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708Y1 -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708Y1
KR200302708Y1 KR20-2002-0027034U KR20020027034U KR200302708Y1 KR 200302708 Y1 KR200302708 Y1 KR 200302708Y1 KR 20020027034 U KR20020027034 U KR 20020027034U KR 200302708 Y1 KR200302708 Y1 KR 200302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closing
coupl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우종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경
Priority to KR20-2002-0027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전면개폐식 액자에 있어서 개폐 구조의 불편한 점과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고정프레임(10)과 가로 및 세로 전면 프레임(20)의 결합에 의한 액자의 개폐에 있어모양의 판스프링을 고정프레임(10) 내부공간에 삽입 구성하여 가로세로 전면프레임(20)의 지지력과 고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개폐 구조를 간소화하여 편리성을 높인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The open-and-shut form of in the front opening and shutting frame}
본 고안은 전면개폐식액자에 있어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구성되는 전면 가로세로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모양의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속력과 편리성을 높인 액자에 관한 것이다.
전면개폐액자에 관하여 본 출원인도 다수의 관련기술을 출원한 바가 있으며, 출원중인 기술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2001-0035212호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과 가로세로 전면 프레임의 체결에 있어 고정연결부(B)는 인입유도홈(2c)쪽으로 휘어지게 이루어진 회전지지구(2b)와 아래부분으로 인입축(1c)이 순조롭게 인입되어 마지막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U형의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인입유도홈(2c)으로 구성하여 연결부위의 체결을 간단히 한 것이고,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04221호(자석을 이용한 접철식 액자)는 전면프레임(1a)과 고정프레임을 구성하여 고정프레임과 전면프레임과는 회전돌편과 회전홈을 구성하여 고정하고 전면프레임을 열때에 회전돌편 밑에 구성된 고정클립편이 고정프레임의 고정대에 끼워져 열림상태를 유지시키는 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닫침 시 내용물 지지력은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내설된 자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특허는 회전돌편과 고정클립편을 2중 구성하여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론상의 이중구성으로 인한 착탈이 본 고안 제품의 현실화 시에는 이루어지지 않아 보다 단순화하여 구성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자력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고무자석 등을 이용할 시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열리는 등 내용물 지지력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4465호(접철식 일체형 액자)는 전면프레임을 일체화하여 일측으로 고정프레임과 경첩으로 연결하고 타측으로 걸림편과 고정핀으로 고정하고 스프링을 내설하여 버튼식으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또한 내용물 지지력이 부족하고, 열림 시 내용물 통제가 불가능하였다.
탄지편을 이용한 기존의 구성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실2000-0017374호는 액자의 프레임을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으로 각각 구성하고, 후면 프레임에 돌기를 형성하여 전면프레임의 삽입홈으로 끼워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고정프레임에 지지홈을 구성하여 그사이에 탄지편을 끼워 넣어 내용물의 지지와 고정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실용신안은 전면프레임이 가로와 세로로 완전 개폐되어 액자가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용물을 교환할 시 통제하기가 곤란하였으며, 탄지편의 탄성이 동일하지 않고 그 길이와 굵기에 따라 고정력이 다르며 통상적으로 지지력이 강하여 어린아이 또는 노약자가 등이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흠이 있었다. 이러한 사용상의 어려움으로 해결하고자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6880호(전면접철식액자)과 20-0204221호(자석을 이용한 접철식 액자), 20-0224465호(접철식 일체형 액자)가 고안되었는데,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26880호(전면접철식액자)는 경첩을 이용하여 전면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을 연결하고 내용물의 고정력은 착탈홈과 착탈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 실용신안은 개폐가 기존의 실용신안과 비교하여 볼 때 보다 용이한 개폐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내용물을 고정시킴에 있어 압력이 강하지 못하여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전면개폐형 액자의 체결구조에 있어서는 항시 기술적인 논점이 되어지고 있는데 이처럼 갈수록 여러 가지 복잡 다양해지고 있는 체결 유형에 있어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최대의 결합력을 가질 수 있는 전면 개폐형의 액자프레임의 연결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밑판(30)과 고정프레임(10)과 가로 및 세로 전면프레임(20)으로 대분 구성되어지는 전면개폐형 액자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에 구성된 결합돌기와 전면프레임(20)의 결합홈부(h)와의 결합에 있어 고정프레임(10) 내부에서 전면프레임(20)의 결합홈부(h)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모양의 판스프링(s)을 설치하여 개폐시의 고정성과 지지력을 높이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서 고안하였다.
도 1은 기존에 있어서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개폐과정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개폐과정도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개폐과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 : 고정프레임 20 : 전면프레임 30 : 밑판
h : 결합홈부 1h : 결합홈 t : 결합돌기
10a : 판스프링고정돌기 s : 판스프링 2h,3h : 유선홈
t2 : 볼록돌기
도 1은 기존에 있어서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개폐과정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개폐과정도이며, 도 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개폐과정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대분하여 보면 밑판의 가로세로와 결합되어 틀을 만드는 고정프레임(10)과 고정프레임과 결합하여 개폐 시 동작하는 가로 및 세로의 전면프레임(20)과모양의 판스프링(s)으로 구성된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30)과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0)은 전면프레임(20)의 결합홈부(h)가 끼워져 개폐 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t)가 고정프레임(10)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로 부터 연결되어 구성되고, 결합돌기(t)가 구성되는 고정프레임(10)의 내측으로는 개폐 시 결합홈부(h)만 인입될 수 있는 크기의 입구공간 만이 개방되는 공간(100)이 구성되어 진다. 공간내부(100)에는 하측부(s1)가 길고 상측부(s2)가 짧게 구성되는모양의 판스프링(s)이 수평 또는 수직 고정될 수 있도록, 판스프링의 밑면(s1)과 같은 길이로 공간(100)의 밑면과 측면 구성되는데, 판스프링(s)의 위치는 고정프레임(10)에 연결구성되는 결합돌기(t)의 구성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는데, 결합돌기(t)가 고정프레임(10)의 상측에 연결구성 될 때에는 고정프레임(10)의 내부공간(100)의 하측으로 스프링고정홈(10a)을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밑면(s1)의 일측을 끼워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결합돌기(t)가 고정프레임(10)의 하측에 연결구성 될 때에는 내부공간(100)의 대응하는 측면부 상측에 스프링고정홈(10a)을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밑면(s1)의 일측을 끼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즉, 결합돌기(t)의 구성 위치에 따라 스프링(s) 내측공간(100)의 측면부 또는 밑면부에 스프링고정홈(10a)을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밑면(s1)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가로 및 세로의 전면프레임(20)의 결합홈부(h)는 고정프레임(10)의 원형의 결합돌기(t)가 삽입되어 개폐 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홈(h1)이 구성되고, 개폐 시 전면프레임의 결합부(h)와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인 판스프링의 상측부(s3)가 일탈하지 않고 용이하게 전면프레임의 결합부(h)에 지지력을 줄 수 있도록 유선형의 홈(h2, h3)을 결합부(h)에 구성하여 둔다. 그리고 두 홈사이는 약간의 볼록돌기(t2)로 구분을 주어 개폐 시 달라지는 압력으로 개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프레임(10)의 내부에 고정 구성되어지는모양의 판스프링은 상부(s3)보다 긴 하부(s1)로 구성되고 상부와는 타원(s3)으로 연결되어 판스프링의 밑면 하부(s1)의 끝부분의 일측이 고정프레임(10)의 결합돌기(t)의 위치에 따라 내부공간(100)에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고정홈(10a)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대분 구성되는 본 고안 전면개폐식액자에 있어서 도 4,5,6을 참고하여 전면개폐식 액자의 개폐구조에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프레임(20)이 닫혀 있을 경우는 판스프링의 상측부(s3)는 전면프레임(20)의 결합부(h)의 일측에 구성된 유선홈(3h)을 지지하는 압력을 주게되고, 완전 개방 시에는 결합부(h)의 다른 한측에 구성된 유선홈(2h)과 대응하여 지지하는 압력을 주어 고정력을 가진다. 개폐운전 시에는 결합부(h)의 유선홈(2h,3h) 사이에 구성된 볼록돌기(t2)를 지나게 되어있어 판스프링의 상측부(s3)와의 마찰력이 순간 강하게되고 판스프링의 상측부(s3)를 벗어나면 처음과 같은 일정 압력을 받으며 고정프레임(10)과 전면프레임(20)과의 결속상태가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를 통하여 기존의 전면개폐형 액자보다 간단한 체결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낮추어 기존의 전면개폐식액자의 단점인 고가의 가격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공급자 및 수요자에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으며, 단순화된 구성으로 고장이 적으면서도 개폐력을 대폭 향상시킨 전면개폐식 액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6)

  1. 고정프레임(10)과 전면프레임(20)으로 통상 구성된 전면개폐식액자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의 결합돌기(t)와 전면프레임(20) 결합부(h)의 결합홈(1h)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돌기(t)가 구성되는 고정프레임(10)의 내측 내부공간(100)에모양의 판스프링(s)을 구성하여 개폐 시 결합부(h)에 지속적인 압력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의 내부공간(100)은 결합부(h)가 인입될 수 있는 입구를 가진 막힌 구조로서, 공간의 일측에 판스프링의 하측부(s1)의 일측이 인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10a)이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3. 제 1, 2 항에 있어서,
    판스프링(s)은 상부와 하부가 일측으로 연결되어모양처럼 한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측부(s1)가 길고 상측부가(s3)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돌기(t)는 고정프레임(10)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구성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돌기(t)는 고정프레임(10)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구성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부(h)는 외측으로 스프링(s)과 접하는 유선홈(2h,3h)과 그사이에 볼록돌기(t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KR20-2002-0027034U 2002-09-10 2002-09-10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KR200302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34U KR200302708Y1 (ko) 2002-09-10 2002-09-10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34U KR200302708Y1 (ko) 2002-09-10 2002-09-10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708Y1 true KR200302708Y1 (ko) 2003-01-30

Family

ID=4939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34U KR200302708Y1 (ko) 2002-09-10 2002-09-10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7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026B1 (ko) * 2008-08-25 2010-11-09 (주)자연과디자인 회전형입체게시대용 모듈박스
KR200471250Y1 (ko) 2013-02-19 2014-02-24 이창희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102522389B1 (ko) * 2022-05-04 2023-04-17 서성원 액자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026B1 (ko) * 2008-08-25 2010-11-09 (주)자연과디자인 회전형입체게시대용 모듈박스
KR200471250Y1 (ko) 2013-02-19 2014-02-24 이창희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KR102522389B1 (ko) * 2022-05-04 2023-04-17 서성원 액자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022B2 (ja) 内容物ケースがスライド自在に挿脱される構造を持つコンパクト容器
US20120060323A1 (en) Door hinge
KR101735661B1 (ko) 비간섭 전면개폐형 프레임의 구조
KR200302708Y1 (ko) 전면개폐식액자의 개폐구조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20050117623A (ko) 프레임 개폐식 액자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1232512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장치
ITBO990600A1 (it) Dispositivo di cerniera con apertura - chiusura bistadio per il portello di apparecchi elettrodomestici , in particolare lavatrici .
KR200270683Y1 (ko) 냉장고의 홈바용 도어
KR20090080755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용홈바
JPH10184173A (ja) 自動半開き蝶番
CN210289473U (zh) 一种扭力轴外露的门体
CN213281869U (zh) 一种磁性卷发器
KR200266076Y1 (ko) 모서리연결 프레임을 가지는 전면개폐식액자
JP4386506B2 (ja) 窓用ステー
KR200347146Y1 (ko) 프레임 개폐식 액자
KR102582609B1 (ko) 기능성 폴딩 도어
JP3439339B2 (ja) 前面開閉式の額縁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200313887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경첩
KR0120658Y1 (ko) 세탁기의 뚜껑 개폐장치
KR200169225Y1 (ko) 커텐용 레일 및 런너 결합구조
CN2372637Y (zh) 一种杠杆增力式冰箱门把手
KR200332937Y1 (ko) 드럼세탁기의 리버시블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