하는 전면 프레임이 개폐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진이나 그림 또는 회사의 광고성 이미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부에 구성되는 별도의 장식부재가 전면프레임의 전면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면프레임이 개폐되는 개폐식 액자틀 이외에 기존 사용되고 있는 액자틀 역시 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부재를 구비함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액자틀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자틀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부재가 삽입되는 별도의 삽입부를 요입형성하되, 상기 삽입부의 양측 내면에 각각 일정길이로 요입된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에 삽입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의 양면에 각각 도포되는 제1접착부재 및 제2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가 전면프레임의 요입홈에 견고하게 부착됨은 물론 장식부재의 후면부가 상기 보조부재에 도포된 접착부재에 의해 견고하 게 부착 고정됨으로써 장식부재가 전면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끼움방식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액자형 틀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일측에 회전요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부를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요입홈에 끼워지는 회전부가 후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요입홈이 각각 형성된 삽입부가 전면에 형성된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요입홈에 요입되어 후면에 도포된 제2접착제에 의해 상기 요입홈에 부착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에 후면부가 끼워져 상기 보조부재의 전면에 도포된 제1접착제에 의해 후면이 부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에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는 장식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면 일측에는 전면프레임의 미려한 외관을 위해 굴곡진 호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 내면에는 호형의 돌기가 더 돌설되고 상기 장식부재의 후면부에는 상기 돌기에 삽입되는 호형의 끼움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 양단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장식부재의 후면부 양측단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더 돌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액자형 틀체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부재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에 요입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에 도포된 접착부재에 의해 후면부가 부착되는 장식부재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식부재와 전면프레임과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또한, 간단히 끼우는 방식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결합하도록 하여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사진이나 그림 및 회사의 광고지를 보관하여 벽에 거는 모든 액자형 틀체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면프레임이 개폐가 용이한 전면개폐식 액자형 틀체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에 의해 구성되는 액자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액 자형 틀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일측에 회전요입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부(12)를 갖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요입홈(11)에 끼워지는 회전부(21)가 후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요입홈(22)이 각각 형성된 삽입부(23)가 전면에 형성된 전면프레임(20)과,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삽입되어 상기 요입홈(22)에 요입되어 후면에 도포된 제2접착제(40)에 의해 상기 요입홈(22)에 부착되는 보조부재(31)와,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후면부가 끼워져 상기 보조부재(31)의 전면에 도포된 제1접착제(32)에 의해 후면이 부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는 장식부재(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전면 일측에는 전면프레임(20)의 미려한 외관을 위해 굴곡진 호형부(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부(12)에는 사진이나 거울, 또는 그림, 광고성 이미지가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전면프레임(2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요입홈(11)에 끼워진 상기 전면프레임(20)의 회전부(21)에 의해 전면프레임(21)의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회전요입홈(11)에 끼워진 회전부(21)를 축으로 하여 외측방향으로 힌지회동됨으로써 내부 즉,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끼움부(12)에 끼워지는 사진이나 그림 또는 회사의 광고지 등의 교체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전면에 결합되는 장식부재(30)가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부(23)에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3)의 내면 양측에 각각 요입된 요입홈(22)(22)들에 끼워진 상기 보조부재(31)의 일면과 제1접착부재(32)에 의해 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써 장식부재(30)가 전면프레임(20)으로부터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장식부재(30)를 결합함에 있어서, 장방형의 보조부재(31)를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 양측단에 형성된 요입홈(22)에 먼저 삽입하되, 상기 보조부재(31)의 후면에 제2접착부재(40)를 도포하여 상기 보조부재(31)가 상기 삽입부(23)의 일면과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보조부재(31)의 전면에 제1접착부재(32)를 도포하여 상기 장식부재(30)의 후면부를 상기 제1접착부재(32)가 도포된 보조부재(31)의 전면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장식부재(30)를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견고하게 삽입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장식부재(30)가 전면프레임(20)으로부터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전체 외관에 해를 가하거나 하지 않는다.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상기 장식부재(30)를 체결하는 방법은,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삽입하거나 또는 기타의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액자형 틀체는,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전면 일측에는 전면프레임(20)의 미려한 외관을 위해 굴곡진 호형부(24)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면프레임(20)의 전면부가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어 보관되는 사진이나 그림 또는 광고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상기 장식부재(30)는 합성수지재질이거나 또는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식부재(30)의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으로써 보관되는 사진이나 그림 또는 회사의 광고지 등이 더욱 미려하게 부각될 수 있어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미려하고 깔끔한 분위기를 얻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 내면에는 호형의 돌기(25)가 더 돌설되고 상기 장식부재(30)의 후면부에는 상기 돌기(25)에 삽입되는 호형의 끼움홈(32)이 더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 양단에는 상기 삽입부(23)에 삽입되는 장식부재(30)의 후면부 양측단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6)가 더 돌설된다.
이와 같이 호형의 돌기(25)와 체결돌기(26)에 의해 장식부재(30)와 전면프레임(20)과의 체결력과 결합력이 더욱 강화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액자형 틀체에 의하면, 액자형 틀체를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의 전면에 장식부재를 결합함에 있어,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입부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에 요입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보조부재에 도포된 접착부재에 의해 후면부가 부착되는 장식부재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견고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식부재와 전면프레임과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또한, 간단히 끼우는 방식에 의해 장식부재를 전면프레임에 결합하도록 하여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일측에 회전요입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부(12)를 갖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요입홈(11)에 끼워지는 회전부(21)가 후면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요입홈(22)이 각각 형성된 삽입부(23)가 전면에 형성된 전면프레임(20)과;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삽입되어 상기 요입홈(22)에 요입되어 후면에 도포된 제2접착제(40)에 의해 상기 요입홈(22)에 부착되는 보조부재(31)와;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후면부가 끼워져 상기 보조부재(31)의 전면에 도포된 제1접착제(32)에 의해 후면이 부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는 장식부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틀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전면 일측에는 전면프레임(20)의 미려한 외관을 위해 굴곡진 호형부(24)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틀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30)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틀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30)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틀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 내면에는 호형의 돌기(25)가 더 돌설되고 상기 장식부재(30)의 후면부에는 상기 돌기(25)에 삽입되는 호형의 끼움홈(32)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틀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20)의 삽입부(23) 양단에는 상기 삽입부(23)에 삽입되는 장식부재(30)의 후면부 양측단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6)가 더 돌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틀체.
KR2020060030078U 2006-11-21 2006-11-21 액자형 틀체 KR200437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78U KR200437482Y1 (ko) 2006-11-21 2006-11-21 액자형 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78U KR200437482Y1 (ko) 2006-11-21 2006-11-21 액자형 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482Y1 true KR200437482Y1 (ko) 2007-12-04

Family

ID=4163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78U KR200437482Y1 (ko) 2006-11-21 2006-11-21 액자형 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4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2677A1 (en) * 2012-03-21 2013-09-26 Marketing Displays, Inc. Display frame with inserts
KR101770169B1 (ko) * 2015-07-09 2017-08-22 알리다그룹 주식회사 간판용 프레임
KR101770168B1 (ko) * 2015-07-09 2017-08-22 알리다그룹 주식회사 간판용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2677A1 (en) * 2012-03-21 2013-09-26 Marketing Displays, Inc. Display frame with inserts
KR101770169B1 (ko) * 2015-07-09 2017-08-22 알리다그룹 주식회사 간판용 프레임
KR101770168B1 (ko) * 2015-07-09 2017-08-22 알리다그룹 주식회사 간판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656B2 (en) Frame system for object display
US20090229157A1 (en) Decorative frame assembly and method
JPH04221515A (ja) ポスター類用の額縁
KR200437482Y1 (ko) 액자형 틀체
KR20050117623A (ko) 프레임 개폐식 액자
US20110239511A1 (en) Picture frame
KR200439263Y1 (ko) 액자형 틀체
KR200483334Y1 (ko) 슬라이드식 사진체결구조를 갖는 액자
KR200270217Y1 (ko)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KR101099323B1 (ko) 게시물 홀더
KR200462829Y1 (ko) 전면개폐식 게시판
US20060169692A1 (en) Frame lid and container assembly with frame lid
KR102564109B1 (ko) 자석을 이용한 부착식 액자
KR20110007180U (ko) 전면 개방형 사진액자틀
KR200245967Y1 (ko) 액자
KR200280538Y1 (ko) 액자
KR20100012760U (ko) 광고용 라이트 패널의 전면 개폐형 프레임
KR20180128764A (ko) 액자
KR101096003B1 (ko) 전시물 걸이장치
EP3736795A1 (en) Presentation frame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100486606B1 (ko) 사물함의 도어
KR200483866Y1 (ko) 집게형 액자
JP3214473U (ja) ブック型容器
NL1004505C1 (nl) Inrichting voor het opbergen en tentoonstellen van vlakke materia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