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50Y1 -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 Google Patents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50Y1
KR200471250Y1 KR2020130001227U KR20130001227U KR200471250Y1 KR 200471250 Y1 KR200471250 Y1 KR 200471250Y1 KR 2020130001227 U KR2020130001227 U KR 2020130001227U KR 20130001227 U KR20130001227 U KR 20130001227U KR 200471250 Y1 KR200471250 Y1 KR 200471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portion
elastic body
frame
clos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이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4198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125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희 filed Critical 이창희
Priority to KR2020130001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47G1/0611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the profiles having clamping action; Elongated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상판부(122)를 구비하는 베이스(12)와, 커버 측판부(142) 및 커버 상판부(1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14)와,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커버(14)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6)를 포함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이 개시되며, 이 액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22)의 상면에는 하부의 축뭉치(123s)와 상부의 규제뭉치(123r)를 일체로 포함하는 후방 리브(123)가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측판부(142)의 내측면에는 상부 축홈 돌기(142U)와 하부 축홈 돌기(142L) 사이에 한정된 축홈(142S)과 상기 상부 축홈 돌기(142U)와 상기 커버 상판부(144) 사이에 한정된 규제홈(142R)이 형성되며, 상기 축뭉치(123s)는 상기 축홈(142S)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커버(14)가 닫힘 상태와 회전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규제홈(142R)에 상기 규제뭉치(123r)가 끼워져서, 상기 커버(14)의 움직임을 정위치에서 규제한다.

Description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COVER ROTATION TYPE FRAME}
본 고안은 광고물 또는 사진 등의 디스플레이 시트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게시하는데 이용되는 액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디스플레이 시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커버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 시트를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한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광고물, 홍보물 또는 사진 등과 같은 각종 콘텐츠를 게시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백라이트 유닛의 존재 여부에 따라 조명형 패널과 비조명형 패널로 분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양면형 패널과 일면형 패널로 분류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트(2)가 사각 액자 프레임(1) 내에 유지된다. 디스플레이 시트(2)가 전방으로 그대로 노출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시트(2)를 보호하도록, 아크릴과 같은 투광성 플레이트가 사각 액자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된 채 디스플레이 시트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조명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는, 광원, 바람직하게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디스플레이 시트(2)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시트를 조명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엘이디와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각 액자 프레임(1)은 4개의 바(bar)형 액자 프레임을 결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직각으로 연결되는 바(bar)형 액자 프레임들 각각은 단부에 대략 45도의 경사면을 가져 경사면끼리 맞대어져 결합된다. 경사면을 이용한 결합 대신, 중간 연결부재를 이용한 결합도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트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는데, 교체를 위해서는, 사각 액자 프레임(1)을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액자 프레임을 베이스와 커버를 조립하여 구성하되, 커버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되게 하고, 커버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 시트를 쉽게 분리하도록 하는 다양하고 많은 기술들 채택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에 있어서, 액자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시트, 더 나아가서는, 디스플레이 시트와 투광성 플레이트를 유지하는 닫힌 상태에서 커버가 정위치에 놓이기 힘들고 또한 커버의 흔들림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베이스에 대하여 커버를 회전시킬 때, 커버 및 그 커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등 탄성체가 원치 않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버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액자 프레임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정 위치에 놓여 디스플레이 시트를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고, 커버 회전 과정에서 베이스로부터 커버가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라, 상판부(122)를 구비하는 베이스(12)와, 커버 측판부(142) 및 커버 상판부(1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14)와,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커버(14)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6)를 포함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액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22)의 상면에는 하부의 축뭉치(123s)와 상부의 규제뭉치(123r)를 일체로 포함하는 후방 리브(123)가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측판부(142)의 내측면에는 상부 축홈 돌기(142U)와 하부 축홈 돌기(142L) 사이에 한정된 축홈(142S)과 상기 상부 축홈 돌기(142U)와 상기 커버 상판부(144) 사이에 한정된 규제홈(142R)이 형성되며, 상기 축뭉치(123s)는 상기 축홈(142S)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커버(14)가 닫힘 상태와 회전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규제홈(142R)에 상기 규제뭉치(123r)가 끼워져서, 상기 커버(14)의 움직임을 정위치에서 규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후방 리브(123)는, 탄성체 유지홈(123g)이 형성된 탄성체 지지판부(123p)를 상단에 포함하고, 상기 축뭉치(123s)와 상기 규제뭉치(123r)는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후방의 하부와 상부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는 하향 리브(144L)가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 모두에서, 상기 탄성체(16)의 일단은 상기 탄성체 유지홈(123g)에 끼워진 채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체(16)의 타단은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 면대면으로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후방 리브(123)는, 폭 중간에 탄성체 유지홈(123g)이 형성된 탄성체 지지판부(123p)를 상단에 포함하고,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는 하향 리브(144L)가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체(16)는 철선을 삼각형 형태로 구부려 형성하여 하변부(162)와 상기 하변부(162)와 대향하는 열린 꼭지부(164)를 포함하는 삼각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 모두에서, 상기 탄성체(16)의 하변부(162)는 상기 탄성체 유지홈(123g)에 끼워진 채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체(16)의 열린 꼭지부(164)는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 면대면으로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판부(122)의 상면에는 전방 리브(124)와 중간 리브(125)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중간 리브(125)와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되어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전방 리브(123)의 단부와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단부가 서로 대향하면서 인접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은, 커버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정 위치에 놓여 디스플레이 시트 등을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고, 커버 회전 과정에서 베이스로부터 커버가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 일부를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 일부를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 일부를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의 일부를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며,
도 7은 액자 프레임이 적용된 통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 일부를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 일부를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 일부를 커버 닫힘 열림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의 일부를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10)은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1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커버(14) 사이에는 탄성체(16)가 개재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액자 프레임(10)은 바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바(bar) 형태를 갖는 액자 프레임(10)이 4개가 모여 하나의 사각형 액자 프레임(1; 도 6 참조)을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커버(14) 각각은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판부(122)와 상기 상판부(1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블록(126)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블록(126)은, 후방벽이 상기 상판부(122)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고 전방벽이 상기 상판부(122)의 중간으로부터 아래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상판부(122)의 아래 그리고 상기 전방벽의 전방에는 리세스(127)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블록(126)은 상기 상판부(122)의 아래에서 전방의 리세스(127)와 인접해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 조립시, 상기 리세스(127)에는 백라이트유닛의 광원, 바람직하게는, 엘이디와, 백라이트유닛의 도광판 일부가 놓인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126)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백보드가 수평으로 안착되는 백보드 안착홈(126g)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부(122)의 상면에는 후방 리브(123)와 전방 리브(124)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리브(123)와 상기 전방 리브(124) 사이의 중간 임의의 위치에는 중간 리브(125)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후방 리브(123)는, 탄성체 유지홈(123g)이 형성된 탄성체 지지판부(123p)를 상단에 포함하는 한편,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후방의 하부와 상부로 각각 연장된 축뭉치(123s) 및 규제뭉치(123r)를 일체로 포함한다.
한편 상기 커버(14)는 커버 측판부(142) 및 이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 커버 상판부(144)를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는 하향 리브(144L)가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로 수직 연장되며, 상기 커버 측판부(142)의 내측면에는 상부 축홈 돌기(142U)와 하부 축홈 돌기(142L) 및 이들 사이에 한정된 부분 원형(또는, 원호형)의 축홈(142S)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측판부(142)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축홈 돌기(142U)와 상기 커버 상판부(142)의 내측면 사이로 규제홈(142R)이 한정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14)가 상기 베이스(12)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2)의 축뭉치(123s)가 상기 커버(14)의 축홈(142S)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축뭉치(123s)와 상기 축홈(142S)은 상기 커버(14)의 회전 및 그에 따른 상기 커버(14)의 닫힘 및 열림을 허용하는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버 닫힘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커버 열림 상태로 상기 커버(14)가 상기 베이스(1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커버 열림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버 닫힘 상태로 상기 커버(14)가 상기 베이스(1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6)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철선을 삼각형 형태로 구부려 형성된 삼각형 스프링으로서, 하변부(162)와 상기 하변부(162)와 대향하는 열린 꼭지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16)는 각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닫힘 위치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열림 위치 모두에서 상기 베이스(12)의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 및 상기 커버(14)의 하향 리브(144L) 내측면 사이에 접하여 개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체(16)의 하변부(162)는 탄성체 유지홈(123g)에 끼워진 채로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체(16)의 열린 꼭지부(164)는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내측면에 접한다. 상기 커버(12)의 닫힘 상태와 상기 커버(14)의 열림 상태 사이에서, 상기 커버(14)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하변부(162)를 향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커버(14)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닫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2)의 전방 리브(124)와 상기 커버(14)의 하향 리브(144L)는 단부들끼리 인접하도록 마주하도록 놓이게 되고, 상기 베이스(12)의 규제뭉치(123L)는 상기 커버(14)의 규제홈(142R)에 거의 꼭 맞게 끼워져 상기 커버(14)의 움직임을 정위치로 규제 및 구속한다. 이때, 상기 하향 리브(144L)와 상기 전방 리브(124) 사이에 전방으로 개방된 객체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객체 삽입홈 내로 투광성 플레이트가 삽입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시트는 안쪽에서 투광성 플레이트와 면대면으로 인접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트가 객체 삽입홈 내에 삽입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광성 플레이트의 생략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즉, 하부면)에 면대면으로 밀착된 채 상기 커버 상판부(144)와 대략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2)의 후방 리브(123) 및 중간 리브(125)가 상기 탄성체(16)를 아래에서 위로 지지한다.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2)의 후방 리브(123) 및 중간 리브(125)와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가 닫힘 상태에서 회전하여 열림 상태 이전의 일정 각도(이하, "임계각도"라 함)에 이르기까지,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열림 회전력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하며, 상기 커버(14)가 임계 각도를 넘어섬과 동시에,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를 열림 상태까지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반대로, 상기 커버(14)가 열림 상태에서 회전하여 닫힘 상태 이전의 임계 각도에 이르기까지,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회전력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하며, 상기 커버(14)가 임계 각도를 넘어섬과 동시에,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를 닫힘 상태까지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닫힘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 상판부(142)에 수평으로 그리고 면대면으로 밀착되어 있었지만,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커버(14)의 하향 리브(144L)에 직접 접해 있는 열린 꼭지부(164)를 제외하면, 상기 커버 상판부(142)와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벌어져서, 열림 상태에서는,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14)를 지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열림 상태에서, 객체 삽입홈의 상부를 막고 있던 커버(14)가 회전 상승하여, 객체 삽입홈이 상측으로 열리므로, 객체 삽입홈에 끼워져 있던 투광성 플레이트 또는 디스플레이 시트를 쉽게 액자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베이스(12)의 규제뭉치(123r)가 상기 커버(14)의 규제홈(142R)에 끼워져 있었지만, 상기 커버(14)의 회전하여 열림으로써, 상기 규제뭉치(123r)는 상기 규제홈(142R)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또한 상기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체(16)의 상기 하변부(162)는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의 상면 폭 중앙에 길게 형성된 탄성체 유지홈(123g)에 끼워진 채로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체(16)가 커버(14)와 함께 회전하여 열리고 닫히는 동안, 상기 탄성체(16)의 하변부(162)는 항상 상기 탄성체 유지홈(123g) 내에서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의 폭 중간에 놓여 있다. 이는 상기 탄성체(16)가 회전하는 동안 이탈을 막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4)가 회전하여 탄성체(16)의 이탈이 가장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닫힘 상태와 가까워질 때는, 상기 커버 상판부(142)의 내측면과 상기 탄성체(16) 사이의 밀착 상태에 가까워지므로, 상기 탄성체(16)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닫힘 상태에서, 커버(14)와 베이스(12) 사이,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14)의 하향 리브(144L)와 상기 베이스(12)의 상판부(122) 측 전방 리브(124) 사이에 형성된 객체 삽입홈에 투광성 플레이트(T)가 삽입 유지되어 있고, 그 안쪽에는 상기 투광성 플레이트(T)와 인접하게 그리고 나란하게 이미지 또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트(S)가 유지되어 있으며, 베이스(12)의 하부블록(126) 옆 리세스(127)에는 백라이트유닛이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하부블록(126)에 설치되는 엘이디(L)와 상기 엘이디(L)를 광을 측면에서 받아 전방면으로 내보내는 도광판(G)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블록(126)의 하부에 형성된 백보드 안착홈(126g)에는 백보드(B)가 수평으로 안착 유지된 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을 커버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 프레임(1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액자 프레임(10)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2)의 상판부(122) 및 커버(14)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다만, 상기 베이스(12)의 상판부(122) 하측 구조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 또는 설치 조건 등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광고물, 홍보물 또는 사진 등 디스플레이 시트를 조명하는 조명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액자 프레임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백라이트 유닛이 생략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위에서는 일면으로 광고물, 홍보물 또는 사진 등이 개시되는 일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액자 프레임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지만, 양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액자 프레임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10: 액자 프레임 12: 베이스
14: 커버 16: 탄성체
122: 상판부 142: 커버 측판부
144: 커버 상판부 123s: 축뭉치
123r: 규제뭉치 142S: 축홈142R: 규제홈

Claims (5)

  1. 상판부(122)를 구비하는 베이스(12)와, 커버 측판부(142) 및 커버 상판부(1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버(14)와, 상기 베이스(12)와 상기 커버(14)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16)를 포함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으로서,
    상기 상판부(122)의 상면에는 하부의 축뭉치(123s)와 상부의 규제뭉치(123r)를 일체로 포함하는 후방 리브(123)가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측판부(142)의 내측면에는 상부 축홈 돌기(142U)와 하부 축홈 돌기(142L) 사이에 한정된 축홈(142S)과 상기 상부 축홈 돌기(142U)와 상기 커버 상판부(144) 사이에 한정된 규제홈(142R)이 형성되며,
    상기 축뭉치(123s)는 상기 축홈(142S)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커버(14)가 닫힘 상태와 회전 상태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규제홈(142R)에 상기 규제뭉치(123r)가 끼워져서, 상기 커버(14)의 움직임을 정위치에서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리브(123)는, 탄성체 유지홈(123g)이 형성된 탄성체 지지판부(123p)를 상단에 포함하고,
    상기 축뭉치(123s)와 상기 규제뭉치(123r)는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후방의 하부와 상부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는 하향 리브(144L)가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 모두에서, 상기 탄성체(16)의 일단은 상기 탄성체 유지홈(123g)에 끼워진 채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체(16)의 타단은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 면대면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리브(123)는, 폭 중간에 탄성체 유지홈(123g)이 형성된 탄성체 지지판부(123p)를 상단에 포함하고,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는 하향 리브(144L)가 일체로 형성되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체(16)는 철선을 삼각형 형태로 구부려 형성하여 하변부(162)와 상기 하변부(162)와 대향하는 열린 꼭지부(164)를 포함하는 삼각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 및 열림 상태 모두에서, 상기 탄성체(16)의 하변부(162)는 상기 탄성체 유지홈(123g)에 끼워진 채 상기 탄성체 지지판부(123p)에 접촉하고 상기 탄성체(16)의 열린 꼭지부(164)는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에 면대면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22)의 상면에는 전방 리브(124)와 중간 리브(125)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16)는,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중간 리브(125)와 상기 커버 상판부(144)의 내측면 사이에 밀착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14)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전방 리브(123)의 단부와 상기 하향 리브(144L)의 단부가 서로 대향하면서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20130001227U 2013-02-19 2013-02-19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0471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27U KR200471250Y1 (ko) 2013-02-19 2013-02-19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227U KR200471250Y1 (ko) 2013-02-19 2013-02-19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50Y1 true KR200471250Y1 (ko) 2014-02-24

Family

ID=5141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227U KR200471250Y1 (ko) 2013-02-19 2013-02-19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30A1 (ko)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휴데코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KR20220083050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예인방 엘이디 조명 거울
KR20220083048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예인방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 거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708Y1 (ko) 2002-09-10 2003-01-30 주식회사 서경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KR20070053588A (ko) * 2005-11-21 2007-05-25 민은홍 액자 프레임
KR20070098114A (ko) * 2006-03-31 2007-10-05 민은홍 액자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708Y1 (ko) 2002-09-10 2003-01-30 주식회사 서경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KR20070053588A (ko) * 2005-11-21 2007-05-25 민은홍 액자 프레임
KR20070098114A (ko) * 2006-03-31 2007-10-05 민은홍 액자 프레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30A1 (ko) * 2015-05-04 2016-11-10 주식회사휴데코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KR101735661B1 (ko) * 2015-05-04 2017-05-16 주식회사 휴데코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CN107427138A (zh) * 2015-05-04 2017-12-01 哈迪科有限责任公司 无干涉前面开闭型框架结构
CN107427138B (zh) * 2015-05-04 2018-11-06 哈迪科有限责任公司 无干涉前面开闭型框架结构
US10227816B2 (en) 2015-05-04 2019-03-12 Hudeco Co., Ltd. Structure of non-interference front-surface opening/closing-type frame
KR20220083050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예인방 엘이디 조명 거울
KR20220083048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예인방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 거울
KR102573851B1 (ko) * 2020-12-11 2023-09-01 주식회사 예인방 엘이디 조명 거울
KR102573848B1 (ko) * 2020-12-11 2023-09-01 주식회사 예인방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6792B2 (en) Picture frame assembly
KR200471250Y1 (ko)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US20160041420A1 (en) Display apparatus
KR200425280Y1 (ko) 전면개폐프레임
KR20160101397A (ko) 베젤면이 노출되지 않는 광고대
KR200477333Y1 (ko)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0475897Y1 (ko)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200483334Y1 (ko) 슬라이드식 사진체결구조를 갖는 액자
KR200437482Y1 (ko) 액자형 틀체
CN102402905A (zh) 一种led显示装置
KR20110007180U (ko) 전면 개방형 사진액자틀
KR20100012760U (ko) 광고용 라이트 패널의 전면 개폐형 프레임
CN202332121U (zh) 一种led显示装置
KR200432199Y1 (ko) 액자
CN103792698A (zh) 影像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101437062B1 (ko) 쇼케이스용 디스플레이패널 조립구조
CN213483326U (zh) 一种翻盖式广告灯箱
KR100693763B1 (ko) 포스터 홀더 장치
KR101096003B1 (ko) 전시물 걸이장치
KR102522389B1 (ko) 액자 프레임
KR20180001722U (ko) 전면 삽탈식 액자
KR200285355Y1 (ko) 사진교환이 편리한 자석을 이용한 액자
JP2010136312A (ja) 携帯電話機用拡大レンズ
JP2009210813A (ja) 表示装置
KR200439263Y1 (ko) 액자형 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828

Effective date: 2015042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522

Effective date: 201506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